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1.
        202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longitudinal study used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BELS) to identify growth profiles of English class self-efficacy (ECS) over three year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English class comprehens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A middle school student sample from 2016 to 2018 BELS comprised 3,038 students (1,394 females and 1,644 males) from 56 middle schools in South Korea. Us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with Mplus 8.4, a higher-order growth mixture modeling (GMM) yielded three distinct growth trajectories of ECS: 82.8% of initially high and slowly decreasing (HSD) group, 9.7% of intermediate high and decreasing (IHD) group, and 7.5% of low but increasing (LI) group growth profiles. Results indicated that English class comprehens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across each growth profile of ECS. The identified ECS growth profiles can be used to tailor intervention measures. Empirical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pedagogical implications in appli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actices and further research.
        7,0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듀테크 시대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습 방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반 애플리케이션 을 활용한 학습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며, 학습 효율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학 학습에서 모바일 기반 애플리 케이션 사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학습 효과, 학습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시 소재 S 대학교 자기공명영 상학을 수강한 2, 3학년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 24일부터 29일까지 수업 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퀴즈 활동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평균 점수는 4.58±0.66, 학습 효과는 4.61±0.62, 학습 만족도는 4.58±0.65로 나타났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활용 전후 비교 분석에서 인식 (활용 전 3.62±0.97, 활용 후 4.58±0.66), 학습 효과(활용 전 3.60±0.92, 활용 후 4.61±0.62), 학습 만족도(활용 전 3.64±0.93, 활용 후 4.58±0.6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자기공명영상학 교육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참여도, 이해도,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기공명영상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도 애플리케이션 기반 학습이 유용한 교육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교육 및 임상 실습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기대된다.
        4,000원
        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ouGlish, an emerging online learning platform, offers learners repeated exposure to native pronunciation in authentic contexts, providing valuabl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articulation of words and phras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a structured instructional module incorporated into YouGlish on enhancing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through shadowing practice. A total of 67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completing four assignments using YouGlish with either a structured module (n = 30) or without a module (n = 37).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word/phrase accent accuracy (t (65) = 4.36, p < .001), and intonation (t (65) = 3.94, p < .001) in the group using the structured module compared to the unstructured group. Additionally, feedback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indicated that students using the module reported more positive experiences, highlighting increased usability, perceived effectiveness, and confidence in their language ski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eacher’s role in integrating multimedia resources such as YouGlish is critical to optimizing its effectiveness in language learning.
        6,100원
        4.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서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효율적인 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은 미래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반대로 경기침체의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한 비용 절감도 필요한 상충적인 상황에 놓여있다. 그에 따라 미래를 위한 투자의 일환으로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구성원들의 교육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형식교육과 더불어 무형식학습에 의한 교육이 중요하며, 이러한 경향에 따라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형식학습을 통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이 높아진 구성원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구성원의 인재우대 인식으로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성원이 조직의 인 재우대를 높게 인식하고 있다면, 제도의 수용성이 높아지고 이는 무형식학습의 효과성을 높여 직무만족 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고, 이 관계가 인재우대 인식에 따라 조절되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무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에서 인재우대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 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가 인재우대 인식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 펴보도록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2020년 근로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분석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둘째, 무형 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 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는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 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학습의 실행과 효과에 대해 고민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5,500원
        5.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한 학기동안 국제 PBL 수업에 참여한 한국과 일본 인 수강생 31명을 대상으로 1) PBL 문제기반의 학습이 참여학생의 주도 적인 학습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고, 2) 국제교류방식을 통한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평가하는데 있다. 설문지를 토대로 PBL과 학 생주도성에 관한 인식과 태도를 측정하고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도하였 다. 또한 학생 면담과 토론방, 교수자의 성찰일지 등 질적 연구 자료들을 토대로 핵심적인 주제어를 찾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PBL의 능동적인 학습탐구과정을 통해 적극 참여하였고, 국제 PBL 교류에 관한 전반적으 로 높은 연구결과의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주도형의 참여효과 에 관해서는 ‘책임’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고, 선택과 목소리 그리고 협력 부분에서는 높은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 논문은 향후 국제 PBL 설계과정 에서 참여자들의 국가별 문화적·정서적 요소를 함께 학습자의 특성을 고 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5,700원
        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mplementing team-based learning (TBL) in postpartum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128 nursing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61 in the experiment group and 67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winter break in January 2023, student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practical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student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practicals during the regular semester (April 2023)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prevent crossontamination between the groups due to experimental treatment. Both groups completed self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ass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collaborative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It was evident that TBL applied to postpartum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is a pedagogical teaching strategy that enhance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eam-based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not only for challenging obstetric cases but also for labor and delivery nursing, antepartum nursing, and other related areas in clinical practice.
        4,600원
        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ML(Debriefing for Meaning Learning[이하 DML])를 적용한 응급 시뮬레이션 실 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 다.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D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중 중재군 38명, 대조군 35명, 총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능력(t=-3.144, p=.002), 문제해결 능력 (t=-3.248, p=.002), 의사소통 능력(t=-4.051, p<.001)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DML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방 법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8.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은 중국으로의 귀환 이후 시행된 兩文三語정책 아래 소수 민족의 중국어 교육은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다. 비중국어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욱 효과적인 중국어 학습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게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홍콩대학은 홍콩교육국의 연구 과제를 수주한 이후, 학교에서의 방과 후 중국어 학습을 지원하게 되었다. 중학교에서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최근 일년 동안은 소학교까지 확대하였다. 본 연구는 「閱讀促進學習」(R2L)이라는 교수법 이 비중국어권 소학교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연구대상들의 작문 문제가 어디에 근거하였는지를 측정하였고, 「閱讀促進 學習」(R2L)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설계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20개의 소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 년간에 걸친 교육에서의 예측과 한자, 어휘, 구절과 전체 문장을 점층적으로 확대 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신장시킨 후,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이 학습법 시행 이전과 이후를 검토하여, 「閱讀促進學習(R2L)이 어떻게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연구 이후, 홍콩에 거주하는 비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그들 이 홍콩 사회에 더욱 융화되어, 구직을 하는데 조금 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4,600원
        9.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ness of G-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utilizing interactions derived from game play) English afterschool class, which had been implemented for 3 months to 49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grade at 31 elementary schools spread in the whol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wo hypotheses were set in this study: 1) after conducting G-Learning English class, students' achievement in English study will increase, and 2) after conducting G-Learning English class,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to English study will increase. Pre and post proficienc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Learning English class. A survey was also carried out with the participants of the cla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chievement in reading was increased from 24.7 to 36.4 and vocabulary increased from 21.1 to 33.5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ncrease of the test score in three proficiency groups was as follow: high group was 9 points, middle group was 25 points, and low group was 38 points. Moreover, as for the affective factors toward English study, students' interest improved from 3.28 to 3.54 and confidence improved from 3.17 and all the aforementioned resul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6,600원
        10.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중문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 는데 있어, 읽기를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도 현저한 효과가 드러나는 방법 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독해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한자 능력을 발전시키고 공고하게 하는 것이 우선적인 임무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Dr. David Rose가 제안했던 Reading to Learn 학습이 론에서 출발하여 그림책 교육의 과정에 결합시켜 어떻게 하면 비화교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이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해 그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액션 러닝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기간 동안에 연구원과 유관 중학교의 부교장은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사용 능력이 향상되 어, 읽고 쓰는 능력에 이르는 것 외에도 위에서 제기하였던 방법을 실제 어떻게 운영하여 얼마나 비화교 학생들의 그림책 읽기의 흥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를 알고 싶어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Reading to Learn 학습법이 그림책을 결합한 교육인 「文類教學法」을 운용할 때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능력이 증가함과 더 나아가 읽기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900원
        11.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요인으로서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인적자원개발(HRD)과 인적자원관리(HRM) 활동이 조직의 재무성과와 유효성 증진을 위한 선행요인이라는 점은 많은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 왔으며, 인적자원에 대한 전략적 수준에서의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HRD와 HRM의 기능이 갖는 역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조직성과 향상에 있어 두 영역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 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주요 변인으로서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HRD와 HRM 영역이 갖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의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포괄적 시각을 견지하기 위해 성과와 학습으로 대변되는 HRD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 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과 갖는 관계를 가설적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S그룹 5개 계열사의 Senior Manager급 이상 관리자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72개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은 모두 인사관리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요인은 사람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인사관리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을 조성하는 개인과 조직 수준의 요인들을 구분하여 그 관계를 설정하고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수준별 요인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6,000원
        12.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called Multimedia Project-Based Learning (MPBL) on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setting. The main focus of thi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s to enhance teachers’ communication, technology, collaborative and thinking skills. A total of 82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semester long technology-oriented cours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t Kuwait University were involved in a pre-post assessment of skills acquisition using a survey instrument. A second survey instrument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MPBL. The analysis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relation to the assigned indicators. Positive perceptions were expressed by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learning using the MPBL approach. Suggestions for designing of effective MPBL in a university setting are included.
        5,100원
        1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식기반경제사회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적자원이야말로 기업의 핵심경쟁력 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디지털시대로 특징지어지는 21세기에는 지식이야말로 기업의 경쟁우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업은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학습조직의 활성화는 기업의 경쟁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요소가 된다. 그러나 대부분 기업들이 학습활동을 하면서도 학습조직의 활성화가 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미흡
        4,000원
        16.
        200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e-learning courses in higher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he courses are being run and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of e-learning courses to provide an optimal learning environment. An end-of-course, summative evaluation and log files in an e-learning system were used in order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ree e-learning English courses in a university. The section of background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taking the courses are senior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s such as use of various multimedia,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and instructors’ evaluation of students’ achievement. A post-hoc analysis showed evidenc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y course.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quality assurance is an issue in setting and managing e-learning English courses, which are expected to grow rapidly in a near future due to students’ increasing need for e-learning.
        5,100원
        19.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to find out how the learn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variant in earth science teaching-learning scene in high school can be approached to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And it also aims to seek for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arth science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etween two groups has been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cience branch of high school has been much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in the humanities branch, the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conspicuou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introducing suitable environmental variant into teaching-learning scene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can be one of the desirable approaches to science education.
        4,000원
        20.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음악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원학습공동체 소속의 교사 8명이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가창학습 콘텐츠와 뮤지컬 공연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효용성과 자신이 겪은 경험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현실에 기반한 가창학습 콘텐츠의 특징은 첫째, 온라인 교수 환경에서도 모델링과 피드백에 유용한 콘텐츠이다. 둘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수 환경을 통해 시 공간 개념을 확장하였고 전통 교실에서 어려웠던 1대 1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교과서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들의 경험과 실천에 대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콘텐츠의 제작 과정에서 교사들은 시행착오 및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전문성이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콘텐츠 제작 후 공문 및 다양한 채널을 통해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교육크리에이터로서 보람과 긍지를 느꼈다. 셋째, 교원학습공동체의 자발성과 비전의 공유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콘텐츠의 개발 과 효용성에 관한 논의는 비대면 온라인 시대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하리라고 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