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improve the quality of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var. hoonensis), which is a fruit of health functional, the effect of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on the fruit characteristics of two cultivars (cv. Bokjo and cv. Sangwang) of jujube was investigat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eight and breast diameter of jujubes tested between the polyphenol treatments and non treatment. Jujube trees treated with polyphenol preparation produced significantly more fruit than untreated in both cultivars. In cvultivar of Bokjo, the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increased the fruit'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more than two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untreated treatment. Polyphenol preparation tr eatments also changed the leaf characteristics of jujube trees. In the polyphenol-treated trees, leaf thickness tended to be thickest at the top and thinnest at the bottom. Polyphenol preparation treated jujube trees showed no difference in chlorophyll content. Moisture content was slightly higher in the untreatment than in the treatments. Visually, the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had a dark green color. Jujubes treated with polyphenol preparations showed differences in polyphenol content in fruits. The polyphenol content in both peel and flesh of the treatme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ment. Reducing sugar was contained more in the peel than in the flesh and was higher in the untreatment than in the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s. Treatment with polyphenol preparation showed differences in fruit appearance. As describ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treatment of polyphenol preparation changed the leaves, fruit shapes and components of jujube trees. In particular, jujubes treated with polyphenol prepara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co-friendly and highly functional jujube cultivation, as they appear to produce many fruits and increase the content of polyphenols and sugars.
대추 탄저병 방제에 적합한 친환경 천연물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에서 천연물을 추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탄저병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기내 항균활성 검정에서 개똥쑥 지상부 추출물과 복숭아 나무 수지 추출물 처리는 각각 15 mm와 17.7 mm의 균사생장 억제존을 나타내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처리 후 96시간이 경과하여도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추출물의 실내접종 검 정에서 개똥쑥 지상부, 맨드라미 꽃과 잎, 복숭아나무 수지, 질경이 꽃 추출물은 잎 탄저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과실에서는 개똥쑥 지상부 추출물은 58.3%, 맨드라미 꽃 추출물은 64.2%, 맨드라미 잎 처리는 66.7%의 병발생 억제효과를 보였고, 복숭아나무 수지와 질경이 꽃 추출물 처리에서는 60.1%의 병발생 억제율을 보여, 약용식물 추출물이 대추 탄저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유과기 과실이 변색기에 비하여 병 발생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공시 추출물의포트 검정에서, 상처접종과 무상처접종에서 탄저병 발생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시 약용식물 추출물은 대추나무 탄저병 친환경 방제를 위한 약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생대추가 신소득 작목으로 부각되면서 재배지가 확대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장마기와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대추 수분·수정 및 착과에 문제 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생대추 재배를 위해 도입된 비가림하우스에서 서양종 꿀벌과 서양뒤영벌을 이용하여 화분매개곤충의 활동 특성 과 착과 효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 복조 품종을 대상으로 비가림하우스에 망실을 씌워 서양종 꿀벌 과 서양뒤영벌을 2016년 6월 1일부터 7월 25일까지 약 55일정도 방사하였다. 서양종 꿀벌은 주로 오후에 활동이 많았으나 서양뒤영벌의 활동은 시간에 관계없이 다소 균일하였다. 대추 신초 가지의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방화곤충을 차단한 무처리 5.5% 대비 서양종 꿀벌은 10.2%, 서양뒤 영벌은 8.9%로 대추 비가림하우스내 화분매개곤충 활용시 착과량 증진으로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ree domestically cultivated jujube fruits (Boeun, Sangwhang, and Bokjo). Nutrient contents were analyzed by freeze-drying the jujube frui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three jujube cultivars ranged from 7.85~13.52% for moisture, 4.65~5.24% for crude protein, 1.29~2.38% for crude ash, 0.17~1.09% for crude lipid, and 7.66~16.63% for crude fiber. The above proximate contents of jujube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ineral contents of Al, Fe, Mg, Ca, Na, and K in the three jujube fruits were also determined. Mn, Cu and Zn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varieties. The content of Al was higher in Sangwhang, while Boeun had higher contents of Ca and K. The total polyphenol, ABTS values, and hypoglycemic effect were slightly higher in Boeun as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Taken together, Boeun could be an important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as a functional food.
본 연구는 대추나무 생산농가의 합리적인 생산 계획수립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2015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경북 경산시 과원에서 5~30년생 대추나무의 수령별 과실특성, 수체특성 및 생산량을 조사하였 다. 대추나무 수령에 따른 과실 특성에 있어서, 과실 중량, 과실종경, 과실횡경은 5~25년생에서는 유의 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30년생에서 감소된 수치를 나타냈고, 과형지수는 수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과실당도는 23.28~25.46°Brix 범위로 수령에 따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 다. 대추나무 수령에 따른 수체특성에 있어서, 수고, 근원경, 수관 폭 및 수관면적은 10년생까지 유의성 을 나타내며 생장하였으나, 10년생부터 30년생까지는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생대추 생산량은 25년 생부터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대추나무의 수령이 생대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추나무 수령이 생대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조사된 수체특성 인자에 대하여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생대추 생산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체특성 인자 는 수관폭으로 나타났다.
We developed leaching kinetics models and a convective mass transfer model for water soluble solid in jujube (Zizyphus jujube) fruits with hot water. Hot-water leaching process was conducted at 90°C for 100 min. The ratio of solvent (volume, mL) to solid (mass, g) was set to varied ratios of 1:6, 1:8, 1:10, and 1:12.5.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s (k)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1st- and 2nd-order kinetic models. The amount of solvent influenced the extraction rate and yield. A higher extraction rate and a higher yield were obtained from a lower solvent to solute ratio (1:6, 1:8, 1:10) compared to high ratio (1:12.5). This implies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solvent (i.e., water) is necessary to conduct the extraction process of jujube fruit.
An analysis of changes in herbal te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rocessing conditions showed slightly reduced crude protein content and increased, moisture, crude fat and solid elution rate after treatment using the ash puffing process compared to roasting. Benzopyrene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0.18 ppb from 0.51 ppb.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B(α)P content differed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ondition and raw materials. Generation of food B(α)P is mainly include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food cooking, when the processing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food carbohydrate, protein, fat reason despite severe heat treatment as a whole is to be detected even though the B(α)P in this way is considered to be. The taste, aroma and color did not show a large difference, but the strong bitters taste decreased.
한방차의 roasting 온도를 80∼140℃ 범위로 하여 성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온도의 상승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일부 탄화가 발생하며 조 회분 함량이 소폭 상승하였고, 조 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소폭 감소하였다. 한방차의 고형분 용출율은 0.15~0.32%(w/w)를 나타내었는데, roasting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온도가 80∼110℃구간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110∼140℃구간에서는 고형분 용출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도가 상승할수록 용출율이 감소하는 것은 내부 조직이 치밀하여 상대적으로 용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벤조피렌 함량은 0.29~0.51ppb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B(α)P함량이 증가하였다. 처리온도와 원재료에 따라 B(α)P 함량에 차이가 발생하며, 내부온도는 약 200℃정도지만 roaster 표면의 실제 온도는 약 2000℃에 이르는데 표면과 접촉한 부분에서 B(α)P가 생성된다. B(α)P는 주로 음식을 조리, 가공할 때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팽화 처리온도를 각각 140~220℃로 한 한방차 제품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온도의 상승에 따라 일부 탄화가 발생하며 조회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소폭의 변화가 있었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한방차의 고형분 용출률은 0.18~0.27%(w/w)로 나타내었는데, 팽화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고형분의 용출은 온도가 화학적 변화보다 물리적 변화에 의해 식품의 원재료 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천연 상태에서 상호가교 결합이 물리적인 힘으로 어느 정도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벤조피렌 함량은 0.18~0.24ppb로 처리온도, 원재료에 따라 B(α)P 함량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 본 보고는 1965년 10월초 수도백엽고병이 격발한 전라남도내 담양읍, 대전면을 위시하여 천변인 영산포, 해안지대인 수포등 현재에서 피해상황과 그 원인 등을 조사해석하여 방제의 자료로 하고자 한 것이다. (2) 이앙기의 한발과 7월의 호우 등으로 인한 일부답의 침수는 본병이 조기다발하기에 알맞는 기상조건이었다. (3) 담양지방에서는 7월초순 호우가 있은 후, 일부 침수답에서 7월중순에 초발을 보게 되었으며, 농민들이 새로운 큰 병해라고 인식이 높아졌다. (4) 이앙기가 빠른 답일수록 피해가 많았다. (5) 침수지구의 피해가 심하였다. (6) 품종간의 차이가 확연하였으며, 특히, 전남풍, 천본욱이 약하고 농림 6호는 강한 편이었다. (7) 평야부가 고지대보다 피해가 많았다. (8) 휴한답이 이모작답에 비하여 피해가 심하였다. (9) 습답, 반습답에 피해가 심한 편이며 건답이 적은 편이었다. (10) 물고부근의 피해가 내부보다 많은 편이다. (11) 점형발생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12) 발병하였을 때의 낙수가 병세를 조장시켰다는 농민이 다수였다.
The mechanism of anti-aging of fermented jujube (Zizyphus jujuba fruits (ZJF)) was investigated using transgenic daf-16 and mev-1 strains of C. elegans. Jujube extracts fermented for 7 days (F7-ZJF) and 14 days (F14-ZJF) with Laetiporus sulphureus were treated to a NGM agar plate with 10-15 transgenic daf-16 and mev-1 strains of the synchronized age. There was no difference of lifespan between the drug-treated group (7-day fermented ex. (F7-zjf-200 ㎍ /mL), 14-day fermented ex. (F14-zjf-200 ㎍/mL)) and the non-treatment group in both daf-16 and mev-1 strains. In the thermal stress experiment, F7-zjf-200 ㎍/mL showed a significant (t = 4.017) activity in thermal stress resistance with a 12% higher survival rat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urvival test in H2O2, F7-zjf-200 ㎍/mL and F14-zjf-100 ㎍/mL have significant activity in oxidative stress resist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ndicates that life span expand of N2 strain of the jujube extract i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daf-16 and inhibition of mev-1 signal in C. elegans.
Background : Jujube (Zizyphus jujuba. Mill) is a broad-leaved shrub belonging to the family Seagull. Its origin is India and its height is about 5 m. The flowers are gathered in two to three in May-June, with five petals and yellowish green. Leaves are alternate, egg-shaped or long egg-shaped, with clearly visible three veins. The fruit, called jujube, is an elliptical nucleus with the seed wrapped in a solid nucleus. It is 2.5 - 3.5 ㎝ in length, green at first, ripened in brown or reddish brown in September-October. Jujube uses the bud mutation to breed and spreads through grafting. Therefor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phenotype between cultivars.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research on jujube molecular biology, there is no standard to distinguish the variety at the DNA level. In order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and to create a research foundation of jujube, we have developed molecular markers from jujube.
Methods and Results : We collected 12 jujube varieties include Bogjo and extracted DNA using CTAB method. The DNA was diluted to 10 ng/㎕ and kept at -20℃. We designed the primer sets using CLC Main Workbench based on DNA InDel regions between the varieties. PCR and electrophore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polymorphism. We designed 26 primer sets from 23 InDel regions. Eighteen of 26 primer sets amplified the amplicon from the primer screening. Eight primer sets were selected for polymorphism assays. All primer sets showed polymorphism. The domesticated cultiva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Japanese and Chinese varieties were separated.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good tools to differentiate the jujube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Background: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Root cutting inhibit vegetative growth and promote reproductive growth as temporarily reducing growth, net assimilation, water potential of leaf and cytokinin level. Methods and Results: The root pruning was treated of the root cutting widths 50, and 80㎝ and the root cutting depths 10, and 20㎝. The amount of root pruning and the number of suckers were the highest in the root-pruning treatment at a width of 50㎝ and a depth of 20㎝. The blooming time was from June 18 to 20,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looming time among the rootpruning treatments. The number of flowers was rather higher in the root-pruning treatment at a width of 50㎝ and a depth of 20㎝ and at a width of 80㎝ and a depth of 20㎝. The percentage of fruit setting was higher in the plants whose roots were pruned at a depth of 20㎝ than in the untreated plants. The fruit size, fruit weight, and sugar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root-pruning treatment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ntage of fruit setting increased with root pruning, whi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lants.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macrophage에서 대추잎 분획물(Zizyphus jujuba leaf fractions; ZLFs)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 보기위해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1, 10, 100 μg/mL 농도 범위에서 염증매개물질인 NO, PGE2, 염증성 cytokine(TNF-α, IL-1β 및 IL-6) 생성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ZLFs(ZLWF, ZLEF, ZLBF)는 처리 농도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NO, PGE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분획 용매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ZLWF< ZLBF< ZLEF의 순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ZLEF은 100 μg/mL 처리 농도에서 NO, PGE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보다 우수하거나 비슷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추 잎 분획물 중 가장 뛰어난 염증 억제제 후보물질로 확인되었다.
대추 열매와 잎을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매와 잎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71.92% 및 41.51%로 나타났으며, 열매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Ca(72.14 and 3,252.09 mg/100 g), K(899.82 and 1,708.12 mg/100 g) 및 P(172.11 and 286.28 mg/100 g).이었다. 열매의 주요 유리
대추나무에 관한 연구 및 2008년부터 시행될 산림수종의 품종보호제도에 대비하여 대추나무의 특성조사요령검정지침서(TG : Test guidelines) 작성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추나무 복조 등 5품종을 대상으로 과실과 엽의 형태적 특성들을 조사,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 등과 같은 다변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 고찰한 결과, 인(仁)과 관련된 특성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추나무의 품종간 유연관계를 고찰하는 특성으로는 부적절 한 것으로 판단된다. 과실중량을 비롯한 모든 특성들에서 보은대추 품종이 복조를 비롯한 다른 4품종과는 형태적 특성에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 결과, 제1주성분의 고유값은 10.45로 전체 분산에 대하여 65.3%의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유 값이 1이상인 제3주성분까지의 전체 분산에 대한 기여도는 96.5%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실종경을 비롯하여 엽장과 엽병장 및 정엽장과 정엽폭, 과형지수와 핵형지수 및 정엽형지수와 같은 형태적 특성들이 대추나무 품종의 유연관계를 구명하는데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거리수준 3.3을 기준으로 보은대추를 제외한 무등과 월출 및 금성과 복조품종이 포함된 I group과 보은대추 품종만이 포함된 II group등 크게 2개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I group은 무등과 월출 및 복조품종이 포함된 sub group과 금성 품종 등 2개의 sub group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