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어 화자의 음성 처리 과정에서 지각과 산출이 어떻게 상호작용하 며, 음절 내 음향 단서들이 어떤 방식으로 통합되어 실현되는지를 실험적으로 규명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중국어의 /p/–/pʰ/ 자음을 네 가지 성조 조건에서 제 시하여 지각 및 산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각 실험에서는 성조의 시작 주파수(F₀)가 자음의 기식성(VOT) 지각에 영향을 미쳤으며, 산출 실험에서는 유기음 뒤의 시작 F₀ 가 더 높게 실현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음향 단서들이 지각과 산출 과정 모 두에서 상호작용하며 통합적으로 실현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성조 언어의 음향 단서 통합 양상을 실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음성 이론뿐 아니라 중국어 교육 및 음 성 기술에도 실용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anguage materials during the study of the diachronic grammar of Classical Chinese. The accuracy of language materials is crucial for ensuring the scientific validity of research conclusions. Due to previous limitations in research on the language material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uch as posteriority and singular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excavated documents, especially ancient literary texts, provides a reliable research foundation for describing the grammar of Classical Chinese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ich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used for the study of the grammar of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2) Why should these language materials be selected? 3) What are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anguage materials during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iachronic stud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Chinese ancient wordbook of standard characters is a type of character book that establishes a standard style for the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This article selects seven types of character books, including the Tang Dynasty’s Ganlu Zishu, Wujing Wenzi, Xinjia Jiujing Ziyang, the Song Dynasty’s Fugu Bian, the Yuan Dynasty’s Zi Jian, the Ming Dynasty’s Sushu Kanwu, and the Qing Dynasty’s Zengguang Zixue Juyu. Through a review and analysis of their research status, it is determined that the style of character books is mainly explored from three aspects: character collection, bibliography, and arrangement style. Chinese ancient wordbook of standard characters has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volume and stable quantity in the collection of characters. In terms of typography, the form of the prefix has gone through a process of typography, from typography to typography, and gradually fixed to typography; Except for the “Fugu Bian”, all fonts are in regular script and stand out; Except for the “Ganlu Zishu”, all prefix categories are listed in regular script. In terms of arrangement style, the Ganlu Zishu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future generations of character books. More character books use phonetic order, and are all based on four tones, with rhyme as the main focus. The use of radical method in the “Wujing Wenzi” and “Xinjia Jiujing Ziyang” is different from the radical in the “Shuowen Jiezi” in terms of the number, form, and order of radicals, mainly reflecting the trend of radical function transformation from structure to character inspection.
본고는 표준 중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绕口令’ 자료를 활용하여 제3성과 제 2성에 중점을 둔 성조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직접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수업 설계 방 안을 제시하였고, 3장에서는 수업의 구체적인 운영 및 결과,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마지막 4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였다.
본고에서는 한자라는 계열에서 서체라는 개념을 어떻게 분석에 이용하면 좋을지를 이시즈카 하루미치(石塚晴通)의 한자자체론(漢字字體論)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시즈카의 한자자체 론은 서체를 글자를 아우르는 표준으로서 상위에 둔다. 이것은 자료 연구의 장에서 탄생한 실지 적인 것임을 학설의 발전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이시즈카가 일컫는 서체는 실질적으로는 문자 체계로서의 차이에 가까운 측면이 있으며, 오늘날 동일한 글자에 대한 서기 방식의 차이로 인식하는 것과는 이질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현대적인 감각에 기인하는 오독 사례를 지적하였다. 그런 다음 역사적인 서체와 인쇄 서체를 구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시즈 카 한자자체론을 화용론적 문헌학 pragmaphilology (Smith, 2020)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국제 중국어 교재에 초과 한자와 초과 어휘가 존재한다는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다. 이는 학생 이 텍스트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주며,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도 피하기 힘든 문제이 다. 본고는 《국제 중국어 교육 중국어 수준 등급 표준》를 기준으로, 『發展漢語』 고급 종합 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초과 한자와 초과 어휘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코퍼스 기술을 바탕으로 빠른 식별과 태깅을 진행하여, 『發展漢語』 고급 종합 단계 교재에 나타난 초과 한자와 초과 어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초과 한자를 기준으로 真性과 假性으로 구분하고 글자 단위의 의미와 어휘 단위의 의미의 연관성을 근거로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자와 연결되는 동사를 함께 가르치고, 한자와 어휘를 연결하여 학습시키는 방안은 학생의 중국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Two stage-corpora of the newspaper LianHe ZaoBao from 2005-2008 (6678,6564 characters) and from 2018-2020 (3308,2690 characters) were collected and were used for Chinese characters statistics by the Huayu Research Center at Jinan University. Chinese character Species used in the two stage-corpora are 7004 and 6166 respectively. Chinese characters beyond the General Standard Chinese Character List in the mainland are 952 and 621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s of off-list characters are 13.59% and 10.07%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non-universal standardized Chinese characters decreased by 3.52 percentage points, indicating that Chinese characters used in the rear stage of LianHe ZaoBao are more consistent with those in mainland China. The Statistics, recording and sort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LianHe ZaoBao will help us understand the current Chinese characters ecology in Singapore and underst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hinese characters between China mainland and Singapore. Based on the survey, we can explore the feasibility, methods and scope of the Chinese characters differences between Singapore and the mainland, as well as the strategies of compiling global Chinese dictionaries and further thinking about cross-border Chinese characters coordination.
본 논문은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중심을 어휘 교육으로 파악하고 초등학교 어휘 교육 과정에 필요한 字數(즉 字量)와 字種(즉 한자의 종류)을 제안하는 것을 중심 목표로 삼는다.
필자의 기존 연구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필요한 적정 한자 수 및 한자 선정에 대한 검토」에서는 김한샘(2009)과 ㈜낱말 어휘 정보처리 연구소의 데이터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초등학교용 교육용 한자’의 선정안을 제시하였다. 구체 논의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라는 말뭉치, 등급별 어휘라는 어휘 평정, 조어력, 전문가의 판단 등을 고려해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필요한 적정 한자 수 및 한자 선정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이 중 ‘초등학교 교과서’라는 말뭉치는 그동안 단순 빈도의 측면에서만 이용되었던 것이고, 등급별 어휘와 조어력은 초등학교 교육용 적정 한자 수 선정 시 학계에 처음으로 고려된 것이다.
기존 연구가 이상의 성과가 있었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를 연구 범위에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을 중시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번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중 6권으로 구성된, 8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를 보완, 확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548자를 선정하여 그 목록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어휘 교육에서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는 조어력이 높은 한자 75자를 추가하였다. 이상의 623자가 향후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있어 일정한 참고가 되기를 바라며, 추후 학계의 보완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중국어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제범주와 주제항목을 분석하여 이들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중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의 참조기준을 마련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CEFR』, 국제통용 한국어표준교육과정』,『Core Inventory for general English』등 외국어교육요목의 주제를 분석하여 일반 언어에서 필요한 보편적인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제를 분석하여 중국어교육요목에서만 특징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개별적인 주제를 분석하여 언어 보편적 주제와 개별적 주제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중국어회화교재의 주제범주와 항목을 비교분석한 그 결과, 국내 중국어교재의 주제는 1단계에서 4단계까지는 보편적인 주제이고, 5단계에서 6단계까지는 중국과 중국의 특징적인 주제를 반영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교재에서 제시한 공통적인 주제는 주로 일상생활과 연계된 주제를 주로 제시하며 언어 보편 적인 주제는 거의 대부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 중국어교재는 주제항목의 다양성, 수준별 연계성이 다소 부족한 반면 『HSK标准教程(2015)』는『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에서 제시한 전반적인 주제항목을 반영하고 있고, 중국과 중국문화와 관련된 개별적인 주제를 충분히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향후 중국어교육에서 주제범주와 주제항목은 수준별 다양화와 수준별 연계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신중국의 건국을 기점으로 중국 정부는 많은 『字表』를 만들어 발표하였다. 그중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된 『通用规范汉字表』는 12년의 준비기간을 거쳐 2013년에 발표되었는데, 총 8,105 자를 수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通用规范汉字表』와 기존 자표와의 차이점 및 자표의 발표 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표는 『国家通用语言文字法』을 뒷받침하며, 한자 의 기초교육이나 辞书编纂, 출판인쇄 등 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추가로 수록된 간화자의 일부 자형이 통일되지 않은 점, 정해진 자량으로 한자 사용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 그리고 컴퓨터 입력을 포함한 기술상의 문제점 등은 『通用规范汉字表 』의 한계도 보여주고 있는바, 이는 『通用规范汉字表』의 규범화와 표준화에 영향을 미칠 수밖 에 없게 된다.
본고는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중심을 어휘 교육으로 파악하고 초등학교 어휘 교육 과정에 필요한 字數와 字種을 제안하는 것을 중심 목표로 삼는다.
먼저 선행 연구의 방법・의의 및 한계를 종합하고 이 바탕 위에 김한샘(2009)과 ㈜낱말 어휘 정보 처리 연구소의 데이터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초등학교용 교육용 한자’의 선정안을 제시하였다. 구체 논의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라는 말뭉치, 등급별 어휘라는 어휘 평정, 조어력, 전문가의 판단 등을 고려해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필요한 적정 한자 수 및 한자 선정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이 중 ‘초등학교 교과서’라는 말뭉치는 그동안 단순 빈도의 측면에서만 이용되었던 것이고, 등급별 어휘와 조어력은 초등학교 교육용 적정 한자 수 선정 시 학계에 처음으로 고려된 것이다.
본고의 논의가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신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용 교육용 한자’의 선 정에 일정한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compiled by Ministry of Education, has cited 62 philology books and 1242 practical literatures to collect 29892 standard characters and 76338 variant characters. There are 106230 characters in total in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It is absolutely a large-scale work of Chinese characters.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adopts the stratified method. All standard characters and variant characters are well-indexed by establishing links between every standard character and its variant(s). The same criteria of standard character is also adopted by The List of Commonly-used Characters ( 《常用字表》), The List of Less-commonly-used Characters (《不常用字表》) and The list of Rarely-used Characters (《疑难字表》). Meeting the criteria, 29528 characters are eligible. Furthermore, to satisfied the needs of practical use, additional 364 characters are also collected.
Those “standard characters” and “variants”, in the dictionary, not created to be “standard” or “variant”. On the contrary, when a charater is defined as “the standard”, its remaining isomeric siblings would turn into “variants” spontaneously. Therefore, The definition of “variant” in the dictionary is : With the same nature and meanings, but different stracture and form to its standard counterpart.
This article is about the criteria of standard character which adopted by The Dictionary of Chinese Variants Characters (《異體字字典》), and the association between a standard character and its variant(s).
The paper carries out a systematic survey on the origins, evolution, formation module of 201 radicals of Chinese characters by means of database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above investigation, the research probes into the relation between 201 radicals and HSK 2905 from the aspects of Ziwei (overlapping percentage), character-formation frequency, positions and functions. With the help of the psychological theory, the methods of learning radicals are provided for reference.
제7차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중 ‘읽기’에서는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을 요구하고 있다.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이란 韓國語‘標準發音法’을 따르는 것이다. 漢字音도 韓國語發音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漢文科에서는 漢字音敎育이 國語發音敎育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韓國語標準發音法에서는 母音의 長短音을 구별하여 말해야 標準發音이 되는데, 현재까지 漢文科敎科書는 長短음을 구별하지 않는 不正確한 漢字音을 적어 왔고 漢文科敎師는 非標準漢字音을 가르쳐 왔다. 오늘날 韓國語의 標準發音敎育은 國語科에서는 불가능하다. 國語科敎科書는 한글專用으로 되어 있는데, 현행 한글은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漢字를 가르치는 漢文科에서만 正確한 漢字音敎育이 가능하다. 漢文科에서 漢字의 標準發音敎育을 잘 해준다면, 漢字語가 韓國語語彙의 70%를 차지하므로 학생들은 韓國語標準發音을 거의 할 수 있게 된다. 따 라서 漢文科교육자들은 “漢字音의 正確한 敎育”은 漢文科의 時代的使命이자 特長임을 인식해야 한다. 글쓴이는 이런 관점에서 기존의 漢字音관련 論文들을 檢討해 보았는데, 현재 漢文科敎育에서는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는 平讀이라는 잘못된 漢字音敎育을 大勢로 인정하고 있었다. 이는 時急히 바로잡아야 한다. 漢文科授業시간에 正確한 漢字音을 敎育하는 方法은 다음과 같다. 먼저 個別漢字音을 正確히 가르친다. 그리고 2․3자 漢字語, 4자 成語, 漢文, 漢詩는 나눌 곳을 각각 잘 알아서 끊어 읽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항상 제1音節에서만 長短音을 區別하여 發音하게 하면 된다. 漢文科敎師가 正確한 漢字音을 지도할 수 있으려면 본인이 먼저 正確한 漢字音을 알아야 한다. 그럴려면 敎育漢字代表訓音選定(案)(2000) 같은 책을 통해 漢字音의 長短音區別을 익혀야 한다. 漢文科에서 正確한 漢字音을 교육하면, 標準漢字音을 잘 배운 사람은 비록 한글專用으로 된 글일지라도 스스로 長短音을 區別하여 漢字를 正確히 朗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專用을 補完하기 위해서라도 漢文科에서는 正確한 標準漢字音을 敎育해야 한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민중들이 주로 한반도와 중국에 거주하고 있다. 각 나라에서 한국어와 관련된 규 범집을 제정하고 있다. 중국 조선어 규범은 처음에 북한의 규범을 많이 수용하였지만 중한 수교 이후부 터 한국어 규범이 중국 조선어에 대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많은 중국인 학습자 들이 한국어 사용에 있어서 중국 조선어 규범과 한국어 규범을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의사소통 을 하는 가운데 발음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 존재한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한 국에서 출판된 『한국 어문 규정집』(2018년)에 나온 『표준 발음법』과 중국에서 출판된 『조선말규범집』 (2017년)에 나온 『조선말 표준발음법』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특히 중국인 한 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음운 현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찾아내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음운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같 은 문자를 사용하고 같은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이질감을 해소하며 더 원활 한 의사소통을 이루고 양국 간의 교류를 더 활발하게 진행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바란다.
Background : Oplopanax elatus Nakai. is distributed in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we have us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o compare the internal standards contents [uracil, adenosine, protocatechuic acid, syringin (eleutheroside B) and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 and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y.
Methods and Results : Samples were prepared two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90℃ and 100℃).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analyzed while gallic acid and quercetin were used as standar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determination of DPPH and reducing power assay. HPLC was reported as five standard compounds equivalent using the following linear equation based on the calibration curv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nti-oxidant effects of Korean O. elatus Nakai. stem extracts in 90℃ water showed more activity than that of Chinese in DPPH assay. However, the amount of internal compounds was higher in Chinese O. elatus Nakai.. The anti-oxidant effects of Korean O. elatus Nakai. stem extracts in 90℃ water showed more activity than Korean O. elatus Nakai. stem extracts in 100℃ water in DPPH assay. In this study, we had found that, at over the 100℃ temperature all the anti-oxidant effects of O. elatus Nakai. extracts were reduced. However, all five standard compounds were detected at similar valu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s that Korean O. elatus Nakai.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an be use for bioactivity assay.
본고는 필자가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 한자 자소관련 연구 작업 의 일환으로서, 그 동안 발표해 온 해서체 자소분석 결과와 簡體字 部件 관련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서체와 간체자 간의 자소대응관계를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해 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양자간의 대응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한자의 字量은 중국 敎育部와 國家語言文字工作委員會가 제정하고, 2013년 國務院이 최종 공포한 통용규범한자표의 8,105字로 하였다. 본고는 이들 8,105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선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작업을 시도하였다. 첫째, 8,105자 가운데 자소대체가 발생한 글자들을 먼저 추려내고, 부분대체 혹은 일괄대체인가를 확인하여, 해서체 자소의 자소별 沿用 및 대체 현황을 정리하였다. 개별 자소들은 전통 해서체 자전에서 사용 한 214部首를 이용하여 나열하였다. 둘째, 첫 번째 작업을 통하여 파악된 해서체와 간체자의 기초적 자소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간체자 자소가 내포하고 해서체 자소들을 정리 하여 나열하였다. 이상의 두 가지 기초 작업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들을 대상으로, 대체 방식의 유형들을 정리하고, 아래와 같은 문제들을 분석하여 그 득실을 논하였다. 첫째, 자소대체 과정에서의 일관성 문제 둘째, 자소대체의 적합성과 모호성 문제 셋째, 字素대체와 成字대체 문제 넷째, 同形化 문제 다섯째, 기타
현대한자의 구형분석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구형단위의 설정이고, 그 구형단위를 어떤 기준으로 설정하느냐가 큰 문제로 대두된다. 특히, 簡化 이후의 한자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는 현대한자학의 입장에서는, 고문자계통의 자형 및 예변 이후의 해서체 자형과의 괴리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계통성과 현실성 문제로 인한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인해, 현대한자학에서는 전통적으로 없었거나 사용하지 않던 새로운 개념과 용어들이 속속 등장하게 되었고, 중국의 어문정책을 관장하는 국가기관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수용하여 각 종 ‘규범’들을 제정하여 공포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구체적인 구형분석과 관련된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는 규범성 문건은 모두 4개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규범’에서 수록하고 있는 내용들과 구형분석결과가 ‘규범’에 따라 相異하게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비교、분석하여 그 得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用語와 관련해서는 結構理據(字理)、部件、拆分 등의 새로운 용어들이 규범용어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4개 규범에서 서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는 5개의 부건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아래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규범의 제정목적에 따라 도출되는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둘째, 각각의 규정제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학문적 견해의 차이로 인한 분석결과의 異同 역시 작은 문제가 아니다. 셋째, 동일한 인원들이 참여하더라도 제정원칙 또는 세부규칙 중의 일부만 수정되더라도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차 우리 정책당국 및 학계에서 한자교육을 위한 관련 규범화 작업을 시도할 때 소중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