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oxolaner is an insecticide and acaricide that belongs to the isoxazoline chemical compound group. it has been used as an active pharmaceutical ingrdient in veterinary medicine to treat fleas and ticks in dogs. When patents expire between 2026 and 2066, it is expected that many products will be applied for approval as generic products, and reserch to establish accurate quality control methods must be conducted and managed. HPL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f afoxolaner in veterinary medicinal products. The separation of active constituents for afoxolaner was achieved on a RP18 (4.6 x 150 mm, 5 μm) column using Water : Acetonitrile : MeOH (25:30:45 v/v/v) as mobile phase, with UV detection at 245 nm. The method was validated for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All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 of 0.999)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s (12.5 to 400 μg/mL). For accuracy, the recovery rate was calculated by spiking three concentrations of standard into the sample blank. The recovery rate was calculated to be 99.70~100.58%. Precision was measured 9 times repeatedly through intra-day, inter-day tests using standard. It showed excellent precision by satisfying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less than 2% both intra-day and inter-da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were 2.0 μg/mL and 6.1 μg/mL, respectively. This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analyzing afoxolaner drugs distributed in Korea. The HPLC method described in this study is accurate and reproducible and could b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veterinary drugs of afoxolaner.
식품 첨가물의 목적은 크게 다르지만, 주로 주요 재료 의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 고 있다. Boric acid는 유럽 연합(EU)에서 식품 첨가물로 허가된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사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식품 중 boric acid의 분석 방법이 보고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viar에서 boric acid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개발 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scopy (ICP-AES)를 사용하 여 caviar에 존재하는 boric acid를 측정하였고, 또한 ICPMS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성분석이 가능한 분석법을 확 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P-AES를 사용하여 caviar에서 boric acid의 정량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분석방 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직선성, 일내 및 일간 정밀도, 정 확도,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정량 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 및 회수율을 포함한 방법 검증을 수행 하였다. 그 결과 검량선은 0.2 μg/mL에서 10 μg/mL 범위에 서 결정계수가 0.99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검량곡선의 각각의 표준용액에 대한 정밀도는 0.9% 이하로 확인되었 고, 정밀도는 1.3% 이하, 정확도는 98.9-100.6%로 확인하 였다. 검량선 내 서로 다른 농도 3가지 0.5, 2, 10 μg/mL 의 농도에 대한 일내, 일간 정밀도와 정확도를 측정 결과 일내 정밀도는 0.4-0.6%, 정확도는 99.1-100.6%로 확인되 었다. 일간 정밀도는 0.5-2.1%, 정확도는 96.8-100.2%로 확 인되었다. 검출 한계(LOD)와 정량 한계(LOQ)는 각각 0.03 μg/mL와 0.16 μg/mL로 확인되었다. Boric acid의 회 수율 확인결과 0.5, 2 및 10 μg/mL 농도에서 98.0-102.0%, 상대 표준 편차(RSD)는 0.1%-0.4% 사이로 확인되었다. 측 정불확도의 경우 95% 신뢰구간(k=2)에서 불확도(U)는 203.1±10.8 mg/kg으로 산출되었다. 확립된 분석법을 적용 하여 국내외 유통되는 caviar 및 다양한 가공 식품 중에 존재하는 boric acid 와 sodium tetraborate에 잔류량을 측 정한 결과 총 104개의 시료 중 33개 제품에서 46.0-3942.2 mg/kg의 boric acid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 미설정 되어있는 식품첨가물 중 보존료의 기준 규 격 설정 및 관리 나아가 독성 실험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율피 중에 존재하는 ellagic acid 정 량 할 수 있는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밤과 율피, 율피 가루는 2023년 10월 서울 소재 전통 및 약령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밤 품종은 국 내에서 소비되는 품종으로 서산, 옥광, 이평, 석추, 중국산 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가공된 율피와 율피가루의 원산 지는 공주, 아산지역의 제품을 구입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율피중에 존재하는 ellagic acid의 함량은 100% methanol 에서 0.077 mg/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50% methanol 과 ethanol에서 0.048 mg/g, 증류수에서는 0.011 mg/g로 확 인되었다. 유기용매에 비율이 낮을수록 ellagic acid의 함 량은 순차적으로 줄어듬을 확인하였다. Waters사의 HPLC 이용하였으며 분석용 컬럼은 Aegispak C18-L을 사용하였 고, 이동상은 A (1.2% phosphoric acid in DW)와 B (methanol)를 이용하여 gradient 를 사용하였다. 유속은 1.0 mL/min, 주입량은 10 μL, 컬럼 오븐은 35oC이였다. 검 량선 작성을 위해 1-50 g/mL 범위에서 상관계수(R2) 0.99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내 3개 농도를 이용 하여 정밀도와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일내 정밀도는 0.09- 0.18%, 정확도는 99.9-105.8%, 일간 정밀도는 0.04-0.23%, 정확도는 99.8-105.9% 범위내로 확인되었다. 국내에 유통 되고 있는 시료 8가지 품종의 정보는 Table 10과 같이 정 리하였고, 확보된 시료를 분석한 결과 총 8개 시료에서 ellagic acid의 함량은 0.0002-0.0936 mg/g로 확인되었다. Ellagic acid의 검출 한계는 3개 시료에서 검출한계 0.016 μg/ mL, 정량한계 0.499 μg/mL로 확인되었다. Ellagic acid 측정 불확도 산출 결과 0.40±0.01 mg/kg (신뢰수준 95%, K=2)로 비교적 낮은 측정불확도 값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율피 중 ellagic acid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해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 확립으로 인하여 율피 중 ellagic acid의 기준규격 설정 및 관리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고, 향후 ellagic acid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있어 품종, 지역 및 추출용매에 따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 식품 기준규격 관리와 활성 및 독성시험 연구의 근거 자 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In conventional construction practices, roof-parapet junction structures inevitably disrupt the insulation installation's continuity, leading to energy loss and thermal bridging. To address this issue, parapet thermal breaks were installed to interrupt the heat flow between the roof and the parapet, effectively preventing thermal bridging and energy loss and thereby reducing overall energy loss in buildings. This study equipped three experimental specimens with the developed parapet thermal breaks to verify their structural performance. Thes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unidirectional loading under displacement-controlled condition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se insulation structur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 results with corresponding analytical studies conduct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five analytical models with varying parameters of the parapet thermal breaks were developed and compared against the baseline model. Consequently, the most efficient shape of the parapet thermal break was determined.
도모익산(domoic acid) 군 독소는 기억상실성 패류중독 (amnesic shellfish poison, ASP)을 유발하는 해양생물독소 이다. 도모익산은 주로 규조류 Pseudonitzchia sp. 에서 생 성되어 이매패류의 체내에 축적되어 독화된다.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봄철과 가을철에 Pseudonitzchia sp.의 출현이 보고되고 있으며, 수산물 내 도모익산 군 독소의 함량 기 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WHO와 EFSA에서는 선제 적 안전관리를 위하여 인체노출안전기준안을 제안하여 관 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모익산 군 독소의 이화학적 특 성, 분석법, 인체 노출 사례와 국내외 관리 현황 등의 자 료를 검토하여 도모익산 군 독소의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안전관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센싱 기반 모니터링 스마트 파이프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화학적 전처리된 코팅 강관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 하였다. 개발된 코팅 강관은 내・외면 개질 폴리에틸렌으로 화학적 코팅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확관 시 표면 코팅 손상을 최소 화하기 위한 연결 부속을 사용한 코팅 강관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하중에 대한 구조성능 평가를 위해 토압 하중에 의한 정적 구 조해석, 차량 하중에 의한 피로수명 평가, 인장 및 압축 하중에 의한 누수 저항성의 4가지 하중 조건을 설정 및 조사하였다. 해석 결과, 기존 에폭시 코팅 및 조인트 사용 강관 대비 개발 강관에서 개선된 피로 수명이 산출되었으며, 동일 직경의 조건에서 평균 56.1%의 최 대 변위 감소와 61.2% 최대 응력이 감소함을 통해 개발 코팅 강관과 연결 부속의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이에 더하여 응력 분포 분석을 통해 체결부의 누수 저항성 역시 강관 중앙면 대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교량받침 교체용 통공앵커의 충전조건과 하중조건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에폭시의 충전여부와 하중조건을 변수로 두어 통공앵커의 구조적 거동을 확인한 결과 에폭시 완충 시 앵커에 정적수평하중이 균등하게 작용하여 통공앵커가 작용하중에 저항하여 구조물의 국부적인 파괴를 방지 가능하였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nalytical performance of a newly developed miniaturized disposable U-tube for an automated blood viscometer and compares it to conventional viscometers. Whole blood viscosity (WBV), essential for circulatory function, exhibits non-Newtonian behavior, posing challenges for measurement at low shear rates. The blood viscometer, based on a scanning capillary tube method, used disposable U-tubes to measure viscosities across a shear rate range of 1s⁻¹ to 1,000s⁻¹. Precision evaluation showed stable coefficients of variation (CV) across different viscosity levels. Repeatability assessment indicated consistent CV values, demonstrating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The agreement with the LV-III Brookfield viscometer and MCR 92 Rheometer was analyzed using Bland-Altman plots, which revealed minor systematic biases and consistent differences across the measurement range. Correlation analysis using Passing-Bablok regression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R > 0.96) with regression slopes close to 1. The newly developed miniaturized disposable U-tube exhibits excellent precision, reliable repeatability, and high correlation with established methods, enhancing laboratory productivity and offering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s. Further studies with human blood samples are recommended to confirm its clinical applicability.
펩타이드형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MCs) 과 노둘라린(nodularin, NOD)은 남조류라고도 알려진 시 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로, 독소에 오 염된 물, 토양 및 비료를 사용함으로써 농산물 내에 축적 되고 이를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건강상 위해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MCs과 NOD의 농산물 내 오염에 대한 관심 이 대두되며 국내외에서 여러 분석법을 기반으로 농산물 내 오염 수준을 조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행된 연구가 많지 않으며, 특히 펩타이드형 독소 중 MCs의 분 석 연구에 치중되어 있거나 오염 취약 지역에서 재배한 농산물이 주로 오염도 조사에 사용되는 등 연구에 한계가 있으므로 MCs과 NOD의 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체 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체 계적인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MCs 및 NOD의 이화학적 특성, 독성, 분석법, 오염사례 및 관리현황에 대해 기술하였다.
Since 2010, the Odor Prevention Act has identified and regulated four types of fatty acids as substances that cause odors. Four types of fatty acids are contributors to odor pollution and are sensitiv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However, the current analysis method has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dependency on the timing of sampling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as well as dependency on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employ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ion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 by utilizing ultrapure distilled water as a means to improve the current approach. Initially, the analysis system underwent a quality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d a linearity (R2) of 0.99, a limit of 10 nmol/mol or lower, supporting the conclusion that it is suitable. Furthermore, the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substance’s tendency to change over time in ultrapure water and under alkali absorption (0.01N NaOH). At a concentration of 0.95 ng (low-concentration standard sample), the confirmed peak area values ranged from 0.0004 μg/min to 0.0010 μg/min, resulting in an injection variation of approximately ± 0.001. At 23.7 ng (high-concentration standard sample), the peak area value fluctuated between 0.008 μg/min and 0.013 μg/ min, with an average of ± 0.002. Therefore, storing the material at temperatures below 4°C for up to 3 days (72 hours) after manufacturing seemed to facilit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intaining its stability without significant changes taking place. Finally, blank samples from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site were analyzed. Out of the four substances analyzed, only n-butyl acid was detected in all three background samples. It was confirmed that it represented 4% of the peak area in the 4.94 ng standard sample.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하는 아동 교통사고 피해 사례 증가에 따라 교육시설 주변의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의 현황을 파악 하고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방호 울타리의 기울어짐 및 부식 등 다양한 구조적 결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연구는 이에 대 한 대책으로 FRP(Fiber Reinforced Polymer)를 사용한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를 설계하였고, 상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해 성능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해석 결과, CFRP와 GFRP로 제작된 지지부는 최대 파손 지수가 0.03, 0.1로 나타났으며, 지지부 와 방호 구조재의 변위는 기존 강재 지지부 대비 1.16~3.0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계 변수 연구를 위해 FRP의 섬유 배향 각을 =0, 15, 30, 45, 60, 75, 90도로 구분하여 CFRP와 GFRP 지지부 간의 강성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0에서 CFRP가 GFRP 대비 최대 2.94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CFRP와 GFRP는 방호 울타리로서 충분한 성능을 보이지만, 설계 기준에 따르면 보행자용 방 호 울타리는 차량 충돌에 의한 하중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이와 관련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은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큰 변위 용량을 갖으며 과도한 상대변위에 의한 매립 배관 시스템의 손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연결부로써 사용된다.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연구에서 한계상태는 변형률을 적용하였지만 변형률 기반 한계상태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큰 변위용량을 고려할 수 없다. 또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평가와 한계상태 분석을 위한 해석적 및 실험적 연구는 수행된 사례가 극히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조 및 반복하중을 받는 벨로우즈 신축이 음관의 해석적 연구를 통해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한계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단조하중 보다 반복하중을 받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은 더 낮은 변위에서 누출이 발생하였다. 반복하중으로 인한 피 로 및 라체팅 현상으로 인해 단조하중 보다 낮은 변위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반복하 중에서 관측된 변위응답을 기반으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내진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보수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Prestressed Concrete Containment Vessels(PCCV)는 중대사고 발생 시 방사능 누출을 막기 위한 최 후의 방벽이며 체르노빌 및 스리마일 섬 원전 사고 이후 PCCV의 내압성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PCCV는 장비반입 및 작업자 출입 등을 위한 다양한 관통부가 존재한다. 이러한 관통부로 인해 PCCV는 비축대칭적인 변형을 보이며 관통부는 취약부위로 고려된다. 하지만 관통부의 거동은 전체모 델에서 정확히 모사할 수 없다. 따라서 PCCV의 내압성능 평가를 위한 규제지침인 Reguratory Guide(RG) 1.216은 관통부에 대한 내압성능 평가를 위해 상세국부모델을 작성하여 평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하 지만 대부분의 국부모델을 이용한 PCCV의 내압성능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전체모델을 이용하여 관통부의 응답을 관측하고 보정인자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압을 받는 1:4 scale PCCV의 관통부에 대한 거동 분석과 내압성능 평가를 위해 관통부의 상세 국부 유한요소 모델을 구축 하였다. 미국의 Sandia National Laboratory의 실험적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구축된 모델을 검증하였 으며 관통부의 내압거동을 분석하였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배관 시스템은 냉각수 및 오염수를 운반하고 생성된 증기를 터빈으로 이동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중요한 설비이다. 국내에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배관 시스템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의 열화현상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경년열화로 정의한다. 배관 시스 템의 경년열화는 재료의 피로, 부식(국부감육), 마모 등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재 료의 강도 및 시스템의 성능 저하와 균열을 야기할 수 있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생산을 위해 경제성과 정확도를 고려한 원전 배관 시스템의 손상 감시 기술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전 배 관 시스템의 손상 감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배관 시스템의 취약요소로 판단되는 elbow의 국부적인 감육에 따른 거동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domestic seismic activity and the proliferation of PC structure buildings,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and revise the design criteria for Half-PC slabs. In this study, we propos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igid diaphragm based on the aspect ratio of Half-PC slabs and investigate the structural effects based on the presence of chord element installat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Half-PC slabs with an aspect ratio of 3.0 or lower can be designed as rigid diaphragms. When chord elements ar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design Half-PC slabs with an aspect ratio of 4.0 or lower as rigid diaphragm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aspect ratio of the Half-PC slab leads to a decrease in the in-plane stiffness of the structure, confirming that the reduction effect of the maximum displacement in force direction (max ) due to the increase in wall stiffness i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flexibility.
MCCI, one of the ex-vessel phenomena during a severe accident, is generally caused by mutual reactions between molten core and reactor building basemat concrete, but occurs between sacrificial materials made by concrete and corium in APR nuclear power plant with PECS applied. In this paper, MCCI analysis was performed to design and apply a device to block the core melt at the junction connected to the ICI cavity sump from the core catcher installed in the reactor cavity of the APR. Unlike the sacrificial material, which has a cooling effect by inducing erosion of the ex-vessel core melt, the device is composed of concrete applied as a barrier to protect the ICI cavity sump. The decent thickness of the barrier wall of the device was calculated.
Heavy water (deuterium oxide, D2O) is water in which hydrogen atoms (1H, H), on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water molecules, have been replaced with deuterium (2H, D), a heavier isotope. Heavy water is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semiconductors,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spectroscopy, neutron deceleration, neutrino detection, metabolic rate studies, neutron capture therapy, and the production of radioactive materials such as plutonium and tritium. In particular, heavy water is used as a neutron moderator or coolant in nuclear reactors and as a fuel for nuclear fusion energy, methods for measuring heavy water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re are methods with density, mass spectrometry, and infrared (IR) spectroscopy. In this stud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was used, which is commonly used in IR spectroscopy because of its relatively high analytical sensitivity, low operating costs, and easy online analysis. Heavy water was identified in the range of 2,300-2,600 cm-1 wavenumber (O-D) and the range of 1,200-1,300 cm-1 wavenumber (D-O-D), which are known to be the range with strong infrared absorption. As a result, the linearity of infrared absorbance for each heavy water concentration was confirmed within the relative expansion uncertainty (k=2).
To achieve permanent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drums, the radionuclides analysis process is essential. A variety of waste types are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nuclear facilities, with dry active waste (DAW) being the most abundant. To perform radionuclides analysis, sample pretreatment technology is required to transform solid samples into solu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ry ashing-microwave digestion method and secure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a validity evaluation. Additionall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adioactivity of 94Nb nuclides with and without the chemical separation process, which reduced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 (MDA) level by more than 65-fold for a certain sample.
With the importance of permanent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generated in Korea, the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based on the KBS-3 type is being developed. Since the deep geological repository must provide the long-term isolation of HLW from the surface environment and normal habitats for humans, plants, and animals,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longterm performance of the disposal facility considering thermal-hydraulic-mechanical-chemical (TH- M-C) evolution. Decay heat dissipated from HLW contained in the canister causes an increase in temperature in the adjacent area. The requirement for the maximum temperature i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bentonite degradation. Therefore, when designing the repository, the temperature in the region of interest should be identified in detail through the thermal evolution assessment to ensure that the design requirement is satisfied. In the thermal evolution analysis, it is neede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osal panel to consider the heat generated from both a single canister and adjacent canister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s are widely used for detailed temperature analysis but are limited to simulating a wide rang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ytical solution-based program for efficiently calculat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deposition panel, which is based on threedimensional heat conduction equations. The code developed can asses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ngineered and natural barrier systems. Principal parameters to be inputted are as follows: (a) geometry of the panel (e.g. width, length, height, spacing between canisters), (b) geometry of the canister (e.g. diameter, height), (c) thermal properties of bentonite and host-rock, (d) initial conditions (e.g. residual heat, temperature), and (e) time information (e.g. canister emplacement rate, time-interval, period). Through the calculation for the conceptual problem of a deposition panel capable of accommodating 900 (i.e. 30×30) canist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can adequately predict when and where the maximum temperature will occur. It is expected that the overall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in the panel can be obtained by the evaluation of the entire region using this program reflecting the detailed design of the repository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thermal evolution analysi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other canisters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results as boundary conditions in the CFD analysis.
Non-structural elements, such as equipment, are typically affixed to a building’s floor or ceiling and move in tandem with the structure during an earthquake. Seismic forces acting upon non-structural elements traverse the ground and the building’s structure. Considering this seismic load transmission mechanism, it becomes imperative to account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soil, structure, and equipment, establishing seismic design procedures accordingly. In this study, a Soil-Structure-Equipment Interaction (SSEI) model is developed. Through seismic response analysis using this model, how the presence or absence of SSEI impacts equipment behavior is examined. Neglecting the SSEI aspect when assessing equipment responses results in an overly conservative evaluation of its seismic response. Th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oposing an analytical model and design methodology that adequately incorporate the interaction effect. Doing so enables the calculation of rational seismic forces and facilitates the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