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2년 10월) 189

포스터발표

14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 간 농림수산물 교역량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병해충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검역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형태적 특성에 의한 해충 동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종 동정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과실에서 발견되는 주요 30여종의 해충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COI 바코드 서열분석과 바코드 서열에 기반 한 종 특이적 PNA probe개발을 통한 microarray system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6종의 가루깍지벌레와 8종의 깍지벌레, 7종의 나방류, 5종의 응애류, 4종의 잎굴파리에 대한 DNA barcode 서열을 확보하였으며 각 분류군 공통적인 PCR 증폭 방법을 개발하고, PCR 증폭산물을 이용하여 효과적 해충의 동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4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1889) (Hemiptera: Aleyro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pests by direct feeding and begomovirus transmission in the world. B. tabaci species complex consisting of about 30 species worldwidely has been mainly distinguished by molecular methods because of difficulties detecting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Korea, distribution of two exotic groups, the Mediterranean (Q biotype) and the Middle East-Asia Minor 1 (B biotype), were confirmed by comprehensive molecular methods in 2012. Of them, the Q biotype as a vector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has caused significant crop yield losses. Tobacco leaf curl virus (TbLCV), one of four begomoviruses in Korea, was first reported in 2011. It damaged, although not frequent, to greenhouse tomatoes at Iksan, Gimje, Sunchang, and Jeju. The vector transmitting TbLCV, however, is not known yet. In this study, we sampled an unknown B. tabaci populations on leaves of the Japanese honeysuckle (Lonicera japonica) at Iksan in outdoor conditions. PCR analysis revealed that some populations were infected with TbLCV. We identified an unknown indigenous genetic group named as JpL and clarifie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gene.
14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rythucha marmorata (Uhler, 1878), the chrysanthemum lace bug, originally distributes throughout North America. It feeds on plants in the family Asteraceae. In south central New York, it has been known as a common herbivore of Solidago spp. and Aster spp., especially Solidago altissima and Aster novae-angliae. Since the first founding of the lace bug in the western Japan (Hyogo) in 1999, it has rapidly expanded to other areas and sometimes damaged to agricultural crops such as chrysanthemum and sweet potato. In July 2012, we found the lace bug at Icheon, Gyeonggi Province,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terestingly Aster pilosus Wild., an American exotic plant, was heavily infested with a lot of adults and nymphs of the lace bug at roadside. Subsequent survey indicates that it distributes widely in the central Korea, inhabiting a few wild plants including Erigeron annuus (L.) and Conyza canadensis (L.). In this report, we provide it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host plants, and possible importance as an agricultural pest in Korea.
144.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풀잠자리과(Chrysopidae)는 전세계적으로 1,300~2,000종이 분포하며 미소해충에 대한 포식력이 뛰어나 생물적 방제 수단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천적으로서의 가치평가는 먹이해충에 대한 포식능력, 먹이해충과 관련된 생활사, 포식자의 환경 저항능력 등에 기초하고 있다. 이중 천적의 잠재력 평가 및 천적간의 상대적 능력비교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Holling(1959)의 기능반응과 실험실에서 2가지 이상의 먹이가 존재할 때 포식자가 섭식한 포식량을 측정하였다. Chrysoperla nipponensis (Okamoto)의 유충 발육기간은 16.8일이 소요되었으며, 유충기간동안 약 669마리의 가루깍지벌레(2령 초)를 포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 nipponensis는 가루깍지벌레의 밀도가 낮을때에는 밀도 증가에 따라 포식량이 서서히 증가, 가루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을때에는 밀도 증가에 따라 포식량이 점차 증가하나, 그 증가율은 차차 감소하는 Holling의 type III과 유사한 포식반응을 나타내었다. C. nipponensis 2령 유충에 대한 먹이종류별(2~3령) 일일포식량은 가루깍지벌레, 복숭아혹진딧물, 담배가루이를 공급하였을 때 24시간동안 각각 4.7마리, 13.3마리, 0.9마리를 포식하였다(25±2℃, 75±5%, 16L:8D). 본 연구는 깍지벌레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토착 천적으로서의 C. nipponensis 의 이용가치를 평가하기위하여 수행하였다.
145.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총채벌레 생물적 방제 기술은 지난 몇 년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국내 토착천적인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 (Poppius))와 외래 도입종인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 (Fieber)) 등은 농가 현장 실증 연구를 통하여 총채벌레류 방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더욱이 애꽃노린재류는 총채벌레가 없어도 꽃가루만 먹고 발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적 방사가 가능하다. 다만 오이에서는 애꽃노린재를 방사하여도 총채벌레 방제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는데, 이는 잎을 선호하지 않는 애꽃노린재의 습성과 더불어 꽃가루가 거의 없는 재배 오이의 특성이 천적 적용의 걸림돌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오이포장에서 미끌애꽃노린재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Banker Plant의 사육기준 및 규격설정을 위하여 수행되였다. 미끌애꽃노린재의 채란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돌나물(Sedum sarmentosum Bunge),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 Hooker), 애플민트(Mentha rotundifolia Ehrh.)를 이용하여 채란 효율을 검증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 성충(성비1:1)의 밀도(900, 1,350, 1,800마리)에 따른 각각의 채란수는 성충 900마리일때 16, 429, 15개, 1,350마리일때 97, 456, 24개, 1,800마리일때 13, 646, 17개로 조사되었다. 채송화에서 미끌애꽃노린재 성충(성비1:1) 밀도별(1,000, 1,500, 2,000마리) 재생산효율은 16배, 13배, 8배로 조사되었다. 향후 농가 현장 실증 연구 및 산업화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4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umigant effects of six plant essential oils (Helichrysum angustifolia, H. gymnocepha, H. splendidum, Arachis Hypogaea (peanut oil), Mentha arvensis (corn mint oil), and Thymus magnus (thyme oil) were tested against the adults of three grain storage insects (Lasioderma serricorne, Sitophilus zeamais, and Tribolium castaneum). Among them, the corn mint oil revealed to have fumigant toxicity against L. serricorne (LD50 = 1.3 ㎕ L-1), S. zeamais (LD50 = 3.6 ㎕ L-1), and T. castaneum (LD50 = 16.2 ㎕ L-1).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corn mint oil were analyzed using GC-MS as follows: (-)-menthone (15.3%), isomenthone (10.0%), methyl-cetate (5.0%), β-caryophyllene (9.1%), and 1-menthol (48.1%). To enhance the fumigant toxicity, ethyl formate was added. This novel formulations of mixture could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synergistic effects.
14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저장곡물해충 방제를 위한 열처리기술은 일반적으로 제분회사 및 식품회사의 해충 방제 대상 건물 내부 온도를 50∼60℃로 24∼36hr 정도 유지함으로써 설비 내부 및 건물 균열부 등에 서식하는 저장곡물해충을 방제하는 것으로써 기존의 화학훈증제를 대체할 방제기술이다. 약 50℃의 온도가 일정시간 지속될 경우 해충의 체온 상승과 탈수, 그리고 단백질 변성 등에 의한 방제기작으로 해충의 모든 생태 단계에 대해서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훈증제의 잔류성 문제와 살충제에 대한 해충 내성출현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최근 소비자의 먹거리에 대한 의식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무독성 및 비잔류성의 친환경적 저장곡물해충 방제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소는 지난 2010년부터 국내외 저장곡물해충 방제에 대한 열처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재 전기형 열풍기(18kw, 20kw) 106대, 오일형 열풍기(1,000,000kcal) 1대, 그리고 무선 온도 Monitoring시스템 1대를 개발하였다. 또한 지난 2011년부터 현재까지 2년간 국내 제분회사 5개 업체 및 식품회사 3개 업체에 대해서 약 20회 이상의 현장 열처리 방제를 수행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방제효율의 개선 및 원가점감 등 관련 기술을 추가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148.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elopmental time of larvae of mealworm beetle, Tenebrio molitor was studied at six temperatures ranging from 17 to 30℃ with 60~70% RH, and a photoperiod of 14L:10D. Mortality of 1st~13th larva was very low at 17 and 20℃ but did not die over 22℃. Developmental time of larva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was longest at 17℃ (244.3 days) and shortest at 30℃ (110.8 days), suggesting that the higher temperature, the faster development period.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s for the total larval stages were 6.0℃ and 2564.1 day-degre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fitted a linear model and nonlinear model by Logan-6 (r2=0.95). The distribution of completion of each development stage was well described by the 3-parameter Weibull function (r2=0.89).
14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 of Black Soldier Fly(BSF), Hermetia illucens, to determine effects of BSF on composing ability to waste-food. The distribution of BSF was defined in all parts of the country in Korea. Its main habitat was found to be areas near cattle sheds, manure sheds, living waste dump grounds, and food waste dump grounds. Observed characteristics of BSF by developmental stag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eggs were a long oval shape of 886.9±19.7 ㎛ in major axis and 190.1±9.7 ㎛ in minor axis; they were 24.0±1.6 ㎍ in weight. One adult insect laid 1001±247 eggs in quantity; days to hatch from eggs (27℃, 60% R.H.) were 81.3±12.5 hours. Larvae which were hatched appeared to be close to white and turned into pale yellow as being last instar larva. Last instar larva ranged from 20.7±1.1 mm in size, the length of larval stage was approximately 15~20 days. Pupae exhibited red brown, 19.2±1.1 mm in size; pupal state lasted 15.5±1.4 days for female, 14.7±1.4 days for male, exhibiting the tendency of males having shorter period than females. Adult insects were sized about 13~20 mm and colored black.
15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ale incubating behaviour on hatching rate of giant water bug from May 2, 2011 to September 2, 2012 in the laboratory(24.1±0.2℃) in HECRI. The giant water bug, Lethocerus deyrollei, is the largest aquatic insect in Korea (length, Female: 63.5±0.4mm, Male: 54.0±0.3mm). L. deyrollei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since 1997. L. deyrollei lay eggs as clusters on stems or vegetation of aquatic plants above the water. Males do not leave the stems which eggs are sticked until eggs hatched because they protect eggs against predators and supply water to eggs. The incubating behavior of male L. deyrollei was observed three times a day, 06:00, 13:00 and 19:00 respectively and 32 egg-clusters were used. Three treatment - presence of male incubation, absence of male incubation, and artificial removing male - were manipulated to observe the hatching rate of egg masses. There were different hatching rates between presence (67.2%) and absence (1.9%) of male incubatng behavior. In case of artificial removing male, eggs could not hatch. The mean diameter of eggs(2.87±0.03mm) which male incubated was bigger than that of eggs(2.18±0.03mm) which male did not care.
15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거저리는 소맥피와 가축사료에서 2일간 평균 44.3~55.3개를 산란하였고 발육기간은 80.0~83.7일, 번데기크기는 18.1~18.7mm로 유사하였다. 갈색거저리 번데기의 평균 무게에 따라 0.12g, 0.15g, 0.18g의 세 중량으로 구분하여 우화 후 성충의 일생동안 평균 산란수를 조사한 결과 각각 172.3, 191.2, 215.0개로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산란경향은 우화 2주차까지 51.8%를 산란하여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번데기 무게에 따른 성충의 수명은 각각 27.1±6.9, 30.1±7.8, 27.4±8.5일로 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갈색거저리 유충사육용기(16×21.5×7cm)에 유충 사육밀도를 100, 300, 500, 700마리로 사육한 결과 용화 시작 후 3주 이내에 62.7%가 용화되었으며 단위 공간당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번데기의 중량은 용화 시작 후 3주까지 각각 146.9±6.5, 142.1±8.3, 122.0±9.6, 118.5±5.2mg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나 3주 이후에는 사육밀도에 따라 각각 134.9±48.9, 148.8±18.1, 149.0±8.6, 140.4±8.2mg으로 차이 없이 조사되었다.
15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땅강아지의 실내사육을 위해 성충을 1쌍, 2쌍, 3쌍씩 원형 밀폐산란용기(지름17×높이25cm, 5L)에 산란배지를 넣고 사육한 결과 산란 성공률은 각각 20, 20, 80%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산란수는 11.8±21.7, 15.7±26.4, 25.8±38.8개로 조사되었다. 산란용기에서 땅강아지 부화 약충은 각각 평균 1.2, 1.7, 1.2개체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4.7~11.1%로 약충의 밀도와는 관계가 없었다. 원예용상토와 황토가 혼합된 마사토에서의 약충 사망률은 각각 18.3, 10.0%로 황토가 혼합된 마사토에서 낮았다. 원형 및 사각사육상에서 유충의 사망률은 각각 60, 40%로 조사되었고 백강균과 같은 미생물에 감염되어 사망하였다. 땅강아지의 누대사육 및 대량사육을 위해 조성한 야외사육장(25m2)에서 5월 14일부터 6월 21일까지 16회 채집한 결과 총 188개체중 약충이 131개체, 성충이 57개체(암컷 27, 수컷 30개체)로 약충이 69.7%이었다. 야외사육장에서 9월 10일 채집결과 1m2당 40.2±12.3개체로 총 241개체가 채집되었고 그중 약충은 210개체이었고 3령 이내의 약충이 79.0%를 차지하였다.
15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종이기록물 보관 시 해충에 의한 직, 간접적인 피해예방을 위하여 소독약제, 소독방법에 따른 살충효과를 검증하여, 종이기록물 소독처리의 경제성, 소독효과 및 소독표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사용된 공시충은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ilium castaneum) 성충 및 유충,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성충 등으로 종이 묶음책 내부에 이들 공시충을 투입하고 국가기록원 원내 지침에 따라 약제별, 처리시간 별 소독처리한 결과, 약제 무처리구에서는 처리위치(상, 중, 하단)에 상관없이 치사율이 0% 이었으며, B사 약제 20시간 처리 경우 화랑곡나방 유충은 치사수가 4~8마리,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과 성충은 2~5마리, 약제에 노출된 경우 4~15마리의 치사수를 나타냈고 어리쌀바구미 성충의 경우 약제 노출된 처리구에서만 15마리의 치사수를 보였다. E사 약제처리의 경우 처리시간에 따른 살충효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치사수는 1~6마리 범위였고, 약제에 노출된 경우 어리쌀바구미 성충에서만 16~20 마리 범위의 높은 치사수를 보였다. 약제 처리 후 치사율 조사는 처리직후, 12시간, 48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져 약제에 대한 Knock-down 저항성 발현여부도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제에 직접 해충이 노출되지 않고 책 내부에 해충이 서식할 경우 2종류 처리약제 모두에서 만족스러운 살충효과를 기대 할 수 없으며, 약제에 직접 노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해충의 종류에 따라 살충효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154.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랑곡나방은 경화된 입술과 강력한 턱으로 포장지를 직접적으로 천공하여 제품 내로 유입, 제품을 오염시켜 전 세계적으로 뿐만아니라 국내 식품제조, 가공회사 제품(스넥, 면, 제과 등)들의 곤충이물관련 클레임 중 60~70%를 차지하는 주요 저장해충 종이다. 천공력 시험을 위해 천공기기를 제작하여 식품공전 상에 등재된 한약재 배합물에서 추출한 기피물질 고형분을 각 농도(Repellent(5): 고형분 0.25%, Repellent(10): 고형분 0.5%, KP2(5): 고형분 1.0%, KP2(10): 고형분 2.0%, KP3(5): 고형분 1.5%, KP3(10): 고형분 3.0%)로 주입한 포장소재를 이용하여 만든 포장지에 대한 화랑곡나방 3령 유충의 천공률 조사 결과, 유충 투입 후 무처리의 경우 1.5일, 기피물질 처리 소재에서는 2일 정도 늦은 약 3.5일부터 천공이 확인되었으며, 소재가 접힌 부분에서 대부분의 천공이 발생하였다. 무처리 포장소재는 94%, 기피물질이 처리된 포장소재의 천공률은 59~87% 범위로 나타났으며 Repellent(10) 처리 포장소재에서 59%로 가장 낮은 천공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충 투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기피물질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포장소재가 천공의 가능성이 있으며 기피물질이 해충에 의한 포장소재의 천공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55.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 주요 목조 문화재를 가해하여 보고되어 있는 흰개미는 일본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로써 남쪽 부근에 주로 서식해오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점차 북으로 올라와 현재 대한민국 전역에 피해를 주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5년을 주기로 전국 목조 문화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다. 흰개미는 보통 목조건축물 기둥의 아랫부분에 침입하여 가해를 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점점 기둥 위로 올라와 기둥 속이 비게 되어 심하면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흰개미는 기둥속안에서 서식처를 확보하고 살아가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리하여 예찰 및 정기적인 조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조사방법은 직접 조사대상을 관찰하고 나무망치 등으로 두드려 속이 비었는지 확인해보는 육안관찰과 삼성생명에서 운영하는 흰개미 탐지견 센터의 협조를 받아 흰개미 탐지견과 더 정밀한 조사를 위하여 흰개미 탐지장비인 호주 Termatrac사의 T3i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흰개미 탐지견은 흰개미 서식처에서 나오는 페로몬의 냄새를 맡아 흰개미가 현재 혹은 과거에 서식하였는지를 탐지한다. 탐지견이 탐지한 곳의 흰개미 서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흰개미의 동작을 감지하여 흰개미를 탐지하는 탐지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경주 지역에 있는 목조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여 2012년 7~8월에 실시하였다.
15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honeybee colonies are not stable and suffer from the infection of pathogens, affecting the pollination. For the alternatives to this difficulty, Bombus terrestris has been imported and used for pollination in agricultural fields. Although imported insects for pollination are very useful, the potential risk exposing to novel pathogens has been raised. To assess the risk primarily, we designed and synthesized PCR primers for detection of pathogens and parasites in B. terrestris. The samples were obtained from companies importing B. terrestris or field collections and genomic DNAs not showing physical shearing were purified. PCR for detection of pathogen- or parasite-specific gene revealed several DNA fragments were amplified in expected molecular size including Kashmir Bee Virus, Varroa jacobsoni, V. rindereri, Acarapis woodi and Aspergillus flavus. These amplified DNA fragments are in the process of cloning for DNA sequencing to confirm the target gene amplification. We also have plans to optimize the PCR conditions for each amplified target gene and try to develop biomarkers for diagnosis.
15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참다래는 충매화로서 자연수분은 곤충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참다래는 암수딴그루로서 원활한 수분을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비율의 수꽃나무 식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비가림 재배를 위해 노지에서 하우스 내로 재배환경이 바뀌고 있는 추세와 더불어 대부분 수꽃나무를 식재하지 않고 인공수분에 의존하고 있다. 본 시험은 하우스 내에서 수꽃나무를 혼재(오아시스이용 간이 식재)하여 꿀벌과 서양뒤영벌을 이용한 수분활동의 특성을 조사하여 자연수분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5월 경남 고성 참다래 농가 포장에서 헤이워드 품종을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꿀벌과 서양뒤영벌의 소문 출입활동 조사에서 꿀벌은 오후 3시에 출입활동의 뚜렷한 피크를 보였으나 서양뒤영벌의 경우 아침부터 저녁가지 고르게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매개활동 비율은 서양뒤영벌의 경우 75%이상이었고, 꿀벌의 경우 50%이상으로 꿀벌의 출입활동이 다른 작목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여 추후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개월 전 망고포장에서의 꿀벌의 방화활동과 비교해 볼 때 방화활동수가 현저히 적어 참다래 꽃의 모양과 색상 및 향기 등이 꿀벌이 선호하지 않는 경향인지 추후 검토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곤충별 방화활동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꿀벌의 경우 오후 3시에 화분매개활동의 피크를 보여 출입활동과 같은 경향이었으며, 서양뒤영벌의 경우 오전 9시 활동피크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고른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조건에 따른 방화활동은 꿀벌의 경우 온도 보다는 조도에 비례하여 활동추이가 변하는 경향이었고, 서양뒤영벌의 경우 온도의 변화에 따라 활동추이도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8.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bumblebee species have declined in number in recent decades, particularly in developing regions. Widespread declines of bumblebee species threaten the pollination levels of both wildflowers and crops. Here, we investigated the body weight and colony-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umblebee (B. ignitus) queens collected from 2000 to 2010 for conservation of native bumblebees for breeding. The average weight of 6,852 queens was 0.77 ± 0.44 g. The weight of B. ignitus queens collected in 2005 was the greatest, 0.87 ± 0.12 g, which was 1.0–1.3-fold heavier than any other year. The average oviposition rate was 81.6 ± 10.7%, and 2004 showed the highest rate, 95.0%. This value corresponded to 1.1-1.6-fold increases over the queens collected in the other years. The average rate of colony foundation was 60.9 ± 11.0%. Queens in 2008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75.4%, which was 1.0-1.9-fold higher than the other years. The rate of progeny-queen production averaged 27.0 ± 9.4% (Fig. 5) and peaked in 2001 at 43.2%; this value was 1.1–4.7-fold higher than other years. The average number of queens produced and number of generations begotten by queens was 27.6 ± 10.1% and 4.8 ± 2.0, respectively. Queens in 2000 averaged 9 generations of offspring, which was 1.1-3.1-fold greater than other ye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lony-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queens changed significantly between 2000 and 2010. In addi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number of queens collected, although body weight was affected by collection year. Since 2008, the colon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queens have worsened.
15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lomyrina dichotoma is a typical pet beetles in Korea. From 2010, similar symptoms of milky spore disease were found collectively in grubs of the species reared in insect farms. They shared a specific symptom that the skin of last instar larvae was changed softer with opaque white and infested grubs eventually died. To clarify the cause of the symptom, we collected the larvae of A. dichotoma from five farms and examined intestinal bacterial florae of them using pyrosequencing technique. From those results, a member of Paenibacillus was found only in the larvae showing the symptom of disease. Through PCR analysis using a Paenibacillus specific primer set, we obtained the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 and confirmed the microbe as Paenibacillus sp. For detailed characterizing, a whole guts was extracted from each larva showing the sign of the disease and incubated at 70℃ for 15 min to isolate spore forming bacteria. After then, each content of guts was cultured on MYPGPNAL agar medium (12.5 μg/ml of nalidixic acid) at 30℃.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for six isolate showed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P. rigui (97.5~98.0% similarity) and to P. chinjuensis (95.9~96.6% similarity). Additional tests including API test and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ut the strain couldn’t be identified at species level, suggesting it may represent novel species of the genus Paenibacillus.
16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bees (Apis mellifera) adapted themselves to different geographical and climatical conditions since they had been introduced in Korea. Beekeepers have tried to breed valuable lineages with artificial insemination or conventional mating techniques. However, evaluation of breeding resultants still relies on timeconsuming observation data. Genetical characterization of breeds has proven its usefulness to preserve genetic resources of livestock. In recent years, microsatellites are most commonly used to evaluate population structures and diversities of living organisms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ocus specificity, rich polymorphism, abundant and random distribution over the genome, and their co-dominant inheritance. Determining classic genetic distances using neutral, highly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is a reliable method to investigate genetic relationships and breed differentiation. This methodology can be used to establish preservation priorities for livestock breeds. The final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otent markers for assessing genetic structure of lineage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In this study, the genetic structure of ten microsatellite markers were sequenced or analysed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eleven European honeybee populations. The results may help to develop reliable microsatellite markers for more efficient preservation strategies of valuable honeybee breeds.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