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hquakes can damage transmission system components, leading to extensive blackouts and disrupting essential societal functions. In urban areas, interruptions in power supply critically impact sectors such as industry, healthcare, and telecommunic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quantitative and systematic analysis. Most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 assessing seismic fragility at the individual facility level, with insufficient probabilistic safety evaluations that consider the connectivity of entire transmission systems.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connectivity-based seismic fragility and risk associated with transmission systems in Busan and its neighboring regions, Ulsan and Gyeongnam. To achieve this, a network model of Busan’s transmiss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OpenStreetMap data. Damage probabilities were calculated using seismic fragility curves from HAZUS and reports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amage state-specific risks were then quantitatively assessed by combining these fragility values with Busan’s seismic hazard curves. The results showed High Confidence and Low Probability of Failure values ranging from 0.049 g (Slight) to 0.273 g (Complete), with median fragility values ranging from 0.143 g (Slight) to 0.605 g (Complete). The annual risk for each damage state was determined to be 4.151×10-4/yr, 1.177×10-4/yr, 3.667×10-5/yr, and 9.391×10-6/yr.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assesses the seismic fragility of Busan’s transmission system, providing a practical basis for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and risk-informed decision-making related to regional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울산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는 취락과 주거의 시간적, 공간적 단위의 모호함으로 인해 체계적 이고 정량적인 취락체계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방사성탄소연대와 고고자료를 토대로 시기별 분 기를 재설정하고, 점유표면분석을 통해 단위공동체의 범위를 정량적이고 일관된 기준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순위-규모 분석을 통해 지역공동체의 통합도와 규모상 분화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중기에는 전기에 비해 취락 수와 규모가 증가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기에서 중 기로의 이행에서 지역공동체 내 단위공동체의 규모상 분화가 심화되는 양상으로 전기보다 중기에 안 정적인 통합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기와 중기 모두에서 광역적 수준에서의 정치 체 형성을 보여주는 규모상 분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기존 연구에서 중심취락으로 주장되던 환호취락 또한 내부 단위공동체 간 규모상의 뚜렷한 분화를 보이지 않거나 취락체계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 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특정 시설만으로 중심취락의 경계를 설정하거나 취락의 위계를 논의하는 것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was established to ensure efficient supply of necessary goods for public institutions and their quality stability.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operates the Excellent Product Designation System for quality improvement. Due to the convenience of sole-source contracts and pricing advantages, suppliers prefer to obtain excellent product certification. However, despite these advantages, the designation does not guarantee customer satisfaction, as consumers pay higher prices without assured quality improvemen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evaluation system better reflec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Metal window product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 Candidate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identify significant items for the new evaluation system. Item weights were then calculated using AHP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was validated through case analysis comparing two excellent products with two general products.
본 연구는 동기부여 이론의 관점에서 인적자원관리 강도 인식(perceived HRM system strength)과 임 금수준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탐구하였다. 직무 만족도와 조직 동일시를 매개로 인사관리강도 인식과 임금수준의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고임금 집단과 저임금 집단으로 구분하여 임 금 수준이 양 집단간에 서로 다른 심리적 과정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주장한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국 기업 500개에 속한 2,56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인사관리강도 인식과 실제 급여는 모두 직무 만족도 및 조직 동일시를 통해 이직 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집단과 저임금 집단 간에는 경로의 패 턴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고임금 집단에서는 급여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직 의 도를 직접적으로 낮추는 반면, 저임금 집단에서는 급여가 직무 만족도를 통해서만 이직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의 분석 결과는 임금이 외적 동기 요소로서 위생 요인이며, 인사관 리강도 인식은 내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관리적 전략임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전통적 동기부여 이론의 시각과 맥락을 같이한다. 이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인사관리강도 인식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함 과 동시에 인사관리 정책 변화 관리에 중요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조직 내 인공지능(AI)의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인적자원관리(HRM) 분야에서도 AI 기반 시스템의 도 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HRM에서 AI를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인 HR 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AI-HRM)가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 적으로 AI-HRM이 두 가지의 시스템 효율성 형태인 업무 효율성과 의사결정 효율성에 대한 직원의 인식 을 강화시키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무성과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업무 효율성과 의사 결정 효율성 각각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HR 부서 직원의 민첩성 수준에 따라 차등적 영향 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HRM 분야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에 종사하는 HR 부서 직원 173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AI-HRM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HRM과 직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는 직원들이 인식하는 시스템 효율성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AI-HRM은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을 높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직원 이 AI 기반 HR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인식할수록 개인의 직무성과가 향상되며, 이러한 긍정적 영향은 개인의 민첩성 수준이 높을수록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HRM 시스템에서의 AI 도입 및 활용의 중요성과 개인의 민첩성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TS가 피부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근거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키워드 간 관계와 역할 및 패턴 등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텍스트마이닝과 토픽모델링 및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은 MTS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를 혼합하여 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하였으 며, 결론 부분의 Text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피부', '효과', '실험', '관리', '개선' 등의 어휘가 주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TF-IDF 분석에서 높은 가중치의 키워드들은 MTS의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한 과학적 실험 기반 논의를 시사했다. 셋째, LDA 분석 결과, ‘과학적 검증 중심’과 ‘피부 개선 효과 중심’의 토픽2개로 나뉘었다. 넷째, 단어 네트워크에서 '피부'를 중심으로 '주름', '효과', '실험' 등이 강하게 연결되었고, '여성'과 '모공' 노드는 MTS가 여성 안면 부위 에 주로 적용됨을 나타냈다. 본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유사 의료 미용 시술 분석에도 적용 가능하며, 향후 시계열 분석과 감성 분석을 통해 MTS 효과의 변화와 대상자 반응을 심층 탐색할 필요가 있다.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inside the hull of the K2 main battle tank to protect equipment and crew members in the event of a fire and to enable continuous combat operations. This system detects heat sources and visible light to identify fires and discharges an extinguishing agent within milliseconds. However, there have been concerns that direct contact between the extinguishing agent(HALON 1301) and the driver-particularly on the arms or sides-could result in cold burn-like injuries. To mitigate this risk, the nozzle design of the fire extinguisher was modified to minimize crew exposure. Through modeling simulations and live fire suppression tests, it was verified that the redesigned nozzle still provides effective fire suppres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crew safety and enhanc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military equipment while reducing the risk of personnel injury and resource loss due to safety incidents.
Priority should be considered to encourage businesses to participate by activating the low-noise machine certification system. However, the domestic low-noise machine certification system has not yet been significantly activated.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only products that meet the environmental sign certification standards for low-noise construction machinery are recognized as "low-noise machines". A compliance evaluation agency (CAB) in the field of low-noise equipment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to help facilitate international certification of domestic company product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help expand the supply of low-noise machines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nd export improvement.
Current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vehicle detectors can collect traffic volume and speed only for the outermost lanes in each direction. Passing vehicles on the other lanes are manually counted by reviewing the recorded videos. Consequently, only traffic volume—without vehicle speed—is used as a reference value.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for comparing the performance data from the equipment with the reference data and can compromis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ehicle detection system (VDS) performance evaluations by developing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that can accurately collect traffic information for lanes beyond the outermost lane or for more than two lanes. This study introduced the core technologies of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developed equipment against data from fixed reference equipment operated by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Cert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Center, following ITS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The data from the fixed reference equipment were considered the true values, providing a basi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s by the developed equipment. First, the accuracy of the vehicle length was determined by driving four test vehicles, each measuring 7,085 mm in length, 24–29 times in each lane. The accuracy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vehicle length data obtained from the fixed reference equipment with the actual vehicle length. A confidence interval was established for this accuracy.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speed and occupancy time in relation to the accuracy of the analyzed vehicle length, we evaluated the error range of the vehicle length according to variations in speed and occupancy time. This analysis was based on the following relationship equation: “vehicle length = speed × occupied time – sensor spacing.” The analysis used data from approximately 16,000 vehicles, including the speed, occupancy time, and vehicle length, collected between 8:00 am and 12:00 pm on August 8, 2024. The principle behind measuring traffic volume and vehicle speed using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involves detecting a vehicle by analyz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river and passenger tires. The vehicle speed was calculated us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tire detection sensor and trigonometric functions. An analysis of the measurement accuracy revealed that the traffic volume accuracy of the outermost lane (the fourth lane) was 100% during both day and night. The speed accuracy was 98.8% during the day and 97.7% at night, representing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se metrics. Additionally, the traffic volume accuracy for the innermost lane (the first lane), as measured by the detection sensor from the third lane, was more than 99.3% at all times, with a speed accuracy exceeding 96% during the day and night, that also demonstrated excellent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evaluating the VDS performance. This equipment allowed the collection of traffic volume and speed data from all lanes, rather than only the outermost lanes. This capability enabled consistent analysis for each lane and enhanced efficiency by reducing the analysis time. Additionally, th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s.
This study aimed to standardize the BVR CCD photometry system of the Gwangju Science High School Observatory. We have observed Landolt standard stars using the CDK14 telescope and the STX-16803 CCD camera and carried out the data reduction by Maxim DL. As a result, we estimated the atmospheric extinction coefficients using the observation on August 29 and 31, 2024. By a standardization procedure, we calculated instrumental magnitudes and color indices outside the atmosphere. The instrumental magnitudes of celestial objects measured on the ground by the atmospheric correction were successfully transformed into standard magnitudes, with the standardization conversion formulas provided as following equations. The observ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atmospheric extinction coefficients vary depending on the observing conditions and that extinction increases at short wavelength. Additionally, the B filter exhibited significant second-order extinction effects due to color indice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applying second-order atmospheric extinction coefficients for precise observ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Gwangju Science High School Observatory can serve as reliable resources for both educational and research purposes.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producing high-precision photometric data that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even at a secondary school-level observator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future astronomical education and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pplied a mixed-methods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nurse shift system improvement pilot project,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ward nurses’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s well as to explore their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ject through in-depth interviews. Methods: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this study simultaneousl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es of ward nurses’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long with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explore overall perceptions of the nurse shift system improvement pilot project. Result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r=.24, p=.017) and job satisfaction (r=.21, p=.038).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job satisfaction (r=.63, p<.001).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eight facilitating factors and five hindering factors related to the pilot project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rough the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pilot projec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were identified. Accordingly,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by improving nurses’ quality of life and job satisfaction in pilot project wards.
병풀(Centella asiatica)의 뛰어난 약리적 효능은 산업적 활 용을 위한 대량증식 개발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며 이 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 시스템에 서 런너를 이용한 병풀의 영양번식 시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폴리우레탄폼 (PU)에서 재배된 병풀의 지상부 생체중, 런너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SPAD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하이드로 볼(HB) 역시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생육 특 성을 나타냈으나, 지피 펠렛(JP)에서는 대부분 생육특성에서 가장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PU 배지에서 생육 증가는 뿌리 발달에 핵심적인 물리적 특성인 총 공극률과 기상률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병풀의 영양번식 및 대량생산을 위해 PU 배지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Environmental DNA (eDNA)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aquatic biodiversity monitoring, yet its collection in lentic ecosystems remains technically constrained by filtration capacity and field logistics. In this study, we applied a novel eDNA concentration system, QuickConcTM, to evaluate freshwater mussel diversity in lakes, and compared its performance with the conventional GF/F filtration metho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reservoirs at surface, mid, bottom, and waterside layers, and processed using both filtration techniques. Metabarcoding of mitochondrial 16S rDNA revealed that QuickConcTM captured a higher average number of amplicon sequence variants (ASVs) and exhibited greate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Shannon and Simpson),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ickConcTM samples showed a greater capacity to detect rare taxa and to recover higher ASV richness in certain cases, sugges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biodiversity resolution. Species composition remained consistent across methods, with Cristaria plicata and Sinanodonta lauta being dominant in both cases. However, slight spatial variations in species assemblages were observed between center and waterside sampling point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habitat heterogeneity on eDNA distribution.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QuickConcTM system offers a practical and efficient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ltration methods for eDNA-based freshwater mussel monitoring, particularly in environments with high suspended solids. The findings underline the need for adaptive sampling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method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when designing eDNA surveys in lentic ecosystems.
최근 이중설강(double listing) 제도의 도입이 일부 대학에서 추진되거나 논의 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이를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주요 쟁점을 분석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학사 운영의 유연성 제고와 전공 탐색 기회 확대를 위 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교양교육 고유의 취지와 방법론에 비추어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관련 문헌 고찰과 국내 대학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중설강제도의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중설강제도는 학문 간 경계 를 완화하고 학생의 전공 탐색을 촉진하는 등의 목적이 있는 동시에, 교양교육의 본래 취지와 학문적 기반을 약화시킬 우려도 있다는 점에서 그 운영에 있어 명 확한 원칙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중설강제도의 교육적 쟁점을 비판적으로 고 찰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본질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 운영의 실효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과 제도 설계 방향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타력문의 대표적 수행법인 『자비도량참법』의 교리적 근거와 실제 수행의 구조적 연관성을 밝히고, 참법 수행의 공덕을 체계적으로 제 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참회(懺悔)’ 용어는 후한 초기부터 형성되어 강맹상의 번역 경전에서 완성되었으며, 오체투지와 결합되어 의례적 ‘참법’으로 발전하 였다. 『자비도량참법』은 양 무제가 503년경 황후 치씨의 사후 구제를 위 해 지공 등과 편찬한 ‘양황참’이다. 전체 10권은 상・중・하 근기에 따른 삼주설법 형식으로 구성되며, 총 1,747회의 오체투지와 1,489불, 237보살에 대한 칭명염불이 체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교리적으로는 『승만경』의 일승사상과 여래장 사상이 관통 하며, 미륵보살의 자비와 관세음보살의 대비가 근본정신을 이루고, 사무 량심과 육바라밀의 보살도 실천이 구체적 수행법으로 제시된다. 한국에서는 1282년 고려 충열왕 8년 처음 간행된 이후 지속적으로 유 통되었으며, 1474년 정희대왕대비 후원으로 왕실발원판이 간행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자비도량참법』이 참회・권청・수희・회향・발원의 오회 체 계를 갖춘 종합적 수행법임을 규명하였으며, 참법수행이 교리적 바탕 위 에서 체계적으로 구성된 타력 신앙의 완성된 형태임을 입증하였다.
본고는 포스터 부인(Amy Foster, Mrs. Arnold Foster, 1856-1938)이 편찬한 An E nglish and Chinese pocket dictionary, in the Mandarin dialect 분석을 통해 근대 시 기 서양인들에 의한 중국어 학습서 및 사전 편찬의 배경, 포켓 사전의 편찬 의의와 구성 및 체재, 초판과 제5판에 반영된 음운 표기의 특징, 베이징관화(北京官話) 및 한커우(漢口)음의 음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An English and Chinese poc ket dictionary, in the Mandarin dialect는 초판 발행 이후 여러 차례 개정과 출판을 거듭하는 동안 구성 체재 수정, 서문 내용 보강, 표기 체계 변경, 한커우 음의 추가 등 실제 사용자의 요구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사전에 반영된 음운은 당시 베이징관화와 한커우 방언의 특징을 보여주는 귀중 한 자료이며, 이는 사전이 단순한 언어 학습 도구를 넘어 역사언어학 연구에도 기여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