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ed longevity of Quercus myrsinifolia, a species with recalcitrant seeds highly sensitive to desiccation and freezing. The effects of moisture content, seed collection date, and storage methods on seed viability were analyzed using exponential decay modeling.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were also explored to refine conservation strategies. Seeds with moisture content above 40% demonstrated a predicted seed longevity of 2.19 years, whereas those with moisture content below 30% had seed longevity of less than 1 year. Late-season seeds collected in November and December exhibited superior germination percentages and longer predicted seed longevity (1.32 years) compared to early-season seeds colle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1 year). In seed weight, large seeds (2.0 g) showed longer predicted seed longevity about 1.5 times greater than that of small seeds (<1.2g). Storage methods significantly affected seed longevity, with refrigerator (4°C) with silica gel maintaining viability for 2–3 years, while seeds stored at room temperature (25°C) exhibited a seed longevity of less than 1 year. Silica gel was found to prevent seed deterioration due to over-desicca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balanced moisture regulation. Q. myrsinifolia seeds exhibited 𝑏 values ranging from 0.30 to 2.04, demonstrat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ecay constant, moisture content, storage conditions, and seed longevity. These findings provide critical insights into optimizing seed storage and propagation strategies for Q. myrsinifolia, contributing to its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efforts.
국내 수박(Citrullus lanatus) 품종의 발아율에 대한 Solid Matrix Priming(SMP)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Micro cel-E가 SMP 처리에 가장 이상적인 matrix로 밝혀졌으며, 종자:matix:물의 비율은 10:5:10(w/w/w)로, 25°C 에서 3일 동안 처리했을 때 유근의 돌출없이 발아속도가 촉진되었다. SMP 처리 과정 동안 초기 4시간 동안의 수분 흡수율은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이후 72시간 동안은 더 느린 속도로 흡수되었고, 처리 마지막 시간까지 수분 흡수 율은 41%이었다. 발아 온도와 상관없이, SMP 처리된 종자는 발아 시간이 단축되면서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특히, 최적 발아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품종별 차이는 있었으나, 특히 ‘해찬꿀’과 ‘리코스위트’ 품종 에서 발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일부 품종에서 SMP 처리 종자의 유묘출현율과 초장, 생체중이 무처 리에 비하여 증가한 값을 보였으며, SMP 처리로 종자의 발아속도 및 유묘활력을 증진시켜 우량 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유통 후 분화 칼랑코에 Kalanchoe blossfeldiana ‘Queen Bell’의 배지 수분함량에 따른 분화품질 및 수명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출하 후 배지 내 수분함량(Substrate moisture content, %)은 매주 관수를 통해 고습(≥90%), 중습 (40~55%), 저습(10~30%) 3수준으로 처리하였다. 분화수명은 저습처리가 고습과 중습처리보다 36.8~42.3% 단축시켰다. 분 화수명 종료증상 중 잎의 황화증상은 저습처리에서 100% 나타 났다. 분화의 초장은 출하 후 분화수명 종료시점인 4주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식물폭은 저습 처리가 고습과 중습 처리보다 13.4~15.4% 낮았다. 전체 꽃눈수와 개화된 꽃수는 1주차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4주차에 저습 처리에서 고습과 중습 처리구보다 낮았다. 개화율(Flowering rate)은 모든 처리구에 서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저습처리의 출하 대비 개화 율(Flwering compared to shipment)은 3주 이후부터 가장 낮았다. 5주차의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저습 처리가 고습과 중습 처리보다 모두 낮았다. 출하 후 4주차의 잎의 엽록소함량, Fv/Fm, 기공크기변화율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이때, 꽃잎과 잎의 온도는 고습처리에서 중습처리보다 낮았고, 저습처리에서 중습처리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분화 칼랑코에의 출하 후 배 지 내 저습(10~30%)처리는 고습(≥90%)과 중습(40~55%)처리에 비해 분화수명을 단축시켰고, 잎의 황화현상을 증가시켰다. 특히 저습처리는 분화수명 종료 시점에 식물 폭, 전체 꽃눈수, 개화된 꽃수, 출하 대비 개화율, 지하부의 생제중 및 건물중을 감소시켰고, 꽃잎과 잎의 온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대량 사육을 위하여 남은음식물 사료의 최적 수분 함량과 적정 사육 밀도를 조사하였다. 실 험에서는 500 g의 습식 사료의 수분 함량을 각각 30%, 50%, 70%, 90%로 조정한 후, 3,500마리의 3령 유충을 7일 동안 사육하였다. 그 결과, 90% 수분 함량에서 평균 유충 무게는 7.19 g으로 측정되었고, 70% 수분 함량에서 가장 높은 무게인 10.54 g이 나타났다. 반면, 50%와 30% 수분 함량에 서는 유충 생육이 저조한 결과가 나타났다. 적절 사육 밀도를 조사를 위해 100,000, 150,000, 200,000, 250,000 마리의 3령 유충을 70% 수분함량 의 100 kg 습식 사료에 7일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250,000 마리에서 총 유충 생산량이 22.79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50,000, 200,000, 250,000 마리 밀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100마리당 평균 무게는 100,000 마리에서 16.90 g, 150,000 마리에서 15.20 g, 200,000 마리 에서 11.30 g, 250,000 마리에서 9.50 g으로 확인되었으며, 100,000 마리와 150,000 마리 밀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남은 음식물 사료인 습식사료 100 kg를 급여할 경우 수분 함량을 70%로 유지하고 사육 밀도를 15만 마리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산 목재의 효율적인 이용과 이용확대를 목표로, 낙엽송, 소나무 그리고 백합나무의 도장처리에 따른 흡수성과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 의 고습환경하의 팽윤율을 조사하였다. 도장처리재는 미처리재에 비해 3수종 모두 고습환경에 노출 된 후 150시간 이후의 흡수율은 작게 나타났고, 도장처리재의 흡수율은 백합나무(2.2%) > 소나무(2.1%) > 낙엽송(1.9%)의 순이었다. 고습환경에 노출된 후 150시간 이후의 함수율은 흡습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크기는 백합나무 > 낙엽송 > 소나무의 순이었으나, 소나무의 경우 양자의 차이가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도장처리재의 방사방향 팽윤율은 2.18% - 3.44%의 범위였고, 그 크기는 낙엽송이 백합나무나 소나무에 비해 현저히 적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장처리재의 접선방향 팽윤율은 4.17% - 6.36%의 범위에 있었고, 이 값은 방사방향과 같이 낙엽송이 가장 적었고, 소나무, 백합나무의 순이었다. 이 값은 미처리재에 비하여 0.85 – 0.96배의 적은 값을 나타내었고, 방사방향의 약 1.9배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콩과 같은 밭작물은 주로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으며 토양 수분 조건에 따라 생육 반응이 민감하게 반응한다. 작물의 생육과 재배 지역의 토양 조건, 기상 등에 따라 적정 토양 수분을 유지하는 것은 작물 생산량의 증가를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 수분 함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깊이에 따른 토양 수분과 외기, 강수량 등 기상 변수와의 상관 관계를 구명하고, 깊이별 토양 수분예측을 위한 부분최소제곱회귀(PLSR) 모델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콩 재배포장의 10cm, 20cm, 30cm 깊이의 토양수분은 FDR 방식의 센서로 측정하였 고, 콩 작물 주변 환경인자(재배환경의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 일조시간)는 주변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깊이별 미래의 토양수분함량 예측 모델을 개발한 결과, 10cm와 20cm깊이에서 주요 인자는 현재 토양수분함량과 기온이었으며, 30cm 깊이에서의 주요 인자는 현재 토양수분함량과 기온, 풍속으로 나타났다. 토양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토양수분함량 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이는 표면에 가까울수록 토양수분함량이 변화가 크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래의 토양 수분함량예측시 1시간 후 예측 정확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때의 Rv 2와 RMSEV가 10cm 깊이에서 0.993와 1.069%, 20cm 깊이에서 0.994와 0.821% 였으며, 30cm 깊이에서 0.999와 0.149% 였다. 본 연구 결과는 콩 생육환경 진단을 위해 재배 포장의 토양수분함량을 토양층별로 미래의 토양수분함량도 예측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칼랑코에(Kalanchoe blossfeldiana) ‘Discodip’ 의 출하 후 토양수분이 분화품질 및 수명에 미치는 형태적·생리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분화 토양수분 처리는 고습(80% 이상)과 저습(40% 이하)으로 하였고, 분화수명, 분 화수명 종료 증상과 형태적 요인인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 개화된 꽃 수, 출하 시 대비 개화율을 조사하였고, 생리적 요인은 잎의 엽록소함량 및 엽록소형광(Fv/Fm), 기공크 기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분화수명은 토양 고습 처리구(28.3 일)가 토양 저습 처리구(27.4일)보다 0.9일 높았으나 유의차 는 없었다. 분화수명 종료시점인 출하 4주 후 지하부 생체중 과 건물중, 개화된 꽃 수, 출하 대비 개화율은 토양 고습 처리 구에서 저습 처리구보다 높았다. 잎의 엽록소함량 및 엽록소 형광, 기공크기 변화율은 출하 4주 후 토양 고습 처리구에서 저습 처리구보다 수치적으로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따라 서 출하 후 토양 수분에 따라 분화 칼랑코에의 품질이 시간이 경과될수록 차이가 났으며, 토양수분이 칼랑코에의 분화 품질 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ivestock production cost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cost of feed, The use of domestically grown forages is more desirable for livestock feed production. As part of this study, triticale, which is an extremely palatable and easily cultivable crop in Korea, was used to produce low moisture silage bales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hen stored for different periods. We examined the nutrient content of silage, such a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s well as their organic acids, including lactic acid, acetic acid, butyric acid, at different storage periods. The nutrient content of silages, such as crude protein, ADF, and NDF,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roughout storage periods. Organic acid data indicated that lact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s and storage periods up to nine months. However, further extending storage to 12 month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lactic acid content of all silages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ir pH.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low moisture silage with the LAB may be able to preserve and maintain its quality without altering its nutritional composition. Also, the lactate content of the silage remained significant for at least nine months.
본 연구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콩의 자급률을 올리기 위함이다. 콩의 함수율에 따른 극한강도를 측정하여 콩의 깨짐(파단) 부분을 파악하고 함수율에 따른 극한강도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수확 과정중 발생하는 손실은 자연적 손실, 탈곡 과정 손실, 분류 과정 손실, 예취 과정 손실로 크게 4가지로 분류되며, 이중 탈곡 손실은 두류(콩)의 파손 및 손실율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판단되여 다른 요인들에 비해 중요하다 판단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앞선 실험에서 부족했던 두류(콩)의 함수율 세부적인 단계로 나누어 실험하고, 생물체의 깨짐이 발생하는 하중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가수기간이 가장 긴 두류(콩)의 극한강도값이 3.9N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가수기간을 거치지않 은 두류(콩)의 극한강도값이 5.244N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꽃송이버섯은 우리나라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재배를 시작하였고, 국내에서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육성한 ‘너울’이 2016년에 최초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꽃송이버섯에 대한 재배매뉴얼이 없어 여전히 농가마다 자실체 생산성의 차이가 큰 실정이다. 이에 꽃송이버섯 ‘너울’의 발이조건을 구명하고 안정생산 기술을 개발하고자 배지 pH, 배지함수율, 종균접종량 조건에 따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재배일수, 수확률과 자실체 중량을 고려한 연중 병당 수 량은 pH 3.8 처리구가 363.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H 3.6 조건에서는 수량이 189.5 g으로 급감하는 점, pH 4.0 조건이 배양일수가 짧고 pH 3.8 조건과 비교하여 재배일수가 같으며, 자실체 중량 차이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점, 농가에서 활용 시 정밀한 pH 조절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pH 3.9±1로 조절하여 재배해야 안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배지함수율을 65%로 조절하고, 배지부피의 4%에 해당하는 액체종균을 접종 후 배양실 내 습도조건을 50% 이하로 설정하면 연중 병당 341.8 g을 생산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S : Water content causes a big problem in terms of the quality and economy of the asphalt plant. However, the current guidelines do not suggest specific rules other than roof install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water content management index, QM, and management flow chart by analyzing the water content variability of the stockpile and cold bin aggregates and suggests a guideline rule for improving water content management, including stockpile floor inclination via analysis of slope stability.
METHODS : To analyze the variability of water content in the asphalt plant, stockpile and cold bin aggregat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sphalt plant over two years and a water content lab test was conducted via sieve analysis. In addition, domestic and foreign water content management guidelines were compared and the economic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 to water content DB analysis for the importance of water content management. The influence factors of water content variability were also analyzed. To apply the 3σ quality management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of the water content management index, QM, a water content management limit and procedure was proposed through the asphalt mix design.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ter content vari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stockpile fine aggregates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immediately after the rainy season and the QM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1 or mo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a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ockpile floor incl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factor was lowered according to the slope angle and floor inclination.
CONCLUSIONS : In the past, a passive method of preventing rainwater with a roof was used for water content management and ambiguous qualitative rules were suggested in the guidelines. In this study, a procedure for managing the water content of asphalt plant aggregates using the QM index, a quantitative stock floor inclination chart, and rules for improving water content management were present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asphalt plant aggregat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rre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 (TVP). The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ility index, texture, integrity index, color, and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TVP were analyzed. The extrusion conditions consisted of barrel temperature (110, 130, and 150oC) and moisture content (40, 45, and 50%) at a fixed screw speed of 250 rpm. The TVP extruded at 150oC barrel temperature and bearing 50% moisture content had higher water absorption index and water solubility index. Elastic force, cohesiveness, and color differences were the highest in the TVP extruded at 150oC barrel temperature and possessing 40% moisture content. However, the TVP at 150oC barrel temperature and having 40% moisture content had a lower integrity index than the TVP carrying moisture contents of 45 and 50%. The structure of the TVP extruded at 150oC barrel temperature and having 40% moisture content was found similar to a chicken breast tissue’s structure. In conclusion, 150oC barrel temperature and 40% moisture content are optimal condi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texturization of soy protein isolate and gluten.
본 연구는 4가지 환경요인에 따른 떡갈나무 유식물의 생육 반응 분석과 생태적 지위폭을 측정하였다. 환경요인은 광, 수분, 토성 그리고 유기물 함량이고 각각 4구배로 처리하였다. 광량이 많을수록 잎 무게, 지상부 무게, 지하부 무게 그리고 식물체 무게가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처리구와 토성처리구에서 생육 반응은 차이가 없었다. 유기물 함량이 많을수록 지상부 무게가 증가하였지만, 나머지 형질의 생육 반응의 차이는 없었다. 생태적 지위폭은 광요인에서 0.865, 수분요인에서 0.995, 토성요인에서 0.994 그리고 유기물 함량 요인에서 0.988이었다. 생태학적 지위폭은 수분함량 처리구에서 가장 넓었고 광처리구에서 가장 좁았다. 이는 떡갈나무의 생육 반응이 광량의 양이 많을수록 생육이 좋고, 광에 민감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육 반응과 생태적 지위폭을 결정짓는 것은 광 요인이다.
Hyaluronic acid is natural polysaccharide existing around skin or cartilage, and is known as a moisturizing factor. It is expected that hyaluronic acid cosmetics marke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as its use and demand increases, like medical supplies and health food besides cosmetics containing hyaluronic acid. However, There are few present studies on content in cosmetics containing hyaluronic aci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atisfaction and examine what effect was produced on sebum and moisture in skin after applying to cosmetics the hyaluronic acid helpful in maintaining moisture in skin at 5%, 20% and 50% concentration. For 71 days, a clinical trial in a total 39 persons liv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was carried out. And sebum and moisture was measured through skin diagnosis system A-ONE TAB before trial and each day when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for hyaluronic acid content group. Besides, this study was to examin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and satisfaction after the clinical trial. This study analyz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to measure the skin condition among hyaluronic acid content groups by utilizing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v. 21.0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yaluronic acid content according to an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living habits among groups (p>.05). With regard to hyaluronic acid cont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ure and sebum prior to clinical trial in T zone and U zone among groups (p>.05). A change of moisture in T zone among groups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nd week (F =3.636, p<.05). And the highest level was shown in 50%(44.15±2.672), being followed by 20%(43.15±2.340), and 5%(41.62±2.219).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as hyaluronic acid content relatively increased, the moisture in T zone increas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nge of moisture in U zone, the change of sebum in T zone and U zone by group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ebum level of T zone by group(p>.05). For analyzing the subjective satisfaction after clinical trial among groups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satisfaction score was the highest in 'skin moistness' (4.38±0.650) for 5% group, 'skin moistness' (4.69±0.480) for 20% group and 'skin texture smoothness' (4.54±0.519) for 50% group.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each subjective satisfaction by group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p>.05). It wa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skin condi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hyaluronic acid content would b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cosmetics containing the hyaluronic acid and marketing a skin moisturiz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150°C and 160°C)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texturized vegetable protein with mealworm (0%, 15%) were studied. The extrusion process had a screw speed of 250 rpm, moisture content of 65%. The variation of formula was gluten content of 40% in 4 samples and none of gluten in 4 samples. As addition of mealworm increased and temperature increased, breaking strength and integrity index decreased, The nitrogen solubility index and protein digestibility increased as addition of mealworm increased and temperature de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as addition of mealworm increased and temperature increased. On the contrary, the value of rancidity decreased as addition of mealworm increased even in 60 days. In conclusion, addition of mealworm became softer texture, and protein quality of the extruded texturized vegetable protein. The process promoting functionality such as improvement of antioxidant function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lso, adjusting temperature have an effect on protein content and antioxidation. The addition of gluten of 40% resulted in improving texture of T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