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E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Bacillussp. 유래 β-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21.57units/mL 정제배율 95.33배를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38.9kDa으로 결정되었다.정제효소에 의해 Picea abies galactosyl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 FACE 및Timell’s method에 의해 중합도 8, 10으로 결정되었으며,Penicillum purpurogenum유래 정제 β-mannanase와 α-galactosidase를 이용한 enzymatic sequential action에 의해 2가지 가수분해산물 모두 hetero type galactosylglucomannooligo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B. longum, B.bifidum, B. infantis, B. animalis, B. breve, B. adolessentis,B. auglutum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8, 10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8, 10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animalis에서는 중합도 8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 배지와 비교하여 19.5배, 중합도 10에서 18.7배의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대해서는 중합도 8의 경우 15.3배와 중합도10에서 14.3배 그리고 B. longum에서는 중합도 8 galactosyl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MRS배지와 비교하여 중합도 8에서 15.2배, 중합도 10에서13.9배의 상대활성을 우선적으로 나타내었다.
체내에 과도하게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세포 구성성분들을 손상시키고 각종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만한 사람은 정상체중을 가진 일반인들에 비해 높은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임이 알려졌다(Furukawa et al.,2004).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한약재로 잘 알려진 하고초ethanol 추출물의 항비만 및 스트레스 억제활성을 3T3-L1및 HepG2 세포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50 및 100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각각 대조군 대비 78.4%, 및 72.3%의 3T3-L1 세포의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였다. 둘째, 100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ethanol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을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대조군 대비 79.3%). 셋째, 10, 100및 200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60μM의 AAPH 및10μM의 Cu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농도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하고초 추출물이 항비만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생약재로 이용되는 참당귀의 다용도 기능성 소재 개발을 통한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효소처리를 활용한 기능성 다당체 분리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당귀의 세포벽 성분 분해를 위한 최적의 효소는 Viscozyme L로 선정되었다. 다당체 분리를 위한 효소처리는 단백분해효소(Alcalase 및 Flavorzyme)와 전분분해효소(Termamyl120L)를 Viscozyme L과 함께 복합적으로 처리한 VAFT처리구가 추출 수율과 총당 함량이 각각 12.20%, 76.80%로 다른 효소처리구(T, AFT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제거된 전분 함량 역시 29.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전분다당체 함량이 22.58%로 T 처리구의20.78%과 AFT 처리구의 21.98%에 비하여 유의적(p<0.00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참당귀 다당체 분리를 위한 최적효소처리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비전분다당체의 주성분인arabinose, galactose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T, AFT, VAFT의모든 효소처리구에서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다.또한 참당귀 다당체의 분자량 분석을 통하여 대조구(491,000Da)에 비하여 VAFT 효소처리구가 13,000Da로가장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VAFT효소처리에 의한 참당귀 기능성 다당류의 효율적인 분리방법은 참당귀를 활용한 새로운 산업적 기능소재 및 제품 개발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감자가루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감자전분의 특성 요인을 결정하기 위해 6품종의 황색육질의 감자로부터 제조된 감자가루의 성분분석과 페이스팅 점도 특성을 조사하고 감자가루로부터 추출한 감자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감자가루의 페이스팅 점도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감자가루의 총 전분 함량은 이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과 높은 상관성을 보유하고 있었다.감자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자가루의 최고점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인 함량은 감자가루의 최저점도, 붕괴점도, 최종점도, 및 노화점도들과 유의적인 상관성을 존재하였다. 또한 감자전분의 인 함량에 의해 높은 영향을 받는 팽윤력은 인 함량과 감자가루의 페이스팅 점도특성들 사이에서 관찰된 상관관계와 유사하였다. 감자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지사슬 분포에 있어 F1 및 F3 분획 분포들은 감자가루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과 높은 상관성을나타내었다. 감자전분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 중 최종점도는 감자가루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 모두와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감자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 인 함량, 팽윤력, 아밀로펙틴의 짧은 분지사슬(DPn<25) 분포와 감자전분의 최종점도가 감자가루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중요한 특성요인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밀기울을 초미 분쇄기와 공기분급을 동시에수행하는 설비를 사용하여 분쇄기 회전속도(MS) 3,800,4,800, 5,800rpm, 분리기 회전속도(SRWS) 2,500, 3,000,3,500rpm으로 분쇄하고, 공기분급기 회전속도(ARWS)200, 400, 600rpm으로 분쇄된 밀기울을 공기분급 후 각분급물의 조성 성분을 살펴보았다. 완전요인 실험계획에의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반응표면 회귀 분석법으로 통계처리 후 각 조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 변수를 살펴보았다.조단백질 함량은 조분 분급물의 경우 11.87-14.08%로 조사되었다. 또한, MS(P<0.05)와 ARWS(P<0.01)에 유의적으로영향을 받았다. 조회분 함량의 경우 미분 분급물은 4.08-4.79%였고, 조분 분급물은 3.51-4.24%로 조사되었다. 미분분급물은 MS, SRWS, ARWS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냈다(P<0.01). 조분 분급물은 MS(P<0.01), SRWS(P<0.01),ARWS(P<0.05)의 영향을 받았다. 조지방 함량은 미분 분급물의 경우 4.56-5.05%로 조사되었고, MS, SRWS, ARWS에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P<0.01). 총 전분 함량의 경우 미분 분급물은 22.47-30.94%였으며, 조분 분급물은 9.35-16.83%로 조사되었고, 미분 분급물과 조분 분급물 모두SRWS와 ARWS에 유의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조사되었다(P<0.01). 본 연구를 통하여 밀기울의 초미분쇄공기분급 공정변수와 분급물의 구성성분에 대한 연관성을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양파를 열처리 법 중에서 열수침지, 증기 및볶음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및 영양학적 특성을 분석한 논문으로 열처리가 양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상품을 구매할 때 1차적인 구매요소인 색도 및 경도측정과 추가적으로 pH와 조직관찰 결과로 최적조건 선정 후영양학적 및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짧은 시간의 열처리에서는 더 진하고 선명한 색을 띠었으나, 장시간동안 처리한 열처리 시료는 색의 침착을 보였다. 원물과 처리구의 색은 열처리 시간에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경도는 열처리 시간에 따라짧은 시간에서는 분해효소의 불활성화로 유지 및 증가했지만, 3분 이상 처리하였을 때는 감소 경향을 나타냈고, 볶음처리는 짧은 시간으로도 물성이 연화됐다. 비타민은 열수 및 증기처리 1~2분 처리는 14% 정도 감소했지만 그이상 처리 시에는 23~28% 범위로 큰 감소율을 보였으며,유리당 및 유기산의 경우 열수침지 및 증기처리에서 손실을 보였지만, 볶음처리에서는 유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나타냈다. 특히 유리당에서 열수침지 처리 시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Peroxidase activity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75% 이상의 불활성화를 나타냈고, 특히 열수침지 및 증기처리한 모든 시료에서 90% 이상의 불활성화를 나타내며볶음처리보다 높은 불활성화율을 보였다. 미생물 측정한결과 열수 침지 3분 이상 및 볶음처리 210초 이상 처리시 미생물 검출이 안됐으며, 증기처리 시료는 2분 처리만으로 사멸된 것을 관찰했다. 양파의 열처리 조건은 증기처리법으로 2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다른 처리법에서 처리한 시간들에 비해 최적으로 나타났다. 열처리 방법 별 각각의 최적 처리 시간을 가지고 있어, 높은 효율성이나 산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최적의 전처리 방법과 처리 시간을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양조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발효제인 입국과 개량누룩을 발효제로 사용하여 막걸리 술덧 발효를 실시하고, 아로니아 안토시아닌의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 유래 색도 유지 및 기능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아로니아 막걸리의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 사용한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lucoside, cyanidin-3-galactoside, cyanidin-3-arabinoside,cyanidin-3-xyloside 으로 각각의 함량은 187.9, 3677.1,1277.5, 226.1mg/kg 이었다. 아로니아 첨가량에 따른 막걸리 술덧 발효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아로니아 20% 첨가 시험군의 알코올 발효가 억제되는것으로 나타났고, 아로니아 5% 첨가군의 적색도 a값이 상대적으로 12, 20% 첨가군에 비해 아로니아 고유 색도를나타내기 어려운 것으로 관찰되어 아로니아의 첨가량은12%로 결정하여 후속시험을 실시하였다. 입국을 발효제로 사용한 시험군 A의 경우, 발효일수가경과할수록 a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반적으로모든 개량누룩 시험군보다 높게 나타났다.아로니아 막걸리 술덧 중 시험군 A에서 총 안토시아닌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개량누룩을 발효제로 사용하고, 1단담금 시 젖산으로 pH를 보정한 시험군들의 경우, 시험군간 안토시아닌 조성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에서 pH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군 A에서 발효 2일차 cyanidin-3-O-galactoside함량은 68.17mg/L로 타 시험군대비 잔존 농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yanidin-3-O-arabinoside 함량은 발효 기간에 상관 없이 개량누룩 시험군 대비 3배 이상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미량이기는 하지만 개량누룩 시험군에서는 검출되지 않는cyanidin-3-O-xyloside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안토시아닌 함유 기능성 막걸리 양조 시 발효제로는 개량누룩보다는 입국의 사용이 안토시아닌 안정성유지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냉동식품 형태의 별미밥 HMR 개발을 위한기초 데이터를 확립하고자 냉동 및 해동 조건에 따른 취반미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냉동방법으로 강제송풍방식과 저온에서 자연적으로 냉동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냉동 취반미는 전자레인지의출력세기를 200, 600 및 1000W로 조절하여 시료의 중심부 온도가 100oC에 도달할 때까지 해동하였다. 분석결과 냉동속도는 일반냉동을 하는 것보다 강제송풍식 냉동을 하는 것이 약 300배 이상 빨랐으며, 해동은 동결 속도가 빠르고 전자레인지 출력이 셀수록 시간이 단축되었다. 냉해동한 취반미의 수분함량 변화는 모든 조건에서 대조구보다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600W에서 해동할 경우수분의 손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반미를 냉해동 한후 색도의 변화에 있어서는 대조구보다 백색도와 적색도는감소,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제송풍식 냉동을 한 취반미가 전체적인 색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물성의 변화는 일반냉동을 한 취반미의 경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600W에서 해동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점착성의 경우에는 대조구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강제송풍식 냉동을 한 취반미의 미세구조는 냉해동 과정에서 밥알의 중심부에 균열이 발생하였고, 1,000W에서해동한 처리구에서 중심부에 비교적 큰 기공이 형성되었으며 600W에서 해동한 처리구의 경우에는 표면의 두께가가장 두껍게 나타났다. 냉해동한 취반미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냉동 속도가 빠르고 해동시 전자레인지의 출력이 1,000W일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가장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를 검증하여 보았다.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폴리페놀 함량은건조물 1g 당 11.02±1.98mg으로 국내산 일반 토마토와유사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는 건조물 1g 당 4.53±0.59mg이 함유되어 있어 일반 토마토에 비해 4배 가량 높았다.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기 위해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DSA),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ASA) 및 ferric reducing antioxidantpower(FRAP)를 측정하였다. DSA와 ASA를 측정한 결과IC50은 각각 340.26±4.28μg/mL, 350.77±7.79μg/mL이었으며 FRAP값은 25.47±0.79μmol Fe2+/g으로 밝혀져 항산화활성이 확인되었다.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의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궁경부암세포(HeLa)와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 높은 생육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울토마토 Betatini 품종은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탁주 제조에 사용되는 시판 발효제 4종을 선정하여쌀을 원료로 탁주를 제조하고 이들 탁주의 이화학적 특성과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제조한 탁주의 알코올 성분은 발효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조효소제를 사용한 경우 알코올 함량이 15.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산도의 경우 입국을 사용한 탁주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백국균을 사용한 입국이유기산 생성능이 강해 산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확인하였다.탁주 4종에서 총 49개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으며, esters27종, acids 3종, alcohols 10종, 기타성분 11종이 확인되었다. 전통누룩으로 담금한 발효주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향기성분이 동정되었지만, 입국으로 담금한 발효주가 정량적으로 높은 농도의 향기성분을 포함하였다. 화학적 특성에따른 성분들의 상대적 함량은 ester류 46.85%, alcohol류49.05%, acid류 0.62%, miscellaneous 3.48%로 alcohol류가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과정을 거친 탁주의 향기성분은극미량의 성분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고, 함량 및종류에 따라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수 있기에 복합적인 관계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향후발효과정 중의 향기 성분 모니터링을 통해 향기성분의 생성과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지용성 생리활성 물질인 커큐민의 가용화를 통해 실제 식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고압 균질기(microfluidizer)를 이용한 나노크기 입자를 생산하였으며,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특성을 검토하였다.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은 유화제 종류 및 농도,분산상과 연속상의 혼합비율, 고압 균질기의 압력 및 통과횟수의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연속상에서의 유화제농도가 높을수록, 고압 균질기 압력 및 통과횟수가 높을수록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입자분산지수 또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여러 조건에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저장 기간 동안 입자크기 변화를측정한 결과,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입자분포가 좁은 커큐민 함유 나노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음료와 같은 실제 식품에 적용하고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열, 냉동, pH, 염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팽화홍삼에 존재하는 major ginsenoside를 minorginsenoside로 생물전환하기 위하여 β-glucosidase 활성이높은 유산균주를 탐색하였다.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YLB 8균주가 β-glucosidase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Leuconostoc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L. mesenteroides YLB 8을MR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최대의 β-glucosidase 효소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배양 조건은 glucose 첨가량 1%(w/v), 초기 pH 8.0, 배양온도 30oC, 배양시간 16시간이었다. L. mesenteroides YLB 8을 이용하여 팽화홍삼추출액을 생물전환하였을 경우 최적 온도는 30oC었으며,팽화홍삼 추출액의 농도는 12oBx이었다. 팽화홍삼 추출액내에 존재하는 major ginsenoside인 Rb1과 Rb2는 minorginsenoside인 Rg3로 전환되었으며, Re는 Rg1으로 전환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Rh1과 Rh2로 전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색감자 자영을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자영 분말을 전체 분말 기준으로 0, 30, 50,100%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쿠키의 총 페놀 함량,색도, 경도를 측정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쿠키의 총페놀 함량은 쿠키를 굽는 시간과 자영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색도차와 Browningindex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인 밀가루 쿠키와의 색도차는자영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컸으며, 쿠키를 굽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Browning index의 경우 쿠키를굽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logistic 모델이 유색감자 자영의 함량이 증가하였을 때 굽는 시간에 따른 갈변 현상을 나타내는 데 가장 적합함을알 수 있었다. 쿠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6분 동안 구웠을 때 자영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쿠키를 굽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자영분말 첨가군 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쿠키를15분 이상 구웠을 때에는 대조군과 자영 분말 첨가 쿠키의 경도에 차이가 없었다. 관능 검사 결과는 자영 분말을30%와 50% 첨가한 쿠키를 11분간 구웠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며 밀가루 쿠키와 유사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따라서 쿠키에 자영 분말을 첨가하여 11분에서 13분간 구웠을 때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높은 기호도의 밀가루 쿠키와 유사한 식감과 색도를 가지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쿠키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포니카 타입 품종 중 하나인 설갱을3가지(100, 200, 300mesh)입도크기로 나눠 제분하여 글루텐 프리 쌀 식빵을 제조하고 빵의 부피, crumb의 경도, 색도, 외관형태를 통해 제빵 적성에 가장 적합한 입도를 결정하였다. 100mesh를 통과한 쌀가루로 제조한 쌀 식빵의경우 기공이 일정하지 않고 crust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였고, 300mesh를 통과한 쌀가루로 제조한 쌀 식빵의 경우반죽을 형성하기 위한 물에 의해 발효과정이 적절하지 않게 진행되어 반죽이 부풀지 못해 좋지 않은 품질의 빵이제조되었다. 200mesh 체를 통과하여 제조된 쌀 식빵의 경우 가장 큰 비체적과 낮은 crumb의 경도, 균일한 기공모양등 제빵 적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쌀은 밀에 비해쌀알의 경도가 높아 미세한 입자크기를 갖도록 제분할 때전분에 손상이 과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와 달리설갱 품종은 일반 쌀 품종에 비해 쌀알의 경도가 낮아200mesh 체를 통과하는 미세한 쌀가루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전분의 손상도가 낮게 제분할 수 있는 특징을 보였다.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글루텐 프리 쌀 식빵을 제조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쌀가루의 입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수성 통일형 및 자포니카형 벼 품종을 이용하여 파보일드미 제조 후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파보일드미 이용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험을수행하였다. 모든 품종들의 쌀알의 길이와 폭은 원료미보다 파보일드미에서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도정수율은원료미의 경우 보람찬벼가 95.8%로 가장 높고 파보일링후 모든 품종에서 2.9~4.6% 범위로 증가되었다. 경도는 원료미의 경우 통일형이 223~245N 범위로 자포니카인 보람찬 보다 높았고, 파보일링 후 모든 품종에서 1.7~1.9배 증가되어 저장성 향상이 기대된다. 고형분 함량은 자포니카형 보다 통일형 품종에서 낮았고, 파보일링 후 33~37% 감소되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파보일링 후 모든 품종에서 증가되었고 색도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용해도와 팽윤력은 원료미의 경우 상온(25oC)보다 75oC에서 모두 높았고,파보일드미의 경우 높은 온도(75oC)에서 각각 감소 및 증가되어 가열을 이용한 가공제품 제조 시 영양분 손실이 적고, 형태유지가 지속되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취반 적성과 관능성 개선을 위하여 수침처리 및 적외선 가열조건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보리의 수분흡수도는 적외선가열 단독처리 또는 수침과 적외선가열의 병행처리 모두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취반 후보리의 연화도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 시료를 백미와 혼합하여 취반 후 관능성을 평가한 결과, 식감의 개선에의한 보리의 전체 기호도가 대조구 보다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침과 적외선가열을 병행 처리하였을 때 적외선가열 단독처리보다 우수한 관능특성을 갖는것으로 조사되어, 보리의 취반성과 관능성 개선을 위한 최적조건은 15분간 상온수침 후 120oC에서 초기 수분함량까지 가열로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