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일본이 동남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지정학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ODA를 활용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논의는 일본이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에서 지정학적 게임을 벌이고 있다는 관점이 우세하지만, 일 본의 ODA 정책이 실제로는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지경학적 전략 에 더 중점을 두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원조 정 책의 전략성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정책의 지 정학적 및 지경학적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을 유형화했다. 다음으로 아베 정권기(2012-2020) 일본의 ODA 정책을 양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해당 시기에 미얀마에 대한 원조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지정학적 이익보다 지경학적 이익을 추구한 결과임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미얀마 의 사례를 통해 일본의 원조 정책이 어떻게 지경학적 이익을 추구하는지 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 또한 동남아시아에서 원조 영 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관민 협력의 지경학적 이익에 주목해야 함을 지적한다.
Biopiracy, largely defined as misappropri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control of biological resources and associated traditional knowledge, has long had profound adverse impacts on the lives of the people and commun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Southeast Asia, one of the global biodiversity hotspots. Given that patents are the main means used in most biopiracy cases to exploit resources and knowledge, this article will discuss its feasibility as the other policy instrument to tackle biopiracy in Southeast Asia and suggest how it should be established and/or improve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wo policy instruments in the patent regime that can be and have been used 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problem: compulsory licensing and the disclosure requir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two instruments, this article discusses why compulsory licensing is an unlikely means of tackling the problem and suggests how a disclosure requirement can be established or improved to tackle biopiracy in the region.
본 연구는 미중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 동남아시아를 포괄한 동아시아 지역에 있어 일본의 원조 이념 변화가 미친 정책적 영향이 무엇이고 어떠한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했다. 이 에 대한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2000년대 이후 일본은 '원 조 이념의 변화'를 추진했고 이를 통해 기존의 '비군사화 규범' 중심의 원조 이념에서 벗어나 안전보장 규범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으며, 특히 해상법집행에 중점을 두고 동남아시아 국가의 해양능력구축을 지원하 고 있다. 이제까지 방산수출을 통한 접근은 전무하다고 보아도 좋을 정 도로 제한적이었으나, 원조 이념의 변화와 함께 방위장비 해외이전이 자유로워지고 '원조화'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변화의 가능성이 보이고 있 다. 한국은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면서, 동남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수요 와 우려가 무엇인지를 상대국 입장에서 파악하는 해양능력구축 지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Pleurotus species are the most consumed and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Although oyster mushrooms (P. ostreatus) can be cultivated automatically, their storability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king oyster mushrooms (P. eryngii) and winter mushrooms (Flammulina velutipes); therefore, the export proportion of oyster mushrooms is very low. Since Korean mushrooms are highly preferred across Southeast Asian, the export of oyster mushrooms in the form of complete substrates is expected to be more promising than that of fresh mushroom. Here, 1 and 2.5 kg complete substrates of P. ostreatus ‘Soltari’ and P. sajor-caju ‘Sambok’ were prepared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from 0 to 15°C for 10 days. Thereafter, the formation of fruiting bodies was induced. Since the 2.5 kg complete substrates required 70 days of incubation, their mycelia were at an advanced age and their fruiting bodies did not grown normally. When 70%-incubated complete substrates were stored at 5–10°C, the growth was faster and more uniform and stable fruiting bodies were formed. Export test of complete substrates to Vietnam using distribution containers set at 0°C and 15°C revealed that the growth period was shortened by 1–2 days when the distribution containers were set at 15°C and the yield of ‘Soltari’ increased by approximately 10%. In addition, even though the yield of ‘Sambok’ was similar between treatments at 0°C and 15°C, the quality of fruiting bodies from 15°C-distributed complete substrates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those from 0°C-distributed substrates.
벼는 동남아에서 매우 중요한 작물이며 작물 재배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벼 생산량 증대를 위해 주요 문제 해충인 멸구류를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제 방법으로는 농약을 이용한 방제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규정상 농약은 공인 된 등록약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동남아 주요 벼 재배국가의 방제 농약의 정보는 국내에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멸구류 방제용 등록 약제를 소개한다. 1. 등록 약제는 국가별로 소폭 차이는 있으나 그 계통이 네오니코티노이드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동일 약제의 연용으로 인한 저항성 발현 문제가 잠재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2. 이는 동남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기류를 타고 멸구류가 비래해오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따라서 향후 동남아 국가간 공동방제 등 상호협조가 필요하며,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AFACI 사업을 통해 국가별 약제저항성 검정 및 방제 표준화기술 확립 등과 같은 지원에 협력을 해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자대비한 관음보살에 대한 신앙은 동아시아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를 기반으로 문명을 꽃피웠던 시기인 고전기(9~14세기)에 도서부 동남아시아 왕조를 중심으로 밀교에 기초한 관음신앙이 확대되었다. 이는 이 시기에 조성된 다량의 다비 관음보살상을 통해 뒷받침할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오늘날 태국 최남부에 위치한 끄라 지협 (Isthmus of Kra)에서 바닷길을 따라 남쪽으로 이어지는 말레이반도, 수마트라섬, 자바섬에 위치한 왕조에서 다비관음상 조성이 성행하였고, 12세기부터는 대륙부 동남아시아에서도 그 영향력이 간취된다. 이처럼 9세기 이후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 다비관음상이 다량 제작된 연원은 인도 팔라 왕조와의 교류를 통해 수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수마트라섬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슈리비자야 왕조와 중부 자바 일대를 중심으로 성립된 샤일랜드라 왕조는 문헌적 근거뿐 아니라, 조각에서도 팔라 왕조와의 교류상을 살필 수 있다. 밀교의 성행과 함께 팔라 시대의 관음상은 존명과 도상 특징이 구체화된 반면, 도서부 동남아시아 왕조의 관음보살상은 힌두적 요소와의 융합과 현지의 특색에 맞춘 변용된 도상들이 발견된다. 특히 본고는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 조성된 4비관음보살상 가운데 명문을 통해 “로카나타”라는 존명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에 주목하였다. 흥미롭게도 로카나타라는 관음의 별칭은 팔라 시대의 밀교 의궤집과 조각의 명문 등에서도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는 의궤의 기록과 달리 명문이 확인되는 조각이 매우 다양한 도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인도 의 로카나타 조각과 동남아시아의 로카나타 조각에도 도상적인 차이가 발견된다. 이를 통해 본고는 로카나타라는 존명이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밀교의 다양한 형상의 관음보살을 지칭 하는 광의(廣意)의 명칭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In keeping up with the current push for multiliteracies in ELT, the secondary school EL curriculum of Singapore has placed an emphasis on multiliteracies. Students are encouraged to engage with ‘rich language’ through a range of semiotic resources, including the use of multimodal texts. Drawing on the framework of multiliteracies pedagogy that integrates the four components of situated practice, overt instruction, critical framing and transformed practice (New London Group, 1996), this article examines multimodal meaning-making in the enacted EL curriculum in Singapore’s multilingual classrooms. By looking at how visual literacy is taught and how multimodal texts are used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edagogy, I hope to demonstrate that the framework of multiliteracies pedagogy adopted or adapted, has provided a rich environment for students to create engaging and interactive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mselves. I also hope to showcase how visualization training to develop the mind’s eye through carefully designed language learning tasks can enhance students’ visual literacy in an increasingly multi-modal, multi-dimensional world where they are surrounded by an array of semiotic resources across language and culture.
Every September and October, entities in the palm oil and timber industries in Indonesia conduct slash-and-burn activities over peat land, causing transboundary ‘haze’ pollution.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legal solutions to tackle the transboundary haze pollution. There are mainly three forms of international law,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e ASEAN Agreement on Transboundary Haze 2002 and Singapore’s extraterritorial Transboundary Haze Pollution Act 2014. Their effectiveness will be measured by Indonesia’s increasing willingness to take domestic enforcement measur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ASEAN Agreement is the primary instrument despite its lack of sanctions as it is neutral, non-confrontational and consistent with the ‘ASEAN way.’ The Singapore Act plays a complementary role, yet its invocation may strain relations between Singapore and Indonesia. Ultimately, the three forms of international law serve as a normative and facilitative source in nudging Indonesia to take more stringent domestic enforcement measur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otential benefits and obstacles of the interstate Short Sea Shipping (SSS) operation in the archipelagic Southeast Asia sub-region. Although literature has addressed a myriad of benefits and obstacles that were caused by the SSS operation as an alternative mode to unimodal land transport, it has been recognised that each SSS corridor may have its own peculiarities.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the potential benefits and obstacles through a Delphi survey among sub-regional expert respondents is expected to inform the countries of Southeast Asia on how to direct their limited resources to address the obstacles identified in order to enable a viable interstate SSS operation. The initial review of the benefits and obstacles of SSS operations will focus on case studies performed in Europe as the breadth of literature on SSS outside Europe is still limited. Hence, this study addresses the gap in the literature by focusing on SSS in archipelagic Southeast Asia particularly those involving interstate Ro-Ro operations and extending the usage of Delphi technique to the realm of interstate SSS.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자원보존과 유전자원의 작물육종 활용 성 제고를 위한 기초정보제공을 목적으로, 29개 SSR marker 를 이용하여 아시아지역의 10개 국가에서 수집된 벼 유전자원 에 대해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총 85점의 벼 유전자원이 수집되었으며, 29개 SSR 마커 에 의해 증폭된 allele 수는 총 342개 였다. Allele 수는 2 개에서 28개 범위로 나타났으며, 마커당 평균 allele 수는 11.8 개 였다.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genetic diversity와 PIC 값의 범위는 각각 0.12-0.93과 0.11-0.93으로 나타났고, 평균은 각각 0.73과 0.71로 나타났다. 2. 국가별 벼 자원의 유전적 거리를 기초로 유연관계를 분 석한 결과 2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BⅠ 그룹에는 남아시아 지역에 속하는 스리랑카,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이 포함 되었고, BII 그룹에는 라오스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지역인 미 얀마, 부탄, 베트남, 필리핀, 태국이 포함되었다. 3. 수집 국가별 마커당 평균 allele 수는 미얀마가 1.28개로 가장 낮았고, 필리핀이 7.03개로 가장 높았으며, PIC 값 역시 필리핀이 0.64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미얀마는 가장 낮은 0.15로 관찰됐다. 4. 유전적 거리와 Structure ver2.2를 이용하여 집단의 구조 를 분석한 결과, 75%의 확률에서 85개 자원 중 80개 자원 (64.1%)는 3개의 subpopulation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5개 자원(5.9%)은 유전적으로 혼입된 형태를 나타냈다. 5. 각각의 subpopulation은 수집 국가의 특성과 일치하지 않 았으며, 대부분 자원은 각각의 subpopulation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었다.
Beyond transnational litigation which seeks to hold corporations accountable for their misconduct overseas through judicial recourse, the risk of human rights abuses should be mitigated by embedding good practices locally through domestic laws and policies. The United Nations proposed Guiding Principles for transnational and other businesses for this purpose in 2011. It has been suggested that National Actions Plans should give effect, or at the very least policy coherence,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enshrined in the Guiding Principles. This article argues that, properly devised, such plans are invaluable, and can help to reinforce regional imperatives under international law. In Southeast Asia, particularly, the prospect of corporate accountability should be measured by existing or emergent regulatory norms in ASEAN, a regional bloc that aims to achieve parity of rules and regulations across the ten countries through economic integration.
Recently, the increasing trend for the transshipment traffic of Busan port in Korea is slowing down because of the extensive development plan of domestic ports in china.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 is going on the project for preoccupying the transs
One major regional characteristic of Southeast Asia is that the technology backbone varies significantly from country to country as well as within each country. In terms of technology use in classroom there is a broad range of technologies being used including print, radio, video and computer–based materials. Print materials are still the most extensively used for instructional media. Radio/audio-tapes and television/video-tapes are also widely used in combination with print materials.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initiatives for the use of computer-based materials especially in some of the more developed countries. Singapore and Malaysia are much more advanced in terms of using ICT in classrooms. In Indonesia,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cooperative efforts between government ministries and multinational companies have made it possible to install computers in urban and rural classrooms and train teachers. The government of Brunei Darussalam has initiated ICT initiatives to bring computers into classrooms. Cambodia, Laos PDR, Myanmar and Vietnam have been assisted by international donor agencies in establishing ICT infrastructure. ICT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f most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some countries, the integration has been done in the primary level as well.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ICT in the classroom in the region are (1) ICT vision embedded in national policy, (2) ICT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software, (3) integration of ICT use into school curriculum, (4) support of school leaders, (5) teacher training, (6)technical support, and (7) collaboration with business and communities.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 co-movement capital market in Southeast Asia and analysis the correlation of conventional and Islamic Index in the regional and global equity. This research become necessary to represent the risk on the capital market and measure market performance, as investor considers the volatility before investing. The time series daily data use from April 2012 to April 2020 both conventional and Islamic stock index in Malaysia and Indonesia. This paper examines the dynamics of conditional volatiliti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ose markets by using Multivariate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MGARCH). Our result shows that conventional or composite index in Malaysia less volatile than Islamic, but on the other hand, both drive correlation movement. The other output captures that Islamic Index in Indonesian capital market more gradual volatilities than the Composite Index that tends to be low in risk so that investors intend to keep the shares. Generally, the result shows a correlation in each country for conventional and the Islamic index. However, Internationally Indonesia and Malaysia composite and Islamic is low correlated. Regionally Indonesia’s indices movement looks to be more correlated and it’s similar to Malaysian Capital Market counterparts. In the global market distress condition, the diversification portfolio between Indonesia and Malaysia does not give many benefits.
This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testing to test the influences of contemporary leadership styles (i.e.,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approach utilized in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using a survey mode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160 front-liners in the airline’s industry in Indonesia. This study employed 160 front liners (flight attendants, reservation/ticketing, and check-in-counter officers) who worked in Branch Office/General Sales Agent of Indonesian commercial airlines. The studied airlines serve domestic routes based at Soekarno-Hatta International Airport. Furthermore, the data were examined the four developed hypothese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primary results are: First, in the context of job satisfaction, both leadership styles (i.e.,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have similar influences; Second, job satisfaction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and significant, Third, customer loyalty is driven by passengers’ satisfaction when they are utilizing the airline services. The findings imply that the working-role encouragement is essential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front-liners to serve their customer well. This research supports on developing the general knowledge based on leadership styles in the context of the airline’s industry in managing the human resources strategically.
동남아시아는 섬과 강이 많은 지리적 특성과 경제 규모의 급격한 성장으로 새로운 국가시설물이 꾸준히 계획·건설되고 있으나, 국가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이 부족하여 국가시설물(교량, 댐 등)의 붕괴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시설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고, 사회·경제적 손실 문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결방안으로 동남아시아 각국은 주요 국가시설물(도로, 교량, 댐, 항만 등)에 대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의 도입을 추구하여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예산 확보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유지관리사업의 일정을 제시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정책개발을 추진해오고 있다. 또한, 시설물 유지관리 정책을 몇 해 전부터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은 개별로 관리되고 있는 국가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업무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기존시설물의 수명연장 및 붕괴사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관리체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동남아시아 각국의 시설물 안전관리 정책개발 및 시설물 유지관리 기술의 현 주소를 소개하고 향후, 이들 시장에 대한 진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