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iving to the store, finding parking, defective carts, difficulties in finding items, poor product info, long lines for checkout, unclear receipts, carrying heavy shopping bags home, and forgotten items are some of the most common barriers experienced by grocery shoppers. These are also the most common reasons why shoppers decide to switch to alternative retailers or to online grocery channels. COVID-19 accelerated this trend with online grocery shopping and home delivery services became prevalent and grew significantly during the pandemic (Gupta & Mukhejee, 2022). Today, e-grocery has reached 11% of the total grocery sales and being expected to reach 19% by 2025 in US (source: Statista, 2022). Brick and mortar grocery retailers declare to suffer from low loyalty of their customer and margin pressure. On the other side, the recent investments of online pure players such as Amazon and Alibaba in physical retail, including grocery, show that the physical shopping has still potential to lead retailers’ growth, also within grocery. Grocery retailers should therefore find new ways to attract and retain customers to their stores. Offering a better customer experience (CE) may be a valuable strategy to this end. A great CE has emerged at the base of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or companies, and it is at the heart of customer loyalty (Grewal et al., 2017) in several sectors but has often been neglected within grocery selling.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section between alternative social movements and corporate actors, focusing on the shared practices and potential overlap between these spheres.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Burning Man community and its globally recognized brand, this study explores three key research questions: the elements of a brand and its application in the context of counter-cultural social movements, the role of radical social movement members in brand co-creation, and how brand management can support co-creation within counter-culture social movements. Grounded in social movement literature and theories of brand management, this conceptual paper draws from the Burning Man Journal publicatio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ing and the Burning Man community. Burning Man, a participatory culture and annual event held in Black Rock City, Nevada, represents a unique case of a counter-cultural social movement. The paper challenges the notion that a brand is solely represented by a logo, highlighting the duality of brand identity and brand image. Burning Man's perspective on branding aligns with the concept of co-created brands, emphasizing the dynamic and iterative nature of brand ident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ceptualise the internationalisation of food and drink SMEs by developing and evaluating a framework specifically for food and drink SME internationalisation. SME internationalisation is an established area of research that has seen a wealth of research since the seminal work of the Uppsala scholars on the stage approach (cf. Johanson & Wiedersheim-Paul, 1975; Johanson & Vahlne, 1977). In recent decades SME internationalisation research has focussed on a range of issues that impact on internationalisation, from company characteristics (cf. Jones & Coviello, 2005; Hsieh et al., 2019) entrepreneur characteristics (cf. Reuber & Fischer, 1997; Ramón-Llorens et al., 2017), network connections (cf. Johanson & Mattson, 1988; Johanson & Vahlne, 2009) and determinants to international growth (Katsikeas et al., 1996; Li, 2018). This wealth of research underlines the complexities in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internationalis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ritical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isation specifically for food and drink SMEs, through an evaluation of relevant theory and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food and drink SME internationalisation. These aims address three gaps in the literature, namely, limited research on specific industries, limited research on food and drink SMEs, and few efforts to conceptualise the SME internationalisation process.
본 논문은 중국 강소성 소주 운암사 탑과 서광사 탑, 그리고 절강성 금화 만불탑 안에서 발견된 소형 금동불상의 종류와 상태, 그리고 상들이 탑 내 봉안된 의미를 탐색한 글이다. 오대~북송 초, 즉 10세기 후반~11세기 중엽에 조성된 세 탑 안에서는 탑의 제3층 탑신부 혹은 탑 아래에 조성된 석실에서 각기 6구, 9구, 그리고 60여 구의 금동불이 수습되었다. 이 시기 불탑 안에 소형 불상이 안치되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안치된 상의 성격이나 그 의미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은 상의 상태와 제작 시기 를 조사하여 대체로 이들은 탑보다 적게는 50년, 많게는 500여 년 앞서 제작되었으며, 광배 가 결실되거나 상의 일부가 파손된 채 안치된 것이 많음을 확인했다. 파손된 옛 불상을 탑 안에 넣은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唐宋전환기라 불리는 이 시기 두드러지게 보이는 佛事의 신경향을 주목했다. 개인적인 발원을 담은 소형 불상의 제작이 감소함과 동시에 불상이나 탑내 다양한 공양물을 넣는 불사가 크게 유행했으며, 파손되었을 뿐 아니라 제작된 지 오래되 어 발원의 의미가 희미해진 옛 불상을 매장한 관습이 그것이다. 파손된 불상을 수리하여 사 찰의 경내에 보관하거나 소형 금동불을 불전에 진열해 놓았던 唐 이전의 관습 대신 오래된 상들을 매장하는 것이 당시 중국 각지에서 유행했는데, 江浙 지역에서는 그러한 불교 교장 을 조성하는 대신 탑이라는 공간 안에 옛 금동불을 모아 넣었을 것으로 보았다.
For any research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er’s intended purpose, the depth of research is added, and the area of the subject is expanded by clearly defining the scope and objectiv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bibliographic data of 254 paper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and restaurant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from 2002 to 2021.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2002 to 2011, and 2012 to 2021. Research topics were derived 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emporal changes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keyword networks by period. In addition, analyzing the keyword network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foodservice” and “restaurant”, the research top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which keywords were expanded by period.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mostly studied for satisfaction and nutrition. Additionally, they were classified into procurement, Korean food before employee menu, marketing, restaurant industry, and quality. In the period from 2002 to 2011,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encompassed a wide range of research topics, focusing on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 the second period from 2012 to 2021, the research topics were more classified and subdivided.
The War on Terror launched by the US against Islamic terrorist groups persisted through the Bush-Obama-Trump administrations for nearly 20 years before President Biden completely withdrew the US forces from Afghanistan by the end of August 2021. These military interventions are noticeable examples of American unilateralism in the Middle East. The War on Terror has been severely criticized by the global community as military actions without just cause and lacking grounds under international law. This research aims to critically evaluate the War on Terror in terms of legal and political theories of war now that twenty years of American unilateralism in the Middle East is over.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amines other underlying reasons for, and the outcomes of, the war against terrorist groups. He will also suggest peaceful means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Middle East conflict with a view to preventing war in other world regions.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ondo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at Hoeamsa Temple Site is known as Joseon. The main reason is that a large number of remains in the Joseon era were excavated from the ondol floor with an all-around ondol method. This article partially accepts the theory of the creation of Ondol at Hoeamsa Temple Sit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suggests a new argument that some Ondol remains were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ground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building sites consistent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heonbosan Hoeamsa Sujogi (天寶山檜 巖寺修造記, Record of Repair and Construction of Hoeamsa at Cheonbosan Mountai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ndol remains as a basic floor was maintain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in Goryeo. Second, the all-around ondol method of the Monastery Site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since the Goryeo Dynasty. Third, some ondol remains consist of "Mingaejari" and "Dunbeonggaejari," which were the methods of the gaejari (which dug deeper and stayed in the smoke) in the pre-Joseon Dynasty. Based on the above evidence, this study argues that the building sites such as Dongbangjangji, Seobangjangji, Ipsilyoji, Sijaeyoji, Susewaryoji, Seogiyoji, Seoseungdangji, Jijangryoji, and Hyanghwaryoji were construct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책들을 간결하게 검토하는데, 이 작 업은 예이츠와 그의 포스트모던한 작품의 면모를 읽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런데, 모더니즘 혹은 포스모더니즘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는가? 아마도 어렵지 않을까? 나에게 이 질문을 던지면 나 역시 쉽게 답하지 못할 같다. 그래서 이 문제를 안고 책 몇권을 뒤적인다. 그래서 결국 이와 관련하여 제안을 하고 싶은데, 낭 만주의, 모던니즘, 포스모더니즘 등 -주의, 혹은 -이즘 대신에 문학사적으로 운동을 시 기(시대)구분 하는 것은 어떨까?
오디오SNS는 기존의 SNS가 개방성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제한적 속성을 주 된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기반으로 제한적 속성이 사용 자의 오디오SNS 수용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제한적 속성을 접근 제한성, 소통제한성, 콘텐츠제한성 변수로 정의해 각 변수가 VAM의 핵심 변수를 매개로 인 지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총 207명의 오디오SNS 사용자 및 잠재 사 용자의 설문 응답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가지 제한성 변수가 인지된 편익 요소인 유용성과 유희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의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에 기반한 모형과 새로운 형태의 SNS 성장을 위한 방 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인류는 늘 평화를 염원하지만 현실은 이러한 소망과 달리 다양한 갈등, 폭력, 전쟁 등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한편 평화를 위해 기여해 야 할 종교들마저 많은 곳에서 분열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평화에 남다른 관심을 가져온 세계교회협의회 (WCC)는 JPIC를 주장하면서 평화를 선교의 한 목표로 설정하였다. 평화를 중시하고 평화를 위해 교회가 기여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하지만 평화를 교회의 윤리적 과제가 아닌 선교의 목표로 삼을 때는 다양하게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지 못하면 교회는 선교를 수행하면서 예상치 못했던 다양한 문제들에 봉착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평화 개념을 선교의 목표로 삼는 것을 재고해보는 것을 주된 과제로 삼았다. 즉 본 연구는 세계교회협의회가 추구하는 평화에 대한 관심의 흐름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협의회가 주장하는 평화 개념의 주된 특징들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협의회가 말하는 평화의 주된 강조점들을 분석하 고, 그 후 평화를 선교의 목표로 설정할 때의 기여점과 한계점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W. B. 예이츠가 20세기의 주요 작가인지를 다시 고찰하려한다. 더 나아가 그가 지난 세기뿐 아니라 금세기의 가장 위대한 시인인지를 보기 위해 그의 “주요” 시를 재조명하려고 한다. 지난 세기의 대작가들인 T. S. 엘리엇과 W. H. 오든을 포함하여 예이츠가 1939년 사망 20-30년간 주요 평론가와 시인들이 내린, 예이츠는 대시인이다, 라는 평가가 있었으니까 지금의 평가가 더 자세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단지 엘리엇과 오든이 가졌던 이 평가에 대한 의심에 초점을 맞추려한다. 그 들은 예이츠의 신화에 대한 의심이 있었지만 본 저자는 긍정적이다. 그들의 의심은 예 이츠가 “마술”의 시인이라는 데 기인한다. 그가 마술의 시인이었다는 점은 문제가 되 기보다는 20세기의 불모성의 시학이라는 장애물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를테면, 엘리엇의 신화의 사용은 예이츠와는 다르다. 그는 황무지에서 보듯 이 그는 신화를 빌려다 사용하는데 신화를 신화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예이츠가 그의 주요시에서 신화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 사용이 그의 시들을 어떻게 위대하게 만들고 20세기의 큰 시인들과 차별성을 만드는지 고찰하는데 역점을 둔다.
무형적 예술의 변천 속에서는 인간이 예술을 만들고자 하는 생동하는 의지까지 포착해 낼 수 있다. 그 생동하는 예술의지를 본 연구자는 세계적인 아이돌 방탄 소년단(BTS)의 무대를 통해서 만날 수 있었으며 이에 본고는 그들의 성공 요인을 한국춤의 정체성으로 본 2018년 멜론 뮤직 어워드 무대의 재조명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해당 무대는 세계적으로 선호하는 대중적 요소들 속에서 한국적인 호흡, 춤사위, 도구 등을 접목시켜 예술적으로 표현화 하였다. 둘째, 한국춤의 전통성과 현대성의 조화로 자신들만의 기운생동의 최고점을 선보이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까지 효과적으로 알린 무대였다. 셋째, 어떠한 주제이든, 내용이든, 소재이든 그들만의 기운생동의 무대로 만들어 내는 주체적인 의지와 힘이 바로 BTS 성공의 핵심적인 요인이자, 그들의 정체성인 것이다. 더 나아가 BTS가 추구하는 방향이 옮고, 보다 의미 있는 곳으로 향할 때, 그들은 오랫동안 세계적인 스타이자 예술가로 우리 곁에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안타깝게도 요즘 한국 교회가 세상으로부터 많은 지탄을 받고 있다.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쳐야 할 교회가 오히려 세상으로부터 손가락질을 당하는 모습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교회의 공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공적신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공적신학은 사회의 공공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실제 공공선의 실현을 위해 헌신하도록 도전한다는 점에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공적신학의 이와 같은 기여에도 불구하고 과연 공적신학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그 과제를 수행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는 다소 회의적이다. 학자들의 글 속에서는 활발하게 논의가 되고 있지만, 과연 공적신학이 얼마나 이 사회를 바꾸는 일에 기여하고 있는지는 다소 불투명해 보인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공적신학을 다시 고찰해보면서 공적신학의 의미와 주요 강조점들을 정리한 후 이론적 측면 및 실천적 측면에서의 한계점들을 고찰해보았다. 특별히 공적신학은 교회의 정체성 약화를 가져올 수 있는 한계점도 지닌다. 공적신학이 이러한 점들을 유의하면서 그 한계 점들을 잘 보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Adopting a critical feminist lens largely informed by Judith Butler, this study seeks to offe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intersection of gender, markets and consumption by examining how the traditional dating scripts of gendered grooming are represented in popular romantic comedy movies and expressed in everyday dating relationships. Rethinking the gendered experience of personal grooming in dating: a comparison of dating as embodied in romantic comedies and everyday life
예이츠를 단순히 반기독교를 주장한 시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동안 예이츠를 주로 불교, 힌두교, 동양사상 등의 관점으로 살펴보았지만 이 연구는 예이츠 의 기독교(성)에 중심을 두고 연구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예이츠를 단순히 기독교와 는 대립 되는 시인으로 단정한다면 모순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몇몇 작품에서는 예이츠가 기독교 『성경』의 내용을 차용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as they travel more, the Chinese consumers are making a rapidly-growing share of their luxury purchases outside the Mainland. Their purchases are now the most part of the sales in the luxury shops in Europe. This paper aims to analyze if and how their buying behavior is affecting the retail mix.
Design approach: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hinese customers on European luxury shops a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developed by mean of 346 observations, in a period of four months, of the buying behavior inside a luxury shop in Italy. We used the mystery sales person approach. The research aimed to verify the consistency of the traditional retail mix of a luxury shop with the requests of these new customers.
Findings: the research highlighted that the buying behavior of the Chinese globetrotters is quite differen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European and American luxury customers, and that their requests are not fitting with the existing luxury shop retail mix.
Research limitation: The research process was heavily limited by the particular situation of a Chinese luxury customer, who doesn’t like to be interviewed. So the research approach should be totally indirect, similar to a mystery research. Only one luxury brand could be included in the sample, while a comparison between more brands seems to be more fruitful.
Practical implications: the traditional retail mix of luxury shops, based on long and careful relationship, exclusive spaces and atmospheres, timeless and experiential experiences inside the point of sales are not fitting with the needs of Chinese luxury shoppers. It must be reconsidered and innovate, coping with the paradox represented by traditional European customer desires and new Chinese ones: the same location for two totally different approaches.
Originality: in the new era of globalization almost the totality of the previous studies analyzes the strategy of western retail luxury chains in China, focusing on how the West is influencing Chinese customers, skipping the reverse situation. This paper focuses how Chinese customers can influence European luxury shops.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Jeonggwanheon(靜觀軒) in terms of its use and architectural style after restoration work through the recently discovered [Deoksugung Palace's original plan](1915). It is presupposed that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Jeonggwanheon, such as its status as the banquet hall of the Imperial Empire and the place where Emperor Gojong enjoyed coffee here, was a fantasy made from the transformation after the 1930s. When it was built around 1900, Jeonggwanheon arranged small and large rooms around the corridor in the center, and the porch surrounded the three sides of the building. From 1900 to 1907, there is no remaining record telling us who did what or when something happened in Jeonggwanheon except for several portraits of Emperor Gojong and his son which were drawn in 1902. The mixed use of brickwork and wooden porch are found in many of American style houses built in Incheon and Seoul at that time. Especially, the style and decoration of wooden porch seem to be influenced by Queen Anne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America.
1996년에 창설된 타이페이 비엔날레(TB)의 기획 메커니즘은 타이완 출신 큐레이터들의 공동 기획 체제(1996)로부터 일본 출신의 단일 큐레이터 체제(1998), 그리고 해외 큐레이터와 국내 큐레이터가 협업하는 이원 큐레이터 체제(2000-2010)를 거쳐서 다시 단일 큐레이터 체제(2012-2016)으로 회귀하기까지 다양한 과정을 겪었다. 특히 최근 단계에서는 서구 출신의 큐레이터들이 주도권을 장악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페이 비엔날레의 창립 당시 목표와 후대의 전개 양상 사이의 괴리 현상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이 행사가 타이완의 복합적인 지역 담론과 쟁점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단순히 동시대 국제 비엔날레의 추세를 수용하는데 머 물러 왔으며, 그 배경에 타이페이 비엔날레의 기획 메커니즘 뒤에 작용하고 있는 ‘자기 식민 지화’의 경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시는 기이하여 우리를 울고, 미소 짓고, 웃게 하거나, 우리를 행복하게 혹은 불행하게 하며, 평범한 것을 특별한 것으로 혹은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한다. 어린 아이에게 시를 가르칠 수도 있지만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사실이다. 시는 태어날 때 가지고 태어나지만 자기와 다른 시에 작동하는 것들과 접함으로써 시인의 마음과 지력이 예민해진다. 본 논문은 세 시인, 셰익스피어, 예이츠, 파운드의 시적인 특징 몇 가지를 다룬다. 이 시인들은 비슷하다기보다 전혀 다르지만 공통점이 좀 있다. 각자는 자신의 시대를 반영하고 자신의 시대가 요구하는 시를 빗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