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and dimensions of Sino words research, and to secure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ancient, modern and dialect forms of Sino words in Korean, Chinese, Japanese, and Vietnames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wide-ranging, multi-dimensional database with maximum coverage, and this study was planned to explore specific ways to realize this. East Asian languages have exchanged cultural and linguistic influences through Chinese characters for thousands of years. Therefore, the study of Sino words requires a radial and reticular approach that can closely connect their complex historical and regional layers.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revealed limitations such as inadequate examination of major languages, inappropriate use of materials, or inability to analyze rich linguistic features that exist in various dialects within Chinese or differences in word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for a database that can comprehensively examine Sino words in the four languages of Korean, Chinese, Japanese, and Vietnames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base and surface forms, and encompassing all morphological forms with Chinese character elements. This database should include both archaic and contemporary, or even modern new words, as well as various dialectical forms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different regions of China. To be utilized effectively in research, it should also include information on usage frequency and educational vocabulary levels, enabling the confirmation of the status of a word in contemporary language. Rather than providing definitive information like a dictionary, it is more useful to provide supplementary information such as the reference and literature,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materials for researchers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database. In response to the aforementioned need, this paper proposes the construction of a relational database consisting of 12 entity tables and presents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t. Despite the difficulties of constructing a relational database for vast amounts of data and the burden on servers, we expect that a wide-ranging, multi-dimensional database of East Asian Sino words will contribute to existing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vocabulary and concept research and education.
Devices with negative differential transconductance (NDT) and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have shown a strong potential for digital electronics with high information density due to their N-shaped current–voltage (I–V) characteristics leading to multiple threshold voltages ( Vths). The 2D materials, such as graphene, hBN, MoS2, WS2, etc., offer an attractive platform to achieve NDT and NDR because of the absence of dangling bonds on the surface, leading to a high-quality interface between the layers. The 2D materials' unique property of the weak van der Waals (vdW) interactions without dangling bonds on the heterostructure devices shows the way for the applications more than-Moore devices. This review holds a well-timed overview of 2D materials-based devices to develop future multi-valued logic (MVL) circuits exhibiting high information density. Notably, the recent advances in emerging 2D materials are reviewed to support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MVL ap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several antecedents that create perceived resistance to supply chain management (SCM) change. This work particularly emphasizes SCM change, which is notable given its central role in reacting market orientation and varied environmental and managerial conditions. A careful case study on a small and medium sized food production company in South Korea leads to the formulation of our framework including one second-order construct of ‘resistance’ as well as eight first-order constructs of ‘implementing the payment terms’, ‘balancing of business process’, ‘fear of responsibility’, ‘business sustainability transparency’, ‘past experience of failure’, ‘competence of work personnel’, ‘cooperation with third parties’ and ‘sharing personnel information with partner’. The hypothesized relation of first- and second-order construct was validated using survey sample data collected from 350 respondents who completed their questionnaire instrument.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nomological validity was established a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y identifying six first order constructs of ‘implementing the payment terms’, ‘fear of responsibility’, ‘business sustainability transparency’, ‘past experience of failure’, a conbined construct of 'competence of work personnel/ cooperation with third parties’ and ‘sharing personnel information with partner’. The findings from our work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sights to the strategy for SCM risk management fo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We report a facile and versatile strategy to prepare multi-dimensional nanocarbons hybridized with mesoporous SiO2. Carbon nanoplatelets (CNPs, two-dimensional structure of nanocarbons) were combined with carbon nanotubes (CNTs, onedimensional nanocarbons) to form multi-dimensional carbons (2D–1D, CNP–CNTs). The CNP–CNTs were synthesized by directly growing CNTs on CNPs. A simple solution-based process using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resulted in coating or hybridizing CNP–CNTs with mesoporous silica to produce CNP–CNTs@SiO2. The nanocarbons’ surface area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TEOS increase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CNP–CNTs@SiO2 as supercapactior electrodes including cyclic voltammetry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in 3 M KOH (aq) reveal excellent-specific capacitance of 23.84 mF cm−2 at 20 mV s−1, stable charge–discharge operation, and low internal resistance. Our work demonstrates mesoporous SiO2 on nanocarbons have great potential i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최근 다국적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PBG, Perceived Brand Globalness)을 재개념화하고 개념의 다차원성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글로벌 브랜드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은 단일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의 다차원성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터빈유는 등유 기반의 석유제품에 산화 방지제(Antioxidant), 빙결 방지제(Fuel system icing inhibitor, FSII), 전기전도도 향상제(Electrical conductivity improver)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항공기 연료로서 필요한 성능 향상 및 보관이나 이송 등에 관한 특정한 능력을 부여시키고 있다. 이들 첨가제는 항공터빈유의 품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다른 석유제품과 구별하기 위하여 그 첨가량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항공터빈유는 수많은 탄화수소 화합물로 구성된 복잡한 화합물이기 때문에 미량으로 첨가된 산화 방지제와 빙결 방지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Multi-dimensional GC-MS (MDGC-MS)의 Deans switching 기술을 적용하였다. 2.5 - 20 mg/L 농도 범위의 산화 방지제와 빙결 방지제를 MDGC-MS로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검출 한계는 1-dimensional GC-MS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약 2배 정도 낮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험 방법은 기존의 GC-MS보다 첨가제 피크의 분리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시료의 전처리가 필요없이 두 가지 첨가제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었다.
Whole body fatigue detection is an important phenomenon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whole body fatigue can be controlled if a mathematical model is available for its assessment. This research study aims at developing a model that categorizes whole body exertion into fatigued and non-fatigued states based on physiological and perceiv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ategorize the fatigued and non-fatigued subject as dichotomous variable. Normalized mean power frequency of eight muscles from 25 subjects was taken as physiological variable along with the heart rate while Borg scale ratings were taken as perceived variables. The logit function was used to develop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coefficients of all the variables were found and significance level was checked.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model for fatigued and non-fatigues subjects was 83% and 95%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the mean power frequency of anterior deltoid and the Borg scale ratings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whole body fatigued when evaluated dichotomously (p < 0.05). The findings can help 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combined physiological and perceived exertion in designing the rest breaks for workers involved in squat lifting tasks in industrial as well as health sectors.
항공유에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가 혼합될 경우 연료 공급시스템과 항공기 엔진에 치명적인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항공유 품질규격에서 FAME 함량을 50 mg/kg 이하로 규정 하고 있다. 무수히 많은 탄화수소로 구성된 항공유 중의 FAME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MDGC-MS를 사용한 새로운 시험방법을 개발하였다. Deans switching 시스템이 설치된 MDGC-MS를 이용하면 코코넛 오일이나 팜유 유래의 저분자량 FAME 성분도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험방법은 FAME 피크의 머무름 시간을 약간 뒤로 이동시키는 매질 효과(matrix effect)를 현행의 기준 시험방법(IP 585)보다 약 20배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MDGC-MS는 항공 유에 미량의 FAME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적합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tion of input release lots in a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facility. After the order-lot pegging process assigns lots in the fab to orders and calculates the required quantity of wafers for each product type to meet customers’ orders, the decisions on the formation of input release lo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production costs of the release lots. Since the number of lots being processed in the wafer fab directly is related to the productivity of the wafer fab, the input lot formation is crucial proces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s as well a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afer fab. Here, the input lot formation occurs before every shift begins in the semiconductor wafer fab. When input quantities (of wafers) for product types are given from results of the order-lot pegging process, lots to be released into the wafer fab should be formed satisfying the lot size requirements. Here, the production cost of a homogeneous lot of the same type of product is less than that of a heterogeneous lot that will be split into the number of lots according to their product types after passing the branch point during the wafer fabrication process. Also, more production cost occurs if a lot becomes more heterogeneous. We developed a multi-dimensional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for the input lot formation problem and showed how to apply the algorithm to solve the problem optimally with an example problem instan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states at each stage in the DP algorithm for practical use. Also, we can apply the proposed DP algorithm together with lot release rules such as CONWIP and UNIFORM.
본 연구는 기업 및 공공기관의 팀장과 구성원을 대상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등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하고,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이 중간관리자인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 는 적하효과와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은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 중 도덕적 행동과 맥 락적 일관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중간관리자인 팀장의 도덕적 행동은 조직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및 지각된 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팀장의 행동진실성 은 조직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및 지각된 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팀 장의 맥락적 일관성은 가설과 반대로 조직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및 지각된 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팀장의 도덕적 행동은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과 조직성과(조직 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지각된 팀성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 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는 396명으로부터 응답된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건설적 저항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역기능적 저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차원 저항(건설적 저항, 역기능적 저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건설적 저항만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셋째,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에서는 건설적 저항만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다차원 저항유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리더십 연구영역에 부하 저항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다양한 선제적 행동으로 확대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기존의 단일차원 저항연구를 다차원 저항으로 확대하여 저항의 긍정적 효과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건설적 저항의 매개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확대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도 임파워링 리더 육성과 건설적 저항을 흡수할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We present a multi-dimensional reduction method of the surveyed cube database obtained using a single- dish radio telescope in Taeduk Radio Astronomy Observatory (TRAO). The multibeam receiver system installed at the 14 m telescope in TRAO was not optimized at the initial stage, though it became more stabilized in the following season. We conducted a Galactic Plane survey using the multibeam receiver system. We show that the noise level of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was higher than expected, and a special reduction process seemed to be definitely required. Along with a brief review of classical methods, a multi-dimensional method of reduction is introduced; It is found that the ‘background’ task within IRAF (Image Reduction and Analysis Facility) can be applied to all three directions of the cube database. Various statistics of reduction results is tested using several IRAF tasks. The rms value of raw survey data is 0.241 K, and after primitive baseline subtraction and elimination of bad channel sections, the rms value turned out to be 0.210 K. After the one-dimensional reduction using ‘background’ task, the rms value is estimated to be 0.176 K. The average rms of the final reduced image is 0.137 K. Thus, the image quality is found to be improved about 43% using the new reduction method.
멀티미디어의 개발에 따라 가상 영상에 대한 실사적인 색 표현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영상에서 물체를 표현하기 위해 빛과 표면의 특성을 기반으로 색을 표현하는 렌더링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빛과 표면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각각에 대한 분광 특성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다면 결과영상은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렌더링 응용은 단순한 RGB 기반 3차원을 이용하여 벡터의 성분별 합과 곱으로 빛과 표면의 분광 특성을 표현하고 상호작용을 모델링하기 때문에 실제적인빛-표면 상호 작용과 수학적인 연산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특성함수 기반의 기저함수를 이용하여 단순한 연산으로 빛-표면 상호작용을 계산할 수 있는 표면 반사율 모 델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기상자료모델 (Atmospheric Data Model, ADM) 중 한국의 중규모 수치기상모의에 자주 사용되는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델을 재생에너지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를 웹 기반의 공간정보 자료와 매시업 (mesh-up) 하였다. WRF 모델 포맷인 NetCDF 자료로부터 풍속, 풍향, 시간 정보를 읽어 바람의 시각화 표출 및 풍속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형태 및 색상 정의 등 바람기호 (wind barb)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바람기호로 시각화에 사용되는 자료량을 최소화하고 웹 표출 DB 변환을 최적화 하였다. 본 연구는 재생에너지 활용과 더불어 도시 및 국토 연구에 활용함으로써 관련 활동의 기상학적 이해를 높이고 신뢰도 높은 의사결정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enu quality, human · amenity service quality, perceived risk affected quality · price menu value, social · emotion menu value and how quality · price menu value and social · emotion menu value influenced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atisfaction affected loyalty. The model was tested in hotel restaurants settings of five-star hotels using a sample of customers visiting and enjoying menu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ju city.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not only do menu quality and human · amenity service quality increase quality · price menu value and social · emotion menu value but that perceived risk reduces social · emotion menu value. It was also found that significant antecedents of satisfaction were quality · price menu value and social · emotion menu value. Also, loyalty was also found to be a significant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f a multi-dimensional numerical code to solve the equations for idea! magnetohydrodynamics (MHD) in cylindrical geometry. It is based on an explicit finite difference scheme on an Eulerian grid, called the Total Variation Diminishing (TVD) scheme, which is a second-order-accurate extension of the Roe-type upwind scheme. Multiple spatial dimensions are treated through a Strang-type operator splitting. Curvature and source terms are included in a way to insure the formal accuracy of the code to be second order. The constraint of a divergence-free magnetic field is enforced exactly by adding a correction, which involves solving a Poisson equation. The Fourier Analysis and Cyclic Reduction (FACR) method is employed to solve it. Results from a set of tests show that the code handles flows in cylindrical geometry successfully and resolves strong shocks within two to four computational cells.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code are discussed.
목적: 이 연구는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여 발레 분야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 자는 총 35명이었으며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 발레 전공 여학생 15명(Mage=17.13, SD=.74), 발레 지도자 10명(남성=2명, 여성=8명; Mage=52.20, SD=6.94), 그리고 발레 전공생의 어머니 10명(Mage=48.70, SD=2.05)으로 구분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라이프스킬의 개념 구조는 개인 차원과 대인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결 과를 종합한 발레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한 결과, 개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자기 관리하기, 자신감 갖기, 목표 설정하기, 자기이해하기, 긍정적 생각하기, 창의적 생각하기, 감정 조절하기, 스트레스 대처하기, 시간 관리하기, 그리고 문제 해결하기 등 10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한편, 대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협동하기, 공 감하기, 갈등 해결하기, 의사소통하기, 관계 맺기, 리더십 등 6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발레 를 통해 습득 및 발달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을 다면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발레에서의 개념 구조를 도출하였 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레를 통한 라이프스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평가 도구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적: 이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라이프스킬 요인을 탐색하고, 탐색된 라이프스킬 요인 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1의 라이프스킬 요인 탐색에는 총 45명(학생 20명, 지도자 15명, 학부모 10명)이 참여하였으며, 세 집단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심 층면담을 통해 핵심 라이프스킬 요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분야로부터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총 5차례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연구 1에서, 학생선수들을 위해 요구되는 라이프스킬 요소들은 총 8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은 개인영역 4요인(자신감, 목표설정, 자기조 절, 스트레스 대처)과 대인영역 4요인(의사소통, 협동, 공감, 갈등해결)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2에서, 8개의 라이프 스킬 요인들은 각 요인별 2차시 혹은 3차시의 교육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총 8요인 23차시로 구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라이프스킬을 증진시키는 역할에 초점을 둔 것으로 PEALS (Program to Enhance Athletes’ Life Skills)로 명명되었다. 결론: PEALS는 최근 학생선수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권, 학습권, 진로문제, 역량 증진 등과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운동선수들이 긍정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촉진하도록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