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EPCO KPS is the contractor for the full system decontamination (FSD) of Kori Unit 1 and under preparation such as modification, lay out for equipment installation, setting up tie-in/out point for chemical injection and way to pressurize the system, of its successful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KPS introduced how KPS has designed and prepared for the FSD project and how will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be implemented.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research,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is planned to be conducted for three cycles and each cycle is consisted of oxidation, reduction, decomposition, and purification. Oxidation and reduction process were conducted at 90°C. Chemical decomposi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were conducted at 40°C due to the damage of IX by the heat. If the decontamination result does not meet the target DF and the dose rate, additional cycle can be conducted. Expected volume of process water for FSD is 200 m3. Three systems have been designated as decontamination targets: reactor coolant system (RCS),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RHRS), chemical volume control system (CVCS). For the steady flow rate, existed plant equipment such as reactor coolant pump (RCP) will be operated and modifications on some components will be conducted. Due to the limited space for installation, decontamination equipment and other resources are distributed to three different places. KPS designed the layout of equipment installed inside the containment vessel. The layout contains the information of shielding for highly radiated equipment such as IX and filter skid.
        2.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5년 한국에 공공디자인이 도입되고 2016년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 었다. 2018년 5월에는 정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 (2018~2022)을 수립하고 정부가 방향성을 가지고 공공디자인을 진흥할 수 있게 되었다. 제 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은 공공 디자인의 진흥 및 통 합관리를 위해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필요한 재원의 확 충과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상위 행정구역인 8개도를 대상으로 각 도가 수립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살펴보 고 공통된 진흥 방향과 각 지역의 특징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해본 결과, 첫 번째는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전략 방향의 큰 틀을 따르면서도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전략 과 세부과제를 재배치하고 다른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지역의 지리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전략과 세부과제를 수립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지역민과 행정에 관한 전략과 세부과제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아직 공공다자인 진흥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지자체나 진흥계획 수립 후 5년이 경과된 지자체에 공공디자인 진흥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 2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새로운 방향성과 시사점 그리고 개선 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5,500원
        3.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우리나라 대학 교양수업 중, ‘한자어’와 관련한 ‘원격수업’을 여하히 준비하여 유익하고 효과적인 학업-성취도를 이뤄낼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된 것이다. 다만, 글의 성격 상, 학술적 논의나 혹은 이론적 典據를 제시하여 논증하였다기보다, 실재 필자의 대학 교양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임을 차제에 밝힌다. 이미 우리나라는 2019년 감사원의 지적에 따라, 〈고등교육법〉 상 대학內 ‘원격수업’을 20%로 제한시켜 놓았다. 이유는 ‘출결 관리 미흡’, ‘고등교육의 질 저하로 인한 학력 격차 우려’, ‘시험 관리 부적절’ 등,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작년(2020)부터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원격) 수업이 점차 확대되면서, 기존의 우려는 필연적 과제만을 남겨놓았고, 교양과 전공을 불문한 채 다양한 강좌에서 다소 결이 다르기는 하나 문제점과 대안들을 내놓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대학 교양수업 중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한자어’와 ‘어휘’를 어떻게 분류·선별하여 가장 효과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지를, 실재 수업 사례를 예시로 작성되 었다. 요즘 중·고교 현장 교사들도 학생들의 기초 학력 부재로 인하여 모든 교과마다 학업 성취도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라고 한탄한다. 그러나 이는 대학교육에서도 마찬가지며, 원격수업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기도 하다. 이에 필자는 “원격수업은 인터넷 강의가 아님”을 전제하고, “원격수업 설계부터 학습전략, 그리 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체계적으로 구성해 보았다. 그리고 교수자가 원격(교양)수업에서 ‘한자어’와 ‘어휘’는 어떻게 선별함으로써 학습자들로부터 관심과 흥미를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하여 언급 해보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교육의 질은 교수자(교사·교수)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명제는 대면수업 이나 원격수업에서도 결코 외면할 수 없음을 인지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이 원격수업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큰 요소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글의 결말을 맺었다.
        7,700원
        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서울정원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참여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공모하여 당선된 기본계획으로 서울특별시를 대표하는 정원 설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만의 특성을 살리면서 아름답고 특색 있는 정원이며, 서울을 상징할 수 있는 친환경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서울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역동적 도시로 전통과 현대,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서울정원은 공존하는 도시 안에 정원을 만들기 위하여 4가지 공간을 계획하였다. 첫째, 옛 서울 공간은 전통정원 공간으로 서울의 옛 모습과 전통성을 계획하였다. 둘째, 근대서울의 풍경은 근대 도시로 변화한 서울의 풍경을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인 공간을 계획하였다. 셋째, 역동적인 서울은 현재의 서울로 역동성과 다양성에서 생태자연과 도시문화의 공존을 현대적인 소재로 계획하였다. 넷째, 숨겨진 한강의 기적은 빠르게 변하는 도시 속에서 스스로 치유하고 회복하고 있는 생태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본 서울정원 계획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출품되어 전시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정원박람회 출품을 위해 현상공모 후 설계 및 조성공사를 시행한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이후, 서울시에서는 2015년부터 서울정원박람회를 직접 개최하여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 초청 및 디자인 우수작품을 전시하는 등 다양한 정원박람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순천만국 제정원박람회의 서울정원 출품을 통하여 서울시의 정원과 정원박람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기초가 되었다는 것에 대해 본 계획안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4,000원
        5.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original floor plan and wall design of Seokbulsa Grotto in Kyungju; commonly known as ‘Seokguram’. The paper presents an array of dimensional studies of the existing Seokguram to examine its architectural form, and infers the original floor plan and wall design of Seokbulsa Grotto. Seokbulsa Grotto is designed as a system of 'coherent modules' and was constructed using the dry stone method, which interlocks large stone modules into a whole that becomes the load-bearing structure itself. The design principles governing Seokbulsa Grotto are the spatial axis of symmetry, modular coordination, and the layout grid of a quarter Tang-Ruler(TR: 唐尺). Dimension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se governing principles in mind and concludes the following about the original floor plan design. In the main chamber, Ansang-stone’s radius is 12 TR, and Flagstone’s radius is 121/4 TR. In the front chamber, the width between the two Ansang-stones facing each other is 22 TR and the longitudinal space depth is 12 TR, while the width between the two Flagstones facing each other is 221/2 TR and Flagstone’s depth is 12 TR. In the passageway, the width between the two Ansang-stones facing each other is 111/2 TR and longitudinal space depth is 9 TR, while the width between the two Flagstones facing each other is 12 TR and Flagstone’s depth is 73/4 T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entrance line of the main chamber is 101/2 TR. Therefore, the total longitudinal length of the Grotto is 431/2 TR at the level of the Ansang-stones, and 44 TR at the level of the Flagstones.
        5,1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san-gun was selected to receive a “Village Community Garden Project” in 2018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nd improve the urban landscape by working with neighbors to create a happy living space for residents. Yesan-gun selected Sapti Park, located in Yesan-eup, as the project site. The project was carried out through the design charrette method (an intense period of collaborative creativity) to allow residents to propose and design park concepts themselves for the community garden construction project to ensure that that the park facilities would provide something for everyone to enjoy. This study followed the actual design project that actively introduced the design charrette in planning the community garden, describing the entire design process from planning to construction and revealing how the opinions of residents were projected onto the design drawings.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advance user-participation design methods by reviewing the progress of the design charrette process and to examine how storytelling, the act of conveying ideas through a fun and persuasive story, transformed the plans for the community garden.
        4,300원
        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variety of garden exhibitions were held in major Korean cities during the fall of 2017. Various themes and garden forms were displayed in the six major cities of Seoul, Busan, Incheon, Suncheon, Gyeonggido Ansan, and Gyeonggido in Dongtan New Town. Many participants of the garden fair decorated gardens around natural objects that showed space and time according to their design. The garden provides the best means of personal development. It is a space and place in which to express the dynamics of self-realization. The garden fair offers interactivity through a combination of biophilia, and toylism that provides customers with pleasure, fashion, and satisfaction. There were 280 works on display in these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during the fall of 2017. This number has grown from the 10 original Korean garden show writers. We began this study to discover regular or irregular patterns contained at the exhibition as well as to present elements that could be used in major studies.
        4,000원
        8.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going into troops for writing in the vignette style(小品文) in opposition to the Classical Chinese(古文), Yi Ok stopped by Songgwangsa Temple in Wanju. The things he felt during this stop were recorded in the Temple Chapter ( 寺觀) written in 1795. Therefore, the present dissertation evaluates the Songgwangsa Temple of the time based on this Temple Chapter . Data in the Temple Chapter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records the layout of the temple in detail. Thus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change in layout by reviewing relevant records about repair. This reveals that the form of layout in general has been maintained although there were changes involving the reloc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ir names. Furthermore, the original Buddhist building was changed to a quarter for the monks. Also, in terms of layout after the 18th century, there are frequent name changes of the Myeongbujeon(冥府殿) and Nahanjeon(羅漢殿). After two repairs, in order to find the appearance of a Daeungjeon(Main Buddhist hall) with a two-storied structure of five bays at the front, the study evaluated the Geugnakjeon at Muryangsa Temple and the Daeungbojeon at Magoksa Temple.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Jeol’ used in the Temple Chapter were small pillars erected on a ridgepole just like the Geugnakjeon at Muryangsa Temple, and that the angle rafters were installed to corner bays in rectangular form. The intellectual Yi Ok left behind invaluable architectural data that reveals the Songgwangsa Temple of the 18th century.
        4,0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4,000원
        10.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the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Daeung-Jeon in Sudeok Temple. For this purpose, After I set up several assumptions in the ba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ood architecture, and then, analyzed floor plan, structural formation and section sizes of structure and bracket members in relation to module and unit. As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process of plan and structure are follows. (1) 1 ja(尺), the unit applied to this building is measured $307.6{\sim}318.3mm$) and the average is 312.9mm (2) It is estimated that the floor plan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top of columns. By the applied unit, every bay of the front side and the side is each designed by 15 ja and 8.5 ja. (3) The section is composed of piled members which have same section size. As basic module of section size called 'jae(재;材)', it is estimated at width 0.45 ja by height 0.75 ja. And as the secondary module, height between jae and is called 'gyoe(계;)' and it wes designed by three height size of 0.25 ja, 0.27 ja and 0.30 ja, (4) It is estimated that the section plan was designed by the order as follows. Firstly, the horizontal position of purlins wes decided on the basis of the intersection point of long and short rafters, and then the position and the section size of purlins and jangheyo(長舌) wes decided on the basis of the slope of roof and rafters. Secondly, going down from purlins, the members of structure composed of 'jae' and 'gyoe' was repeated. Lastly, for the purpose of linking the structure members located on the center line of adjacent purlins organically, the height of whaban(화반) was controlled.
        4,900원
        13.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파리 유충(幼蟲)에 의(依)한 양파의 피해(被害)를 포장(圃場)에서 1984년(年) 4월(月) 11일(日)부터 5월(月) 21일(日)까지 10일(日) 간격(間隔)으로 전주(全株) 조사(調査)를 하여 피해지도(被害地圖)를 작성(作成)하였다. 지도(地圖)를 양파 80주(株)를 하나의 단위(單位)로 하는 사각형(四角形)으로 구분(區分)하여 빈도분포표(頻度分布表)를 작성(作成)하고 Chi-square test에 의(依)하여 Poisson분포(分布)와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를 적용(適用)해 본 결과(結果)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가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에 걸쳐서 적합(適合)하였다. 주변효과(周邊效果)는 지도(地圖)를 중앙부(中央部)와 주변부(周邊部)로 이분(二分)한 후(後) 피해주율(被害株率), 분산(分散)과 평균(平均)의 비(比)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주변부(周邊部)의 그것이 중앙부(中央部)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도(地圖)를 다시 비슷한 크기의 4개(個) 구(區)로 나누고 각(各) 구내(區內)의 표본단위(標本單位)(양파 80주(株)를 다시 4등분(等分)하여 2차단위(次單位)로 하였다. 시기별(時期別)로 각(各) 구(區)에서 5개(個)의 표본단위(標本單位)를 임의(任意)로 택(擇)하고 분산분석(分散分析)하였다. 그 결과(結果) 최적(最適) 표본수(標本數)는 2개(個)의 2차단위(次單位)를 택(擇)할 경우(境遇) 5%의 오차(誤差) 범위(範圍)에서는 개(個), 10%의 오차(誤差) 범위(範圍)에서는 개(個)의 표본단위(標本單位)를 택(擇)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4.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단위의 계획인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245개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의무적으로 지역진흥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완주군의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하여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세부 디자인 규정을 위한 유형별 가이드라인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완주군 전역으로 연구의 범위는 완주군 현황분석과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 공공시각매체, 공공시설물, 공공건축물, 공공공간으로 분류한 유형별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일반현황 조사, 현장조사를 통한 완주군의 디자인 현황, 설문조사, 상위계획 분석을 바탕으로 발전적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완주군은 고령인구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계획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완주군의 디자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각기 다른 디자인에 대한 규정사항이 필요하였다. 세 번째, 설문조사 결과 완주군민들은 자연녹지 청정지역 이미지를 강조할 수 있는 디자인 계획과 지역 랜드마크를 필요로 하였다. 네 번째,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 및 유형별 가이드라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자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선두주자로서 향후 수립되는 진흥계획에 기반이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완주군의 공공디자인이 도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1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통합적인 설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 방안을 탐 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시민성 함양을 얼마만큼 강조하는지 를 살펴보았고 기존의 민주시민교육의 문제점을 논의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 한 접근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교육목적, 교육목표에서는 개인 시민성, 공동체 시민성, 세계 시민성 차원에서 시민성 함양을 중시하고 있었다. 기 존의 민주시민교육은 언설중심의 교육에 경도되어 있어 시민성과 관련된 교육내용의 진 정한 이해, 내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데 한계가 있고, 그러한 경향성은 실천적 행위를 추 동하는 것에도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실천성, 자발 성, 공동체성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극복하는 데 유망하게 활용할 수 있 다. 그러므로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주제중심의 다학문적 통합 방식으로 조직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 절차를 제시하면서 개발자인 교사가 각 단계별로 수행할 과업을 기술하였고 필요한 만큼 그 예시를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민주시민 양성과 관련된 앎, 내적 변화, 실천적 행위 간의 정합성을 갖춘 민주시민교육 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1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주민의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에 대한 다양한 욕구와 지역의 특성화와 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조례제정 등으로 공공환경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수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시행 10년째를 맞이하여 각 지자체별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3개 지자체의 인증 결과를 중심으로 인증현황과, 디자인 경향을 분석하고 문제점 파악과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3개 지방자치단체들 의 공공 가로시설물 디자인 인증제도 실태 분석을 통하여 개선 방안으로 공공 시설물 인증을 전담하는 기구 설치 운영과, 정성적 평가를 최소화하고 정량적 평가로 디자인과 품질을 갖추도록 전환 하고,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지역 특성화를 이루도록 조례와 가이드라인 등을 정비해야할 필요성과, 독립적 공공 디자인 전담부서 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1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는 첨단 정보화 사회 또는 지식 기반 사회라 불리며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는 기술, 정보 그리고 디자 인에 의해서 더욱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보다 더 급속히 변화해 갈 미래사회에서는 보다 적극적 이고 유능한 인재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우리 청소년들이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경쟁력 있 는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창의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중국이 가진 개성과 현실을 고려하여 현대흐름에 맞는 좀 더 발전된 교과서의 영역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중국 의 중등 디자인교육의 경우 미술교과서 안에 포함되어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학생들이 올바른 디자인을 선 택하고 소비할 미래의 디자인의 중요한 인물이라고 볼 때, 미술교과서에서 독립되어 디자인의 분야, 내용 그리고 국제 유명 한 이미지 작품을 정립하고 올바른 디자인을 교육을 실시하여 만 할 것이다. 앞으로 교과서 디자인영역에 대한 더 많은 노 력과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미술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디자 인 교육 발전 방안을 찾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3종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내용 및 종류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분야에 대한 다양성이 부족한 편이다. 둘째, 중국 내의 작품 위주로 편향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의 미술 교과서에 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글로벌 시대에 맞는 디자인영역과 그에 대한 설명이 추가 되고 디자인 영역에 대한 최신 사례 이미지가 제시되어야 한다. 더불어 국외의 다양한 디자인 사례들과 설명도 보충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중국 중학교 디자인교육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1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rrent domestic SOC facilities focuses on checking stability by a physical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for calculating SOC facilities’ Korean representative rating is set up by analyzing international SOC facilities' evaluation methods and objects and factors of evaluation for it. Also, facilities by suggesting design plan based on established concept for calculating each facilities’ rating.
        1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의 콘셉트 개발에 있어서 개념적이며 비시각적인 콘셉트를 플랫폼 기반의 구조적 접 근을 통해 구체화시키고, 디자인 경영자원의 분배와 활용에 대한 전략적 구조로써 플랫폼의 효용성 제고(提 高)를 통해 향후 디자인 경영자원의 분배에 대한 전개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콘셉트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제품디자인의 유형별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디자인 콘셉트가 구체화 된 사례에 따라 분류 하였다. 이 분류 된 사례를 통하여 플랫폼의 구조를 정의 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서, 디 자인 콘셉트는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구조를 통하여 구체화 되고, 구조화 된 플랫폼을 통하여 계획 된 기업 또는 제품의 아이덴티티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철학, 슬로건, 심볼, 서비스, 기술력, 디자인 등의 세분화 된 플랫폼 기반의 제품디자인에 서는 디자인 경영자원을 계획하고 부서간이나 프로젝트에 따른 동일한 분배보다는 기업 전략에 따른 선택 과 집중을 위한 합리적이고 효율적 분배가 적절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20.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연속식 결정화기에 대한 디자인 전략 컨설팅을 통해 연속식 결정화기의 경쟁력 강화와 혁신적인 기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1년부터 비파괴 검사업을 모태로 사업을 시작한 수진기업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결정화 기술은 플랜트 개념의 탱크혼합형 결정화기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동물성 사료와 같은 저가 제품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디자인 전략 컨설팅을 통해 개발한 연속식 쿠에트테일러 결정화 기술은 기존의 결정화 기술에 비해 새로운 콘셉트의 제품 창출과 고부가가치 전략 추진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자인 컨설팅을 통한 결정화 기술은 판매 촉진 및 소비자들의 신뢰도 증대와 그에 따른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