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항염증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홍삼 추출물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 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25 μg/ml에서 71.2 %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시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홍삼추출물이 항염 효과를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4,0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홍삼농축액의 유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홍삼농축액의 표면활성능을 조사 하였으며, 이어서 홍삼농축액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홍삼농축액의 물/기 름 계면에서 계면장력은 홍삼농축액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결과,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화 지방구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홍삼농축액 농도가 3.5 wt% 이상일 경우 일정한 지방구 크기(d43 ≒ 0.39 μm)의 안정한 유화액을 형성하였고, separation analyzer(LUMiFugeⓇ)를 이용한 유화안정도 평가 결과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정도 변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홍삼농축액 유화액 중 지방구 크기는 pH 및 NaCl 농도변화에 의존하였는데, pH가 감 소함에 따라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고 음의 제타전위 값[-67.0 mV (pH 9.0) → + 2.1 mV (pH 2.0)]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NaCl 농도(0.1 M → 0.5 M)가 높을수록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였다. 본 실 험을 통해 홍삼농축액의 유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삼추출물(RGE)의 쓴맛을 개선하기 위해서 증숙시 초산 처리 후 α-, β-, γ-CD을 이용 해서 RGE의 포접화합물을 제조하여, 전자혀 분석을 통해서 RGE-γ-CD에 의한 쓴맛 개선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인삼의 열처리 공정에 있어 초산 처리는 Rg3 및 비극성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 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전자혀를 이용하여 α, β, γ- CD 첨가량에 따른 쓴맛, 신맛, 짠맛, 우아 미맛 및 단맛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RGE 대비 10%의 γ-CD를 첨가하여 포접한 REG가 다른 처리구 에 비해 쓴맛이 월등히 낮은 감응도를 나타내었다.
        4,200원
        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화홍삼에 존재하는 major ginsenoside를 minorginsenoside로 생물전환하기 위하여 β-glucosidase 활성이높은 유산균주를 탐색하였다.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YLB 8균주가 β-glucosidase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Leuconostoc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L. mesenteroides YLB 8을MR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최대의 β-glucosidase 효소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배양 조건은 glucose 첨가량 1%(w/v), 초기 pH 8.0, 배양온도 30oC, 배양시간 16시간이었다. L. mesenteroides YLB 8을 이용하여 팽화홍삼추출액을 생물전환하였을 경우 최적 온도는 30oC었으며,팽화홍삼 추출액의 농도는 12oBx이었다. 팽화홍삼 추출액내에 존재하는 major ginsenoside인 Rb1과 Rb2는 minorginsenoside인 Rg3로 전환되었으며, Re는 Rg1으로 전환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Rh1과 Rh2로 전환되었다.
        4,000원
        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리적 기능성을 함유하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홍삼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605.25 μ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을 첨가군의 함량은 598.51~681.65 μ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함량에 비례하였다. 대조군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6.42 mg%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5.74~7.67 mg%로 대조군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 화합물 및 ascorbic acid의 변화를 보면 저장기간 내내 대체적으로 대조군보다는 홍삼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 대조군은 O.D.값이 0.2781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O.D.값이 각각 0.3260~0.3477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어 홍삼 첨가가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내내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은 대조군은 20.54 AEAC이었으나, 홍삼추출물 첨가군은 20.63~20.86 AEAC로 홍삼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피로 회복 또는 원기 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경천과 홍삼을 이용하여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킨 C2C12 근육세포에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처리한 후, 세포의 morphology, cell viability 및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C2C12 근육세포의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Cu/Zn-SOD, Mn-SOD 및 GPx 등과 같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세포 분화의 주요 전사인자인 Myo D의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 시스템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in vivo 시스템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을 이용한 항피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diabetes mechanism of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and extracts was found to inhibit the activity of α-glycosidase. The major functional component of silkworm powder was 1-deoxynojirimycin (1-DNJ), which exerts a blood glucose-lowering effect.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s, including red ginseng extract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silkworm. Fifty silkworm larvae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Con, N=50), group A (A, artificial diet 95% and mulberry leaf powder 5%), group B (B, artificial diet 95% and mulberry powder 5%), group C (C, artificial diet 95% and Rubus coreanus remainders 5%), group D (D, artificial diet 95% and red ginseng extract 5%), and group E (E, artificial diet 95% and yeast powder (Saccharomyces cerevisiae). Body weights and length of silkworm larva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group A, D. In particular, the growth rate in group D (artificial diet 95% and red ginseng extract 5%) was larger than that of C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1-DNJ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argest in group D.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red ginseng extract may be effective for larval growth and 1-DNJ accumulation in silkworm rearing with an artificial diet.
        4,000원
        10.
        201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activity of red ginseng extract (RGE; Panax ginseng, C. A. Meyer) on hydroxyl radical (·OH)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and spin-trapping techniques. ·OH generated by a Fenton Reaction System was trapped by 5, 5-dimethyl-l-pyrroline-N oxide (DMPO). The decay rate showed approximately pseudo-firs order kinetics over the period of measurement (by 10 min), and the half lifetime of the DMPO/·OH signal was estimated as approximately 8.15 min. However, the half lifetime of RGE/·OH was estimated as approximately 7.5 min, and the half lifetime of RGE was higher than that of DMPO/·OH adduct only. The order of reduction activities was ascorbic acid > N, Nʹ-dimethylthiourea (DMTU) > RGE > trolox > mannitol in the Fenton Reaction System. Thus,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RGE reaction with ·OH has relative reduction activity. The second-order rate constant of RGE/·OH may be 3.5~4.5 × 109 M-¹ ∙ S-¹.
        4,000원
        11.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시킨 후 발효액의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각각 0.5, 1, 2, 4%(v/v) 첨가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산도는 팽화홍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액의 pH는 발효 3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 24시간까지는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1%(w/v) 이상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양파 착즙액에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는 1%(w/v)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므로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팽화 홍삼 추출액을 1%(w/v)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perlipidemia is an increase in one or more of the plasma lipids, including triglycerides, cholesterol. Ginseng has been used as a valuable tonic an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Jinan red ginseng (JRG) water extract on the blood and serum in rabbits with hyperlipidemia induced by poloxamer 407 when supplied in drinking water. JRG treatment was performed for 20 week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JRG treatment on diabetes through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before and after JRG treatment were performed. Our results indicate that LDL,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prior JRG supply. CRE, BUN, CK and UA levels indicating renal functions a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mpared to those prior to the JRG supply. In addition, AST, ALT, ALP, and LDH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dicating hepatoprotective effect. Blood electrolytes deteriorated in HL rabbits were improved when JRG supplied. In conclusion, Biochemical and hematological analysis demonstrate that the JRG is effective to alleviate the hyperlipidemia signs.
        1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Food industry is trying to replace many synthetic with surfactants with natural alternatives, mainly inspired by consumer’s demand. Saponins are water-soluble small amphiphilie molecules that can be isolated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Especially,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CRGE) contains saponins (called as ginsenoside) and they have been shown medical activities to help alleviate pathological symptoms, promote health and prevent potential disease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is natural emulsifier for forming and properties of emulsions containing those. Methods and Results : CRGE was supplied D company, located in Geumsan. We examined the interfacial tension, emulsifying activity, fat globule size, dispersion stability, zeta-potential, microscopic observation. The interfacial tension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CRGE concentration. In emulsion system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fat globules sizes also becomes smaller as well as result of dispersion stability evaluated by separation analyzer (i.e., LUMiFuge) showed that it was more stable in emulsions with increasing CRGE concentration. CRGE-coated droplets were stable to droplet coalescence over a range of pH value (2 - 9), salt concentrations (0 - 500 mM NaCl). However, some flocculation was observed under highly acidic (pH 3) and high ionic strength (≧ 400 mM NaCl) conditions,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screening of electrostatic repulsion. Especially, CRGE-coated droplets had high negative charged at basic pH that decreased in magnitude with falling pH. Conclusion : Thus, CRGE have some emulsifying properties as well as medical activities. The results means that emulsions formed with CRGE may be able to replace synthetic surfactants in food industry.
        18.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sphenol A (BPA), a known endocrine disruptor, induces toxicity in cells and in experimental animals. Ginseng extract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an inhibit BPA-induced toxicit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ginseng extract (WGE), dried white ginseng extract (DGE), and dried red ginseng extract (RGE) was measured using the DPPH assay. WGE and RGE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in HepG2 cells following treatment with BPA and ginseng extracts using the MTT assay. DGE and RGE increased HepG2 cell viability following treatment with 200 μM BPA. RGE reduced levels of biochemical markers of liver damag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hat increased in mice following treatment with BPA. In additi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damaged liver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GE-treated mice. Moreover, RGE inhibited hepatic fibrosis in the surrounding area and in the central vein of the liver microstructure. RG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BPA-induced cytotoxicity. In addition, RGE protected liver damage and regenerated liver tissues in BPA-treated animals. These results show that RGE may represent a potential candidate drug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iver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toxins.
        19.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삼과 홍삼의 추출수율은 각각 33.56%와 48.79%로 홍 삼의 추출수율이 높았고, 산성다당체의 경우 1~4차 추출단 계까지는 홍삼군이 백삼군보다 높았으나, 5차 추출단계에 서 백삼군이 6차 추출단계에서는 홍삼군이 높게 나타났다. 백삼과 홍삼의 추출단계별 농축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백삼 (56.44 mg/g)에 비해 홍삼(53.15 mg/g)이 약 5.8 %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혼합한 선택적 홍삼농축액 모델 4종의 기호도 평가 결과 1, 2, 6차 추출물이 혼합된 RGB-4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시판 홍삼 농축액 3종에 대해 비교한 결과에서도 RGB-4가 쓴맛, 떫은맛, 인삼향 강도가 약해지 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실험에서는 추출방법을 달리 함으로써 추출수율 및 조사포닌 함량을 감안하여 인삼 쓴맛과 향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쓴맛 을 저감시키고 인삼향미의 강도를 저감시킨 제품을 개발하 여 좀 더 편하고 자연스럽게 홍삼제품을 접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