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ciaenid species, which has swimbladder, generates sounds by vibrating in its length wards when spawning or getting stimulus from something else. This research analyzed on sound frequency characteristics relatives to their swimbladder length of three sciaenid species, yellow croaker(Larimichthys polyactis), brown croaker(Miichthys miiuy), and white flower croaker(Nibea albiflora). As results, the dominant frequency for yellow croaker ranged over 38.08 to 141.60Hz in wide frequency band, and the averaged pulse duration expressed in 280.3±156.0ms. For brown croaker, the dominant frequency ranged in 49.80 to 59.57Hz, and the averaged pulse duration was 129.1±36.9ms. Moreover, the dominant frequency of white flower croaker ranged in 73.24 to 86.91Hz, and the averaged pulse duration was 88.0±15.9ms, it has shorter pulse duration than any two species. Therefore, the dominant frequency relatives to swimbladder length of sciaenidae showed that it had widely resonant characteristics and long pulse duration as in shorter swimbladder length. Additionally, for white flower croaker, we could confirm their behavior and sounds in response to production of recorded sounds using underwater speaker.
Bioassay of mosquito, Culex pipiens molestus, larva was investigated by several environment-friendly insecticides. These insecticides were Novaluron as chitin synthesis inhibitor, Metho-xyfenozide as ecdysone agonist, Pyriproxyfen as juvenile hormone mimic, and Spiromesifen as lipid biosynthesis inhibitor. The 50% lethal concentration (LC₅₀) of these insecticides were 0.00039, 0.07193, 0.65006 and 0.04839 ppm, respectively. Novaluron has lower concentration than any other insecticide. To determine the treatment time against larval stages, insecticides were applied to different larval stages of C. pipiens molestus. Mortality ratios of mosquito larva treated with Novaluron were 100.0, 84.5, 71.0 and 48.5% on 2, 4, 7 and 10 days after hatching from eggs, respectively. Otherwise, with the other insecticides, mortality ratios were under 80% with 2 days old larva. When exposure periods were tested to 3 or 4 days old larva against 4 insecticides, at least 3 hours were needed to 100% control effect against Novaluron, and over 12 hours with other insecticides.
본 논문에서는 RST 공격에 강인성을 갖도록 하기위해 이진 원형 패턴을 사용하는 영상 정규화 기반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정규화 기반 워터마킹 방법은 영상에서 무게중심과 중심 모멘트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준 형태(standard form)인 정규 영상으로 변환하고 여기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회전(rotation), 크기변화(scaling), 천이(translation)에 기인하는 RST 공격은 영상의 가장자리 영역이 잘리는 경계효과를 수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영상 정규화 파라미터 값이 틀려지게 되어 워터마크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외각 부분을 제외하고 영상의 내부 영역만을 이용해 영상을 정규화 한다. 영상의 내부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어떠한 공격에도 변하지 않는 불변의 이진 원형 패턴을 이용하고, 이진 원형 패턴에서 계산된 모멘트 값을 정규화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 이진 원형 패턴을 사용하는 제안 방법이 기존 영상 정규화 방법보다 RST 공격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Many gravitational wave detectors are now being built or under operation throughout the world. In particular, LIGO has taken scientific data several times, although current sensitivity is not sufficient to detect the weak signals routinely. However, the sensitivities have been improving steadily over past years so that the real detection will take place in the near future. Data analysis is another important area in detecting the gravitational wave signal. We have carried out the basic research in order to implement data analysis software in Korea@home environment. We first studied the LIGO Science Collaboration Algorithm Library(LAL) software package, and extracted the module that can generate the virtual data of gravitational wave detector. Since burst sources such as merging binaries of neutron stars and black holes are likely to be detected first, we have concentrated on the simulation of such signals. This module can generate pure gravitational wave forms, noise suitable for LIGO, and combination of the signal and noise. In order to detect the gravitational signal embedded in the noisy data, we have written a simple program that employs 'matched filtering' method which is very effective in detecting the signal with known waveform. We found that this method works extremely well.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 작업치료(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EBOT)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조사연구를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2006년 3월부터 6월까지 보수교육과 이메일을 통해 작업치료사들에게 배부된 208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116부(56%)를 기술통계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치료사들 대부분은 EBOT가 작업치료에서 중요하고(84%), 임상에서 과학적인 근거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85%)이라고 응답 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6%(7명)만이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근거를 적극적으로 임상에서 적용한다고 하였고, 자주 임상 연구를 기초로 치료를 결정하는 치료사도 11%(13명)에 불과하였다. EBOT 적용을 위한 치료사들의 기초 능력을 묻는 항목에서는 치료사의 12%만이 논문 검색 전 임상문제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다고 하였고, 발표된 연구에 대한 비평(17%)과 자신의 치료에 대한 객관적 평가(28%)가 치료사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경력과 최종학력에 따라 EBOT에 대한 인식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67%의 치료사들은 새로운 근거를 기준으로 자신의 치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교육의 기회가 된다면 참석하겠다는 치료사들이 81%를 차지하여, 앞으로의 EBOT의 임상 적용에 대한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가 보다 경쟁력 있는 전문가가 되고 작업치료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학술논문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적 지식에 대한 교육을 필수적으로 작업치료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고, 보수교육이나 학회, 세미나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작업치료에 대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이의 적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개발된 FEMA-355F의 내진성능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철골 구조물을 대상으로 개발된 FEMA의 성능평가 방식을 다른 구조 시스템에 적용할 때 각 시스템에 적합한 성능값을 결정해야하며, 요구값과 성능값 계산 시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계수들을 새로이 구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예제 건물을 IBC 2003에 따라 설계한 후, 성능평가에 필요한 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건물의 위치에 적합한 지반운동을 이용하여 비탄성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계산된 성능값의 분포는 요구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결정된 성능값이 합리적임을 나타낸다. 구해진 신뢰도는 부분 및 전체 붕괴 모두에 대해 목표치를 초과하였으므로 예제 건물은 목표 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및 배양방법을 이용하여 유 용한 변이체를 선발하고, 그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수 행되었다. 기내 신초수의 증식은 MS 배지 내에 NAA 0.2mg·L-1에 BA의 농도가 1.0mg·L-1로 증가할수록 양호한 반면 신초의 길이와 뿌리형성율은 감소되었다. 계대배양을 3회 수행한 후 온실에서 순화 및 삽목하였다. 감마선으로 조사된 총 370 개체들은 감마선의 조 사선량에 관계없이 토양이식 후 생존율이 97% 이상이 었다. 조사된 개체들 중 변이의 빈도는 감마선의 선량 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50Gy 조사구에서는 화색과 화형의 변이가 각각 28.2와 15.4%로 확인되었다. 화 색과 화형은 다양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줄기색 또한 변화되었다. 예를 들면 흰색에 옅은 자주색의 관상화는 흰색, 적자색, 노랑색 또는 연분홍색 등으로, 흰색이었 던 설상화는 연한 자주색이나 적자색으로 바뀌었다. 설 상화의 길이와 폭 및 화경의 크기가 달라진 개체 및 줄기에서 안토시아닌 색소가 제거된 개체도 관찰되었 다. 본 연구결과 국화 ‘Argus’에서 기내 배양체에 30- 50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화색, 화형 및 줄기색의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선발할 수 있었다.
경찰은 2005년 정지선 준수율 향상을 위하여 '정지선 지키기 생활화 운동'과 함께 정지선위반 단속을 수행하였다. 단속기간 동안 정지선 준수율이 향상되었으나, 단속기간 이후 정지선 준수율은 단속 이전 수준으로 회귀되어 캠페인 및 단속을 통한 정지선 준수율 향상 노력의 장기적인 실효성 문제가 지적되었다. 교통안전시설물(신호기) 설치위치 조정 등의 교통환경 개선을 통해 장기적이며 근본적인 정지선 준수율 향상 필요성이 공론화 되고 있으나 해당분야의 기초 연구가 부재하다. 본 연구는 신호기 설치위치에 따른 차량의 정지선 준수율 변화 여부를 분석 및 제시한다. 현장자료를 토대로 수행한 통계분석 결과 신호기 위치에 따라 정지선 준수율이 변화하며, 정지선으로부터 신호기까지의 거리가 10~20m일 경우 정지선 준수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신호기설치관리매뉴얼'에서 허용하는 신호기 설치위치 범위에 포함되는 정지선 하류 10~20m의 위치를 신호기 적정 설치위치로 제안한다.
Matrix metalloproLeases(MMPs) a re a family of zinc dependent enzymes with the capacity to degrade extracellular matrix prote ins. MMPs express ion correlates with cancer cell invasiveness and metas taslS The purpose of our sωdy was t。 determine the role 0 1' stroma l fïbrob lasts in ca ncer cell invasi on by examining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2 and -9 We used a YD- lOB squalllous ca rcinoma cell line that was est a blished in Yonsei Univer s ity ‘ College 0 1' Dentistry. We then appli ed two types of s lrolllal fibroblastsdel‘ ived from normal gingival tissue and cancer supporting ti ss ue Morphologic examination of fïbroblas ls was carried out by rnicroscopy and doubling time was measured by MTI assay . YD-lOB cells were cultured by lh ree-d imensional culture using collagen gel with two types of flbroblasts To examine the stromal - mesenchyma l inleraclion. we used a direct co-cul tu re system between YD-IOB cells and fibroblasts. Gelatin zymography was performed to exa llline MMP-2 a ncl 9 activit ies. We found that cancer-derived fibroblasts di splay stel late-shaped cells wi th many cyLopl asmic processes. whereas normal gingi val fibroblasts were spindle shaped. The c1oubling time of bOLh lïbroblasL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ree-dimensional co-culture 0 1' ca ncer cells with ca n cer- c1erived fïbroblasts induced the formation 0 1' multi - Iayered atypical cells, as compared to culturing with normal gin gival f lbrobl asts Both three-c1 imens ional culture ti ss ues inclucecl the invasive gro₩th of cancer cells into the dermal eq uival enLs . Gelatin zymography s howecl that gelatinolytic activity of MMP-2 was activaterl in both co-culture models. However , MMP-9 ac li vity was not a lterecl in YD-lOB carcinoma cells In conclusion. enhanced MMP-2 activity was inc1 uced by boLh cance r- c1eri vecl a ncl norlllal gingival fibroblasts. suggesting that the potential to invacle by stromal fibroblasts was noL l imilecl to ca ncer- c1 eri ved lïbrobla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sometric trunk extension strength in hemiplegic patients, and to compare that with normal subject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runk extension strength and the functional independent degree in hemiplegic patients. Fifteen hemiplegic male patients (mean age 55.2±10.2 years) and twenty-five healthy male subjects (mean age 54.6±10.3 years) completed isometric trunk extension. Strength was measured at 0, 12, 24, 36, 48, 60, and 72 degrees of trunk flexion. The functional independent degree was assessed b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Mean isometric trunk extension strength was 91.2 ft-lbs, 120.7 ft-lbs, 142.3 ft-lbs, 156.4 ft-lbs, 173.5 ft-lbs, 184.1 ft-lbs, and 195.3 ft-lbs in the hemiplegic patients group, and 135.6 ft-lbs, 175.6 ft-lbs, 204.4 ft-lbs, 221.9 ft-lbs, 231.2 ft-lbs, 246.8 ft-lbs, and 259.7 ft-lbs in the normal subjects group. The values of isometric trunk extension strength had a descending linear correlation pattern from trunk flexion angle to extension angle. Trunk extension strength in hemiplegic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subjects (p<.05) but did not correlate with the FIM total score (p>.05). Therefore, the isometric trunk extension strength in hemiplegic patients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subjects and did not correlate with the functional independent degree.
본 연구는 섬유 소재에 IT기술을 적용하는 디지털 의류 제품 중 하나로 여성 재킷에 MP3기능을 내장시켜 상용화 할 수 있는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 및 5가지 MP3 기능 스마트 의류 초기 모형의 착의 평가 및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MP3 입력장치 및 모듈의 위치, 이어폰선과 신호선의 경로 등을 최적화하고 직물 기반의 신호선과 입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와 사용성 및 동적 착용성을 갖춘 MP3 기능 스마트 재킷의 상용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까지의 여성복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최근의 패션 트렌드와 소비자의 감성적 만족도 그리고 디지털 의류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고려해 볼 때 상품적 효용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의 연구에서 가정된 모멘트-곡률 관계를 토대로 고정된 안정계수를 갖는 응답스펙트럼을 구성하여 동적 효과를 분석한 것과는 달리, 이 논문에서는 안정계수의 증가, 즉, 축력의 증가에 따른 하중-변위관계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하는 적층단면법을 토대로 실용범위의 세장비와 안정계수를 변화시켜가며, 해석을 수행하여 철근콘크리트 장주의 동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지진에 대한 보편화된 결과를 얻기 위해 각기 다른 60개의 입력지진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평지진과 수직지진을 동시에 작용하여 해석을 수행해 수직지진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다. 해석결과, 철근콘크리트 장주의 최대변형은 축력, 효과 및 수직지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반면, 부재 내력은 축력에 의한 강성과 항복강도의 증가에 의해 증가하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장주의 내진설계시 축력효과를 고려하여 설계할 경우 효과 또는 수직지진에 대한 추가적인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Combined epithelial odontogenic tumors are very rare and represent hybrid lesion comprising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ntermixed with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The authors present 3 cases of combined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which contained diagnostic areas for both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nd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Their behaviour and histogenesi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