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read of invasive alien pla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habitat and biodiversity lo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control of the invasive alien plant Solidago altissima.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s were examined: the control; one-time mowing in June (1M6); twotime mowing in June and July (2M6M7); one-time mowing in Jun plus one-time Uprooting in July (2M6U7). The length growth in October, when the growth of S. altissima was completed, was in the order of control (199±19.96 cm), 1M6 (152±13.41 cm), 2M6U7 (54±3.17 cm), and 2M6M7 (45±19.96 cm). The 2M6M7 and 2M6U7 treatment was the most effective at inhibiting S. altissima of density, of 50.8% and 26.2% compared to the control, respectively. In contrast, one-time mowing (1M6) resulted in an increase in density compared to the control by 119.7%. In addition, this treatment also reduced flowering rate (%) of S. altissima.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among those tested was 2M6U7.
        4,000원
        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의 평균초장을 결정하고자 수행되었다. 3차원 영 상을 획득하고자 ToF 카메라와 스테레오비전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3차원 영상 획득용 실험 재료로서 수박, 사과, 배, 단호박, 오렌지의 원예산물과 수박, 토마토 및 고추 플러그묘를 사용하였다. 플러그묘의 평균 초장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기존의 측정 기준 대신에 수정초장이 제시되었다. 스테레오비전 영상에 비해서 ToF 영상을 이용한 경우에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의 평균초장 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꼭지가 있는 원예산물을 제외할 경우 ToF 영상을 이용한 원예산물의 둘레와 높이의 오차는 각각 0.0-3.0%, 0.0-4.7%로 나타났다. 또한, 플러그묘의 평균 초장에 대한 오차는 0.0-5.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서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에 대한 초장 추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구나, 본 연구에서 시도된 방법은 3차원 영상으로부터 물체와 배경의 효과적인 분리, 이상치의 제거 등에 활용될 것이다.
        4,000원
        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는 모기로 인한 질병이 상습적으 로 전파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말라리아, 뎅구열, 황열병 등의 분포 지역이 열대와 아열대를 넘어 확 산되고 있는데, 이 질병들은 모기를 통해 인간에게 전파된 다. 오랫동안 이러한 질병 및 가려움을 유발하는 모기의 수를 줄이기 위해 퇴치기구, 식물의 추출물, 자생어류, 파장, 살충 제 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 는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를 생태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자연 상태와 유사한 인공수조 34개에서 식물의 피도와 높이 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모기 유충의 수를 관찰하였다. 각 수 조에서 뜰채로 1회 3번씩 채집된 장구벌레의 수를 기록하였 으며 3회 반복하였다. 장구벌레의 수는 식물의 피도가 41~60%인 지점에서 평균 2.26마리로 가장 많았고, 식물체 높이가 0~9cm인 곳에서 0.85마리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 식물의 피도가 60%이상이거나 높이가 10cm 이상인 곳에서는 장구벌레가 발견되지 않았다.
        5.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를 식물의 피도와 식물높이를 이 용하여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자연 상태와 유사한 인공수조 34개에서 식생 피도와 높이에 따른 장구벌레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피도가 30% 이하인 수조 13개에서 평균 2.21마리로 매우 많았고, 피도가 30~60%인 수조 10개에서는 평균 0.6마리로 적게 관찰되었다. 70%이 상인 수조 11개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피도가 0일 때 평 균 15.67마리로 가장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식물 높이에 따른 장구벌레는 식물이 없거나 수면만 덮는 0.1㎝에서 평 균1.43마리를 관찰했고, 식물 높이가 1㎝ 이상인 수조는 평 균 0.61마리로 장구벌레의 개체수가 매우 적었다.
        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파종기가 다른 추파호밀의 Feekes scale에 의한 생장발달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배치는 10처리 3반복의 분할구배치로 주구에는 9월 30일과 10월 15일의 파종시기를, 세구로는 'Kodiak', 'Koolgrager', 'Danko', 'Homil22', 'Olhomil' 품종을 두었다. 초장은 조기파종이 만기파종보다 높았으며, 공시품종간에는 조생품종이 가장 높았다. 분얼경수는 조기파종시에 48.0개로 만기파종시의 24.3
        4,000원
        8.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endency to use whole crop rice for feeds as there is an increased rice supply and a decrease in the demand for rice in Korea. Little information, however, is available about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hole crop
        4,000원
        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초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목개시시 초장(주구 3처리 ; 15, 30, 45cm)과 여름철 혼파된 화본 과목초에 경합력이 낮은 화이트클로바 품종(세구 4처리; Regal, Tahora, Brown, STVR)을 선발하기 위해 제주농업시험장의 사료작물시험포장에서 1994년 9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2년간 시험이 수행되었다. 혼파목초의 건물수량은 전체적으로 평균 예취시 초장 30cm 이상에서 유의적 증수를 보였으나(P<0.05) 2년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2년째 수확시에만 목초의 건물수량이 Brown 품종구에서 타 품종 보다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1). 2년차에 예취시 초장에 따른 식생구성율에 분명한 차이를 발견치 못하였다. 다만 white clover 품종 처리별로 비교할 때 white clover의 비율은 Regal와 Tahora구에서 보다 Brown과 SRVR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년차 마지막 예취시에 잡초비율도 주구나 세구간 효과를 발견치 못하였다. 목초의 ADF와 NDF 함량은 예취 초장 15cm에서 가장 낮았고 인 함량은 1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혼파목초의 K 함량은 30cm 초장에서 가장 낮았으며 (P<0.05) 질소 함량은 예취시 초장과 품종간에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P<0.01). White clover의 품종이 목초의 일반성분 함량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방목형일 때 15cm 초장에서 화이트 클로바 SRVR을 이용하는 것이 사료가치도 유지하며 두과와 화본과목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stragalus membranaceus belonging to the family of Leguminosae have been utiliz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to superior Astragalus membranaceus cultivar. Methods and Results : Selection lines were developed by the medicinal crop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e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he root of A. membranaceus lines were harvested in late October 2017.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were anlyzed by HPLC. The root yield of six selection lines were increased 8.9 - 74.8% compared with ‘Aseong’ (check variety). Also, the plant height of seven selection lines were shorter than ‘Aseong’. The calycosin–7-O-β -d-glucoside content was higher in six selection lines than ‘Aseong’. The calycosin content was higher in all selection lines except 1 line (1508 - 03) than that of ‘Aseong’. Conclusion : Three superior lines with short height and high yield were selected. These superior lines will conduct advanced yield trial to make varieties.
        1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원 디자인 시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다년초 선정을 위한 목록을 만들고자 국내 화훼종묘회사와 생산농원 그리고 상업적 정원, 식물원, 수목원 홈페이지 160여 개를 검색하여, 보유 또는 생산하는 다년초의 사진, 학명, 일반명, 화색, 초장, 개화기의 6개 항목을 게시한 ㈜대한종묘조경, 우리꽃, 한택식물원을 대상으로 게시된 다년초를 정리하였다. 전체 다년초에서 생육 특성이 다른 구근류, 암석원식물, 그래스류, 고사리류, 수생식물을 분리하여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년초라 하여 전체 다년초를 6개 식물군으로 나누었다. 6개 생육 특성별 식물을 각각 파랑(blue), 녹색(green), 주황(orange), 분홍(pink), 보라(purple), 빨강(red), 은색(silver), 흰색(white), 노랑(yellow)의 9가지 화색으로 나누고 같은 화색 내에서 초장을 고(120cm 이상), 중(60-120cm), 저(60cm 이하)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식물을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치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개화 월을 표시하는 정원용 다년초의 목록을 만들었다. 조사한 자료에서 중부지방에서 정원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다년초는 1,091종류이며 다년초 839종류, 구근류 58종류, 암석원식물 46종류, 그래스류 70종류, 고사리류 46종류, 수생식물 32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전체 다년초는 화색별로 파랑 7.2%, 녹색 7.5%, 주황 2.8%, 분홍 17.0%, 보라 15.9%, 빨강 4.2%, 은색 0.5%, 흰색 24.7%, 노랑 20.0%로 나눌 수 있었는데 흰색과 노랑, 분홍, 보라의 화색을 가진 종류가 가장 많고 엽색이 포함된 은색과 초록을 제외하면 정원의 화려함을 더해주는 주황과 빨강, 파랑의 화색이 부족하였다. 전체 다년초의 6.0%만이 120cm 이상의 높은 초장이었고, 60-120cm 사이의 중간 초장은 24.9%, 60cm 이하의 초장은 69.1%였다.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전체 다년초의 0.0, 0.2, 1.1, 5.9, 11,5, 22.8, 22.3, 20.7, 10.1, 5.1, 0.3, 0.1%가 개화했는데 5, 6, 7, 8월에 77.3%가 개화하였다.
        1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를 초장생장을 억제시켜서 분화식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적심 및 왜화제처리에 따라서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심의 횟수가 1회부터 3회까지 증가할수록 초장, 절간장 및 화서장은 월등히 작아지고 화서의 수, 엽수 및 측지수는 증가하였다. Diniconazole 12.5-50.0mg·L-1, hexaconazole 10.0-40.0mg·L-1 및 daminozide 3,400-13,600mg·L-1의 처리는 개맨드라미의 초장, 절간장 및 엽장 등의 생장을 감소시켰고 화서의 수 및 잎의 수는 증가되었다. 특히 diniconazole 50mg·L-1 및 daminozide 6,800mg·L-1 처리는 대조구의 초장이 81.3cm에 비교하여 50cm 이하로 월등히 작았고 화서의 수는 2.7개로 대조구 1개보다는 월등히 많았다. 한편 hexaconazole과 daminozide는 농도 및 처리횟수가 증가할 수록 초장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diniconazole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를 왜화시키기 위해서는 12cm 정도 자란, 생육 초기에 diniconazole 50mg·L-1 및 daminozide 6,800mg·L-1를 1회 경엽에 살포하거나 2~3회 정도 적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oss was made between “Freedom Red”, a variety with dark green leaves and dark red bracts, and “V-10 Amy”, a multi- branchedvariety in 200. “Pixy Red” was finally selected in 203 after the investigation of the growth and flower characteristics from 2001t
        1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현' 율무는 조숙, 단간,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2년에 박피, 다수성인 수원6호와 조숙, 단간인 오카야마재래종을 교잡한 것을 모본으로 조숙, 다수성인 UCN300-25를 부본으로 한 삼원교배로 F1 (SJ920)을 얻었다. 1993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였고, 1994~1997년에는 F2~F5를 계통육성하였으며, 1998년과 2001년 하계에 생산력검정을 실시하였다. 2002~2004년 3년간 '연천8호가는 계통명을 부여하여 3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연천8호는 조숙, 단간, 다수성의 특성이 우수하다고 인정되었고, 2004년 12월 직무육성품종 심의위원회에서 중부 및 북부지역에 적합한 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조현'으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의 엽초색과 엽신색은 각각 자색과 녹색이며, 출수기의 엽색과 줄기색은 녹색이었다. 암술색은 유백색이고 종피색은 암갈색이었다. 2. 출수기와 성숙기는 표준품종인 율무1호보다 각각 8일, 15일 빨랐다. 간장은 율무1호보다 22 cm 짧았고, 분얼수는 비슷하였다. 천립중은 105 g이었다. 3. 잎마름병과 조명나방 피해에 대한 저항성은 중강으로 율무1호와 비슷하였고, 절간도복에는 약하였다. 4. 수량성은 생산력검정에서 312 kg/10a로 대조품종 율무1호보다 15% 증수되었고,지역적응시험 결과 3개소 평균 320kg/10a로 18% 증수되었다. 5. 정현비율은 60%로 율무1호보다 5% 낮았고, 종피경도는 4.13 kg/cm2 이었다.
        16.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4품종, 밀 4품종, 호밀 3품종, 옥수수 1품종을 가지고 파종 심도를 달리 하였을 때 이들 작물들의 초엽장과 식물체장을 조사하였고 또 이들 간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 밀, 호밀, 옥수수가 발아할 때 생기는 관 아래의 절간을 중경 또는 지하경 이라고 호칭하고 있는데 지하경으로 부르는 것이 옳을 것 같으며 보리, 밀, 호밀은 초엽이 종자로부터 지하경과 함께 나오고 옥수수는 지하경 정단의 관에서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2. 보리의 초엽의 길이는 파종 심도가 깊어질수록 현저하게 길어지고 식물체장도 같은 경향이 있는데 보리의 2cm파종은 6cm, 10cm깊이 파종 보다 현저하게 짧게 나타났다. 품종간에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3. 밀의 초엽 길이도 마찬가지로 파종 심도에 따라 현저하게 길어졌으며 2cm 파종은 6cm, 10cm 파종보다 현저하게 짧게 나타났으나 보리보다는 못하였다. 이것도 품종간 차이는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4. 호밀과 옥수수도 파종 심도가 깊어질수록 초엽이 길어졌으며 그 변이가 보리와 밀보다 크게 나타났다. 호밀과 옥수수에서 변이가 컸다. 5. 각 작물과 품종들에 있어서 초엽과 식물체장 간에 유의성이 있는 상관을 보였고 칠보 호밀은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17.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비법과 생장조정제등의 여러가지 재배방법을 강구하여 참깨의 단경화와 수량성의 변화를 구명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응과 같다. 1. 단경화의 효과적인 방법은 참깨의 출현후50일에 적심함으로서 10cm의 주경단축을 가져왔고 그 다음으로 B-9생장조정제의 엽면살포가 8cm, 다찌가랜 엽면살포가 6cm의 단경화에 기대되는 방법이었다. 2. 종실수량에 관여한 수량구성요소들은 주당삭수 주당입수, 상단부위 및 중단부위 삭내 등숙율 등 이었고 특히 상단부위의 삭내 등숙율은 종실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퇴비의 증시는 단경화의 효과는 없었으나 주당삭수, 주당입수 및 상단부위 삭내 등숙율을 향상시켜 12%의 증수효과를 가져왔다 4. 다찌가랜의 엽면산포는 6cm의 단경화는 물른 주당삭수, 주당입수 및 상단부위의 삭내 등숙율의 향상에 의한 8%의 증수효과를 가져 왔으며 특히 건근중비를 높여 도복에 의한 근의 발취현상이 최소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18.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간유전자와 GA3 반응성과의 연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단간품종들 Fukei 71, 설악벼, Tanginbozu와 이들의 F1 및 F2 에 GA3 를 처리하여 절간신장에 미치는 지베렐린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1. 공시한 단간품종들중 설악벼와 Tanginbozu는 GA3 에 간장이 크게 신장되었으나 Fukei 71은 GA3 에 간장이 신장되지 않았다. 2. 3개 교배조합의 F1 은 모두 장간으로 나타나 Fukei 71, 설악벼 및 Tanginbozu는 서로 다른 단간유전자가 간장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F1 에 GA3 를 처리하였을 때 모두 간장이 크게 신장하여서 GA3 무반응성에 대하여 GA3 반응성이 우성으로 작용하였다. 3. GA3 반응성 품종간 조합 설악벼/Tanginbozu의 F2 에서는 GA3 를 처리한 결과 모든 개체들에서 간장이 신장되어 전체적으로 장간화하였으며 간장은 대체로 9:6:1의 분리경향을 보였다. 4. GA3 반응성 품종과 무반응성 품종간 조합 즉 설악벼/Fukei 71과 Fukei 71/Tanginbozu의 F2 에서는 무처리구에서 대체로 9:7과 9:6:1의 분리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에서는 대체로 13:3의 분리경향을 보였다. 5. 설악벼/Fukei 71, Fukei 71/Tanginbozu 조합의 F2 에서 GA3 무반응성 개체만을 골라 Fukei 71로 backcross한 BC1 F1 개체에 GA3 를 처리하여 간장과 GA3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조합내 개체들간에 간장의 분리를 인정할 수 없었고, GA3 처리에 무반응성을 보였다. 따라서 Fukei 71의 단간유전자 d50은 GA3 무반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9.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간 Japonica품종들의 semi-dwarf(d-t) gene에 대한 allelism을 검토하기 위해 semi-dwarf gene을 가진 wx817을 검정친으로 7개의 Japonica품종들을 교배하여 그 F1 , F2 및 F3 의 간장분리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정친 wx817과 7개 Japonica품종들간의 조합 F2 에서는 mode를 중심으로 정규분포 하였다. 2. F2 의 단간군. 중간군, 장간군에서 선발된 F3 계통은 선발 당시의 간장을 중심으로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 3. 조합에 따라서 F3 계통의 간장변이의 폭이 F2 집단에 비하여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분리양상은 모든 조합에서 동일하였다. 4.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공시된 7개 Japonica품종들의 간장을 지배하는 주동유전子는 semi-dwarf(d-t) gene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고 품종에 따라 서로 다른 미동유전자가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
        198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도열병 저항성 육종을 위하여 국제도열병 검정시험에서 여러 균계에 대해 고도의 안정된 저항성을 나타낸 Tadukan, Tetep 두 장간 저항성 품종을 6개 단간 리병성 계통들과 교배하여 도열병 저항성과 장간형질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adukan과 Tetep은 모든 단간계통들과의 조합에서 간장은 장간대 단간이 3 : 1로 분리되었으므로 이들은 각각 단순우성 장간 유전자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2. Tadukan 품종은 T-2+2 , C-8+t 균계에 대하여 도열병 저항성과 간장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Tetep 품종도 역시 T-2+1, C-8+t 균계에 대하여 도열병 저항성은 간장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C-8+t 균계에 대한 Tadukan과 Tetep 품종의 저항성은 단순우성 유전자에 지배되고 있다. 5. T-2+t 균계에 대한 Tadukan과 Tetep 품종의 저항성은 각각 2개의 우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고 이들은 서로 보족적인 관계에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