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95

        7741.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하는 것으로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대부분의 버섯은 균류 중 담자균류에 속하며, 독특한 맛과 질감, 향기 및 생리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68.5%)이었고,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구입 시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신선도·위생 상태를 응답하였으며, 버섯가공식품을 구입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55.5%가 먹기 위하여 구입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다. 버섯가공식품 구입 시 고려할 사항으로 맛의 향상을 1위로 응답하였으며, 새로운 버섯가공식품을 개발할 경우, 연령별 선호하는 제품을 조사한 결과 20대-6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에서 스프와 죽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버섯을 첨가한 제품 5종; 쿠키, 젓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 어묵, 햄버거 패티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의 경우 많은 식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300원
        7742.
        200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 재배면적 전국의 2,427헥타 중 전남은 312헥타이고 장흥군은 135헥타로서 전국 총면적의 6%를 차지하고 전남에서 제일 많은 주산단지 고장이며 특히 표고버섯은 전국 생산량의 13%, 전남의 75%를 차지하고 있어 장흥군의 버섯산업이 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특히 장흥군은 표고버섯을 재배하기에 적당한 기온과 습도 등 기후적 여건을 갖추고 있어 장흥군이 버섯재배의 최적지로 알려진 무공해 청정지역이다. 장흥군의 버섯재배 농가의 생산액을 보면 년간 표고버섯은 180억, 느타리버섯은 20억, 새송이버섯 18억, 팽이버섯 10억, 상황버섯 10억 등 지역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전국 최초의 민관합자 지방공기업인 장흥표고유통공사 운영으로 버섯판매 및 직영재배, 종균배양 등 버섯관련 기반시설을 갖추었으며, 1997년에는 포고가공식품(표고음료, 표고간장・된장・고추장) 개발로 고부가가치 창출을 하였다. 장흥군은 버섯 가운데 표고가 특산품화되어 전남지역의 거래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 전남의 건표고 생산량은 2004년 기준 전국의 생산량의 33.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라남도 생산량의 75%를 장흥군에서 생산하고 있다. 2005년 농산버섯 재배현황 중 전국대비 생산량을 기준으로 장흥군은 상황버섯의 생산량 중 5.85%, 새송이버섯 2.18%를 차지하고 있다. 버섯산업이 농림업에서의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살펴보면 2004년 말 기준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1년도부터 200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이 농림업이 4.9% 성장률을 보인데 비하여 9.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유망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기존 식용으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약용, 기능성 등 버섯의 소비형태와 쓰임새가 다양해짐에 따라 급격히 성장하는 산업으로 전략적 대응을 위한 전문 연구기관의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장흥군의 표고버섯은 종전부터 전국에서도 그 명성이 높아서 이를 기반으로 농협을 중심으로 구축된 생산과 유통기반을 정비한다면 전국적인 버섯산업의 생산, 가공, 유통 및 관광이 어우러진 종합 중심 메카로서 버섯산업 활성화와 지역경제자립화 및 고용촉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을 기대 된다.
        7743.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화미분을 활용한 타락죽의 제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타락죽의 pH, 수분, 고형분, 총당, 아밀로스, 점도, 퍼짐성 그리고 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타락죽의 pH는 갈은 쌀로 제조한 시료가 팽화미분으로 제조한 시료보다 높았다. 그리고 분유를 첨가한 시료도 우유를 첨가한 시료보다 높았다(p<0.05). 수분 함량은 갈은 쌀과 분유를 혼합한 타락죽이 84.56%로 가장 높았고, 팽화미분과 우유를 혼합한 타락죽은 81.04%로 가장 낮았다(p<0.05). 고형분 함량은 수분함량과 반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총당 함량은 조리 시 가열처리한 시료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처리하지 않은 시료보다 높았다(p<0.05). 팽화미분으로 제조한 타락죽의 아밀로스 함량이 갈은 쌀로 제조한 타락죽보다 높았다(p<0.05). 점도는 갈은 쌀 타락죽이 팽화미분 타락죽보다 높았으며(p<0.05) 아밀로스 함량과 반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퍼짐성은 점도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L값은 갈은 쌀 타락죽이 팽화미분 타락죽보다 높았다. 적색도는 팽화미분 타락죽이 가장 높았으며(p<0.05), 갈은 쌀과 우유를 혼합한 시료가 가장 낮게 나타나 L값과 반대되는 결과를 보였다. 황색도는 a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000원
        7744.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킬 경우 다양한 효소의 활성화로 인하여 GABA, ferulic acid, arabinoxylan, inositol 등의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조직을 연화시켜 현미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BA는 발아현미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 중의 하나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아 후 품종별 GABA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함께 vitamin E의 변화와 항산화력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GABA 함량은 비색법을 이용하였고 vitamin E는 HPLC 방법을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품종별 현미는 발아 과정을 통하여 GABA 함량은 약 10배 이상 그리고 vitamin E의 경우 tocotrienol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에는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큰눈 발아 현미의 경우 GABA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vitamin E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신명흑찰 발아현미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현미를 발아시키면 GABA 및 vitamin E 등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되고 항산화 활성이 그대로 유지된 기능성 쌀 가공품의 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7745.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 과육부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성분인 quercetin과 그 배당체를 다양한 착즙 및 추출방법에 따른 수율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파과육의 quercetin과 배당체의 최적 추출 조건으로는 50oC에서 60% methanol를 용매로 사용했을 때 15분의 추출시간인 것으로 나왔으며 용매와 시료의 비율이 0.8 mL/g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았다. 초음파를 60분 동안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하여 2.06배의 추출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microwave는 60초 조사 시에 최대의 추출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microwave를 처리하지 않은 시료와 비교하여 quercetin과 배당체가 2.14배 많이 추출되었다. 효소 처리 시 cellulase 용액과 시료의 비율이 0.5 mL/g일 때 quercetin과 배당체의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1.65 배 더 많이 추출되었고 viscozyme과 시료의 비율이 0.5 mL/g일 때 quercetin과 배당체의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추출증가율은 2.29 배인 것으로 나왔다. 가장 많은 quercetin과 배당체의 추출 수율을 보인 방법은 viscozyme과 시료의 비율이 0.5 mL/g일 때의 0.070±0.002 mg/g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746.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흑목이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에 의해 흑갈색 색소를 함유한 조다당(crude polysaccharide)을 분획하였고, 이 조다당 분획의 흑갈색 색소 성분을 탈색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공정을 검토하였다. 흡착 평형은 10분 이내의 빠른 시간에 도달하였으며, 최적의 흡착 조건은 pH 7.0 및 온도 40oC에서 조다당 용액 1 mL당 활성탄 16.7 mg을 첨가하였을 때 얻어졌다. 이 때의 최대 흡착효율은 약 80%이었고, 색소 성분의 제거로 다당은 정제되어 1.25배의 정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활성탄에 의한 색소의 등온흡착은 Langmuir 등온식에 따랐으며, 흡착속도는 2nd order model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 흡착은 확산을 통해 조절되는 물리적 흡착공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흑목이 버섯 조다당으로부터의 활성탄에 의한 색소흡착 공정은 그동안 보고된 바 없으며, 경제적이고 간편하여 향후 흑목이 버섯 조다당의 색소 제거와 정제 및 이에 의한 다당 정제공정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4,000원
        7747.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the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ing as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mango wine making.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two kinds of yeast strains Saccharomyces bayanus, Lalvin EC-1118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Lalvin D-47 at 20oC for 28 days. Physicochemical analysis during fermentation was performed for each treatment and the resulting wine samples were analyzed for color, volatiles and sensory properties.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fermenting samples as well as the wine samples show almost similar results regardless of the yeast strains. Wine color of sample wines after stor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nd when compared with a commercial mango wine. From the volatile analysis, esters and alcohols constituted majority of the compounds. Production of several esters, alcohols, acids and terpenes were affected by yeast strain used in fermentation. Results of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wines fermented by S. bayanus EC-1118 strain was more acceptable although sensory scores between the treatments and the reference wi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ttributes evaluated, except for bitterness. The utilization of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 could produce similar properties with existing commercial mango wines although there is still need for further work on the improvement of some sensory attributes of the mango wines.
        4,000원
        7748.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외선 살균소독기의 유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스틸 컵 바닥에서 E. coli를 대상으로 살균력을 측정하고 살균패턴을 조사하였다. 스테인리스스틸 컵 바닥의 자외선 강도는 컵의 위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중앙부에 놓인 컵의 바닥에서는 높은 자외선 강도를 보인 반면 외곽으로 갈수록 자외선 강도는 급격하게 약화되었으며, 이러한 편차는 상단 선반에서 가장 심하였고 중단 및 하단 선반으로 갈수록 완화되었다. E. coli를 대상으로 한 스테인리스스틸 컵 바닥에서 살균효과는 컵 바닥의 자외선 강도와 살균시간에 비례하였다. 자외선에 의한 E. coli 살균패턴은 tailing을 수반하는 의사 1차반응으로 나타났으며 각 구간의 살균속도상수를 산출한 결과 초기 살균속도상수(K1)는 위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 반면 후기 살균속도상수(K2)는 위치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현장에서 자외선 살균소독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살균치를 얻는데 필요한 자외선 조사시간을 산출하는 방정식을 제시하였다.
        4,000원
        7749.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쇠고기의 저장 중 발생되는 부패취를 특수 관능기법인 R-index를 적용하여 부패취 검지분석을 하고, Pseudomonas의 증식과 비교분석 하였다. 패널에게 사전훈련을 통하여 signal reference(37oC, 48시간 동안 저장한 쇠고기)과 noise reference(-2oC, 저장 시간이 없는 신선한 쇠고기)를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Stimuli samples(저장 온도 및 시간 별 쇠고기)와 noise reference를 같이 제공하여 부패취 발생 여부의 확신도에 따라 4가지 구간(signal sure(S), signal unsure(S?), noise unsure(N?), noise sure(N))으로 평가하게 하도록 하였다. 상온인 25oC 저장과 냉장 온도인 5oC의 두 가지 시료 모두 저장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R-index가 증가하였다. 25oC의 경우 저장 36시간까지 급격한 변화를 보이다가 36시간 이후 완만한 변화를 보였으며, 5oC는 전구간 매우 완만하게 점차적으로 변화하였다. 패널 개인별 Rindex가 유의수준 α=0.05 및 α=0.01에서의 경계점을 넘는 시점인 부패취 발생 검지시간을 구하였다. 부패취 발생 검지시간은 α=0.05의 경우 25oC에서 30.92±3.47시간, 5oC에서 169.80±11.27시간, α=0.01의 경우는 25oC에서 34.80±4.01시간, 5oC에서 176.41±9.89시간으로 산출되었다. 부패취가 발생되었다고 검지된 저장 시간의 Pesudomonas의 수는 저장 온도별 차이가 있었고, 부패하였다고 판단되는 6-7 log CFU/g에 근접한 수치였다. 이는 미생물이 쇠고기의 부패취 발생의 기여도는 있지만, 그 밖에 유통환경의 오염, 지방의 산패, 내인성 효소 등의 요인도 부패취 발생에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4,000원
        7750.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장의 품질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부재료인 딸기 퓌레를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숙성 기간동안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숙성초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숙성 60일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정산도는 숙성초기 증가하다가 60일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딸기 퓌레의 함량이 높을수록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분활성도는 숙성 60일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이후 다소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숙성기간 중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식염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색지표인 L*, a*, b*값은 일부 b*값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숙성기간 중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효모는 담금 직후부터 숙성 30일까지 1.2-4.9×106 CFU/g에서 1.6-5.1×106 CFU/g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숙성 30일부터 6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90일째 1.1-5.9×107 CFU/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처리군별로 살펴보면 마찬가지로 숙성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딸기 퓌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효모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딸기 퓌레의 첨가가 고추장의 숙성 중 물리화학적 품질특성뿐만 아니라 미생물 생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751.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함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기능성 부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를 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등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각 시료의 물리화학적 분말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열풍건조하여 제조한 시료의 수분함량이 3.16%로 가장 낮았으며, 진공건조 분말이 3.42%, 동결건조 분말이 3.80%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pH는 6.12-6.27의 범위값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한 시료의 명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았고 적색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관찰결과 동결건조된 시료의 입자가 보다 규칙적이고 치밀하게 배열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다공성구조는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동결건조된 시료의 수분 용해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반면 팽윤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000원
        7752.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fu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daily diet in most of Asia and recently in North America due to several health-promoting functions, preventing and treating a number of chronic diseases such as cancer, coronary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yakong incorporation (0, 5, 10, and 15%, w/w) in preparation of firm tofu. Quality parameters such as pH, titratable, moisture content, color, and consumer preference were determined, and their correlations were analy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titratable acidity, and moisture content due to different levels of yakong incorporation studied (p>0.05). A significant decrease in L* and b*-values whereas significant increase in a*-value was observed (p<0.05). Five percent yakong tofu received the most favorable mean scores with respect to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yakong incorporation was well correlated with som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consumer preference.
        4,000원
        7753.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추출방법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양파 착즙액의 경우 100oC에서 열수 추출한 시료에서 총 phenol, flavonoid, quercetin의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에탄올 추출 시 100oC에서 추출한 시료와 거의 유사한 농도의 기능성 성분이 검출되었다. 양파 추출액의 quercetin 함량은 총 flavonoid의 80-90%로 quercetin이 flavonoid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파분말의 경우 착즙액과 비교하여 추출된 flavonoid와 quercetin 함량이 약간 높았지만, thiosulfinate는 약 40% 낮은 농도를 나타내어 동결건조 과정이 황화합물의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껍질은 육질에 비하여 60배 이상 높은 quercetin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hiosulfinate는 껍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양파 추출액의 살균조건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60, 80, 105, 121oC의 열처리는 살균 전과 비교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양파 추출액의 저장동안 총 phenol, flavonoid, quercetin 함량은 저장기간과 온도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thiosulfinate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25oC에 저장한 경우 4oC에서 보다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7754.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조미소재 개발을 위하여 고압/효소분해 시스템에서 멸치 단백질의 분해 품질특성을 탐색한 결과, 최적 조건은 효소농도 0.6%, 온도 50oC, 처리시간 24시간 및 압력 50 MPa로 확인되었다. 멸치 단백질의 처리방법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최적조건하에서 고압/효소 처리한 멸치 가수분해물의 품질특성이 가열추출물인 대조구에 비하여 2.8배, 2배, 1.4배 증가하여 고압/효소 처리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생산은 가열추출법이나 고압반응에 비하여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효소종류에 따른 분해력은 복합효소로 가수분해한 경우 상업효소에 비하여 큰 증가율을 나타내어 복합효소의 분해력이 상업효소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고압/효소 처리 후의 멸치 가수분해물은 정미성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는 glutamic acid, glycine, arginine 및 alanine 등의 함량이 대조구나 압력 처리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압/효소분해 처리공정은 멸치 단백질의 효과적 분해와 정미성 아미노산 생산에 효율적인 기술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7755.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분말의 대체량을 0-6%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각 특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딸기 분말 대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죽의 pH와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죽의 수분함량은 딸기 분말의 대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평균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딸기 분말의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퍼짐성 지수 역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한편 상관분석결과 딸기 분말 대체수준은 모든 물리화학적 품질특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반죽의 수분함량과 퍼짐성 지수 사이에 양의 유의적 상관관계가 관측되었다(p<0.05).
        4,000원
        7756.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uperior factors and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food related industries. The subject group consisted of 65.0% of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 culinary arts, 12.9% of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 nutrition, and 7.3% of the students majoring in baking & pastry. The nutritional value was evaluated as the top superior factor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the study subjects. In addition, 92.4% of reported that they had eaten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past, 76.8% of whom responded that the reason for having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its time-honored tradition. 'Cooking for oneself'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popular way (78.2%) of obtaining Korean traditional foods, while the traditional market (58.6%) was the most popular place to purchase the foods. 'Not having enough time' (47.2%) was the primary reason for not having Korean traditional foods, although 72.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anted to learn about Korean foods. 'Standardization of taste, nutritional value, and recipe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41.3%) required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dditionally, 56.1%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feel there is a need for modernization of the cuisine to meet the taste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61.4%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dietary culture was the primary reason for developing traditional cuisine,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a bright futur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4,000원
        7757.
        2009.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단급식소란 다수의 사람들에게 일괄적으로 식사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한다. 식품위생법에서는 상시 1회 50인 이상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곳을 집단급식소라 한다. 여기에는 일반회사, 공장, 건설현장, 오피스건물, 컨벤션 센타 등 다양한데 식사품질, 서비스, 위생이나 안전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런 업무를 외부 전문업자에게 아웃소싱 형태로 위탁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나 학교나 병원 등은 매우 까다로운 법규를 적용받기 때문에 관련 전문업자에게 급식업무를 맡기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하다. 본 고에서는 다수가 운집한 시설에 집단급식업무를 수탁받아 개시할 경우, 이익창출 등 성공적인 비지네스를 위하여 어떤 항목을 어떻게 검토해야 하는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775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s are very concerned about food safety as the risk with food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onsumers on food safety in order to collect som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sumer education program. Total 500 consumers were asked to answer for survey constituted with 6 questions of generic information, 4 of food safety perceptions and 8 of food safety practices from June to July, 2006.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51.8%) were unsatisfied with the food safety management of government while the individual practices on food safety were satisfactory. Especially, most respondents (98.7%) checked the expiration date of food when they purchased and 97% of respondents were washed hands before food preparation. The higher food safety perception, the better food safety practices of consum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s on food safety hazards and the principles of sanitation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safe food handling and perception on food safety.
        4,200원
        775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biogenic amines(BA) content in Korea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commercial soybean paste.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anaylsis through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s(L1~L4) were 7.8 ± 0.1 log CFU/g ~ 7.9 ± 0.1 log CFU/g, commercial soybean pastes(H1~H6) were 6.2 ± 0.1 log CFU/g ~ 7.4 ± 0.1 log CFU/g for APC (Aerobic Plate Count), and L1~L4, H5, H6 soybean pastes were 2.3 ± 0.4 log CFU/g ~ 2.6 ± 0.1 log CFU/g for Bacillus cereus. But other microorganism was not dectected. Among biogenic amines, PUT(putrescine), TYR(tyramine), HIS(histamine), PHE(2-Phenylethylamine) were dectected high level and CAD(cadaverine), TRY(tryptamine), AGM(agmatine) were dectected medium level and SPD(spermidine), SPM(spermine), NOR(noradrenaline), SER(serotonin) were dectected low level. Dectected contents of biogenic amines were higher in commercial soybean past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oybean paste.
        4,000원
        776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biological activity in soybean pastes with the sword beans and general soybean pastes. The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soybean pastes with the sword beans(J2, J4) was higher than other soybean pastes with value of 81.5 ± 2.2% and 88.3 ± 0.7%,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total phenol compounds was higher in J2 and J4 compared to the others with value of 1773.8 ± 2.9 mg/kg and 1785.7 ± 3.9 mg/kg respectively. ACE inhibitory effect was higher in J2 and J4 than other soybean pastes with value of 63.1 ± 1.0%, 62.1 ± 1.4%, respectively. And aglycone type(daidzein, genistein)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than glucoside type(daidzin, genistin). But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as not different among test samples. From the results, soybean pastes with the sword beans(J2, J4)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d ACE inhibitory effect than other soybean pastes, therefore, it may have potential to prevent hypertens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