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016년 4월) 287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0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aermann funnel method requires three to four Kimwipes tissues for clean nematode extraction. To find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nematode extraction paper, 14 different kinds of tissue paper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Kimwipes tissues. Nematode species used in the extraction efficiency test were juvenile (J2) of Heterodera spp., J2 of Meloidogyne spp., Pratylenchus spp., Rhabditis spp., Acrobeloides spp., Panagrolaimus spp., Poikilolaimus spp. and Diplogasterida. Extraction efficiency varied between 42.0 to 88.8%. Considering costs, extraction efficacy, and cleanness, one sheet of Pulling Kitchen Towel (MONALISA Co., Korea) is selected.
20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국 15개 분재원으로부터 송백류 분재,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육송(Pinus densiflora), 곰솔(Pinus thunbergii), 주목(Taxus cuspidata) 등 총 6종, 55점의 분재를 수집하고, 이를 잎, 줄기, 뿌리, 토양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선충의 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분재에 서식하는 선충은 주로 토양과 뿌리에 분포하였으며 특히 뿌리에서 85.5%로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총 7목 21속의 선충이 발견 되었다. Tylenchida목에서는 Tylenchus 속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Ditylenchus 속, Aphelenchoides 속, Aphelenchus 속, Criconemoides 속, Pratylenchus 속, Helicotylenchus 속, Hemicycliophora 속, Mesocriconema rusticum, Tylenchorhynchus 속, Paratylenchus 속 순이었다. Rhabditida목에서는 Cervidellus 속, Diploscapter coronatus, Panagrolaimus 속 순이었으며, Dorylaimida목에서는 Dorylaimus속 그리고 Alaimus속 순이었다. Triplonchida목에서는 Tripyla 속 그리고 Diphtherophora 속이 발견되었으며, Monhysterida목에서는 Monhystera 속이, Mononchida목에서는 Mononchus 속, Plectida목은 Plectus parietinus가 발견되었다.

포스터

20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잎선충(Aphelenchoides fragariae)에 감염된 딸기(Fragaria x ananassa Duch.) cv. 장희에서 부위별로 감염 증상을 조사하였다. 감염주 전체의 딸기잎선충 밀도는 최고 23,293마리였고 감염된 딸기주는 정상포기에 비하여 속잎이 위축되게 나타났다. 특히 감염주의 꽃대 길이는 정상주에 비해 26%로 현저히 짧았으며, 심하게 감염된 포기로부터 꽃대에는 기형과가 형성되었다. 크라운, 잎자루, 잎, 꽃대, 꽃받침, 열매 등 부위별 딸기잎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꽃받침에서 가장 높은 밀도(403마리/g)를 나타냈다.
20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동부품종을 윤작작물로 도입하고자, 미국에서 선충저항성 윤작작물로 알려져 있는 동부(cowpea, Vigna unguiculata) 10품종 을 도입하여 국내 시설재배지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두 종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 와 M.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땅콩뿌리혹선충(M. arenaria)에 대해서는 Texas Cream 40 한 품종이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9품종은 모두 감수성이거나 중도 감수성이었다. 고구마뿌리혹선충(M. incognita)에 대해서는 Texas Cream 40, Purple Hull Pinkeye, Texas Pinkeye Purple Hull 등이 중간정도 이상의 저항성을 보였고 나머지 7품종은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도입 동부 품종들의 뿌리혹선충 저항성반응은 미국과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0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s the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hapla, from strawberry in Korea using molecular analyses. Strawberry plants showed localized stunting and galled roots. Molecular analyses of COⅡ/lrRNA, 28S rDNA D2-D3 segment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were employ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eloidogyne spp.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of COⅡ/lrRNA region produced a single fragment ca 528bp. Restriction digestion of the amplified PCR products with Dra1 enzyme produced two fragments at 200 and 250bp indication M. hapla. 28S rDNA D2-D3 segment and ITS were cloned and sequenced. 28S rDNA D2-D3 segment and ITS region produced a single fragment of 1004bp and 560bp, respectively. In BLAST search in Genbank, all sequences accord with other known M. hapla. As a result, all of the RKN samples were M. hapl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RKN on strawberry is M. hapla in Korea.
20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최근 과수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에 대발생하여 생육을 저해하고 그을음병을 유발하는 등 문제가 매우 심각한 돌발성해충이다. 문헌에 따르면 갈색날개매미충은 2008년 7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서 첫 발견되었다. 생활사는 부화시기가 5월 초부터 시작되어 4회의 탈피기간을 거친 후 7월 중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기 시작하였다. 산란은 8월 초순부터 시작이 되었으며, 9월말 간혹 2령 약충의 모습이 관찰 되어 연 2회 발생이 진행되는 듯 보였으나 그 이상 성장한 약충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갈색날개매미충은 기주식물에 대한 특이성이 없는 광식성 곤충으로 알은 주로 식물체의 1년생 가지에 집중적으로 산란하는 특징을 보였다. 친환경 방제 실험은 알코올 추출법을 이용한 고삼추출물과 데리스추출물 두 종을 방제제로 선발하였고 약충과 성충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약충에 대한 방제실험은 실내에서 부화된 개체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방제율이 각각 72%, 56%로 나타났다. 성충에 대한 방제실험은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지에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약충 방제율 보다 낮은 54%, 45.7%로 나타났다. 또한 고삼추출물과 데리스추출물 두 종을 2:1 비율로 혼합 후 카놀라유, 목초액, 난황유,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사용한 경우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각각 57.7%, 58%, 52% 48.7%로 나타났다

포스터

20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etylcholinesterase 1 (AmAChE1) has low catalytic activity and is abundantly expressed in both neuronal and non-neuronal tissues. In previous experiments, we observed that AmAChE1 is rarely expressed in summer while highly expressed in winter.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the expression of AmAChE1 was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brood rearing status. Under the assumption that abnormal suppression of brood rearing activity may result in stressful condition in honey bee social community, it was further suggested that AmAChE1 is likely involved in stress management particularly during winter. We hypothesized that the increased docility usually observed in overwintering bees is likely an outcome of stress management in colony, which is mediated by AmAChE1 expression. To verify this, worker bees expressing abundant AmAChE1 were collected in early winter and injected with Amace1 dsRNA to knockdown Amace1. Then, the behavioral activity of the bees was investigated using the EthoVison video tracking system. Honey bees injected with Amace1 dsRNA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motility, which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suppressed expression level of AmAChE1 in the abdomen. No apparent reduced expression of AmAChE1 in the head was observed perhaps due to the limited efficacy of RNA interference in the blood-brain-barrier. Our finding suggests that behavioral activity can be regulated, at least, by AmAChE1 expression level in non-neuronal tissue (i.e., fatbody) perhaps via metabolic alteration.
20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복숭아씨살이좀벌의 번데기에 대한 온도발육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015년 경기도 수원, 전남 순천, 고흥, 광양, 영광, 전북 순창의 매실 과원에서 우화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온도(T)와 발육속도(평균발육기간의 역수, r(T)) 사이의 관계를 직선회귀분석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추정된 발육속도 식은 각각 r(T) = 0.0060*T - 0.066 (R2 = 0.97), r(T) = 0.0064*T – 0.060 (R2 = 0.96), r(T) = 0.0075*T – 0.078 (R2 = 1.00) 이었으며, 발육영점온도와 발육완료에 필요한 적산온도는 각각 11.0℃, 165.7DD; 9.4℃, 156.9DD; 10.4℃, 133.3DD 이었다. 발육속도를 적산한 생리적 연령(physiological age, p(x))과 누적우화율(accum(%)) 사이의 관계는2-parameter weibull 함수(accum(%) = 1-EXP(-((p(x)/α)^β))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α, β는 각각 1.08, 10.60(R2 = 0.81); 1.03, 8.16 (R2 = 0.92); 1.01, 10.17 (R2 = 0.96)로 추정되었다. 성충은 광양에서 4월 11일부터, 수원에서는 4월 21일부터 우화가 시작되었으며 5월 초순까지 약 20일간 성충이 우화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발육영점온도와 발육완료분포함수 모델을 이용하여 과원에서 성충 발생을 검증할 계획이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0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NA interference (RNAi) has been proven as an operative technique for efficient gene silencing in many organisms. In our study, Tetranychus urticae, an extremely polyphagous and rapidly resistance developing mite against acaricides, was screened by double-stranded RNA (dsRNA) delivery method using multi-unit chambers. Among several lethal genes of T.urticae, COPA (the coatomer subunit alpha), a gene involved in membrane transport betwee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the Golgi complex,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rate [median lethal time (LT50)=54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sCOPA treatment to lysosome formation, we used the Lysotracker green DND26 dye, selective to acidic cellular compartments such as lysosom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dsEGFP-treated T. urticae has 1.3-fold more of lysosome than that of dsCOPA treated, indicating that downregulation of COPA affected lysosomes function and autophagy, thereby resulting in lethality. To investigate the further detailed toxic mechanism of COPA knockdown, investigation on histological changes in T. urticae fed COPA dsRNA is currently on going.
21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 bee swarming is a naturally occurring phenomenon under the conditions of population increase, climate change and pollen deficit. However, unexpected swarming usually results in loss of bee colony, it poses a considerable trouble in bee keeping. In an attempt to search for molecular markers that can predict the swarming behavior, transcriptional profiling was conducted and compared between the heads of swarming group and the remaining group in the same honey bee colonies. A total of 25,551 transcripts were initially identified and 1,144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orted by FC2 (fold change) cut-off value. Several transcripts, including 6 apidermin (structurally novel cuticular protein)-related, 16 cuticular and 3 odorant binding proteins, showed lower expression levels in the swarming group compared with the remaining group (FC range of –2.17 to –667.48, -2.04 to –54.34 and -2.08 to –21.34 respectively). Pathway analyses are currently in progress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and metabolic differences between swarming and remaining groups of honey bees.

포스터

21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xalic acid has a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High producer of oxalic acid was isolated, and then named as Aspergillus niger F22. Oxalic acid production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temperatures from 20 – 33oC and rotational speeds in 5 L jar fermenters. Yield of oxalic acid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at 23oC, showing the yield of oxalic acid of 8.7 g/L, whereas oxalic acid production was least at 33oC. At 20oC, the yield was lower than that of 23oC. At a rotational speed of 300 rpm, serious oxygen depletion was present from 48 - 72 h,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of 26.2 mg /L·h. When a rotational speed was set at 600 rpm, dissolved oxygen tension was over 40% and oxalic acid production increased up to approximately 55%. Viscosity during the culture differed with temperatures. Viscosit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emperatures. When A. niger F22 was cultured at 23oC, viscosity was 810 cP, which was favorable for oxalic acid production.
21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oth Nilaparvata lugens Stål and 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 has been known as the major rice pests which were irregularly migrated into Korea by wind current from China. We re-arranged and compared the resistance profiles to detect the existence convergent adaptation by using the previously published dataset (N. lugens at 2014, 17:711-716 and L. Striatellus at 2016, 19:247-252 in J. Asia Pac. Entomol., respectively). Both species commonly exhibited the high level of resistance to imidacloprids. Especially, the immigrant populations of L. Striatellus exhibited higher resistance level to indigenous populations, suggesting that they would settle down in Korea with insecticide resistance traits being predisposed. To detect the convergent adaptation to insecticid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by comparing mean dosage of LD50 and resistance ratio to nine insecticides. Strikingly, high and similar dosage respons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species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28 (df=7, P <0.001) and 0.950 (df=7, P <0.001),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 of LD50 vs. resistance ratio. This finding indicates that convergent adaption has occurred in both species through consistent selection by insecticides with similar usage patterns.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1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itin synthase (CHS) is an important enzymatic component, which is required for chitin formation in the cuticles and cuticular linings of other tissues in insects. CHSs have been divided into two classes, class A and B, based on their amino acid sequence similarities and functions. Class A CHS (CHS-A)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epidermis and related ectodermal cells such as tracheal cells, while expression of class B CHS (CHS-B) is expressed in gut epithelial cells that produce peritrophic matrices. In this study, we cloned the CHS-A gene from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The SeCHS-A mRNA was expressed in all developmental stages and specifically in the epidermis and tracheae tissue by RT-PCR analysis. Expression of SeCHS-A gene was suppressed by feeding double-stranded RNA (dsRNASeCHS-A, 150 ng/larva) in the fifth instar of S. exigua. The suppression of SeCHS-A gene expression significantly induced mortality on pupal stage. Also, larvae fed with dsRNASeCHS-A significantly enhanced pathogenicity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ANU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CHS-A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of S. exigua and dsRNA, which is a specific to SeCHS-A gene, may be applied to effective pest control with B. bassiana.
21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저리과(Tenebrionidae)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큰 그룹으로 세계적으로 2,300속 20,000여종이 기록되어 있고(Zhang, 2011), 형태적으로 다양한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저장곡물 해충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골판지트랩(30×30cm)을 이용하여 전국의 미곡종합처리장(RPC)에 발생하는 저장곡물해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거저리과의 미기록 해충인 Cynaeus angustus (LeConte)를 확인하여 보고하는 한편, 저장곡물에 발생하는 국외종 4종(Ulomina carinata Baudi; Gnatocerus maxillosus (Fabricius); Tribolium destructor Uyttenboogaart; T. madens (Charpentie)을 포함한 17종의 거저리과 해충에 대하여 일반인도 쉽게 동정할 수 있고, 식물검역과정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디지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대화형 도해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포스터

21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복숭아순나방은 사과, 배 등 핵과류 과실의 심식류로서 일차해충이다. 따라서 살포 농약과 접촉을 피할 수 있어 화학적 방제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 기술이 개발되어 방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효과적 교미교란제 처리는 광범위한 지역에 비교적 다량의 성페로몬이 투여되기에 이에 따른 막대한 방제 비용은 이 기술의 제약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효모를 이용한 성페로몬 생합성 기술이 대안책으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에 특이적 △10 desaturase의 유전자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성페로몬샘 의 전사체 분석은 최소한 3 종류의 후보 △10 desaturase 유전자를 찾아냈다. 이 가운데 Gm_comp1575 전사체의 유전자 구조를 밝혔다. 추정된 전체 아미노산 길이는 371 개로서 다른 desaturase와 유사한 길이를 나타냈고,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에 서 발현되었다. 현재 이 유전자의 기능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21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래(Actinidia arguta)는 국내에 4종 2변종이 자생하고 있고, 약 30ha 정도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데, 재배 초기단계여서 병해충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하다. 주로 껍질 채 생과 위주로 소비되기 때문에 친환경 방제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전남지역 다래에 발생하는 해충으로는 19종이 조사되었는데, 당근뿌리혹선충, 녹응애류 1종, 차응애, 볼록총채벌레,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뽕나무깍지벌레, 식나무깍지벌레, 솜깍지벌레, 목화진딧물, 거품벌레류 1종, 끝검은말매미충, 갈색날개매미충, 애매미충류 1종, 대마도줄풍뎅이, 담배거세미나방, 잎벌류 1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녹응애, 볼록총채벌레, 썩덩나무노린재, 뽕나무깍지벌레, 애매미충, 담배거세미나방, 갈색날개매미 충 등은 방제가 필요하였으며,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일찍 산란된 난괴가 상처유합조직 발달이 빠른 다래 가지 조직내에 묻혀 알이 죽는 경우가 49% 정도였고,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였다. 다래 해충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처리결과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고삼+ 차추출물, 마늘유+시트로넬라유가 효과적이었으 며, 녹응애는 고삼+계피추출물, 님추출물 등 4종이 우수하였다. 뽕나무깍지벌레 부화 유충에 대한 유기 농업자재 처리효과는 고삼+계피추출물 등 2종에서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월동기 기계유유제를 이용한 방제효과는 주간부 처리시 껍질을 제거하고 살포해야 효과적이었다. 한편, 과일 외관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애매미충과 볼록총채벌레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선발은 추가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1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chitinases (CHTs) belong to family 18 glycosylhydrolases and hydrolyze chitin by an endo-type manner. One of the functions of CHTs is in the turnover of chitin-containing extracellular matrices such as the cuticle and peritrophic matrix of the midgu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genes encoding CHT-like proteins in insects, and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eleven group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We have investigated functions of a group III chitinase in Tribolium castaneum (TcCHT7) containing a predicted transmembrane segment in N-terminal region. Recombinant TcCHT7 exhibits chitinolytic activity against CM-Chitin-RBV.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s that TcCHT7 is localized in newly formed procuticle in elytral cuticles, suggesting that TcCHT7 is released from the plasma membrane of underlying epidermal cells. TcCHT7-deficient pupae and adults fail to undergo wing-expansion and abdominal contraction. In addition, cuticular chitin accumulates in the inner region of the procuticle where disorganized horizontal laminae and pore canals are evid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cCHT7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rigid and soft cuticles of the beetle. This work was supported by NRFs (NRF-2015 R1A2A2A01006614).
21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단감 재배면적은 24,299ha인데 친환경 재배면적은 30ha로 극히 미미한 실정으로 이를 확대하고자 농가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유기재배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하여 3년간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병해충은 탄저병, 감꼭지나방, 노린재류, 주머니깍지벌레이며, 일부 포장에서 는 차응애, 감관총채벌레, 독나방 등이 발생한다. 이들 각각의 병해충에 대하여 친환경 방제자재를 선발하였는데, 탄저병의 균사생육을 억제하는 유지자재는 석회유황, 황토유황, 결정석회황합제 등 황이 들어간 제품에서 효과적이었다. 감꼭지나방 유충은 고삼+님추출물제에서 70% 살충효과가 있었다. 감꼭지나방 방제를 위하여 (E,Z)-4,6-Hexadecaduenyl acetate와 (E,Z)-4,6-Hexadecadienal를 58:5.8비율로 혼합한 교미교란트랩을 5×5m 간격으로 설치한 결과 피해과율을 낙과율이 31% 경감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는 마늘+시트로넬라유, 너삼씨앗유, 고삼+미생물이였으며, 감관총채벌레는 잎을 말고 그 속에서 가해하기 때문에 방제효과가 비교적 낮았으나 님추출물제, 너삼씨앗유에서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독나방에는 너삼씨앗유, 마늘+시트로넬라유, 고삼+미생물이 효과가 좋았다. 각 병해충별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유기재배 단감의 병해충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부유 8년생에 종합관리Ⅰ (연 8회 살포), 종합관리 Ⅱ(연 11회 살포)를 두고 농가관행방제와 비교하였다. 종합관리Ⅰ, Ⅱ, 농가관행방제(16회 살포)의 수확과율이 각각 70.7, 67.7, 71.2%였으며, 각 처리 모두 탄저병, 깍지벌레, 감관총채벌레 피해는 극히 미미하였으나 노린재류 피해과율은 32~75%까지 발생하여 노린재는 방제가 되지 않았으며 추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포스터

21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wing drosophila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is an Asian species introduced into North America and Europe. It damages a wide variety of thin-skinned fruits. We sequenced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D. suzukii to better understand the mitogenomic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and understand phylogentic relationships of Drosophila. The 16,230-bp complete mitogenome of the species consists of a typical set of genes, including 13 protein-coding genes (PCGs), two rRNA genes, and 22 tRNA genes, and one major non-coding A+T-rich region, with an arrangement typical of insects. Twelve PCGs began with the typical ATN codon, whereas the COI began with TCG,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the start codon for other Drosophila species. The 1,525-bp A+T-rich region is the second longest in Drosophila species for which the whole mitogenome has been sequenced, after D. melanogaster. Phylogenetic analysis with the 13 PCGs of the Drosophila species using Bayesian Inference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s both placed D. suzukii at the basal lineage of the previously defined Melanogaster group, with a strong support.
22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포도 수입국인 호주는 벗초파리(Drososphila suzukii)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으로 우리나라 수출포도에 대한 관리방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축된 대량사육체계를 활용하여 벗초파리의 저온 사멸조건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실험(–1, 0, 0.5, 1, 1.5 및 2℃) 결과와 수출용 포도 저장상황을 바탕으로 포도송이를 이용하여 1, 1.5 및 2℃ 등 3개 온도 하에서 저온 사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알은 1℃에서 4일, 1.5 및 2℃에서는 8일 저장시 100% 사멸했으며, 유충의 경우 1℃에서는 6일, 1.5 및 2℃에서는 8일 저장시 100% 사멸했으며, 번데기의 경우 1℃에서는 6일 1.5 및 2℃에서는 8일 저장시 100% 사멸하였다. 번데기에 대해 각 반복구당 약 2,000 개체를 이용한 온도별 3반복 포도송이 이용 실험결과 역시 동일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정리해보면, 3개 온도 중 1℃가 알, 유충, 번데기의 100% 사멸을 위해 가장 짧은 저장일수(4-6일)가 소요되므로 최적 단일 저장 온도는 1℃로 선정하여 현장 적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 1℃로 설정된 저온 컨테이너(7 ㎥)에서 6, 8, 10일간 벗초파리 유충 및 번데기가 접종된 포도송이를 저장한 결과, 6일 저장시 평균 99.6%, 8일 및 10일 저장시 100% 사충률을 나타내어 수출시 평균 1℃ 이하에서 최소 8일 이상 저장시 성충을 제외한 벗초파리를 100% 사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