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2.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al-based graphite has become the main material of emerging industries. The microstructure of coal-based graphi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ts applications in many fields. In this paper, the effect of carbon disulfide/N-methyl-2-pyrrolidone solvent mixture extraction on the microstructure of bituminous coal-based graphite was systematically studied through preliminary extraction coupled with high-temperature graphitization. The graphitization degree g (75.65%) of the coal residue-based graphi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aw coal-based graphite. The crystallite size La of the coal residue-based graphite was reduced by 47.06% compared with the raw coal-based graphite. The ID/ IG value of the coal residue-based graphit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aw coal-based graphite. The specific surface area (16.72 m2/ g) and total pore volume (0.0567 m3/ g) of the coal residue-based graphite are increased in varying degrees compared with the raw coal-based graphite. This study found a carbon source that can be used to prepare coal-based graphite with high graphitization degre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further clean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coal residue resources.
        4,000원
        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용 나노여과막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의 유기용매 투과 및 분리성능을 분 석하였다. 비극성용매에 적합한 Puramem (PM) 시리즈 분리막의 소재를 분석한 후 다양한 유기용매 분위기에서의 투과성능 을 데드엔드셀로 측정하였다. PM 시리즈 분리막은 극성용매 대비 비극성용매에서 더 높은 투과도를 보였으며, 용질의 종류 및 분자량에 따라 매우 독특한 배제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수처리에 적용되는 Solution-diffusion 투과모 델이 OSN 투과모델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solvent-solute-membrane 간의 상관관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자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4,0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Eugenia caryophyllata Thunb.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thanol extract than in the water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water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200 μ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800~1,000 μg/mL.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in the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800~1,000 μg/mL.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In a cell viability using MTT, the water extract (50 and 100 ppm) and methanol extract (100 ppm) ha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neurotoxicity.The result ssuggest that the extract of E. caryophyllata Thunb. ha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be useful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4,000원
        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ericium erinaceus (HE) is an edible mushroom to exhibit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cancer eff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HE as extraction solvents. HE was extracted with ethanol (HEE) and water (HEW)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of the extraction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cide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s of HEE and HEW. Moreover, 2,2-diphenyl-picrylhydrazyl hydrate (DPPH) and 1,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EE and HEW extracts. As a result, TPC (7.08 ± 0.08 g GAE/kg extract) of HEE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as compared to HEW (4.94 ± 0.02 g GAE/kg extract). The IC50 values based on the ABTS for HEE (471.47 ± 20.38 μg/ml) was generally stronger showing potential antioxidant properties compared to HEW (606.97 ± 1.04 μg/ml). On the other h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HEE and HEW extract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thanol extracts from HE could be useful as an antioxidative functional ingredients.
        8.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veloped leaching kinetics models and a convective mass transfer model for water soluble solid in jujube (Zizyphus jujube) fruits with hot water. Hot-water leaching process was conducted at 90°C for 100 min. The ratio of solvent (volume, mL) to solid (mass, g) was set to varied ratios of 1:6, 1:8, 1:10, and 1:12.5.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s (k)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1st- and 2nd-order kinetic models. The amount of solvent influenced the extraction rate and yield. A higher extraction rate and a higher yield were obtained from a lower solvent to solute ratio (1:6, 1:8, 1:10) compared to high ratio (1:12.5). This implies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solvent (i.e., water) is necessary to conduct the extraction process of jujube fruit.
        4,000원
        9.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전이 과정을 통하여 poly(L-lactic acid) 재질의 다공성 스캐폴드 막을 제조하였다. 비용매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고, 용매로서 chloroform, dichloromethane 및 1,4-dioxane을 사용하였으며, 제조한 스캐폴드 막의 모폴로지와 기계적 강도 및 물질전달 특성은 각각 SEM, 인장강도실험 및 당 확산실험을 통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chloroform을 용매로 사용한 스캐폴드 막과 dichloromethane을 용매로 사용한 스캐폴드 막은 서로 유사한 모폴로지와 기계적 특성을 보였다. 이들 스캐폴드 막은 공극 직경 3-10 µm의 다공성 스펀지 구조를 보였으며, 범위 50-80%의 공극률을 보였다. 1,4-dioxane 용매의 용액으로부터제조된 스캐폴드 막은 공극률 80% 이상의 나노섬유 형태를 보였다. 캐스팅 용액 내의 고분자 함량이 4% 이하로 낮추었을 때에는 나노섬유 구조의 바탕에 수십 µm의 거대 공극이 존재하는 높은 공극률(90%)을 갖는 스캐폴드 막이 얻어졌다. 이러한결과를 통하여 스캐폴드 막의 구조에 대하여 용매는 중요한 효과를 미치며, 상전이 과정에서 용매선택과 캐스팅 용액의 농도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구조의 스캐폴드 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4,000원
        1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occoli has a functional substance, sulforaphane that has effects of anticancer,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Sulforaphane, one of the hydrolysis products of glucoraphanin in broccoli, cabbage and kale, was contributed to the role of antioxidant. Broccoli contains a number of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glucosinolates, S-methyl cysteine sulfoxide and many antioxidants. The ethanol extract (BE), hexane extract (BH), propylene glycol extract (BP) and butylenesglycol extract (BB) of broccoli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ulforaphane extracts from broccoli. The high scavenging abilities of DPPH, O2 − were observed. Also sulforaphane extracts from broccoli showed the inhibition effect on NO rat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ulforaphane extracts from broccoli could be useful as an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al ingredient.
        4,000원
        1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 살초성분 해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 발아 및 생장억제물질 동정을 위하여 몇 가지 유기용매에 따른 황련의 분획 추출물에 대한 다른 식물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검정식물의 발아율은 들깨, 배추, 피, 참깨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2,000ppm ethyl acetate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발아억제를 보였다. 초장 및 뿌리생육은 참깨, 들깨, 배추, 피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뿌리신장은 H2O, butyl alcoh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물 순으로 억제정도가 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발아 및 유묘생육의 억제정도는 참해 및 배추에서 종특이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물 추출물은 종자발아 및 뿌리 신장에 천연살초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금후 천연제초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12.
        200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2O3/ZrO2 비수성 현탁액의 분산과 레올로지에 미치는 methyl isobutyl ketone (MIBK) /ethanol (EtOH) 용매혼합의 영향을 침전밀도,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분산제 'Hypermer' KD-1이 첨가된 다량의 MIBK를 함유하는 용매 (≥60vol%)에서 Al2O3와 ZrO2 입자의 침전밀도는 증가하였다. 80MIBK/20EtOH(vol%)에서 ball milling한 현탁액이 좁고 unimodal한 입자크기분포를 나타내었다. 모든 현탁액은 의가소성유동을 나타내었으나 shear thinning은 Al2O3/ZrO2의 혼합비, MIBK/EtOH의 혼합비에 따라서 다소 다르게 거동하였다. 순수한 MIBK를 사용한 Al2O3(<300 s-1 ) 및 ZrO2(<3000 s-1 ) 현탁액은 주어진 전단속도범위내에서 가장 강한 shear thinning을 나타내었다. 동일한 용매 (80MIBK/20EtOH, vol%)를 사용한 경우의 shear thinning은 Al2O3/ZrO2의 혼합비에 거의 의존하지 않았다.
        4,000원
        13.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이미드(6FDA-p-TeMPD) 비대칭막을 습식 상분리법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구조에 미치는 용매 (DMAc, NMP, 1,4-dioxane)와 비용매(H2O, Methanol, n-hexane)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고분자/용매/비용매 분리 속도를 예측함으로써 생성된 비대칭막의 구조를 해석하였다. 용해도 곡선이 용매-고분자 축에 가깝고, 응결값이 작으며, 광투과도가 즉시 감소하고, 용해도 계수차가 ΔδS-NS > ΔδP-NS > ΔδP-S 순이면 생성막은 고분자 결절의 불연속 결집속에 finger-like pore가 형성되었다. 용해도 곡선이 용매-고분자 축에서 멀고, 응결값이 크며, 상분리 시간이 길고, 용해도 계수차 Δδi-j 가 ΔδP-NS >(ΔδS-NS < > ΔδP-S) 일때, 생성되는 막은 미소 고분자 결절구가 치밀하게 응집된 표피가 있으며, 고분자 연속상 스폰지층에 macropore가 발달되었다. 용해도 곡선이 용매-고분자 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응결값이 대단히 크며, 상분리 시간이 길고, 용해도 계수차 Δδi-j가 ΔδS-NS > (ΔδP-NSlessgtr)ΔδP-S인 경우는 고분자 미소 결절의 두터운 응집층과 다음에 성근 결절응집층이 나타났다.
        4,500원
        1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하라케케(Harakeke)로 불리는 신서란(Phormium tenax)를 화장품 및 의약품산업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서란 잎을 대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이것들의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신서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한 결과,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NO와 PGE2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2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분획물에서는 iNOS 및 COX-2 발현 억제 활성을 보였다.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에 의한 NO, PGE2 생성 억제 활성이 NOS 및 COX-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더불어, hIFN-γ로 자극된 HaCaT 세포에 용매 분획물을 처리하여 MDC 및 TRAC 생성억제 효과를 조사한 바,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 65%, 52% 생성억제 시켰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 93%, 84%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활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기능성 화장품, 의약외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 된다.
        1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ancient, roots of Rumex crispus, called wooi-daehwang, were used for various symptoms and diseases like cough, phlegm, bronchitis and hepatitis, caused inflammatory. As a part of ongoing research to elucidate and characterize anti-inflammatory nutraceutical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R. crispus root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suppress inflammation. In this study,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R. crispus root on LPS-stimulated RAW264.7 mouse macrophages was evaluated. Methods and Results : The EtOH extracts were suspended in water. The aqueous layer was further partitioned in diethylether, ethylacetate and n-butanol, sequentially. RAW264.7 cells were seeded onto 96-well plates, and cells were allowed to adhere for 6 h and then were pretreated with the R. crispus root extracts for 24 h. Cellular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stimulated by adding lipopolysaccharide (LPS).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0 ㎚ by microplate reader.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potential of these fractions was evaluated by assessing NO production by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solvent-partitioned R. crispus root fractions.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diethylether fraction diluted in 50 ㎍/㎖, 25 ㎍/㎖, 12.5 ㎍/㎖, 6.25 ㎍/㎖, 3.125 ㎍/㎖ was 79.2%, 70.9%, 59.5%, 16.1%, and 11.8%, respectively. And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range of another fractions, EtOAc, n-BuOH and aqueous layer, were 0 - 30.2%, 0 - 20.1% and 3.8 - 22.4%, respectively.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it showed that diethylether fraction have strong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it was suggested that R. crispus root have NO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R. crispus root possesses anthraquinones, such as chrysophanol, parietin, and anthrones etc.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 crispus semen extract has analges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 as anti-inflammatory, and extract of R. napalensis has cyclooxygenase (COX)-2, COX-1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ur present study has shown that R. crispus root extracts anti-inflammatory effects probably by suppressing iNOS expressions, and resulting in the inhibition of NO synthesis.
        16.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풍취를 70% 에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에서 IC50 값이 23.4±0.3 mg/mL으로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단풍취 추출물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의 IC50 값이 19.9±2.3mg/mL, n-BuOH층이 IC50 값이 23.4±0.3 mg/mL의 우수한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 되었고, 강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50은 103.4±1.0 mg/mL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ositive control인 acarbose에 비해 우수한 활성이었으며, 추출물 상태의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17.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mogravimetric (TG)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bonization and solvent extraction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ewage sludge. Initial temperature (IT) and peak temperature (PT) represent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carbonized sludge (CS). The sludge extracted (ECS) from CS using solvent extraction exhibited higher IT and PT than raw sludge (RS). First, indicate that carbonization was carried out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300 and 400oC, to produce CS300 and CS400; then, compare the corresponding IT and burnout temperature (BT). All IT and PT values for ECS300 were lower than those values for RS and CS. The activation energy determined for the combustions of CS300 and ECS300 was lower than the one for the combustion of RS. The ECS300 activation energy (combustion zone of char) was determined to be 90.7 ~ 99.1 kJ/mol, lower to the range of 109.3 ~ 126.9 kJ/mol for coal.
        19.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 부위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용매 중 활성이 높게 나타난 메탄올 추출물을 비극성∼극성 용매별로 계통분획한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잎은 80%, 씨를 제거한 과실 81%, 과피 73% 및 종자 63%로 아질산염 소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과 씨를 제거한 과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