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82

        68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고급지구과학 교과서에서는 서풍이 대규모 산맥을 넘어갈 때 풍하측에 파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개략적인 그림으로 제시하여 간략히 이론적으로만 설명하고 있다. 이 현상은 편서풍 파동 현상으로 산을 넘어가 는 공기 기둥의 소용돌이도(잠재와도) 보존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소규모 산맥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중규모 편서풍 파동 현상에 대한 사례 연구는 부재하였다. 또한 서풍에 의한 파동이 형 성되는 조건인 산맥의 폭과 길이에 따라 서풍의 풍속, 지속시간을 명확히 규정한 선행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우선적으로 소백산맥을 대상으로 근처의 지표 관측소에서 관측한 지역별 상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파동이 실제 로 형성되는 지 확인하였다. 또한 소백산맥에 의하여 지표 근처에서 서풍 파동이 생성되기 위한 서풍의 최저속도인 임 계 속도를 이론적으로 유도하여, 대략 0.6 m s−1의 값을 구하였다. 더 나아가 기상청 2014년 지역예보모델의 4-차원 자 료동화 자료를 추가하여 소백산맥 풍하측 서풍 파동 발생의 연중 빈도와 서풍 파동의 진행 발달과정을 고도별로 분석 하였다. 발생한 서풍 파동은 meso-β 또는 -γ 규모였다. 파동의 생성 및 소멸은 풍속 또는 풍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 풍속이 감소함에 따라 산맥에 의한 서풍 파동은 점차 소멸되었다. 서풍이 강할수록 상층에 meso-β 규모의 파장을 갖 는 와도 생성 비율이 높았다. 분석 범위를 동아시아 권역으로 넓혔을 때 중국 동북부 옌산 산맥에서도 서풍 파동 현상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체지구에 대한 이론과 현상의 이해, 특히 우리나라 산맥에 의해 발생하는 대 기의 파동 현상을 실제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이해를 돕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200원
        682.
        2017.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식정보사회 국내외 경제 환경은 변화 속도는 무척빠르다. 미래 경제에 대한 논의에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지식정보사회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창의·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지식이 단편적인 상태에서는 온전한 가치를지니지못하며, 전체적인 관계속에서 구체적인 생활에 토대를 두고 질서를 이룰 때 학습자의 삶과 유기적으로 맞닿게 된다. 분과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다양한 학문 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육의 패러다임은 ‘융합 교육’이라는 방향을 제시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들은 대부분 ‘선택’의 문제고, 그 의사결정의 과정에는경제적인 사고가 필요한 하다. 특히 합리적 금융의사결정의 문제는 단지개인적 차원의 일로만 볼 수 없다. 금융교육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 교육에서는 여러 제약으로 금융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6년 자유학기제가 전국의 중학교에 전면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제약 여건에서 벗어나 재량에 따라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융합역량의 필요성과 금융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해, 융합 금융교육을 제안한다. 융합 금융교육은 1) 생활에 필요한 핵심적인 금융개념을 여러 학문 분야와 결합해 2) 개인, 사회, 세계적 차원의 다양한 맥락 하에서 3) 학생들 문제와 연결해 다양한 탐구학습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융교육표준안의 핵심 금융 주제를 융합교육의 주제로 삼아, 학습자가 스스로 상황맥락에 맞는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하면서 개념이해를 돕는 시뮬레이션 학습을 결합하면서 수학, 예술 등 여러 분야와 연계해 수업할 것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주제에서 인과관계 사고를 하는 훈련도함께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면 더 좋을 것이다. 가능하다면, 학습자가 금융소재의 실제상황의 문제를 해결한다거나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내는 스스로 찾아 솔루션을 찾아가는 프로젝트 기반학습으로까지 발전해나가길 바란다. 금융교육이 개인차원의 금융소양 교육에 머물지 않고, 민주시민 나아가 세계시민으로서의 금융소양을 기르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논의가 되었으면 한다. 학습자들이 개인적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 세계적 차원의 문제도 자신의 문제로 고민하고 여러 사람이 함께 해결해나가려는과정 속에 배려와 협력 혁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있길 기대한다.
        5,400원
        683.
        2017.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ㆍ금융 관련 강의에 주식모의투자와 같은 실험적 게임기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국내 여러 증권사에서는 주식 및 선물옵션 모의투자가 성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금융교육 효과나 개인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실제 주식투자에 앞서 시행하는 모의투자 게임의 유효성과 금융교 육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의투자의 유효성 요인은 금융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주식모의투자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개인의 리스크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주식모의투자의 유효성 요인 및 금융교육 효과 요인을 설명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식모의투자의 유효성 요인으로서 투자의 기본지식 습득, 전문적 투자기법의 인식과 더불어 금융교육 효과 요인 중경제관심도가 리스크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곧 개인의 리스크 선호도는 리스크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주요인으로서 주식모의투자 과정을 통해서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경제ㆍ금융교육에 있어서 전통적 강의기법보다는 주식모의투자와 같은 실험적 게임기법을 활용한 강의가 효과적인 측면이 있으나, 개인의 리스크 선호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서 이에 대한 주의 또한 요망된다 하겠다.
        6,300원
        684.
        2017.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목적은 2016년 현재 시점에서 도산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사회교육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1876년 병자 수호조약을 계기로 개항한 이후 1945년 해방되기까지의 시기, 즉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인물들인 유길준, 서재필, 김구, 이승만, 신채호, 박은식, 이상재, 이승훈, 안창호 등에 대한 연구는 대체적으로 많이 이루어진 편인데, 이들 중에서도 특히 도산 안창호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우위를 점한다. 도산 안창호에 관한 연구는 1969년에 이일천에 의해 시작되어 2016년 현재 박만규에 이르기까지 짧지 않은 기간인 47년 동안 이루어져 학위 논문이나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수가 많은 편이다. 최근 연구자는 도산 안창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가지면서 스스로에게 가지게 된 물음(自問) 셋이 있다. 하나는 나는 도산과 흥사단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 혹은 얼마나 알고 있는가? 둘은 나는 누구로부터 어떤 자료를 통해 도산과 흥사단에 대해 배우고 학습하였는가? 셋은 내가 배우고 학습한 도산과 흥사단의 참 모습 혹은 원형은 어떠한가? 연구자의 세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의 하나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도산 연구에 대한 현황과 과제를 사회교육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첫째, 2016년 현재까지 이루어진 도산 연구가 주로 어느 분야에서 이루어졌는가? 둘째.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는 있는가? 있으면 어느 분야 인가? 셋째,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에 대한 사례 소개의 하나로 사회 교육 분야의 연구를 살펴보고, 새로운 연구 방법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도산 연구의 역사를 살펴 시대 구분을 하고, 시대 구분에 따른 시대별 연구 동향, 연구 주제어를 워드 클라우드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도산 연구 사례로 사회교육 관점에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도산 연구의 과제를 탐색하였다.
        8,100원
        68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how to improve KSL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SSL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d SSL and KSL curriculums in terms of education system, policy, language assessment, purposes and learner groups, operation cases, and teacher education. Some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Swedish curriculum system is relatively simple compared with the Korean counterpart; 2) for policy, the Swedish national test is administered every three yea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gives learners a motivation to learn Swedish; 3) for purposes and learner groups, SSL curriculum is focused on the functions of language learning rather than culture and social identity compared with KSL curriculum; 4) for assessment, SSL specified the contents and levels of evaluation depending on grades while KSL curriculum does not have a complete assessment. and 5) for teacher education, the two countrie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weden started new curriculum since 2011, where 4-5 year SSL teacher programs for youths have been operated, but KSL teacher education mainly targeted programs for adults and qualified teachers.
        6,000원
        68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직 보육교직원의 보수교육 질 제고 및 지역별 보수교육기관의 질 제고를 위해 개발된 『2016 보수교육기관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보수교육기관에 지표적용 시 평가결과 적용의 제한점과 이에 따른 정책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4개영역 43개 지표 총 100점으로 구성된 『2016 보수교육기관 평가지표』중 물리적 환경 영역의 강의실 청결지표와 화장실 청결지표, 인적환경영역의 전문영역 담당교수 전문성 지표, 교육과정 영역의 반 당 교육 인원수 지표, 기관운영 영역의 중도탈락 수강생 비율 지표를 중심으로 지표적용 시 제한점을 살펴보았다. 참고로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부모대상 육아지원 확대를 중심으로 정책이 실행되어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교사 지원을 통한 질 제고의 접근은 상대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 보수교육기관 평가지표』를 보수교육기 관에 적용할 때 평가결과의 활용 시 제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보수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보수교육 정책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보육교사들의 보수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 해당지표가 평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도 행정절차 정비, 지원시스템 보완, 행정부서간의 명확하고 일관된 지침, 인력풀 확보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4,900원
        68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사회화에 관하여 비판하고 배움학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 사회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핵심은 사회화이다. 사회화란 개인이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반드시 배워야 하는 모든 과정과 내용을 의미한다. 이에 관해 구조기능주의론자들과 갈등주의 론자들은 사회화의 정당화와 보장성에 관해 경쟁하며 교육의 공헌에 관한 주장을 하여왔다. 사회화의 대 행기관으로서 가장 중요한 사회 속의 기관은 학교이다. 학교교육은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가장 적합한 기관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학교는 특정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계급을 재생산하거나, 사회화보다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사회화와 더불어 인간의 배움본능의 실현과 개조를 가능케 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학교교육은 개인 을 사회화하기에 부적합한 기관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4,900원
        688.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observes that grammatical competence has been interpreted as the ability to judge grammaticality ever since the employ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s the core basis of curriculum design in the 6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f Korea. It contends that this interpretation is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widely accepted in the literature on grammatical competence, that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propositional meaning of utterances. The study suggests that a new and fresh look at grammatical competence needs to be take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hich is to provide English learners in Korea with more potential opportunities for success in acquiring communicative competence.
        4,800원
        689.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분야에서의 캐리어 이행 지원을 둘러싼 거시적 통찰을 위해 일본의 상황을 중심으로 다음의 두 가지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본의 장애인을 둘러싼 사회보장 전반의 거시적 시좌에 관해서, 한일 양국의 사회보장 전반의 공 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상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캐리어 이행 지원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학령기 때의 캐리어 이행 지원에 관해서는 일본 특별지원교육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 향후 한일 특수교육계가 지향해야 할 바로서, 캐리어 이행 지원의 목적이 직업의 영위를 넘어 장애인의 생애주기 전체를 염두에 둔 사회 전체 문제에 대한 대응이 되어야 할 것, 그 과정에서 장애 당사자(부모)의 욕구에 기반한 자기 결정권의 존중을 제언하였다.
        7,700원
        69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 세상의 화두는 로봇과 인간이 세기의 대결을 펼쳐 인간이 졌다는 사실이다.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로봇 친구, 로봇 애인이 등장하고 수만 광년 떨어져 있는 별에도 가고 있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과학의 발달은 결국 융합하고 생략하며 펼치고 협력하며 상상할 줄 아는 인간이라는 사실이다. 인간은 스스로 생각하고 공부하며 배우고 학습할 수 있는 인류의 단 하나의 생명체이다. 앞으로 우리들의 미래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학교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생태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며 죽을 때 까지 학습한다. 이러한 학습을 좀 더 체계적이고 즐겁게 즐기면서 소통 과 경쟁과 협력속에서 배울 수 있게 만드는 곳이 학교이다. 학습의 즐거움을 학교에서 터득하고 온 마을과 지역이 함께 배우고 가르치는 작업을 학교를 통해 시스템화 하고자 한다. 도전하며 즐겁게 배울 줄 아는 배움의 과정을 즐길 수 있는 평생학습인 육성을 목표로 이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학교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훨씬 더 쉽게 평생학습인을 기르고 배움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학교로 재구성하여 목표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5,400원
        69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노인뿐만 아니라 ‘나만의 삶’을 글로 표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지방자치단체와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자서전 쓰기’에 관한 교육이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자서전 쓰기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부담을 갖는 이들을 위해 자서전 제작을 돕는 실버산업 업체도 생겼다. 그만큼 자신의 삶을 글로 표현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자서전 쓰기는 노인만을 위한 전유물이 아닌 다양한 연령층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자서전 쓰기는 심리적 어려움을 갖는 이들에 대해 심신통합치유의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데, 자서전 쓰기가 우리에게 주는 심신통합치유 효과가 무엇인지 살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6년 사이에 발간된 자서전 쓰기를 주제로 한 학술연구와 문헌을 분석하여 자서전 쓰기의 개념, 형식, 개입효과 등을 살펴보았고, 이를 근거로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서전 쓰기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서전 쓰기는 단순히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과정이며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그러나 그 의미는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둘째, 자서전 쓰기를 진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자서전 쓰기 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발달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접근이 요구되므로 상담, 복지, 보건 등 심신통합치유에 대한 이해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자서전 쓰기를 위한 전문 실습 교재가 필요하다. 자서전 쓰기 과정의 성과는 책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나에 대한 완성뿐 아니라 심신통합치유를 위한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으로 매우 중요하다. 마 지막으로 심신통합치유를 위한 자서전 쓰기가 활성화되기 위해 자신의 자서전 쓰기를 시작해보면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5,100원
        69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 관련 역량 중 공동체역량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경험 가운데 이를 진작시키는 요인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동체역량의 하위 요인을 규칙준수, 봉사활동인식, 공동체의식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였으며,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1차년도(2013년)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2수준 다층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 HLM)을 설정하 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공동체역량 수준 차이는 상당 수준 학생 수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준 투입변수인 부모-자녀 상호작용, 부모의 학업적지원은 공동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일관되게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 수준 과정변수인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교 동아리활동, 운동시간은 모두 학생의 공동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시험 부담감의 경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 수준 과정변수인 교사열의, 교사성 취압력은 공히 학생의 공동체역량과 관련이 있었다. 교사열의는 규칙준수와 봉사활동인식, 교사성취압력은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교폭력 정도는 봉사활동인식을 제외하고 규칙준수, 공동체의식에 공통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6,600원
        69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에 관한 타당성과 향후 평가인증원의 설립과 운영정책 및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 법: 2015년도 12월 5일부터 15일간 전국의 안경광학과 교수 91명(남자 31명(34.1%), 여자 60명 (65.9%))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검사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지는 SPSS 15.0 사회과학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2명(80.5%), 아니오가 16명(17.8%)으로 나 타났으며, 평가인증원 설립의 필요성은 타 기관에서 설립되어 운영되는 경우 안경광학과의 정체성 위협에 대비하여 필요가 35명(47.9%), 의료 직종과의 업무범위 논의 및 업무범위 확대를 위해 필요가 20명(27.4%), 교육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가 13명(17.8%)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등교육법이 개정됨으로써 의료인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은 의무적 으로 평가인증에 받아야 함에 따라 타 직종과 차별화된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안경광학과의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 및 보증을 위해 한국안경광학과 평가 인증원 설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형태 및 구성방법은 독립적이 고 객관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독립법인형태와 인적구성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200원
        694.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도시를 떠나 농·산촌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베이비붐 세대들이 늘어가면서 귀산촌 인구가 급증 하고 있다. 2015년도 귀농가구는 1만1천959가구로 전년 대비 11.2%(1201가구) 증가했으며 매년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되고 있다. 귀산촌의 활성화와 함께 소득작물로 각광받고 있는 표고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표고 재배기술에 대한 요구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는 표고의 활 성화와 안정적 저변확대를 위해 재배기술 수준별로 초급교육, 전문가양성교육으로 구분하여 실질적인 교육 을 수행하고 있다. 초급교육은 매월 1회 1일 8시간 교육으로 진행하며, 전문가양성교육은 1년동안 1주씩 6차 에 걸쳐 총 6주간 실시하고 있다. 초급교육은 귀산촌인, 재배희망자를 대상으로 이론교육 및 현장견학으로 2011년부터 시행하여 2011년(302명), 2012년(807명), 2013년(1,077명), 2014년(1,110명), 2015년(1,116명) 진행하 였다. 전문가양성교육은 이론 및 실습, 선도임가 현장견학 과정으로 2011년부터 시행하여 매년 1기수씩 수료 하였으며, 2015년까지 5기 교육생을 배출하였다. 이외에 순회교육, 상설교육, 현지지도 등 매년 약 3,000명가 량 지도 및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695.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중심을 어휘 교육으로 파악하고 초등학교 어휘 교육 과정에 필요한 字數와 字種을 제안하는 것을 중심 목표로 삼는다. 먼저 선행 연구의 방법・의의 및 한계를 종합하고 이 바탕 위에 김한샘(2009)과 ㈜낱말 어휘 정보 처리 연구소의 데이터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초등학교용 교육용 한자’의 선정안을 제시하였다. 구체 논의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라는 말뭉치, 등급별 어휘라는 어휘 평정, 조어력, 전문가의 판단 등을 고려해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필요한 적정 한자 수 및 한자 선정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이 중 ‘초등학교 교과서’라는 말뭉치는 그동안 단순 빈도의 측면에서만 이용되었던 것이고, 등급별 어휘와 조어력은 초등학교 교육용 적정 한자 수 선정 시 학계에 처음으로 고려된 것이다. 본고의 논의가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신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용 교육용 한자’의 선 정에 일정한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5,200원
        696.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글專用을 위하여 대체 입법된 「국어기본법」의 일부 조항에 대한 違憲 訴願이 2012년에 제기 되었고 이를 접수한 헌법재판소가 2016년 5월 12일 公開辯論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우리나라 文字 學史에서 지극히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변론 과정에서 발표된 진술은 사전 준비를 통하여 충실히 이루어졌지만 헌법재판관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卽問卽答의 臨機應變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위헌 소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의 토대가 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특히 헌법재판관의 각종 질문 은 言語學 및 文字學的으로 검토할 여지가 많다. 따라서 본고는 헌법재판관의 총47종 질문에 대하 여 상세히 검토 결과를 소견 형식으로 피력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역사적으로 空前이자 絶後일 한글전용 위헌 소원에 대한 최종 결정이 현명하게 이루어지는 데 一助가 되고자 한다. 둘째, 위헌 결정 여부에 상관없이 이 문제 자체가 우리나라 문자학사에 있 어서 중대한 의의를 지니기에 이에 대한 검토 결과가 향후 漢字 共用論에 대한 심화 연구의 계기나 기반이 되고자 한다. 셋째, 한글전용의 폐해와 위헌성에 대한 분석 검토를 통하여 우리나라 어문 정책의 정상화에 필요한 학술(문자학)적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한다.
        10,200원
        697.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는 한시 교육 평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 성과와 한문과 교육 과정에서 한시교육에 해당하는 내용을 검토하였다. 한시교육평가의 현황은 한문과의 대표적인 대단 위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의 한시 평가 문항과 학교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문항 및 도구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검토와 현황 분석은 한시교육 평가의 방향을 모색하는 토대가 될 것 이다. 한시 교육 평가 관련 연구는 주로 한문 교과서 소재 한시 평가 문항 분석, 문학 교육 평가, 교육과 정 분석,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등에 대한 것이 대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한시 교육의 전반을 살펴 한시 교육의 평가의 방향으로 첫째, 한시 교육의 목표 점검 을 통한 한시 평가 방향 모색, 둘째, 학생의 문학적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평가, 셋째, 교육과정 실행 차원에서의 한시교육 관련 교육과정 재구성, 넷째,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논의의 구체화 등을 제시하였다.
        5,700원
        698.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의 삶이 연장되고 있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베이비 부모들의 은퇴와 빠른 인구 고령화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의 수가 증가하 고 있고, 이로 인해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산업이 발달하고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국 각지에 위치하고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노인복지관도 이러한 복지산업과 서비스제공 중 하나이다. 의 부분이다. 노인복지관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련하여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가 많지 않 은데,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교육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는 강사가 노인들을 진실하게 대하는지 여부가 그 노인들이 인식하는 대인공정성과 조직지원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노인들 이 평가하는 노인복지시설 서비스품질이 이러한 강사의 진실성여부가 미치는 영향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2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사 비진실성이 증가할수록 노인들의 대인공정성 인 식수준이 낮아지고 나아가 노인들의 조직지원인식의 수준도 결과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이 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강사의 비진실성과 노인들의 조직 지원인식의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운영의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는 조직지원인식이 어떤 과정과 맥락을 바탕으로 형성되는지 알려 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였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