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70

        382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n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carcass grade, and blood characteristics and immunity in case of dietary addition of pegmatite to Hanwoo steers. Relative to Hanwoo steers, initial body weight was 257.3±11.74 kg (8-months old after birth). Forty-eight Hanwoo steers were fed for 24 months using random arrangement (4 treatment plots×4 heads×3 repeat). The treatment plot (498.75~500.82 kg) had higher weight during the early fattening stag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plot (474.37 kg) (p<0.05). Regarding total cholesterol of the blood, the value was similar to one during initiation of testing, but the value increased gradually based on the progress of fattening. In addition, the triglyceride was considerably low in T2~T3 plots with high addition of pegmatite during the late fattening stag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plots (p<0.05). This study revealed a tendency in the IgG content that represented immunity as the addition of pegmatite became higher (p>0.05). This study found that the treatment plot (441.55~452.10 kg) had higher carcass weight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436.30 kg).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reatment plot (2.30~2.55 points) had higher carcass quantity grade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2.11 poi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rol plot (3.55 points) had higher carcass quality grade compared with the treatment plot (2.67~3.09 points) (p>0.05). With studies combined, it was determined that dietary addition of pegmatite to the feed as clay minerals in fattening Hanwoo steers would improve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quantity grade.
        4,000원
        382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obesity, glucose intolerance and elevated blood pressure, is related to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purple corn extract.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purple corn extract (PC) against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and glucose intolerance, and examined the underlying mechanisms by analyzing expression of proteins and genes involved in glucose regulation and macrophage infiltration. C57BL/6 mice were fed with normal chow diet (ND), or HFD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DW, control) or PC, for 10 weeks. Although body weights were similar in the HFD-fed groups, we observed a decrease in the liver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EAT) weights, and enhanced glucose tolerance test (GTT) results in the PC group, as compared with DW group. Liver showed increased Akt phosphorylation in the PC-treated mice; however, no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EAT, for all groups. In PC-treated mice, decreased macrophage infiltration was seen in the EAT, with a reduced expression of macrophage marker genes. Finally,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 expressions were decreased by PC in the EAT, and a modest trend for downregulation was observed in the liver. Hence, we conclude that PC may decrease glucose intolerance by increasing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reducing the macrophage infiltration into the EAT.
        4,000원
        382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hmic heating is an internal heating metho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when an electrical current passes through food, electric resistance heat is uniformly generated internally by food resistanc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the thermal properties, external structure, internal structure, and swelling power of ohmic heat treated starch of various starches, such as potato, wheat, corn, and sweet potato, differed from those of conventional heating at the same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pasting property of starch, treated with ohmic and conventional heating, were measured by RVA (Rapid Visco-Analyzer). Our results show that as the ohmic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PV (Paste Viscosity) of the starch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PT (Pasting Temperature) increased. Changes in PV and PT indicate that the swelling of starch remains unchanged by ohm heating. The HPV (Hot Paste Viscosity), CPV (Cold Paste Viscosity) and SV (Setback Viscosity) of ohmic heated starch also differed from the conventional heated starch. The pasting property is similar to the viscosity curve of common cross-linked modified starch. In this experiment, we further confirm the similarity with modified starch and its usability.
        4,000원
        382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dded stevia leaf powder at ratios of 0.5, 1.0, 1.5, and 2.0 percent to Omija-pyun (Schisandra chinensis Jelly) as a natural low-calorie sweetener instead of sugar which is added to Omija-pyun in considerable amount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the addition of sugar. Moisture content of Omija-pyun expanded by increasing the measurement of stevia leaf powder (p<0.001), pH (p<0.01) and sugar content (p<0.001) decreased. L-values and b-values revealed a tendency to increase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but a-value revealed a tendency to decrease (p<0.001). Hardness (p<0.001) and chewiness (p<0.05) decreased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Based on the consumer preference evaluation, Omija-pyun with the addition of 0.5 percent stevia leaf powder was the most preferable in terms of color and flavor (p<0.001). The control group and Omija-pyun with the addition of 0.5 percent stevia leaf powder was the most preferable in terms of taste and texture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oleptic properties except hardness between the samples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he control group revealed the highest preference in terms of redness and transparency, and redness and transparency tended to decrease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p<0.001). Organoleptic properties on bitterness and sourness were enhanced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garding antioxidant properties, total phenol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Omija-pyun increased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and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lso increased (p<0.001). Based on results, it is preferable to serve Omija-pyun with the addition of 1.0 percent stevia leaf powder instead of sugar within the context of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382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latin concentration and storage on color and texture of puffer fish stock jelly. Puffer fish stock jelly was prepared by adding various amounts (2.5~10 percent) of gelatin to puffer fish stock. Color changes of puffer fish sstock jelly were also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4℃ and 25℃ with varying amount of gelatin (2.5~10.0 percent).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the L values of puffer fish stock jelly were slightly increased, while a values of the stock jelly were negatively decreased during storage. However, L and negative b valu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gelatin concentration, whereas a values were increased negatively with increasing gelatin concentration. The texture profiles of puffer fish stock jelly such a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25℃ and 4℃ at various intervals. The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at 25℃ for four days, while those of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However, the values of all textural parameter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gelatin concentration in puffer fish stock jelly. Patterns of textural parameters of puffer fish stock jelly stored at 4℃ were practically identical to those stored at 25℃.
        4,000원
        382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udarabine, a chain terminating anti-cancer drug, is a purine analogue that causes DNA strand breaks in normal cell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if A. melanocarpa and Korean red ginseng extract mixture reduce cytotoxicity of fludarabine. Treatment of HaCaT cells with 10 μM of fludarabine for 24 hours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DNA strand breaks. Treatment of A. melanocarpa and Korean red ginseng extract mixture for 24 hours increased cell viability as compared with single extract treatment. The protective effect of these extracts on cell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DNA strand breaks induced by fludarabine decreased as concentration of extract mixture increased. p-H2AX level, a marker of DNA strand breakage, de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mixture. The effect of mixed extract of A. melanocarpa and Korean red ginseng on DNA damage is due to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 melanocarpa and signal transmission through glucocorticoid receptor upon binding of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4,000원
        382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diabetic effect of dried-silkworm Dongchunghacho water extracts was investigat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Seven-week-old SD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normal control (NC) group, diabetic control (DC) group, water extracts of Paecilomyces japonica grown on a dried-silkworm (PJ-DS, 50 mg/kg) group, PJ-DS (250 mg/kg) group, water extracts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on a dried-silkworm (CM-DS, 250 mg/kg) group, and water extracts of dried-silkworm (DS, 250 mg/kg) group. These groups were orally provided with sample dissolved in water respectively for four weeks after an injection of STZ (60 mg/kg, ip) followed by identification of diabetic control (DC) group. After four weeks, body weight of all diabetic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NC) group, but among diabetic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lood glucose levels of the PJ-DS (50 mg/kg), PJ-DS (250 mg/kg), CM-DS (250 mg/kg) and DS (250 mg/kg) groups were reduced compared to the DC group by 3.0 percent, 18.5 percent, 6.9 percent and 13.1 percent,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blood plasma were to some degree decreased in PJ-DS (250 mg/kg) and DS (250 mg/kg) groups compared to the DC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dried-silkworm Dongchunghacho water extracts (PJ-DS) boost protection against STZ-induced toxicity.
        4,000원
        3828.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2015 KNHANES to understand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middle-age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ose that eat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were 76.3 percent (male) and 72.7 percent (female). Frequency of eating lunch and dinner, and eating ou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le subject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ating lunch, dinner and eating out. Female subjects that ate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had lower height and weight compared with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Adults that eat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had consumed more carbohydrates, dietary fiber, phosphorus, potassium and vitamin C regardless of gender, which validates the nutritional benefits of eating meals regularly. Male adults that ate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revealed lower levels of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LDL-cholesterol compared with other groups, which validates eating breakfast regularly was beneficial to their health.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at regular meals daily relative to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of Korean middle-age adults.
        4,000원
        3829.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perties of rice were studied, and 8 rice flour cultivar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lor value, RVA viscosities, water absorption index (WAI), and water solubility index (WSI) of rice flours. The mean particle size by the 3 particle size classification of 150 mesh, 200 mesh, and 250 mesh was, 90.75 μm, 60.73 μm, 39.94 μm, respectively. Thai rice had the highest amylose content and Samkwang rice had the lowest amylose content. Protein content of rice flours prepared was de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rice flour decreased. In terms of color values, the L-value and the a-value of rice flour wer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rice flours decreased, while the b-value was de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rice flours decreased. Using a rapid visco analyzer (RVA),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Thai rice cultivar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e peak viscosities of Sunpum cultivar and Misomi cultivar, and Samkwang r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rice flours. The water absorption index and water solubility index wer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rice flour decreased. In order to use processed rice flour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proper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s and particle size should be considered.
        4,000원
        3830.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degree. The subject was 305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region.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are consisted of 148 male students (48.5%) and 157 female students (51.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education level, residence time, and Korean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esidence pattern, purpose of coming to Kor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ls frequency, outside frequency, and the intake of Chinese food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nake taking frequency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s and computer time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ing and exercise (p>0.05). The food intake style of Chinese students was 2.47 in noodles, 2.34 in lunches and 2.15 in breads.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degree, the food intake patter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mping kind, congee, hamburger and pizza, while meat products, smoked meat, noodle, lunch, cereal, kimbap, sandwic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lturation degree of Chinese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 education level,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ability.
        4,000원
        383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향추출물의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 효과와 E. coli O157:H7 감염 마우스에 대한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향 메탄올 추출물(FSAE)을 이용하여 E. coli O157:H7 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배양 후 24 시간째에, FSAE를 첨가한 모든 군들에서 E. coli O157:H7 의 생존율이 무투여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0.269 mg/ml, p < 0.05; 0.538과 1.075 mg/ml, p < 0.001), FSAE가 E. coli O157:H7의 증식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을 감염시킨 마우스에 FSAE를 경구로 투여한 결과, 투여 후 3일째에, FSAE를 1.075 (p < 0.05)와 2.15 mg/ ml (p < 0.01)로 투여한 군들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변 내 E. coli O157:H7의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투여 7일째에는, 모든 FSAE 투여군들에서 대조군과 비교 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0.538 mg/ml, p < 0.05; 1.075와 2.15 mg/ml, p < 0.001).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FSAE를 E. coli O157: H7에 감염된 마우스에 경구로 투여할 경우, 감염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83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붉은곰팡이는 곰팡이독소를 생성하는 식물병원균으로 수확된 보리 알곡에 잔존하여 저장 중 적절한 환경이 조성 되면 곰팡이독소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 중 겉보리의 저장온도와 곡물수분함량이 붉은곰팡이와 곰팡이독소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라도에서 수집한 겉보리 시료 3점의 수분함량을 14%와 20%로 조절한 후 온도 조절이 되지 않는 상온창고와 12oC 이하로 온도를 조절한 저온창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창고의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서 1, 3, 6, 12개월 후 시료의 수분함량, 붉은곰팡이와 곰팡이독소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창고의 온·습도 조사결과 상온창고는 월별 평균온도가 최 저 3oC에서 최고 29oC였으며, 평균습도는 58~70% 인 반면 저온창고는 평균온도가 3~13oC 였으며, 평균습도는 62~74% 였다. 시료의 수분함량은 상온창고에서 감소하였으나 저온창고에서는 초기수분함량 14% 시료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였고, 초기수분함량 20% 시료는 감소하였다. 붉은곰팡이 오염립은 상온창고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저온창고에서는 시료의 수분함량이 높아감 소폭이 적었다. 곰팡이독소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저장 12 개월 후에는 상온창고에서 니발레놀이 더 많이 검출되었 으나 1, 3, 6개월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겉보리의 건조가 덜 된 경우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것이 붉은 곰팡이의 오염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겉보리를 1년이상 장기 저장할 경우 저온창고에 보관해야 니발레놀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4,000원
        383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수준에 관하여 체계적인 연구분석(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가열 농산물의 위생안전관리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인쇄된 관련 연구논문을 NDSL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리뷰, 자료 정리, 분석 및 결과 정리하였다. 농산물 분류체계를 비교 조사하여 미국의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 의 식품분류체계에 따라 국내 농산물을 분류하였다. 선정된 22건의 논문 내 89건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분 류체계 내에서 국내 농산물에서 총균수 수준이 높고 대장균 오염이 가장 많은 농산물은 엽경채류와 새싹·발아채 소(sprouts)로 나타났다. 단체급식에서 생채소로 소비되는 엽경채류에서 단체급식의 다소비 농산물로서 식중독과 연관성이 높은 품목인 상추, 부추, 배추에 관하여 미생물에 관한 자료 검색, 수집, 선정 및 분석 결과 최종 33편의 논문에서 미생물의 정량적 수준은 총균수 4.15~ 7.69 log CFU/ g, 대장균군 1~6.99 log CFU/g, B. cereus 0.51~3.9 log CFU/ g으로 나타났다. GAP 데이터 기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문헌조사 결과 퇴비, 토양, 작업 자 손, 장갑이 주요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미생 물학적 관리를 위하여 전문가 의견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GAP도입, 취약 품목의 미생물학적 분석계획, 토양으로부터 작물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물생산방식 도입 및 실행규범 준수가 필요하다.
        4,000원
        383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벤조빈디플루피르는 곡류, 두류 등 작물의 녹병(rust) 방제에 사용되는 pyrazole carboxamide계 신규 살균제로 국내에서는 2016년 대두와 밀에 대하여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이 최초 신설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신설에 따른 농산물 중 이를 분석하기 위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였다. 벤조빈디플루피르의 잔류물의 정의는 모화합물로, 벤조빈디플루피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검체에서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추출조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정제하기 위한 액-액 분배 조건과 정제조건을 확립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의 검출한 계, 정량한계, 선택성, 직선성, 및 회수율에 대한 검증을 통해 공정시험법으로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실내 및 실험실간 검증을 수행 한 결과 회수율은 79.3~110.0% 였고, 분석오차는 9.1% 이하이며, 실험실간 검증 결과는 83.4~117.3%, 변이계수(CV)는 9.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CODEX 가이드라인(CAC/GL 40)과 식품의약품안 전평가원의 가이드라인(2016)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농산물 중 벤조빈디플루피르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83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7년 수입식품 중 신규 기준설정 예정 농약인 tridemorph의 안전성 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을 확 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Tridemorph의 잔류물의 정의 는 모화합물로 규정하며, 확립된 시험법은 실험실내 및 실 험실간 검증을 통해 공정시험법으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대표 농산물 5종(감귤, 감자, 고추, 대두, 현미)에 대하여 잔류분석이 가능하도록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한 LCMS/ MS를 사용하여 수용성 유기용매인 ACN로 추출 후 NH2 카트리지에 가장 회수율이 우수한 용매인 MeOH/DCM (1/99, v/v)를 정제조건으로 확립하여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tridemorph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1 및 0.005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시험법의 평균 회수율은 75.9~103.7%였으며, 분석오차는 8.5% 이하로 정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기관 검증 결과 평균 회수율은 87.0~109.2%이 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7.8% 이하로 조사되어 국제적 잔류농약 분석 가이드라인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가이드라인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법은 농산물 중 tridemorph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 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83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 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383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6년 6~12월 서울약령시에서 원형 또는 분말 형태로 유통 판매되는 식·약 공용 농산물 총 62건을 구입하여, 후칼럼 유도체화 장치인 광화학 반응장치를 연결한 HPLCFLD를 이용하여 아플라톡신(B1, B2, G1, G2)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함으로써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아플라톡신의 검 출한계는 B1 0.086 μg/kg, B2 0.020 μg/kg, G1 0.363 g/kg, G2 0.126 μg/kg이었고, 정량한계는 B1 0.262 μg/kg, B2 0.059 μg/ kg, G1 1.101 g/kg, G2 0.382 μg/kg였다. 회수율은 B1 95.1~ 101.8%, B2 86.9~105.6%, G1 95.2~100.6%, G2 98.6~114.0% 이었으며,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는 B1 1.9~ 9.8%, B2 1.2~8.2%, G1 2.1~9.5%, G2 0.9~9.3%였다. 사용부위에 따른 아플라톡신 오염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종자 (Semen)만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으며, 21건 중 6건(원형 3건, 분말 3건)에서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다. 품목별 아플라톡신 검출 건수를 살펴본 결과, 연자육 중 원형은 7 건을 검사한 결과 2건에서 아플라톡신 B1, B2가 검출되었고, 분말은 6건 중 2건에서 아플라톡신 B1이 검출되었다. 산조인 원형은 5건 중 1건에서 아플라톡신 B1, B2가 검출 되었으며, 분말은 3건 중 1건에서 아플라톡신 B1, B2가 검출되었다. 아플라톡신 검출량을 살펴보면, 연자육 원형은 총아플라톡신(B1, B2, G1 및 G2의 합)이 ND~14.655 μg/kg(B1 ND~11.869 μg/kg) 검출되었고, 분말은 총아플라톡신이 ND~2.223 μg/kg(B1이 ND~2.223 μg/kg) 검출되었다. 산조 인 원형의 아플라톡신 검출량은 총아플라톡신이 ND~9.182μg/kg(B1이 ND~6.612 μg/kg) 검출되었고, 분말은 총아플라 톡신이 ND~21.797 μg/kg(B1이 ND~19.345 μg/kg)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곰팡이독소 검출현황을 토대로 식· 약 공용 농산물에 대한 곰팡이독소 기준을 설정하여 식· 약 공용 농산물의 안전한 유통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4,000원
        3838.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효율적인 식중독 예방 교육·홍보를 위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인 ‘식중독잡GO’를 개발 하고 식품안전의 날 등 11개 행사에서 시범운영을 하였다. 행사장에서 ‘식중독잡GO’를 체험한 사람을 대상으로 식중독에 대한 인지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식중독잡GO’ 게임 전후대비 식중독예방 3대 요령 인지도는 게임 전 51.8%에서 게임 후 78.8%로 향상되었고, 개별 식중독균 인지도는 평균 2.1배 향상되었 다. 설문조사자의 95%가 식중독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90%가 게임이 재미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식중독잡GO’를 유·초·중·고등 교육에 적용을 하면 식중독균의 주요증상, 원인식품 등 식중독 예방 요령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839.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젤라틴 캡슐 제품은 소비자의 건강(예: 광우병) 및 종교적 신념에 대한 우려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젤라틴은 대부분 소, 돼지 등에서 유래한 원료 물질을 가공한 것으로서, 가공 후 그 원료 물질을 분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정부 규제기관의 표시사 항 준수여부 모니터링 연구가 주기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유통되는 건강기능식품(n = 181)을 대상으로 젤라틴 캡슐의 원료 물질을 종 특이 PCR 방법으 로 분석했다. 55개 제품의 경우 표시사항에 젤라틴 캡슐 원료 물질에 대한 정보를 명시하였으나(예: bovine-, fishand plant-derived gelatin), 126개 제품의 경우 사용 원료에 대한 정보 없이 “gelatin”으로 표시하였다. 이 126개 제품의 젤라틴 캡슐 분석 결과 51개 제품은 소 유래의 젤라 틴을, 31개 제품은 돼지 유래의 젤라틴을, 그리고 44개 제 품은 소와 돼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작한 블렌딩 젤라틴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소비자의 알 권리, 종교적 신념 및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젤라틴 캡슐에 사용된 원료 물질을 표시사항에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4,000원
        3840.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동화 MPN 분석 장비인 TEMPO (TEMPO BC)와 MYP 배지법을 이용한 바실러스 정량 시험 결과에 대한 상관관계와 유의성을 연구하였다. 자연적으로 오염 되어 있는 B. cereus 다빈도 검출 식품을 선별하여(N = 384) 두 시험법으로 정량 시험한 결과값의 차가 1 log CFU/g 미 만이 95.3%였으며, B. cereus가 검출된 시료에서는 92.5% 였다. 통계학적으로 TEMPO BC 시험법과 MYP 배지법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 < 0.05). 국내 정량 규격이 있는 식품에 인위적으로 B. cereus를 접종하고 두 시험법을 비교 하였다. R2값은 소스류(0.98), 조림식품류(0.98), 젓갈류(0.96) 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생식류(0.94), 청국장류 (0.86), 된장류(0.71)는 시험법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콩, 메밀 등의 곡류 제품은 TEMPO BC 결과값의 오류가 날 수 있는 재료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선식류와 청국 장류, 된장류는 자동화 시험법인 TEMPO BC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험법을 추가적으로 검증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자연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식품 시료와 인위적 으로 접종한 시료에 대한 선형 방정식은 log(TEMPO BC) = 0.8453 × log (MYP배지) + 0.1642이며 paired t-test를 이용 하여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여 식품공전 및 국제 기준에 정량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TEMPO BC의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비 하여 식품의 안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존의 실험법과의 비교 및 타당성 연구 기초 자료로 쓰일 것이라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