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건강이 유아의 건강을 위한 도구나 수단이 아닌 그 자체로 배려 받아야 한다는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를 나딩스의 배려 교육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이를 요약하자면, 첫째, 항상 배려자의 위 치에서 타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전념하는 유아교사가 자신은 배려 받 고 있는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건강 또한 피배려자 의 위치에서 유아, 부모, 원장, 그리고 사회의 배려를 받아야 하며, 유아 교사 스스로도 자신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 교육현장에서 건강한 배려의 관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나딩스가 말한 우정의 관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모두가 건강한 상호적인 행 복의 교육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관심 및 지원을 촉구하며, 이는 배려 중심의 상생적인 유아교육공동체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 게임 활용 교육 및 게임 리터러시 코칭을 위해 유아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유아 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558명을 대상으 로 조사하였다. 설문은 미디어와 게임을 활용한 교육 현황, 유아 게임 리터러시 와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분 석을 통해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능력은 긍정적이나, 미디어 리 터러시에 대한 교사 교육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게임을 교육에 활용할 의사는 있으나, 교육에 게임을 적용한 경험은 그 리 많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게임 이용에 대하여 교사는 유아의 게임 리터러시 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게 임 리터러시를 현장에 활용하기 위하여 게임 컨텐츠를 보강하여야 하며, 예산과 수업 운영 매뉴얼 지원, 부모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유아 게임 활용 및 유아 게임 리터러시 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교사 역량과 환경을 고려할 때 유아 교육 현 장에 게임 리터러시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구체적인 추진방안과 미래 영유아교육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C시 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100명과 어린이집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총 22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등의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유보통합의 의미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문항은 총 8개였으며 유보 통합의 필요성, 유보통합 선도 교육청 시범운영, 유보통합의 우선적 추진 작업, 교사자격기준, 교사양성기관, 유보통합 후 교육·보육시간, 연령별 분 리방법, 교사자격 통합 후 제일 먼저 조정해야 할 과제의 문항이었다. 차 이가 나타나지 않은 문항은 2개 였으며 유보통합의 의미, 유보통합 후 기 관 운영형태 문항이었다. 현재 일부 시행되고 있는 유보통합 정책과 향후 추진 방안등이 발표된 상황에서도 각 집단별로 유보통합에 관해 바라는 내용과 인식에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미래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해 현장 의 목소리를 면밀히 살펴 각 집단간 갈등을 해소하며 영유아만을 위하는 유보통합 정책 수립에 시사점으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 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 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를 초점 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의 개념을 정의하 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1차 내용타당도 를 검증하여 7개 영역, 164문항을 구성한 후,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 5인에 의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100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100문항의 척 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및 그 외 지역 유아교육기관 원장 202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4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의 구성요인은 마인드, 윤리 적 실천, 모델링, 방향제시, 관계, 계획과 실행, 피드백 7개요인, 46문항으로 유아 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상호텍스트성 동화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학이론에서 현대적 개념으로 적용되고 있는 열 린 텍스트관점을 적용하는 것은 동화를 읽어간다는 의미보다 독자가 동 화의 주인공과 만나는 것이다. 또한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독자와 책의 만남을 친밀하게 지속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과정에 서 독자는 새로운 삶의 세계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그 발견된 것에 대 해서 깊이 성찰하는 활동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260여 개의 언어로 번역되고 전 세계 1억 부 이상 판매되며 현재까지도 많은 독자들의 사랑 을 받고 있는 생텍쥐페리의 대표작인 『어린 왕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상호텍스트성으로 분석한 결과, 『어린 왕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 둘째, 어 른과 어린이가 살아가는 세상이 다르다는 것, 셋째, 세상은 보이는 세상 과 보이지 않는 세상이 있다는 것, 넷째, 어린이를 어른의 세계관으로 대 하면 안 된다는 것, 다섯째, 어른과 어린이는 함께 성장하는 상호텍스트 성 관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화활동의 유아교육적 의 미와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아대상 효(孝) 교육의 문제점을 성찰해보는 하 나의 대안으로 최근 교육학분야의 질적 연구에서 매력적인 연구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유아대상 효 교육에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올바른 가치를 세우기 위해서는 인성교육이 필요 한데 특히 효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효 교육은 가정 내 부모-자녀 관계 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우는 과정이 매우 의미 있다. 효 교육은 믿음을 바탕으로 신뢰와 사랑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효 교육의 시작이자 마지 막 보루는 바로 유아들이 성장하고 있는 가정으로 유아들에게는 가장 효 과적인 효 교육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인격체로 성장하게 되며, 특히 배움의 초기단계를 중시 하는 이유는 삶의 주체 교육으로써의 효 교육이 발달단계마다 인간으로 서의 주체성 확립과 건강한 성장을 돕는 기초교육이다. 그렇지만 효 교 육의 관점에서 고유한 역할을 상실해가는 위기를 맞고 있으며, 현대사회 에서 이러한 효 교육의 개념 정의와 접근방법에 대해 교육현장에서는 다 양한 혼란이 존재한다. 따라서 부모-자녀 중심의 효 교육과정 연계로 유 아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로 성찰하며 그 의미를 구성하여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내러티브 접근의 활용가 능성을 고찰하였다.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eachers'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Methods: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Record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Braun and Clarke. Results: Alth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childre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imparting sex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Teachers lacked confidence because they themselves had not received proper education related to teaching sex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ex education methods and materials were lacking and outdated, and the suppor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insufficient.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when sexual behavior problems occur in children. Conclusion: Systematic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sex education and to communicate smoothly among them.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선호도 및 요구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5개 시·군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재원 자녀의 부모 1,008명이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도는, 부모교육 유형에서 ‘매체 를 통한 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부모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부모교육이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높았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에 대한 부모의 선호도는 부모교육 참여 시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요일은 ‘평일’이고, 교육시간대는 ‘오전 10-12시’ 였다. 또한 부모교육 1회 시 교육시간은 ‘1시간’을 가장 선호하였고, 부모교육 횟수는 ‘한 학기에 1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유형은 ‘부모 교육전문가에 의한 초청특강’을 가장 선호했으며, 부모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 과적인 의사소통’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자녀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공립유치원 부모들이 사립유치원 부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On December 27,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published a policy intended to ban English education in public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policy instantly sparked a strong backlash from the public, who voiced concerns and opposition to it in online news comments. This study analyzed 5,815 online news comments to identify public perception of the ban in particular a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general.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opponents of the ban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supporters (85.1% vs. 14.9%). The opponents disapproved the ba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ban would make parents turn to private education and eventually end up widening the gap between those who can afford it and those who cannot. Second, the ban clearly infringes on the basic right to get an education. Third, English is being taught through play-based curriculum, which causes little stress and emotional burdens for children despite the concerns of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ers underscored the role of parents 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native tongue to back up their arguments for the ban. Overall, this study may provide insights about how to utilize online news comments to study public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 위험요인을 밝혀 유아교육 기관 운영은 물론 교사와 가정의 영유아 보육(Edu-care)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원장 244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김혜경(2011)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와 Maslach와 Jackson(1986)의 소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검증 및 Scheffé의 사후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의 개인변인 중 채용유형, 학력, 월수입,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환경 위험요인의 하위변인 및 전체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환경 위험요인 전체와 하위변인 중 도전 기회부족과 역할 모호성은 냉소, 정서고갈, 개인 성취감 감소, 직무소진 전체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원장이 인지한 직무환경 위험요인 중 업무과다, 도전적 기회부족, 역할 갈등, 업무모호성은 직무소진 전체를 높이는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장의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원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K시와 경기도 Y시에 위치하고 있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행복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 82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과 구조화된 설문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행복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의 개념은 4가지 상위요인과 18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둘째, 행복감은 즐거울 때, 의미있는 일을 할 때, 몰입할 때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 결정요인은 의도적 노력, 환경적 조건, 유전적 요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교육의 필요성과 유아교육에서의 도움 정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행복교육의 내용은 감사하기, 웃기, 건강돌보기, 칭찬하기 등의 순으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행복교육의 방법에 대해서는 경험말하기, 동영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화보기, 게임, 그림, 토론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행복교육을 담당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를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행복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과 교수에 대한 학습방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태학습에 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에 있어 파생되는 문제 및 개선점을 알아보고, 생태기술력의 영향으로 국가경 쟁력이 미래유아교육의 발전과 유아들의 생태적 사고 능력 및 창의성 기르기의 중요성과 질 높은 교육의 기회가 적절한 시기에 제공함으로써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생태교육에 있어 교사양성 및 현직교사연수를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교육)’의 철학적, 역사적, 교육학적 본질적 의미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바람직한 교육현장 적용의 방법을 모색하여 국내교육대상자의 범위 확대와 더불어 STEAM 수업의 설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STEAM 학습 준거의 ‘창의적 설계’ 단계에 대한 구체적 절차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적 현장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융합인재교육인 SM-STEAM 교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4차 산업혁명은 창의적인 인재들을 위한 교육의 변환을 요구한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방향도 2017년 정부가 주도하여 STEAM 교육을 전 교육과정으로 세계 최초로 선포하였다. 초등학교 1~2학년 과정에 전면적인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STEAM교육을 실행하는 교육의 변화는 창의적 미래 과학 기술인재 양성의 시작인 유아기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에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나 유아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유아교육을 위한 ‘SM-STEAM의 OECE모형을 개발하였다. 유아기 융합교육의 SM-STEAM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 (Mathematics), 예술(Arts)의 요소를 가지며 융합교육의 주요 교수 학습법인 경험, 자료 및 현 장연구, 토론 피드백, 실험탐구, 표상전시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절차를 가지고 있다. ‘SM-STEAM,의 ‘OECE모형’은 관찰하기, 탐구하기, 구성하기, 표현하기이며 각 단계는 세부 적인 활동의 하위요인을 가지고 있다. OECE 모형은 유아교육과정에 과학을 두려워하는 교사들에게 진정한 STEAM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시작이 될 것이고 교사는 유아들에게 OECE 모형에 의해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교육과정의 흐름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기 ‘융합교육과정(STEAM)'을 위한 SM-STEAM의 ’OECE모형‘은 유아적용 STEAM 교육을 위한 시작을 열 수 있을 것이며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 수행 능력과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유치원 및 보육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인성, 인성교육, 직무, 핵심역량 등의 요구도 조사를 하였으며 SPSS 21.0(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올바른 인성 함양을 위해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높았으며, 직무 및 핵심역량과 인성교육 간의 관련성 인식도 높았다. 그리고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인성 요소 10위까지 의 순위는 긍정적 자아개념, 성실함, 도덕성, 책임감, 인내심, 유아에 대한 사랑, 올바른 가치관, 정서적 안정, 타인에 대한 긍정적 사고, 융통성 등이며 우선순위와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와 핵심역량을 강화하는데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인성교육이 유아교사의 직무와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본 연구가 유아교사의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과 자질을 배양하는 핵심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개인변인과 행복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 여 실시되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 17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원장의 직무소진 질문지와 행복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빈도분석, One-way ANOVA 검증, Scheffé 사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기관유형, 학력, 원아 수가 직무소진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원장의 학력과 행복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행복감과 소진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소진에 있어서 학력, 원아 수, 내적 행복, 자기조 절 행복이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하위 변인별로는 냉소의 경우 학력이, 정서고갈의 경우 학 력, 원아 수, 내적행복, 자기조절 행복이 영향력이 있었으며, 개인성취감 감소에는 외적행복, 내 적 행복이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원장 의 소진을 예방하는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양교과를 활용한 인성코칭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현장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면담과 전문가 협의 를 통해 교육모형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자신의 내면을 가꾸는 영역과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성품과 역량 기르기 영역으로 구분하여 4개 요소를 중심으로 32개 세부요소로 구분하여 중심내용을 선정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도계획을 수립 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2시간씩 교양교과를 활용해 활동중심으로 실시한 결과, 미래 교직에 대한 비전과 이를 위한 계획을 구체화하여 긍정적 측면의 변화로 심리적자 원이 증가하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의 교육모형은 예비교사양성과정 뿐 아니라 현직교사 직무 및 승급교육 등 다각적으로 실효성 있는 인성코칭 과정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 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사례중심대학의 보육교사 양성과정별(유아교육과, 사회복지과, 언어재활과)로 진입동기와 전문성 등 교직관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양성과정별로 보육교사직을 지원하는 동기와 재학생들이 생각하는 보육교사직을 질문내용으로 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백분율, 독립2표본, t-검증, One-way ANOVA, Turkey 사후분석 등으로 조사하였다.
Play is essential to life because it gives children joy, helps them grow, and provides important educational benefits. But in the past three to four decades, Korea has become rapidly urbanized and industrialized, so that the country has overlook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childhood play. Moreover, the parental mindset has turned from valuing the social environments found in natural playgrounds to supporting result-oriented education and competition. Recently, however, play is becoming recognized again for its educational benefits. Those needs have opened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playground business. One of those new businesses is Kids Café, which provides indoor playgrounds for preschool-age children and café facilities for parents. Korea has no legal guidelines regarding formation of these businesses, and no detail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tudy customers’ needs. For businesses to be competitive in the future, they must know how they can compete by enhancing customer benefit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marketing strategy for Kids Café by analyzing its competitiveness based on need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 find that Kids Café has several main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other playgrounds. Kids Café allows parents and children to enjoy themselves independently. Parents especially enjoy being easily able to see and monitor their children, and can take part in the program if they wish. The program does not require regular attendance as do paid classes and cultural centers; parents can bring their children when they have available time. Finally, children and parents can enjoy their leisure time both independently and collaboratively. Price, safety, play diversity, and convenient rest opportunities for parents determine whether parents will return to Kids Café. For sustainable growth, Kids Café must develop a customized and optimized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customer type and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his data will address the effective plans and suggest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74 parents in Busan. We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and parents and then computed the frequency and χ2 test to analyze the data.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ccording to our results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reason for needing nutrition educ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aims, contents, methods, and effective way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needs from teachers and parents on nutrition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considering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These may be useful data when planning for the nutritio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