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沈從文의 습작기 소설 속 여성형상은 작품의 지역적 배경과 인물의 결혼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北京을 배경으로 한 작품 속 여성은 대부분 작 가의 성적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혼여성의 경우, 모두가 성에 자유롭고 적극 적인데, 이는 작가의 성적 욕구를 투사한 결과로 보인다. 미혼여성의 경우, 작가가 감히 근접하지 못할 아름다움의 화신으로서 등장하고 있다. 이는 작가가 젊고 아름 다운 여성을 학예의 여신 뮤즈로 승화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湘西를 배경으로 한 작품 속 여성은 작가의 성적 욕구를 초월한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기혼여성은 자애로운 어머니, 현명한 주부, 사랑스러운 부인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데, 이는 도시 생활에 지친 작가가 행복한 추억의 공간으로 심리적 퇴행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미혼여성은 湘西의 자연과 결합하여 정체를 알 수 없는 신비한 존재로 그려지 고 있는데, 이는 湘西라는 신화적 상상의 공간에서 작가가 내면의 아니마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6,7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천태의 『마하지관』에 나오는 십승경 중의 하나인 業相을 분석 심리학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업상이란 수행의 과정 중에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이며, 개개인의 행업의 결과가 잠재의식상태로 저장되 어 있다가 수행으로 인해 드러나는 현상이다. 선악 등은 모두 심리적 착각이고, 인공적으로 의식화된 대립의 규정이라 정의한 것은 융의 입장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대상관념은 반복되고 경험되 어 다듬어진 결과의 하나”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업상을 보는 천태의 시각과 상통한다. 업상의 논리전개에서 習因과 習果, 報因과 報果 사이에 이어지는 시간적 지속은, 동일자의 차이 내지 현존과 부재의 교대, 그리고 관찰자의 개입으로 이해가 가능하다. 융이 말하는 심리적 원형이란 개념도 불교의 ‘共業에 의해 발생하는 共相惑’에 가까운 집단무의식이다. 또한 융이 “심리적 원형은 그 자체 표상이 불가능하지만 ‘원형적 이미지’를 통해 원형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식은 업상에서 선악업의 발생 모습을 분류하는 방식과 유사성을 보인다. 천태지의는 십승관법이란 수행방법을 통해 수행의 과정에 드러나는 업상 을 해결하고자 하며, 특히 識陰의 관찰을 중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페르소나’라는 심리학적 개념을 연상시킨다. 식음의 관찰을 중시한 것은 심 리학에서 페르소나의 본질을 파악하여 가면적인 자신에 매몰되지 않도록 유 도하는 것과 방법론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이다.
        7,000원
        4.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en the radioactive nuclides are leaked from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by groundwater, the migration path of the nuclides is mostly consisted of rock fractures to the surface biosphere. Thus, assessing the safety of the disposed radioactive wastes depends upon understanding of nuclide migration in the fractured rocks. Fractures in rocks tend to domin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solved nuclides. To study migration of nuclides in the rock fracture, a granite block of 1 m scale was quarried from the Hwangdeung site. The block has a single natural fracture. The six faces of the rock including fracture gaps were sealed with silicone adhesives to prevent leaking or diffusion of the water. Usually flow in fractured rock is unevenly distributed and most of the water flow occures over a small portion of the fracture zone, that is so called channeling flow. It is caused by uneven distribution of apertures in a fracture field. Flow rate is proportional to the cubic of the aperture. Thus, figuring out aperture distribution in a fracture field is the most important step on the study of the migration of nuclides in the fractured region. The ideal way to figure out the aperture distribution in a fractured rock is to use a non-destructive tool such as X-ray tomagraphe. However, it has a limitation of scale, that is, less than about 30 cm. It is not easy to give a good resolution for this quarried rock of 100×60×60 cm scale. It gives complex and vague images of the fracture. The optimum way to get an aperture distribution in a fractured rock is to drill some boreholes to the fracture and to carry out hydraulic tests. The more number of boreholes gives the more accurate information, but the more disturbance to the fracture field. Thu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between aperture information and disturbing fracture field by selecting a suitable number of boreholes. We drilled nine borehol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ck mass just to the fracture without penetrating the fracture. And we carried out dipole tests for the matrix set of 9 boreholes. From each dipole test, an effective average aperture was calculated with the data of flow rate and hydraulic head. Then aperture distribution in the fracture field is calculated with a modified Krigging method. As a result, the aperture i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about 0.03~0.16 mm.
        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함미가 그린 『금병매화집』의 인물 형상 표현을 분석하여 그 주요한 특징과 화가의 해석을 추적하였다. 화가는 화집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을 여성 인물, 남성 인물, 군상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기 +주요한 표현 초점을 설정하였다. 여성 인물에 대해서는 ‘신’(神)과 ‘신사’(神似)를 추구하는 중국화 전통의 연장에서, 남성의 시각에서 ‘여성스러움’ 또는 ‘여성미’를 나타내는 다양한 ‘태’(態)를 형상화하였다. 남성 인물에 대해서는 주인공부터 소인물에 이르기까지 개성 있는 형상을 부여하여 화집의 세계를 생동감 있게 만들었다. 또 즐겨 그린 군상 묘사를 통해 군중의 속물성과 타락 한 세태를 비판하여 소설의 주제를 심화시켰다. 화가는 이들 형상을 통해 민국시대 말기 부호와 고관 등 가진 자들의 사치와 성애를 탐닉하는 혼란상을 비판하였다.
        5,500원
        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沈從文 소설연구에 있어 최근 새로이 부상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생태주의, 여성주의, 그리고 이를 결합한 생태여성주의 연구방법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 아직은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태주의, 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의 연구를 근원에서부터 사색하게 하는 아니마·아니무스와 관련된 이론은 향후 이들 연구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칼 융의 아니마․아니무스 이론이 생태여성주의 입장에서 沈從文 소설 속 여성형상 이해에 있어 유용하고 타당한 연구방법론이 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심리학적 측면에서 沈從文의 창작생애와 소설 창작 전반을 거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沈從文이 잠재의식 속 아니마를 조우하게 되는 계기와 과정을 밝혀보았다. 다음으로 沈從文의 소설 속 여성형상들의 창작 시기별 전변과정이 沈從文의 잠재의식 속 아니마의 심화과정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이 아니마를 통해 沈從文이 시기별로 특유의 문학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7,000원
        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주제 또는 동기에 담겨있는 핵심적 아이디어가 ‘어떻게 악곡의 구조를 구축하는 요소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핵심적 아이디어의 리듬을 매개변수로 활용하거나 선율을 매개변수로 활용하는 경우를 각각 베토벤의 피아노소나타 제 2번과 제 23번의 분석을 통해 살펴 본다. 제 2번에서는 먼저 약박-강박이 결합된 기본음형이 변주를 통해 리듬적 대조를 이루는 음형 들로 변형된다. 변주에서는 박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로 다른 리듬형을 파생시킨다. 결국 본질적으로는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리듬형이 세 가지인데, 이 리듬형들은 제 1주제에서 제시된 후에 형식상 구조적으로 강조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딸림조 영역의 연장에서 단조모드가 장조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의 화성적 딸림화음의 출현, 또는 발전부 끝을 마무리하면서 재현부를 준비하는 딸림화음의 구간 등에서 활용된다. 제 23번에서는 핵심적 아이디어가 악곡 전체의 화성적 구조에 필요한 강조점을 명시할 수 있도록 활용된다. 제 1주제에서는 선율적 특징( - )의 핵심 아이디어가 뒤늦게 등장한다. 그러나 ‘등장의 순간’이 선행악구에서부터 예비 되어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이 예비는 악구의 마무리 후에 자리 잡고 있는 쉼표가 수행한다. 이 핵심 아이디어가 좁은 영역에서는 선율진행의 구조를, 그리고 넓은 영역에서는 베이스 화성진행의 구조를 통해 재현된다. 핵심 아이디어에는 리듬적, 선율적, 화성적 내용이 함축되어있다. 그 함축의 내용은 변주를 통해서 또는 다양한 활용을 통해서 실현된다. 중요한 사실은 핵심 아이디어의 변주와 활용 모두 악곡 전체에 구조적인 응집력을 주는 주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7,000원
        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투사적 그림분석을 통해 이중섭 미술작품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중섭은 한국의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일제강점기, 해방혼란기, 그리고 한국전쟁 등 비극적인 현대사에서 정치적 격동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외적 고통과 심리적 갈등을 겪으면서도 일관되게 따뜻한 가족애와 소망을 담고 있는 소, 어린이, 물고기, 게 등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한 소재를 그렸다. 이중섭 작품의 특징은 갈등적 상황을 회피하려는 특성인 방어나 저항이 나타나지 않고 자신의 무의식적 소망, 욕구의 심리를 잘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중섭 미술작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연구방법은 투사적 그림분석을 사용하였고, 작가의 심리적 역동이 잘 반영된 인물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작품의 선정은 유일하게 그려진 자화상과 많은 작품이 남겨진 아동화 중 공통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이중섭 미술작품에 나타난 의미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적 애착욕구. 둘째, 퇴행. 셋째, 승화이다. 미술감상은 미적체험, 의미발견, 전이 및 자기이해 등 치료적 요인을 갖고 있으며 심리치료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중섭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 심리치료의 관점에서 미술감상이나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100원
        1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북아시아 근현대 문학에서 안중근은 대체로 평화의 인물로 형상화된다. 하지만 안중근을 어떠한 맥락에서 평화의 인물로 서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서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북아시아 근현대 문학에서 평화의 인물로서 안중근을 서로 다르게 서술하고 있는 양상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림종상의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냉혈생(冷血生)의 『영웅의 눈물』(英雄淚), 사키류조(佐木隆三)의 『이등박문과 안중근』(伊騰博文と安重根)을 중심으로 북한, 중국, 일본의 근현대 문학에서 나타나는 안중근에 주목할 것이다. 이들은 모두 소극적 평화의 맥락에서 안중근의 삶을 형상화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요한 갈퉁(Johan Galtung)이 주장한 적극적 평화의 맥락에서 안중근의 삶에 나타난 구조적 평화 만들기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가톨릭 신앙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이토 히로부미의 저격으로 ‘평화를 완성한 인물’이 아닌 ‘가톨릭 신앙을 통해 구조적 평화를 만들어가는 인물’로서 안중근에 대한 서사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6,100원
        1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속적인 곡예 운동이 여자 체조, 프리스타일 스키어 및 피겨 스케이터 선수의 동적 자세 유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운동경력이 4-6년 된 운동선수로서 체조선수 7명, 프리스타일 스키어 선수8명, 피겨 스케이터 7명과 일반 여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동적자세의 운동능력을 비교하고자 뉴로컴사의 동적자세측정기를 이용하여 6가지 각 조건에 맞는 이른바, 시각계, 전정계 및 체성감각계가 동원되는 상황을 연출하면서 실험에 임하였다. 자료처리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집단 간의 차이를 보고자 Scheffe로 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집단 간에는 조건 5에서 프리스타일 선수와 체조선수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선수 집단과 일반인 여학생 간에는 조건 2, 3, 4, 5, 6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곡예 운동은 평형기관계를 자극하여 동적자세 조절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잉카 쇼니바레의 《머리 없는 형상》 작업에 나타난 식민권력의 전복을 탈식민주의 이론 가 호미 바바의 ‘모방’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쇼니바레는 유럽의 제국주의 침략이 극에 달한 18-19세기의 역사·문화를 패러디하고 식민지배자로 등장하는 인물의 머리를 자름으로써 권력의 불균형에 저항하고 인물에 식민사의 산물인 더치 왁스 천으로 만든 빅토리아 시대 의상을 입힘으로써 제국과 식민, 유럽과 아프리카 등의 이분법적 대립의 해체를 시도하였다. 그의 작품은 ‘거의 동일하지만 아주 똑같지는 않은’ 차이를 드러내는 피지배자의 과장된 모방을 통해 지배자의 정체성과 지배-피지배 구조를 위협한다. 또한 과거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역사를 피식민자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전 지구화 시대에도 끊임없이 반복되는 권력의 불균형에 대해 경고의 메시지를 던진다.
        6,600원
        1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creation process of female figure as a whole by linking features of female association depending on Shen cong wen's creation perio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figures of each time. Female figures at the first creation period are, in many cases, just passive subjects looked into the eyes of the male writer. This is largely because of a woman named Ma, Yao Mei, and Ding ling, who were those Shen associated when he first started writing literatures. They were women who hided their true colors of wicked women under the veil of positive image of girl and seem to have a huge impact on the creation of female figures by Shen at the initial stage of his literature creation process. At the second period, female figures in his literatures are varied and colorful. There are novels in which a woman is a main character and stories, in many cases, are delivered from a point of view of a woman. Ding ling and Zhang zhao he associating with Shen at that time had a great impact on this. Literatures by Shen in this period were a dedication for the love and friendship with friends and lovers. Female figures at the third period hav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sometimes it is too ordinary and plain, and others it is too abstract and difficult.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association with women did not directly motivate his creation at that time due to the reality called marriage and a special circumstance: war. But, in this period, he was absorbed in creation to capture the lively motion and beauty of life that he had constantly envisioned. In conclusion,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ssociation with women and female figures, the author has been able to identify the meaning of coincidence and women when it comes to creation, as the way he had expressed. His creative tendenc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omen he was in association with each time and the female figures did not stray from the shadows of women he was in association with. This feature on the creation of literatures by Shen suggests that his literary world and female figures are to be interpreted and studi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s such as eco-feminism and gender psychology.
        5,200원
        1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양화에서 반복되는 주제인 ‘전통의 계승과 혁신’이란 측면에서 김농의 인물화 작품을 통해 전대 양식의 수용과 자기화 과정과 후대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김농 인물화의 전대 양식의 수용과정을 이공린(李公麟) 을 연상하게 하는 백묘양식과 양해(梁楷)의 감필법(減筆法)과 묵법(墨法), 마화지(馬和之)의 난엽묘(蘭葉描), 곤잔(髡殘)의 도 상(圖象)의 영향으로 세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고, 자기화 과 정을 거쳐 예체(隸體)를 연상시키는 서법적인 붓질을 이용하여 중국 불화 역사상 가장 독특한 구조를 가진 불상도인 <설색불 상도(設色佛像圖)>의 새로운 창작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 히 김농의 <달마도>는 청초 개성파 화가인 곤잔의 영향을 받 아 제자 나빙(羅聘)을 거쳐 해상화파 화가인 오창석(吳昌碩)에 게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인물화는 동서를 막론하고 대단히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닌 장르이다. 그러하기에 인물화에 관한 조형적 경험과 이론 역시 대단히 폭 넓고 풍부하다. 개괄적으로 정리하자면 서구의 인물 화가 인물의 형태와 색채 등 외형적인 조건에 관심을 두는 것 이라면, 동양의 인물화는 대상이 되는 인물이 지니고 있는 내 적인 내용의 표출에 가치를 두는 것이라 정리할 수 있을 것이 다. 전통적인 동양화론으로서 전신(傳神)은 예술가의 창작개념 에 직접 관여하는 것보다 인물화 작품에 나타나는 정신적인 문 제를 중요시 한다. 그러나 현대미술로서 인물화는 예술가의 창 작주체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전통적 전신의 개념과 뜻을 참고 하여 정신표현의 현대적으로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 금농의 창작 작품 <설색불상도>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
        5,800원
        1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paramete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lower-body apparel, we analyzed the lower-body figures of adult women in their early 20s from Shanghai, China, using 3-dimensional whole body scanner. Thirty-nine lower-body-related measurem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figures of 210 Chinese women. Obesity and height of the lower body, length from waist to crotch, shape of abdomen, and leg bone length were analyz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The first cluster describes the obesity of the lower body, the second denotes small hip measurement, and the third describes slim and long legs. This is the first study to quantify figure analysis of the lower body of Chinese women using 3-dimensional body measur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regarding crotch width, crotch length, inseam, outseam, waist slope, etc., for designing trouser patterns for Chinese adult women.
        4,600원
        1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비문학에는 많은 인물과 주제와 소재가 존재한다. 또한 이것들은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요소를 활용하여 그들의 의식을 표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인물은 이야기의 구성상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나타난 통치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각 지역마다 통치자의 인물형상이 보편화되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특색에 맞게 통치자의 형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즉, 서울권은 보다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평민의식을 실현했으며, 여주, 용인, 남양주 등과 같은 지역은 풍수와 관련된 설화가 많은데 이는 왕릉이 주로 분포된 곳이기 때문에 이러한 풍수사상이 평민에게 스며들었고, 수원․화성의 통치자는 대부분 정조가 등장하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정조가 아버지인 장헌세자를 그리워 자주 찾았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치자의 형상이 각 지역의 역사적, 사회적 특징에 맞게 구비문학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700원
        19.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사대부가의 자제들을 비롯하여 여항인 과 하층민 등 광범위한 계층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형태는 여항 인에게는 書堂방식의 강학이, 사대부를 대상으로 행해진 강학은 塾師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었지만, 한문학 전반에 관한 지식 과 유교적 교양뿐만 아니라 학문, 처세 등 삶의 자세에 관한 全人敎育차원의 교 육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은 여항인 내부에 문식층을 증가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이는 점차 동류의식으로 발전하며 높은 수준의 ‘여 항문학’을 산생하는 데 일조하는 한편, 여항인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일부 교정하 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6,7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