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1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umpy Skin Disease (LSD) and Foot-and-Mouth Disease (FMD) cause substantial economic losses on the livestock industry. Therefore, vaccinations have been implemented as the control strategy in endemic countries. However,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administering vaccines for both diseases simultaneously have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vaccinating dairy cows with either or both LSD and FMD vaccines on milk production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milk temperature, rumination time and body weight.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injection materials: 1) saline, 2) LSD vaccine, 3) FMD vaccine, and 4) both vaccines. The impact of vaccination on milk yield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was evaluated daily until 12 days post-vaccination, and milk components were analyzed twice, once per week.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s well as each vaccine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were observed at milk yield, milk components, or milk temperature. This suggests that simultaneous vaccination of LSD and FMD can be administered without adverse effects.
        4,000원
        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초(Glycyrrhiza glabra L.)의 미백 화합물인 Glabridin (GB)의 피부 관련 연구의 특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분야의 연구 탐색과 산업적 응용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GB의 생물학적 효능 효 과, 피부 미백과 메커니즘, 안정성 및 제품 활용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구글 학술검색과 PubMed 및 KCI를 통해 피부 미용과 직접적인 특성을 다룬 128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GB는 항산화, 항염 등의 효 능으로 피부 미백과 건선, 아토피 등 다양한 피부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이는 여러 신호 전달 경로 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휘되고 미백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와 멜라닌 색소의 감소를 통한 색소 침착 개선의 메커니즘을 갖는다. GB의 안정화와 피부 투과도 개선을 위해 리포좀, 캡슐화, 나노입자, 복합체 등 의 기술이 전략적으로 연구됨으로써 고효율의 제품 개발 가능성이 향상되고 있다. GB의 이러한 피부 미용 적 측면에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생체이용률이 증가하는 고효율 화장품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6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utomated classification syst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chine Learning (ML) can enhance accuracy and efficiency in diagnosing pet skin diseases within veterinary medicine. Objectives: This study created a system that classifies pet skin diseases by evaluating multiple ML models to determine which method is most effective. Design: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Methods: Pet skin disease images were obtained from AIHub. Models, including Multi-Layer Perceptron (MLP), Boosted Stacking Ensemble (BSE), H2O AutoML, Random Forest, and Tree-based Pipeline Optimization Tool (TPOT), were trained and their accuracy assessed. Results: The TPOT achieved the highest accuracy (94.50 percent), due to automated pipeline optimization and ensemble learning. H2O AutoML also performed well at 94.25 percent, illu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automated selection for intricate imaging tasks. Other models scored lower.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AI-driven solutions for faster and more precise pet skin disease diagnoses. Future investigations should incorporate broader disease varieties, multimodal data, and clinical validations to solidify the practicality of these approaches in veterinary medicine.
        4,0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ve (Syzygium aromaticum) is a highly valued medicinal plant native to Aisa. Widely used as a spice, renowned for its medicinal properties, particularly in Ayurveda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clove bud extract (CBE) was prepared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of 50%, 80%, and 90%,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BE was evaluated through DPPH, polyphenol, and reducing power assays, revealing its strong antioxidant potential, with 90% ethanol being the most effective extract. HPLC analysis identified eugenol (8.7 mg/g) as the major active compound, known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Given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atopic dermatitis (A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BE was explored using a 1-chloro-2, 4-dinitrobenzene (DNCB)-induced AD mouse model. Five-week-old BALB/c mice were induced with AD by topical application of DNCB. CBE was administered topically to the affected skin (back and ear) areas for 4 weeks. The treatment of CBE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clinical dermatitis, decreased epidermal thickness, and lowered mast cell and eosinophil infiltration in skin tissue, as observed through hematoxylin eosin staining and toluidine blue staining. The results demonstrated CBE as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managing AD through its regulation of skin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making it a potential candidate for future treatments of inflammatory skin disorders.
        4,000원
        6.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8종의 생약 복합추출물인 Derma Genie™-DLP121의 피부 건강 개선 효능을 확인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n vitro model에서 Derma Genie™의 생리 활성 정도를 평가했으며, 4종의 피부 세포 내 항산화, 항염, 보습 증진, 주름 개선 및 미백 효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Derma Genie™에는 22.577 mg GAE/g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었고, DPPH assay에서는 최대 74.947%의 radical 소거능을 보였 다.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과염증 반응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는 Derma Genie™가 산 화 질소(NO) 뿐만 아니라, 3종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1β, Tnf-α)의 농도 의존적인 감소 효과를 매개하여 상당한 항염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Derma Genie™는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효소인 HAS1 및 HAS2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시키고,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HYAL1의 발현은 저해시켜 세포 내 보습 증진 효능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ultraviolet B (UVB)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 및 주름 연관 유전자(COL1A1, COL3A1)의 발현 감소가 Derma Genie™ 처리 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대 농도 의 Derma Genie™ (1 mg/mL)와 UVB를 병용 처리한 군에서 주름 연관 인자인 COL1A1 및 COL3A1의 발현량이 각각 55.080 및 57.103% 개선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α-MSH로 멜라닌 합성을 유도시킨 B16F10에서 Derma Genie™의 병용 처리는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을 최대 95.159% 감소시켰다. 이는 Derma Genie™가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 서 이러한 결과는 Derma Genie™가 피부세포 내 항산화, 항염, 보습 증진, 주름 개선 및 미백 효능이 존재 함을 보여주며, 피부건강 증진을 위한 신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였다.
        5,400원
        7.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LSTR로부터 산출된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를 수집하여,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의 실측 자료와 의 일치점을 생산하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2021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3개년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97개의 일치점을 생산하였다. SLSTR 위성 해수면온도는 부 이 관측 해수면온도와 비교하였을 때 0.42K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0.24 K의 평균 편차를 보였으며, 이는 SLSTR 위 성 사전 발사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수치였다. 주간에는 0.14 K, 야간에는 0.29 K의 평균 편차로 야간의 음의 편차가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겨울철에는 음의 편차가, 여름철에는 양의 편차가 나타나는 계절적 변동성을 보였다. 해역별로는 동해에 비해서 황해와 남해에서 평균 제곱근 오차의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연안으로부터의 거리, 풍속, 해수 면온도의 공간구배와 같은 요인에 의해 변동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위성 해수면온도는 4 m s1의 낮은 풍속 범위에서 주 간에는 양의 편차가, 야간에는 음의 편차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야간의 편차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으로 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위성 해수면온도의 오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가 커질수록 평균 제곱근 오차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국지적인 환경에서의 SLSTR 위성 해수면온도 활용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 추후 위성 해수면온도의 오차 변동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 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5,100원
        8.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xidative stres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s a key mechanism of skin aging, and the use of antioxidants is an effective strategy to prevent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ROS-induced skin aging. The components rich in polyphenolic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were identified by fractionating an aqueous ethanolic extract of Gryllus bimaculatus (AE-GBE) using solvent using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ir ability to migrate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was then evaluated. The butanol fraction of AE-GBE ha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effect, followed by the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suggesting that the likely antioxidant components are polar components. Furthermore, th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effectively reduced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and DNA damage in HDF cells caused by H2O2.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utanol fraction of AE-GBE shows promise as a natural insect-derived antioxidant material, capable of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by showing a stronger antioxidant effect under H2O2 stimulation than the other fractions.
        4,000원
        1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sulfur spa product on the skin and hair health of dogs. With the rise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ealth threats to pet dogs, interest in natural, non-irritating skin care products for dogs has grown. The study involved 15 Maltese dogs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only shampooed, a water group soaked in tap water post-shampoo, and a sulfur group soaked in sulfur-infused tap water post-shampoo. Measurements of skin moisture, oil, skin barrier, and pH were taken from the dogs' back and abdomen after 60 minutes of treatment over six weeks. Additionally, skin condition and hair cuticles were analyzed using microscopes. Results showed that the sulfu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kin moisture levels in both the back and abdomen compared to the control and water group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kin oil levels and skin barrier, the sulfur group had the lowest skin barrier, indicating a potential reduction in trans-epidermal water loss due to the detoxified sulfur. The pH levels were within the alkaline range typical for dog skin, averaging between 5.7 and 6.5. Visual observations revealed a reduction in dead skin cells and improvements in skin cleanliness. Analysis of hair cuticles showed that sulfur positively impacts hair smoothness and elasticity.
        4,000원
        11.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피색에 따른 토마토 과실의 숙성 단계에 따른 기능성 물질 및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 였다. 토마토 샘플은 성숙한 단계에서 과피색이 황색, 흑색, 적 색으로 구별되는 세 가지 토마토 품종을 이용하였다. 토마토 샘플을 녹색기, 변색기, 최색기, 완숙기의 4가지 숙성 단계에 서 수확한 후 당, 라이코펜, 아스코르브산,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 활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토마 토 과실의 주요 당분은 과당과 포도당이다. 황색 토마토의 과 당과 포도당 함량은 숙성 단계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그러 나 흑색 토마토와 적색 토마토는 변색기 단계에서 증가한 후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과피색에 관계없이 모든 토마토 과실에 함유된 라이코펜 함량은 숙성 단계에 따라 크 게 증가했습니다. 라이코펜 함량은 적색 토마토 과실의 성숙 단계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황색 토마토 과실의 아스코 르브산 함량은 낮았으며 숙성 단계 동안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흑색 토마토 과실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성숙 단계에서 2,249mg·kg-1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적색 토마토 과실에서는 성숙 단계에서 3,529mg·kg-1으로 점차 증가했습 니다. 페놀성 화합물인 퀘르시트린은 토마토 과실에서 발견 되었지만, 성숙 단계에서 토마토 과실의 퀘르시트린 함량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최색기의 황색 토마토 과실에서 급격히 증가한 반면, 흑색 토마토와 적 색 토마토에서는 숙성 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모든 토마토 과실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최색기에서 크 게 증가했다.
        4,000원
        1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부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인체세포와 공존하고 있으 며, 최근 피부 및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 미생물 구성물과 피부 건강, 질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한 상황이다.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은 매우 다양하며, 피부에서 구성비나 서식하는 부분이 다르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피부의 영 양을 공급하거나 경쟁자인 병원균의 증식을 제한하고 있지만, 피부 마이크로바이옴과 병원균의 균형이 깨 지면 면역 항상성의 파괴에 기여하고 피부 질환의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우리 피 부에 공생관계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과 연구 동향에 대해 파악하고,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에 도움 이 되는 바이오틱스 소재에 관한 산업동향을 고찰함으로써 미래의 큰 성장 가능성을 가진 피부 마이크로바 이옴 시장의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erformed the pre-treatments of the manufacturing of the pork skin snack with wet-salting (3% and 6%; 3W and 6W) and dry-salting (0.3% and 0.6%; 0.3D and 0.6D). Regarding the manufacturing yield, the 0.3D and 6W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water contents of the Con and 0.6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fat contents of the Con and 6W were evidently higher than the 3W, 0.3D, and 0.6D (p<0.05). The lightness of the wet-salting group was markedly higher than the Con (p<0.05).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0.6D were noticeably higher than the Con (p<0.05). The crispness of the 0.6D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appearance and sensory crispness of the 3W and 0.6D were notably low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taste score of the 0.6D was much lower than the 6W and 0.3D (p<0.05).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Con, 6W, and 0.3D was appreciab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Overall, this study showed that wet-salting with 6% (6W) and dry-salting with 0.3% (0.3D) can improve pork skin snack quality properties.
        4,000원
        14.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와 긴장감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다. 다양한 피부질환은 스트레스를 일 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피부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수면상태가 원활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수면 효율이 낮다. 또한 피부질환으로 인해 심리적 스트레스 수치가 높아지고, 이와 같은 과정은 반복적으 로 발생하고 있다. 피부질환과 스트레스는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psychodematology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부질환을 저하 시킬 수 있는 호박, 작약, 타트체리 복합물을 활용하 여 피부 각질 형성 세포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만성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 효능을 입 증하고자 하였다.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복합 추출물은 12.5, 25, 50, 100 μg/mL 농도 의존적으로 TNF-α, IL-1β, IL-6, MDC, TARC 발현량이 저해되었으며 특히 IL-1β의 경우, 100 μg/mL의 농도 에서 40% 이상 저해하는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AQP-3, HA, filaggrin의 생성량 농도 의존적으 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TNF-α/IFN-γ로 증가된 p-ERK, p-JNK, p-p38의 단백질 발현은 복합 추 출물의 처리로 유의하게 감소시 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해당 복합 추출물은 피부질환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피부질환과 스트레스 간의 상호 관계 의 악영향을 낮춰 줄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1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sponse to the expanding landscape of the biotechnology industry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comprehensive drug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nduct of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mployment of diverse animal models, including both small and large animal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refining ex vivo culture techniques for bioluminescence imaging following administration of intradermal injections in large animal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our approach, varying concentrations of the rFluc protein were administered to rats and live imaging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corresponding levels of expression. Subsequently, following administration of rFluc to mini-pigs, ex vivo analyses were performed on sample tissues to assess the levels of protein expression across different concentrations. In particular, optimal culturing conditions that facilitated the sustained expression of the protein in samples post-euthanasia were identified. Moreover, by employing small animal imaging devices, we were able to capture clear images of the sample plates, which provided evidence of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our experimental technique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represent a significant effort toward refining bioluminescence imaging methods tailored for use with large animal models—an imperative facet of contemporary drug development and biomedical research.
        4,000원
        16.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복령은 우수한 항균,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가진 소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복령(Smilax china)의 추출물의 기능성을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토복령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인 quercetin, catechin, naringenin의 농도별 경피 투과 특성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Marzulli의 정의에 적 용한 결과 케르세틴의 Kp 값은 0.1 mg/mL에서 "빠름"으로 분류되었고, 0.2 및 0.4 mg/mL에서 "보통"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나린제닌의 경우 Flux 값은 각각 0.1, 0.2 및 0.4 mg/mL 농도에서 0.69, 1.07 및 1.42 μg/hr/cm²이었으며, 해당 Kp 값은 각각 6.95, 5.34 및 3.56이었다. 나린제닌의 Kp 값은 모든 농도에서 "보통" 범주에 속하며, 케르세틴과 관찰된 것과 같이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투과 속도가 감소하였다. 카테킨의 경우 Flux 값은 각각 0.1, 0.2 및 0.4 mg/mL 농도에서 0.75, 1.09 및 1.66 μg/hr/cm²이었으며, 해당 Kp 값은 각각 7.55, 5.46 및 4.16이었다. 카테킨의 Kp 값은 모든 농도에서 일관되게 "보통"으로 분류되었다. 여드름 저해능 및 항염증 효능이 우수 한 토복령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quercetin, catechin, naringenin의 경피 투과 특성이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천연물 소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7.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640 nm LED 조사와 아로마테라피가 목 피부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 으로 평가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20명의 여성 참여자를 대상으로 A그룹(640 nm LED 조사 + 아로마테라 피)와 B그룹(640 nm LED 조사만)으로 나뉘어, 주 2회씩, 총 8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수분 함량은 A그룹(p<0.01)과 B그룹(p<0.001)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주름 지수는 A그룹(p<0.01)과 B그룹 (p<0.05)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치밀도 변화는 A그룹(p<0.001)과 B그룹(p<0.05)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탄력 변화는 A그룹(p<0.001)과 B그룹(p<0.001)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피부색 변화는 A그 룹에서는 (p>0.05) 유의하지 않았고, B그룹에서는 (p<0.05)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미 및 색소 침착 변화는 A그룹에서 (p<0.05)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B그룹에서는 (p>0.05)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로마 테라피와 640 nm LED 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목 피부 상태를 향상시키는 데 높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 을 시사한다.
        4,600원
        18.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 소재는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시된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기존의 보존제인 PE에 대장 균 효소 β–gal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증가된 PE-gal을 생합성하였다.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생합 성된 생성물인 PE-gal의 피부 흡수도를 기존의 보존제인 PE와 비교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 Assay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피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같은 질량농도의 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PE의 Flux 값, Kp 값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E-gal은 투과도를 측정할 수 있을 만큼 투과되지 못 하였다. 이는 PE의 피부투과도가 생합성된 PE-gal 배당체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Marzulli 등에 따라 Kp 값을 이용하여 투과 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PE의 투과속도는 1mg/mL의 농도에서 느림(slow)으로 측정 되었다. 따라서 배당체 형태의 PE-gal은 PE에 비해 경피 투과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4,000원
        1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22, the domestic production performance of functional cosmetics in South Korea reached 4.6 trillion won, accounting for 33.85% of the total cosmetics production. The number of functional cosmetics reviewed increased by about 7.5% from the previous year, totaling 974 items. Especially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due to skin sensitivity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domestic cosmetic companies are sh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new ingredients and products related to this a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 vitro experim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improving the skin barrier,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cosmetic indust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cademic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efficacy of natural ingredients in improving the skin barrier, bu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skin barrier-improving cosmetic ingredients, efficacy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including hyaluronic acid production, expression of filaggrin gene, loricrin, formation of cornified envelope (CE), and expression of ceramide synthesis enzyme genes. Moreover, effective cosmetic ingredients for improving the skin barrier included lemongrass and perilla leaf extracts, flavonoid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Exosomelike Nanovesicles derived from apple callus,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Acanthopanax sessiliflorus,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Acer okamotoanum extracts, Aloe vera adventitious root extract, ethanol extract of Aruncus dioicus, and organic solvent fraction of Dracocephalum argunense.
        4,000원
        2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 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서울·경기 스킨케어 샵과 병원 종사자 3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와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 bootstrapping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 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은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영향 관계를 나타내 었다. 둘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자기관리는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 타내었다. 셋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관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뷰티 산업 종사자들의 그릿 함양을 통해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인적관리와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