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관리자는 조직의 전략을 구현하면서 부하 직원들이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을 정립하고, 성과를 관 리하는 책임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조직 현장의 중간관리자는 한정된 시간에 조직이 요구하는 성과 를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부하 직원이 수행할 것이라 기대하는 업무가 중간관리자의 몫으로 전가되어, 실무자와 책임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번 아웃을 호소하는 중간관리자가 증가하고 있다. 더욱 이, 중간관리자의 번 아웃은 퇴사와 이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직에서 시급하게 대응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조직 현상을 규명하고자 심리적 계약이론 바탕으로 구성원이 조직에 제공할 것이라 기대하는 약속과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부하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중간관리자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상사지원인식을 조절 요인으로 반영하여 실무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국내 기업의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71명 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하에 의한 심리적 계약위반은 중간관 리자의 정서적 소진을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하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중간관리자의 정서 적 소진 간의 영향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상사지원인식은 부하의 심리 적 계약위반과 정서적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의의 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혈액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재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긍 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6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부터 2022년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ver.25를 이용하였다. 일 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재직의도의 관련성은 독립 표본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가설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재직의도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음의 영향력을 가진 다는 가설1이 지지되었다. 가설2는 재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영향성은 부분 간접매 개효과가 존재하여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혈액원 간호사의 재 직의도를 높이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긍정심리자본은 높일 수 있는 인력관리제도가 필요 하며, 특히 혈액원에서의 긍정심리자본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혈액원 간호 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인력관리 및 역량강화교육에 필요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혈액원 간호조직의 성과 및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혈액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 언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진로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 정체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4학 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정체감과 양의 상 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 성별이였으며 설명력은 31%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 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보육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역할을 검증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Y시에 근무하 는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2024년 02월 01일부터 02월 28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회수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설문지 24부를 제외한 226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보육서비 스 질에 부적(negative)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에 부적(negative)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이 보육서비스 질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 과는 보육교사의 지니고 있는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스트레스를 상쇄시키는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 스트레스 의 관계에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의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 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한 달 동안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 3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298명을 대상으 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 및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개별 매개효과 및 순차 매개효과 분 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 각각의 개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을 순서대로 투입한 순차 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대학생 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희망적 사고가 감소하여 심 리적 안녕감을 저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취업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 취업으로 인해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대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개입 또는 중재 방안 이 취업 지원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psychological stress levels of 60 firefighters after participation in an eight-week Equine-Assisted Learning (EAL) program consisting of 16 sessions. The Korean versions of the Posttraumatic Diagnosis Scale (PDS-K),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K-CESD), and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K-DERS) were used for measurement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TSS): the PTSS risk group and the PTSS non-risk group. Results showed that PDS-K, K-CESD, and K-DERS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program in the PTSS risk group. Significant reduction was also found in all sub-scales of PDS-K: re-experiencing, avoidance/emotional numbing, and hyperarousal. Moreover, in the PTSS risk group, there were greater improvements with significant group x time inter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L is effective in relieving PTSD and PTSD-related symptoms of firefighters with subsyndromal or more severe levels of PTSD.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보고, 교정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 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개 교정기관의 교정공무원 384명을 대 상으로 역할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직무소진 척도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과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차례로 검증하였다. 본 연 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 른 직무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근무분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연령, 근무연수, 직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직급이 낮고, 근무연수가 짧 으면서, 연령이 30대인 직원이 직무소진을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 직무소 진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넷째, 긍정심리자본 각각의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병렬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역할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 로써, 교정공무원의 직무소진에 대한 개입 시, 역할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is an involuntary leakage of urine from the urethra when intra-abdominal pressure increases, such as from sneezing, coughing, or physical exertion. It is caused by insufficient strength of the pelvic floor and sphincter muscles, resulting from vaginal delivery, obesity, hard physical work, or aging. The pelvic floor electrical stimulator is a conservative treatment generally used to relieve the symptoms of urinary incontinence. it recommended to applied before surgery is perform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CES) would be effective for the physiolog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women with SUI for an 8-weeks intervention.
Methods: Easy-K is a specially designed user-friendly TCES. Five female who were diagnosed with SUI by a gynecologist but who did not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over an 8-week period. Outcome measures included vaginal ultrasonography, Levator ani muscle (LAM) contraction strength, incontinence quality of life (I-QOL), and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questionnaires.
Results: The bladder neck pos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cross assessment time. Funneling index and urethral width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p<.05). The bladder necksymphyseal distance and posterior rhabdosphincter thickness statistically increased and the anterior rhabdosphincter thicknes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ll participa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AM contraction score across three assessment times (p<.05). Although the total score of the I-QOL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t steadily increased and among I-QOL subscales, only the “avoidance” subscale showed statistical improvements (p<.05). The total score of the FSFI statistically improved and the “desire” score significantly changed (p<.05).
Conclusion: The TCES is recommended for women who want to apply conservative treatments before surgery and who have suffered from SUI in aspects of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 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를 수반하며, 특히 심박변이도 지표는 스트레스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활동을 반영하는 양적 지표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산소와 색채 조명의 복합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42명의 실험참가자는 지난 2주 동안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한 증상들을 스트레스 반응 척도에 평가하였다. 스트레스 평가 후, 실험참가자는 복합 자극을 제시받았고, 자극 제시 전과 후, 그리고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심전도 신호가 기록되었다. 자극 조건은 30% 농도의 산소와 백색 조명, 산소와 주황색 조명과 산소와 파란색 조명의 조합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심박률(HR), R-R간격의 표준편차(SDNN), 연속한 R-R 간격 차이 값의 평균제곱근(RMSSD)과 심박변이도의 저주파 성분(LF), 고주파 성분(HF), 그리고 LF와 HF의 비율을 심박변이도 지표로 추출하였다. 이들 지표는 자극 제시 전과 후의 평균을 비교하는데 활용되었다. 결과는 자극 조건이 제시되고 난 후, HR과 LF/HF ratio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특히, 산소와 파란색 조명이 제시된 조건에서 다른 두 조건보다 유의하게 큰 RMSSD와 HF의 증가 및 LF/HF ratio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는 30% 농도의 산소와 파란색 조명의 조건이 부교감신경 의 활성화에 의한 자율신경의 균형을 유발하여 스트레스 이완에 가장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목적 :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이 미치는 영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안경사 34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평가는 10개 문항, 소진 척도는 3 개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자아성취감 저하, 탈 인격화)의 18개 문항, 심리적 안녕감은 3개의 하위요인(개인적 성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평가를 위해 21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 중 고용주는 218(63.6%)명, 고용인은 125(36.4%)명이었다. 설문문항 및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직무스트레스는 0.84, 소진은 0.96, 심리적 안녕감은 0.86이었다. 하위요인별 평균값은 개인적 성장이 3.11점으로 높았고, 자아성취감 저하가 2.5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안경원 근속년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 상관성이 있었다. 안경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정서적 고갈, 자아성취감 저하,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는 감소 하였고 탈 인격화와 자아수용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무스트레스는 안경사의 자아성취감을 떨어뜨리고 부정적인 대인관계와 자신에 대한 불만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안경사 직업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안경사 직업특성에 맞는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 반응 요인과 인지 스트레스원에 의해 유발된 심박변이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3명의 실험참여자는 지난 2주 동안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하여 정신적 신체적 증상들을 스트레스 반응 척도 상에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참여자가 인지 스트레스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심전도 신호가 기록되었다. 심박변이도 지표로서, R-R간격의 표준편차(SDNN), 연속한 R-R 간격 차이 값의 평균제곱근(RMSSD)과 심박변이도의 저주파 성분(LF)과 고주파 성분(HF)의 비율이 추출되었다. 스트레스 반응은 회복기 동안의 평균에서 기저선의 평균을 뺀 차이값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요인과 심박변이도 지표들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에 대한 공격 반응의 증가는 모든 심박변이도 지표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모든 심박변이도 지표의 증가는 자율신경계가 동시에 활성화됨을 의미한다. 즉, 공격 반응의 증가는 교감 및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또한 긴장, 우울, 피로와 좌절은 RMSSD와의 정적 상관이 있었다. RMSSD의 증가는 부교감신경계 활성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긴장, 우울, 피로, 좌절의 증가와 부교감 신경의 활성도의 증가가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 자율신경의 공동 활성화는 주의 집중을 요하는 인지 스트레스원에 대한 통합된 반응으로 여겨진다.
The recent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i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reduction of the government's SOC budget and new orders from public-sector, and the deterioration of housing supply situation in the private sector etc. In addition, the number of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with 26,570 people (up 5.7% from the previous year) in 2016, unlike other industries that are in a declining trend. As such,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uniqu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such as high industrial accidents rate, abnormal subcontracting structure, excessive working hours and work intensity.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workers have a lot of job stresses. Job stress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at.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were about the factors that induce job stress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disaster occurrenc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s, and job exhau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tress, which is emerging as a new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aradigm useful in corporate management in order to find ways to reduce job stress. To do this, 347 data collected from construction workers in Daejeon, Sejong, and Chungcheong province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IBM SPSS 22)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shown an alleviate effect on job stres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optimism, hope, and resiliency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ower the job stress. However, the higher the self - efficacy,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i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the recent decline in government SOC budgets, sluggish new orders from large public corporations, and deteriorating housing supply conditions in the private sector. In addition, construction worker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have higher levels of job stress due to higher non-regular workers, unstable and irregular working hours, high work intensity, and poor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sults, high job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has a great impact on the occurrence of disasters, and it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job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positive self - 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on job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a plan to reduce job stress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새터민들의 남한사회 적응문제는 경제적 지원만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이들의 스트레스와 불안한 심리적 측면이 다뤄질 수 있는 통합적 지원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새터민의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예방하는 심리적 개입으로 음악치료접근을 논의하였다. 억압적인 사회체제에서 개인의 욕구나 감정을 표현할 수 없었던 새터민은 스트레스를 말과 행동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내면의 감정 및 언어적 표현을 쉽게 해주고 내재된 긴장이나 불안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이 요구된다. 음악치료는 음악을 매개하여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갈등과 고통을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주는 안전한 치료환경을 제공한다. 새터민에게 음악은 감정을 이입시키고 발산하는 치료적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접근이 쉽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 및 예방으로서 음악 감상,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를 제언 하였다.
This study highlights the theme of human error of train drivers,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stress, psychological fatigue, safety behavior, and accident. The hypothetical test results based on questionnaires received from 223 train drivers working at A subway firm indicate that emergency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fatigue, which in turn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And safety behavior is shown having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cid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corporate-level approaches to depict the drastic causes of drivers’ emergency stress, and to effectively manage this stress, as well as the necessity of making effort to enhance safety behavior, and to prevent or reduce accidents.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among job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and acci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accident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176 employe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autonomy, importance and feedback effect negatively on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2)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effects positively on accident frequency. 3)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mediates fully between autonomy and accident. 4)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mediates partly between feedback and accid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stage of stress of TaeKwondo Athletics. Every Athletics feel stress before game, especially TaeKwondo Athletics feel more stress. I used the relaxing technic to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listening light music or thinking. There are many kinds of relaxing method. Eperiments were checked by G.S.R. and Spo2. G.S.R. of experimental group were smaller change than control group. Spo2 had no significant change in both group. It suggested that relaxing before game could reduce the stress, but no effect in Spo2
통증(pain)은 오늘날 기능장애(impairment)나 능력장애(disability)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비용 또한 사회에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주고 있는데, 실제로 노인성질환(Geriatric disease)으로 인해 노인의료비가 급증하여 국민건강보험 재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의료비의 해결과 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및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 및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고 통증과 심신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Melzack과 Wall의 통증이론을 토대로 임상에서 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증에 있어 연령은 40~50대(52.3%)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연령에 따른 심리적 변화에 영향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증의 원인은 교통사고(35.4%)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기간은 3개월 이상 만성 통증(69.2%)이 많았으며, 통증의 형태는 둔한 통증(dull, 41.5%)이 높아 근육이상으로 인한 통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변화의 상관관계는 현재의 통증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통증으로 인해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0.493).Melzack과 Wall의 Gate-control theory는 지금도 가장 포괄적이고, 통증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모든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여러 형태의 통증들은 다양한 정도와 특징을 가진 감정적 고통, 일차적으로 공포, 불안, 분노 및 우울을 동반한다. 그러나 아직은 통증 정동(pain affect)보다는 통증 지각(pain sensation)에 더 관심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증은 심신상관의학(psychosomatic medicine) 차원에서 동통지각과 조절에 중요한 인지적 개입(cognitive interventions)인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환자의 지각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논문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심신상관관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