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수 × 수단그라스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 시기 및 수확 후 재생과정에서 요구되는 적정 질소 시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장 실험은 2017부터 2018년까지 실시했으며,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RCBD)으로 여름 수확 후 질소 추비 수준을 달리하여(0, 50, 100, 150 kg N/ha; 0N, 50N, 100N, 150N) 처리하였다. 재생과정에서 canopy height은 2017년 여름 수확 후(DAT, day after summer harvest treatment) DAT23에서 DAT48로 경과함에 따라 약 3.0배, 2018년 DAT26에서 DAT48로 경과함에 따라 약 2.9배 신장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재생과정 초기 질소 무처리구와 질소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DAT48 이후 처리 간 차이는 없었다. 여름 수확은 2017년 파종 후 61일 뒤, 2018년 파종 후 83일 뒤 각각 이루어졌으며 건물수량은 8.6Mg/ha, 11.0Mg/ha로 차이를 보였다. 생육시기별 2차 수확의 건물수량은 2017년의 경우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8년에는 DAT76까지 증가하였다. 2017년 DAT107에서 무처리구(9.0Mg/ha)에 비해 질소 처리구(12.3Mg/ha)에서 1.4배 높았으며, 무처리의 수량이 낮았던 2018년 DAT113에서는 무처리구(2.3Mg/ha)에 비해 질소 처리구 (5.6Mg/ha)로 2.5배 높았다. 수확물의 바이오에탄올 품질을 나타내는 바이오에탄올 수율(TEP)는 생육 후기 cellulose와 hemicellulose 비율 감소로 일부 줄어들었으나, 전체적인 TEP변화는 생육시기나 추비수준과 관계없이 5% 이내로 큰 차이는 없었다. 총 바이오에탄올 수량(total TEY)은 2017년 DAT107에서 7,944L/ha, 2018년 DAT76에서 7,163L/ha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TEY를 높이려면 수확물의 단위면적당 건물중을 증가시키는 재배방법이 필요하다. 여름 수확 후 충분한 재생을 위해서 필요한 질소 추비 수준은 100kg N/ha 이상이었으며, 2차 수확은 여름 수확 실시 후 2개월 이상 경과 한 이후 실시해야 한다.
        4,000원
        2.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of harvest for ramie leaves with the two varieties (Seocheon Seobang and Seoncheon Baekpi) by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crude protein, minerals, ascorbic acid, folate, chlorophyll, ACE inhibitory activity and AChE inhibitory activity were determined. The amount of crude protein in ramie leaf, which was collected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grew up steadily from early May to September. The content of calcium in was higher in Baekpi than in Seobang. Seobang displayed its highest value of 3,569.90 mg% in September, while Baekpi displayed its highest value of 3,163.84 mg% in October. Although, folate and vitamin C contents in the two varieties were slightly different, they were higher as the growth date grew in October. The highest value of chlorophyll content was observed in October, which was later in the vegetative stat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AChE inhibitory activity appeared to be higher in Baekpi than in Seobang. Between June and August, AC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Baekpi variety.
        4,0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떫은 감의 품질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곶감제조를 통해 고품 질의 곶감 생산을 위한 곶감의 식품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고품질의 곶감 생산을 위해서는 품종별 떫은 감의 적절한 선택과 적정숙도를 갖춘 과육을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숙과의 경우 수분함 량, 색도값이 적숙과 및 완숙과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인 반면 경도는 높게 나타났다. 고품질의 곶감의 생 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적황색 혹은 녹황색인 적숙과 이상의 떫은 감을 사용해야 한다.
        4,000원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리 구근의 수확시기와 저온저장 기간에 따라 형태 적 특성 및 내부 구성물질의 변화는 구근 품질에 영 향을 준다. 본 연구는 구근 수확시기와 저온저장 기간 이 오리엔탈 나리 ‘Siberia’와 ‘Sorbonne’ 구근의 nose 크기와 당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구근은 충남 태안에서 9월부터 11월까지 1주일 간격으로 수확 하여 형태적 특성(구주, 구경, 구고, 구중, nose 높이, nose 폭)과 총 당 및 유리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구중에서 ‘Siberia’는 10월 중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Sorbonne’는 11월 초까지 증가한 후 감 소하였다. Nose 크기는 품종에 관계없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총 당과 sucrose 함량은 11월 초까지 증가하였는데 이는 지속적인 광합성 산물의 이 동 및 축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온저장 기간과 구근 특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저온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품종에 관계없이 nose가 커졌다. 저온저장 기간 동안 fructose와 glucose는 3월말까지 감소하다가 그 후 증가한 반면, sucrose는 단당류의 증가 시기에 감소하였지만 총 당 함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4,000원
        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얼룩찰1호의 재식밀도별 이삭 특성은 4,700주/10a의 재식밀도에서 이삭길이와 개당이삭중이 양호하였으며 착립장률, 10a당 상품이삭수와 이삭중이 높아 수량성과 상품화율이 높았다. 2. 흑진주찰은 4,700주/10a의 재식밀도에서 이삭길이, 착립장률이 양호하였고, 가장 높은 상품지수를 나타내었다. 3. 얼룩찰1호는 출사 후 26일에 이삭특성과 상품형질이 좋게 나타났으며 식미검정에서도 외관, 질감, 맛 등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4. 흑진주찰은 수확시기에 따라 이삭특성과 상품성이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식미검정에서 출사 후 23일에 수확한 옥수수에서 맛과 질감이 우수하였고, 외관과 색에 대한 선호도는 출사 후 27일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출사후 27일에 수확한 옥수수가 가장 높았다.
        4,000원
        9.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olanum nigrum Linne fruits according to harvest time. Four kinds of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were detected in S. nigrum fruit, and the free sugar contents varied significantly with harvest time. Organic acid content of S. nigrum fruit showed the highest in malic acid and acetic acid, an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s was found in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8th and October 25th. F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8th was the highest. The strong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ed in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1th and October 18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were th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from S. nigrum fruit collected on October 18th and October 11th. Thus, it seems the best to harvest of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1th and October 18th.
        12.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추김치의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별 total GSL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6~7월, 8~9월, 10~11월, 12~4월 및 5월(2008년) 수확하여 제조한 배추김치를 anion-exchange column을 통과시키고 아세톤 침전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crude myrosinase로 반응시켜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의 경우 8~9월 배추김치가 다른 기간에 제조된 배추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H의 경우 저장 3일,
        1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as Agrimonia pilosa well as their antioxidant capacity according to the havest time and positions were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extraction with MeOH. Among havest times harvestry in July showed highest conte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harvestry in May showed lowest contents of the phenolic compounds. Among the 4 positions (root, branch, leaf, flower) of Agrimonia pilosa the root contained highest contents of the phenolic compounds.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Agrimonia pilosa were increased roughly with increasing level of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positions.
        1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험장에서 육성한 품종인 명안, 불로, 청대, 장명, 청운과 육성중인 청양6호, 청양7호 및 청양재래의 가용성 무질소물, 조단백질, 조지질, 회분, 총 폴리페놀, 엑스, 베타인의 함량을 8, 9, 10 및 11월의 수확시기별로 조사한 결과, 가용성 무질소물 및 엑스는 육성중인 청양6호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단백질, 총폴리페놀 및 베타인의 함량에서는 육성중인 청양 7호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질은 청대에서, 조회분은 청운에서 가장 높았다. 건과비율은 육성중인 청양6호에서 가장 높았고, 건과비율이 높을수록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증가 (r = 0.70)하는 반면 조단백질 (r = -0.83) 및 조회분 (r = -0.71)등은 감소하였다. 일반성분 중에는 서로 일정한 상관을 보였는데,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이 증가하면 엑스의 함량 (r = 0.81)은 높아지는 반면, 단백질 (r = -0.88), 지질 (r = -0.82) 및 회분 함량 (r = -0.81)은 감소하고, 총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면 베타인 함량이 증가 (r = 0.90)하는 경향이었다. 품종특성과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육성중인 청양 6호는 가용성 무질소물 및 엑스분이 높게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건과비율이 높아 타 품종에 비해 쉽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고, 청양 7호는 조단백질, 총폴리페놀 및 베타인 함량이 높아 기능성 품종으로서의 가치를 보여주었다.
        15.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ing date of soybeans [Glycine max (L.) Merr.] is one of production components in cultural systems.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oybean production and cultural practices encompassing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that respond to dry matter accumulation, harvest index and yield components. Three determinate soybean cultivars were planted on May 13 (early), June 3 (mid), and June 24 (late). Planting density was 60~times 15cm with 2 seeds (222,000 plants per ha). Soybean plants were sampled every 10 days interval from the growth stages of V5 to R8 and separated into leaves including petioles, stems, pods, and seeds. Dry matter accumulations, harvest indices, and yield components were measured. Early planting had taken 55 days from VE to R2 and late planting taken 39 days indicating reduced vegetative growth. Early planting showed higher leaf, stem, pod and seed dry weights than late planting. However, late planting appeared to be higher harvest index and harvesting rate. Vegetative mass including leaf and stem increased to a maximum around R4/R5 and total dry weight increased to a maximum around R5/R6 and then declined slightly at R8. The highest seed yield was obtained with mid planting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arly and late plantings. Cultivar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plant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soybean yield in relation to planting dates examined was mainly associated with harvest index and harvesting rate, and planting date of cultivars would be considered soybean plants to reach the growth stage of R4/R5 after mid August for adequate seed yield.
        1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초향 국내 수집종의 생육특성 및 수확시기별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종들의 개화기는 8월 13일~8월25일로 진도 수집종이 가장 늦었고 초장은 120~170cm, 주당 분지수는 13~21개, 화방군(花房群)의 길이는 10~15cm였으며, 화방군(花房群)의 수(數)는 13~22개로 수집종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2. 수집종들의 부위별 건물수량 (kg/10a)은 꽃 109~156kg, 잎 135~252kg, 줄기 421~932kg, 뿌리172~394kg으로 꽃과 뿌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물수량은 개화 중기 (9월 20일)에 수확한 것이 가장 많았다. 3. 수집종들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꽃 0.32~2.34%, 잎 0.97~1.64%, 줄기 0.03~0.21%, 뿌리 0.91~6.56%로 뿌리의 함량이 가장 높고 줄기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4. 잎의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은 개화전(開花前)이 각각 3.76%, 5.78%로 개화후(開花後)의 1.55%, 2.10%보다 더 높았으며 지상부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개화전에 가장 높았으나 정유 함량은 개화말기에 가장 높았다.
        17.
        199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 of storage on the tree and quality of early cultivar of Citrus unshiu Marc. produced in Cheju according to harvest time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s, acid content, flesh ratio, firmness and specific cavity of the fruits harvested at 27th of November were 12.0, 1.03%, 79.98%, 0.774kg-force, 0.912, respectively. Soluble solids,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were increased gradually, but acid content was decreased slightly as delayed in harvest time. Otherwise specific gravity and firmness were not shown in great during harvest time, color index(a/b) was increased sharply till late November and then remained in stationary phase. On these result, we recommend that the harvest time of early cultivar of Citrus unshiu Marc. would be during December because of wilting partly. Fully ripened-fruits harvested late, compared to ordinary harvest time, with cold storage would be kept more quality and freshness of fruits for fresh consumption than the fruits harvested early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