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권력과 지위는 사회계층을 구분하는 핵심 요소들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 둘은 사회적 영향 력의 기반이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원천에 의해 발생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Fragale et al., 2011). 권력은 주로 능력이나 법적, 제도적 정당성에 근거하지만 지위는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 따라서 권력자 는 자기중심적으로 행위하지만, 지위를 가진 사람은 관계중심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Hasty & Maner, 2020). 사람들 또한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여 권력과 지위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고정관념 혹은 기대를 가진다 (Magee, 2009). 본 연구는 권력 혹은 지위의 중요한 사회적 영향인 사회적 배제 행위에 대한 판단이 행위자의 권력과 지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행위자의 권력, 지위, 익명성을 조작한 사회적 배제 시나리오 를 구성하여 참가자들에게 행위자의 고통과 행위 공정성을 평정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권력과 지위에 따라 행위자의 공정성과 고통이 달라질 것이라고 응답했으며(실험 1), 이는 앞서 언급한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패턴을 보였다. 특히 권력이 낮을 때와 지위가 높을 때 익명성에 따른 효과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실험 2A, 2B) 이는 권력보다는 지위가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는 주장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4,600원
        2.
        202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반일제 이상 교육기관(일명 영어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사교육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 들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부모가 자녀 사교육과 관 련된 요인을 다면적으로 검토하고,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과열된 유아 사교육이 완화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사교육 수요동기는 자녀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자녀를 잘 키우고 자, 자녀가 좀 더 나은 졸업장을 획득하게 하고자, 남들이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자녀가 경쟁우위를 점하게 하고자 하는 순서로 분석되었다.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기대감이 높은 반면, 부담감과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주거환경 보다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 개수는 자녀를 적게 낳는 만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클수록,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많았다. 사교육비용은 자녀의 인적자본 을 축적하고 싶은 마음이 높을수록, 주거환경이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부모의 소득수준과 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자 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가 해외거주 경험이 없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수요동기 및 사교육 인식 과 사교육비용 간의 관계에서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 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7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북한 접경지역 중 북한의 접경지역 현황을 현재 북한에서 추진중인 정책을 중심으로 보다 세밀히 분석하여 남북 접경지역 교류협력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북한 접경지역 현황을 검토하기 위해 행정(인구, 면적, 범위)과 교통, 기후 및 재해를 확인한 결과, 접경지역은 특징적으로 서부, 중부, 동부로 분류해서 설명이 가능하였다. 첫째, 서부 접경 지역이다. 서부 접경지역은 개성공업지구 바탕의 경공업, 왕건릉 등 관광업, 배천군의 농업, 연안군이 수산업(연백제염소) 등이 발전하였다. 서부 접경지역은 다른 접경지역보다 발달된 교통인프라 수준과 평양과 근접성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산업발전이 진행되었다. 둘째, 중부 접경지역이다. 중부 접경지역은 김정은 시대 들어와 집중적으로 진행중인 세포지구축 산업 정책 발전이 두드러졌다. 세포군-이천군-평강군으로 이어지는 축산 업과 목축업은 최고지도자의 지시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셋째, 동부 접경지역이다. 동부 접경지역은 금강산을 중심으로 해안지역은 관광업과 수산업이 활성화되었으며, 내륙지역은 생태산업, 광업 등이 발전하였다. 향후 남북 접경지역을 활용한 남북교류협력 방안 모색으로 첫째, 서부 접경지역은 기존 개성공단 재개를 통한 경공업 교류협력과 관광 및 스포츠 산업 교류협력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중부 접경지역은 남북 모두 축산업이 다른 지역보다 발달하였으며, 북한에서는 정책적으로 축산 업과 목축업이 체계화하고 있다. 따라서 중부 접경지역 또는 기타 지자체의 투자로 중부 접경지역 내 축산업 기지를 조성하여 남북 공동 관리 또는 북측에 위탁경영을 의뢰할 수도 있다. 셋째, 동부 접경지역은 기존 금강산관광협력 재개를 통한 남북 관광협력이 가능하다. 북한은 2019년 10월 김정은의 금강산 시찰 이후 금강산 철거를 지시하고 북한식 개발계획을 제시하였지만, 현실적으로 금강산 관광사업은 남북 간 관광협력 사업이 재개되어야 활성화 가능 사업이다. 따라서 정부의 미국 및 UN안보리 설득 등이 필요하다.
        6,700원
        4.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과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노인회관, 경로당 이용 노인과 지역사회 거주 노인 4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과 AMOS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노인의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10,500원
        5.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 분양⋅임대혼합아파트와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현황과 문제점, 대책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사회적 혼합이란 주거지 개발의 방향을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한 장소에서 함께 거주하도록 도모한다는 뜻으로 ‘소셜믹스(Socail Mix)’라고도 불린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분양아파트와 공공임대아파트를 한 공간에 혼합하여 건설하는 소셜믹스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로 지어지고 있다. 사회적 통합에 기여하고자 하는 긍정적 목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소셜믹스 단지는 입주민 간의 갈등과 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배제현상까지 나타나 진정한 통합을 이루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입주민간의 교류를 강화하고 지역공동체 의식을 함께 갖도록 하는 기회가 많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향후 소셜믹스 아파트 단지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대책의 강구가 필요하다.
        4,500원
        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 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13 명으로, 평균연령은 71.38±5.59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제변수간의 차이, 영양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가족간지 지, 친구간지지, 상호 의존적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의 독립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삶의 만족도는 교육(F=5.280, p=.002), 경제상태(F= 22.407, p<.001), 월수입(F=3.181, p=.015), 주관적 건강상태(F=14.9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립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가족간 지지(r=268, p<.001), 친구간 지지(r=.286, p<.001)에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고, 영양상태(r=-.222, p=.001),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3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지지(r=-.283, p<.001)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은 경제적 상태(β=.358,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4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β=-.158, p=.009),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β=-.153, p=.012)으로 30.1%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23.778,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노인을 위한 재정적 지지, 노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을 활성화하는 구체 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factors on the use of honorific language by discourse completion test. Participants complete a short discourse by filling in their responses in conversations that may occur in families, schools, and workplaces where the social status and solidarity of the listener is predetermined. Honorific styles of sentence endings of their responses are analyzed by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tatus and solidar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the use of honorific styles, but their effects are dependent on the discourse situation. The ratio of using honorific styles gradually increases as the formality of situation increases (i.e., family < school < workplace). Interestingly, when the solidarity is low at the workplace, the ratio of using honorific styles is consistently high regardless of the social status of the listen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Korean honorific styles is pragmatically changing according to the discourse situation.
        6,600원
        9.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an experimental design, we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l product novelty and consumers’ curiosity depends on perceived fashion influencers’ socioeconomic statu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mediating role of curiosity in the product novelty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and intention to use a social shopping service.
        4,000원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회성 말벌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과거 1960-1980년도까지 1차적으로 한국산 말벌을 정리하여 그 개략적인 윤곽이 나타났으며 90년대 이후 전문 분류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현재 남한지역에서 보고된 사회성 말벌류는 총 2아과 5속 30종이다. 그러나 아직도 분류학적 논의가 필요한 종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특히 각 계급별 및 벌집의 특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종들이 많은 상태이다. 최근 들어서는 외래종 말벌의 침입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중보건적, 경제적, 생태적 피해가 나타남에 따라 이들의 조절 및 관리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의해 전국적으로 말벌류가 증가함에 따라 119 소방서의 벌집제거수가 연간 20만건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종 벌쏘임 사고가 빈발하여 연간 10여명의 사망사고가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말벌을 이용하여 만든 노봉방주의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의 과학적 검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독성, 타액 등의 효능분석 및 유해성 분석도 일부 진행되고 있다. 그 외 말벌의 공격성분석, 먹이 원분석, 사냥행동 특성, 기생, 천적 등의 생태적 연구도 일부 진행 중에 있다. 이처럼 말벌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말벌 전문 학자 부족으로 인해 가시적인 연구 성과가 미진하며 문제 해결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wellness may represent a status symbol in some contexts, recent studies have pointed that healthy food remains largely associated with a negative social image (Stead, McDermott, MacKintosh, & Adamson, 2011). This negative perception may very well represent a hindering factor to the adoption of healthy foo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health and economic problems associated with high BMI.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social status of healthy food can be improved. Manipulating the number of followers on a social media account, we study how this social validation cue can stimulate consumers to eat more healthily. Furthermore, we explore the mechanism that may lead to positive consumer responses towards the message and the healthy food. A between-subject experiment on 290 individuals aged between 17 and 65 shows that the process relies on social influence driven by the influence of presumed influence (i.e., an individual’s perception that a message strongly influences others and consequently impacts his/her own reactions to the message (Noguti, & Russell, 2014)).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well-being behaviors are discussed.
        1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13.
        2017.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이루어진 주대(周代)의 종묘(宗廟) 연구에서의 핵심 논의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주나라 때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정의된 ‘종묘는 왕실 사당이다.’ 라는 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이었으며, 당시 그것은 통치자의 거소 기능을 하던 곳이었다. 따라서 『논어』와 같은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성서(成書)된 고전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종묘가 언급되는 부분에서는 기존의 제사와 관련된 일방적인 해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하였다. 주대의 묘(廟)는 천자(天子)로부터 사(士) 계층까지, 통치자와 상·하급 관료 누구나 지닐 수 있었던, 정전과 편전 내지 사랑채 등의 기능을 하던 건축물이 었다. 당시 예(禮) 의식의 주체에서 배제된 서인(庶人) 이하의 계층에서는 고비용이 드는 묘를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었다. 한편, 선진시대의 사 계층은 자신들의 묘에 ‘종(宗)’자를 부가하여 종묘라고 칭할 수 없었다. 그것은 작위와 영토를 상속받은 자의 묘일 경우에만 종묘라고 칭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여기서의 ‘종’이란, 봉지와 신분의 시작을 열었던 ‘조(祖)’의 상대어로서, 종은 바로 그 조의 대대손손 사자(嗣子)나 사손(嗣孫)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사대부 가문의 사당으로 인식되어 온 ‘가묘(家廟)’는, 실상 당대(唐 代) 이후의 기록들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것은 주나라 때의 가(家)라고 하는 영지 내에 있는 ‘대부(大夫)의 묘(廟)’의 의미로 쓰인 것은 물론 아니다. 주대의 묘와 종묘 안에는 주요 건축물인 당(堂)이 있다. 고대(高臺)의 건축물이라는 유사한 형태의 전(殿)과 당은, 그 주인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 왔지만, 전국시대 말 이전까지는 전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아울러 당시에는 천자 제후 대부 등 각각의 신분에 따른 건물명을 따로 구분 하여 쓰지 않았다.
        6,700원
        14.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fashion brands have established brand pages or accounts in social media platforms as a vehicle to promoting brand and managing customer relationship. Customers’ interaction in social media with other customers and brand page maintainers could attract their attention of the brand and inform their purchase decision.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in social media, there has limited attention on the social media using experience specified in fashion brand area. Drawing on theories and concepts from diverse areas including social media marketing, consumer psychology, and fashion brand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 four dimensional of social media using experience to understand how the experience with fashion brand page could enhance customers’ fashion consciousness and status consumption behavior. Data collected from customers who following main fashion brand pages in Instagram and used to test the hypothese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social media marketing of fashion brand are discussed.
        15.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uxury industry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fields in marketing research in which many studies have examined how consumers' background affects their preference for luxury products and luxury brands. Classical theories focused on the affluent social classes and their tendency to consume luxury products to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signal their wealth. Other studies argued that the internalised culture developed during the socialisation years may influence one’s tastes and preferences for luxuries. Whereas, “costly signal theory” and “affirmation resource theory” suggest that luxury consumption extends beyond the traditional symbolic value of luxury brands and the habituated taste consumption drivers. Despite the wealth of current theoretical approache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context of status rankings of luxuries and luxury brands. Thus,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a conceptual framework that links consumption of at different rungs of the luxury brand ladder to a number of variables that may act as moderators which will be defined below. The key predictors are economic resources, cultural capital, perceived social status and desired status. The dependent variable is consumption of luxury brands at different rungs in the luxury ladder. A number of hypotheses are proposed and empirically test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US consumers.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frequency of luxury brand purchases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consumers’ economic resources and desire for status. The hierarchy of luxury brands consumed is driven by consumers’ economic resources, cultural capital and desire for social status. Regardless of economic resources and perceived social status, consumers with high desire for social status are more likely to buy brands which represent high level of luxury. Likewise, people with higher cultural capital would buy higher luxury grading brands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capabilities. Moreover,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social statu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ferences for higher tier luxury brands of cars. In particular, desire for social status seems to moderates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tatus on the hierarchy of brand of luxury car preferences. Desire for status combined with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leads to higher preference for higher tier luxury products. It can be concluded that economic resources are responsible for the frequency people buy luxury brands, whereas cultural capital is responsible for the luxury hierarchy of the consumed brands. Frequent consumption of luxury brands reflects one’s economic status whereas the grade of luxury brands his/her cultural status. However, desire for status seems to be a key variable as it affects both frequency and the ranks of luxury brands purchased. This is an important variable as desire for status is not related with neither the actual social status (i.e., economic resources and cultural capital) nor perceived social status.
        1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ek beauty industry parts' current social insurance admission status. To achieve the purpose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470 beauty artists an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study proposed that hairdresser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and field of nail art showed the lowest awareness in social insurance admission status. Social insurance admission status shows that beauty artists in hair field had the most applicants of national pension, health insuranc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beauty artists of skin field had the highest desire for social insurance application. This study hopes to be used as base line data of social insurance applicants' accurate status and application.
        4,000원
        1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 변화에서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실태 및 현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소재 5개 종합사회복지관의 실무자가 기관별 각각 1명씩 선정되어 1시간 정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환경변화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의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최근에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조직화 사업의 추세는 마을 공동체, 마을 만들기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이 지자체의 일방적인 계획 및 추진으로 진행됨에 따라 많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업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실질적인 예산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의 정체성 및 전문성이 위기를 맞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5대 사업영역에서 3대 사업기능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종합사회복지관의 전문성 및 정체성 확립은 먼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 내에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관의 성격과 정체성이 분명하게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조직 및 인력에 대한 포괄적인 구조조정 및 혁신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의 특성에 맞는 종합사회복지관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민조직화 및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복지마을 만들기가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사회관계망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역복지실천의 내실화를 실천해야 한다.
        4,900원
        1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형평성 주요 척도에 따른 백내장을 분석함으로써 눈 건강 형평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안검진 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수정체안을 제외한 만 20세 이상의성인7,412명을 대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지역에 따른 백내장의 유병률 및 오즈비를 분석하였다. 백내장은 안과전문의가 slit-lamp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건강형평성 주요 척도에 따른 유병률은 t-검정 및 x² 검정하였고, 오즈비(odds ratio)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PASW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백내장의 표준화 유병률은 26.4%이었다, 유병률은 가구소득‘하’에서41.2%, ‘초졸 이하’59.9%.‘무직’53.9%,‘도시지역’62.8%이었다. 건강형평성 주요 척도에 따른 백내장의 오즈비는 50세 이상군에서 가구소득이 ‘하’일 때 2.60(CI, 196-344), ‘무직군’일 때 2.33(CI, 1.49-3.34), 농촌지역에서 1.24(CI, 0.99-1.56)로 높게 나타났다. 20-49세군은 ‘초졸 이하’에서 5.48(CI, 2.71-11.06)이었고, ‘농림어업 숙련 종사지군’에서 .33(CI, 1.37-8.10)으로 높았다. 농촌지역에서 가구소득이 ‘하’일 때 오즈비는 2.33(CI, 1.35-3.69), ‘초졸 이하’일 때 2.03(CI, 0.97-4.26), ‘단순노무 종사지군’에서 1.28(CI, 0.52-3.14)로 도시지역에 비해 높았다. 여자의 경우 가구소득이‘하’에서 1.60(CI, 1.12-2.30), ‘초졸 이하’에서 1.79(CI, 1.09-2.92)로 남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에서 백내장의 유병률과 오즈비가 증가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눈 건강 불평등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위해 저소득층을 위한 종합적인 일차안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의 안보건정책과의 비교를 통해 기존의 치료 위주의 보건정책보다는 예방과 교육 중심의 보건정책의 개발이 요구된다.
        4,000원
        1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urrent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sumer attitudes toward factors determining beef purchasing and improving distribution systems. The frequency of beef purchasing was shown to reflect social and economic status, where inhabitants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with higher salaries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addition, consumers that were in their forties bought beef more frequently than consumers that were in their twenties. Consumers in Seoul and the megalopolis with a monthly income of higher than 200 million won preferred to purchase meat from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markets. In contrast, people in small cities with lower incomes tended to buy meat from butcher shops and brand shops. In a question regarding unsatisfaction factors of retail beef, individuals that were in their thirties with a high income had concerns associated with packaging problems. For people under thirty with low income, the consistency of quality and price were the prime concerns. In regards to the beef grading system, consumer response varied between inhabitants, monthly income and age group, where consumers from small cities that were in their twenties and forties with a low income had a negative viewpoint. For the differential beef distribution system, housewives between the ages of 30 and 40 from a small city with an income higher than 200 million won had a positive response; however, a large number of consumers were not familiar with this system. The most demanding beef cut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loin, flank and rib.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purchasing beef were as follows: price, breed and portion.
        4,000원
        2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시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SNS 시장의 성장은 SNS 서비스의 다양한 콘텐츠의 증가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SNS 콘텐츠 서비스 유형 중 소셜게임 즉 SNS 게임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SNS 서비스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여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는 소셜 게임을 분석하였다. 한국 게임 시장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온라인 게임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국내 게임 업계의 발전을 위해 소셜 게임과 같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게임을 분석하여 변화하는 세계 게임 시장에 한국 게임의 해외 진출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 내용은 소셜 게임의 특성을 고찰하고, 현재와 미래의 국내외 소셜 게임 기술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연구의 주된 범위에 소셜 게임에 대한 정의와 이해, 소셜 게임 특성 분석, 그리고 소셜 게임 현황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소셜 게임의 새로운 경향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소셜 게임 개발 및 글로벌 마케팅 기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4,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