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젖소의 발정 행동 징후에 따라 배란 시간을 예측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발정의 다양한 행동 징후(승가, 승가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시된 51두 중 37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28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발정 행동 징후는 주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
동해의 해양 심층수 자원 기반 환경 연구의 일부로 청결기술을 적용하여 해수 중의 용존 미량금속(Cd, Co, Cu, Ni, Pb, Zn) 농도 분포와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원과 경북 지역에 총 6개 정점을 선정하고, 각 지역마다 최대 채수 수심 각각 200-300m와 500m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본 연구의 미량금속을 위한 연안해수 표준물질(CASS-4)의 분석 결과 각 원소 평균 회수율은 Co의 89.4%에서 Cd의 99.8%의 범위였다. 용존 미량원소의 분포는 해역 및 시기적인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Cd, Ni, Zn의 경우는 영양염 의존형으로 표층에서 낮고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Co, Cu, Pb은 수직적으로 불규칙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동해 심층수 원수의 중금속 농도는 해역별 수질 기준과 먹는 물 기준을 만족하였다.
Pea weevil was easily observed in the flower and pod of garden pea, but not observed in soybean at various locations in Yeongnam district through 2001 to 2003. Number of pea weevil observed in pea flower was the highest at Milyang (20), followed by Yangsan (15), Sacheon (14) and Changnyong (13), and was the lowest at Pohang (3). On the other hand, number of pea weevil observed in pea pod was the highest at Tongyeong (192), followed by Changnyong (171), Sacheon (157) and Changwon (138), and was the lowest at Pohang (12) which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he result of pea flower. Number of pea weevil occurrence observed in pea pod after one and two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in pea field were different at harvest day of 30th May whi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harvest day of 5th June. Likewise, number of pea pod damage after one and two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were different at harvest day of 30th May while was not different at harvest day of 5th June. Thus, control efficacies of insec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s against pea weevil showed very high with above 95% at harvest day of 6th June while showed variable control efficacies at harvest of 30th Ma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the observing methods for density of stink bugs in soybean reproductive stage. The adults and nymph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red-banded shield bug, Piezodorus hybneri, green stink bug, Nezara antennata, Sole bug, Dolycoris baccarum, and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were observed by three observing methods such as beating, sweeping net, and visual counting methods in the full bloom (R2), full pod (R4) and beginning maturity (R7) of soybean. As a result, total number of stink bugs observed was the highest with 5,214.2 by beating method, and then was 2,581.8 by visual counting method, and was the lowest with 103.1 by sweeping net method. Total number of stink bugs observed by the beating and visual counting methods was P. hybneri, followed by N. antennata, H. halys, R. clavatus and D. baccarum with clear difference in observed number of each stink bugs while total number of stink bugs observed by sweeping net method was very low in the range of 18 to 23. Accordingly, the observed density of stink bugs exception of R. clavatus adult by beating method was generally high. However, the number of R. clavatus adult was more observed by flushing method than that by beating method from the beginning bloom (R1) to full maturity (R8), and was more observed at morning time than that at afternoon time. Therefore, two observation methods that flushing method for R. clavatus and beating method for the other stink bugs were recommended for the occurring density of stink bugs in soybean because both bean bug and pentatomidae stink bugs have distinct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flying and dropping.
Maggot therapy (MT) has been re-introduced for non-healing wounds such as pressure sore, diabetic and necrotic ulcers, as well as infected surgical wounds, burn, and trauma injuries since early 1990s. For the production of sterile maggot of proper developmental stage, Lucilia sericata were studied on developmental periods of immature stages on liver agar medium under six different temperatures such as 15.4, 20.6, 22.5, 26.2, 29.1, and 33.0℃, and adult longevity and egg production under 29℃. The periods of eggs and larvae of the I st and the 2nd instars were shortest at 33℃ by 9.0, 14.0 and 18.6 hours, respectively. The periods of the 3rd instar larvae and pupae were shortest at 29.1℃ by 285.0 and 171.0 hours, respectively. Developmental zero point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each stage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developmental periods. Adults of both female and male lived more than one month. Females laid an average of 338.5 eggs through 2.7 times of egg laying throughout her lifetime.
매발톱꽃속(genus Aquilegia)에 속하는 국내 3분류 군과 외래종 9분류군을 대상으로 RAPD분석을 실시하 여 종의 특이성 및 종간 유연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RAPD분석은 annealing 온도가 높아 재현성이 뛰어난 20mer primer인 URP primer 12쌍을 사용하였다. 12 쌍의 URP primer 중 6개의 primer에서 polymorphism 을 보이는 DNA band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band는 약 4kbp~200bp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었 다. 총 93개의 DNA band가 검출되었으며 이 중 81 개 DNA band(87.1%)가 polymorphic한 band 양상 을 보였다. Polymorphism을 보이는 DNA band는 각 primer에 대해 10~16개로, 평균 13.5개의 DNA band 가 검출되어 유사도 행렬 계산에 사용되었다. 유사도 행렬 작성 결과 약 52.7~90.3%의 범위 안에서 유사 도를 나타냈으며, 이를 기준으로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약 63%의 유사도에서 2개의 group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용꽃인 꽃베고니아(Begonia semperflorens ‘Superolympia White’),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Crown Pink’), 팬지(Viola tricolor ‘Solvetsunny Royal’) 및 펠라고니움(Pelargonium grandiflorum ‘Jessie Jarrett’)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및 세포독성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펠라고니움의 경우 531.57mg/100g으로 높게 나타났으 나 토레니아는 30.98mg/100g, 팬지는 14.62mg/100g, 꽃베고니아는 5.77mg/100g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자공 여능은 꽃베고니아, 토레니아, 팬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500g·mL-1에서는 모두 69.4% 이하를 나타 냈으나 펠라고니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125g·mL-1에서도 각각 94% 내외를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은 토레니아와 팬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95% 이하를 나타내어 세포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히스타민 억제효과는 펠라고니움 추출물의 경우 91% 이상을 나타냈으나 토레니아 추출 물은 51-66%, 팬지 추출물은 14-24%, 꽃베고니아 추 출물은 1~2%의 억제 효과만 나타났다.
나물자원의 수경재배시 양액농도가 생장 및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벌개미취, 원추리 및 질경이를 펄라이트 배지에 추식하여 70일간 재배 한 후 생장정도와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벌개미취와 원추리의 초장, 줄기직경, 잎의 수, 신선중 및 건물중은 1.5배액 처리구에서 확연하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경이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양액의 농도가 0.2재액에서 1.5배액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엽수와 근장은 0.5배액과 표준농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 Mg 및 Na 함유량은 벌개미취의 경우 1.5배액에서, 원추리와 질경이는 0.2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K 함량은 벌개미취와 원추리는 0.5배액에서, 질경이는 1.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P2O5는 나물종류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제초제 alachlor에 대한 송사리 및 지렁이 독성시험을 실시하고 국내 잔류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송사리 독성시험 결과, 96시간 LC50는 1.8 mg L-1이었으며, 수정란을 사용한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에서는 부화율에 대한 NOEC가 100 μg L-1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렁이 급성독성시험에서 LC50(14일)는 94.1 mg kg-1, NOEC는
Diabetic nephropathy has been increasing, although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can be controlled b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or 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s(AGE) inhibitors in the diabetic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a tangle on the blood glucose, and pathological scoring of diabetic kidneys in the streptozotocin(STZ) induced 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rats fed control diet and diabetic rats fed control diet or 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powder or oater extract of sea tangle. Diabetes was induced by a single injection of STZ(60mg/kg, ip) in citrate buffer. The animal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 and water for 13 weeks.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a tangle decreased blood glucose in the diabetic rats. However,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a tangle did not affect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MDA content and pathology of diabetic kidne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ed blood glucose by sea tangle could not delay the progression of diabetic kidney disease.
구조 역섭동 문제에서,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의되지 않은 모든 자유도가 미지변수로 간주되기 때문에 많은 전산자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축소시스템 기법과의 연동을 통해 정의되지 않은 자유도를 축소시스템에서 정의된 자유도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해의 정확성과 계산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구조 시스템을 축소할 경우, 시스템 축소변환 행렬에 오차가 포함되게 된다. 이 오차로 인해 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역섭동 문제의 정확한 해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유도 변환행렬을 매 단계마다 개선하는 반복적 축소 시스템 기법을 적용한다. 자유도 기반 축소시스템의 신뢰성은 주자유도 선정 위치와 변환행렬의 반복 계산 횟수에 의해 결정되며, 변환행렬의 반복 계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축 초기에 주자유도가 잘 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변환 행렬의 반복 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2단계 축소기법을 적용하여 주자유도 위치를 선정한다. 최종적으로 수치예제를 통해서 반복적 역섭동법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동하중의 영향을 받는 구조물의 효율적인 구조 해석 및 최적화 수행을 위해 임계 시간의 동하중을 등가 정하중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하중을 등가 정하중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유도 선정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방법에서는 자유도의 선정이 임의로 이루어져서 몇 개의 자유도에 과도한 정하중이 부과되거나, 구조물의 거동에 영향력이 없는 자유도들이 선정됨으로써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축소기법과의 연동을 통해 중요 자유도를 선정하고, 선정된 자유도에 등가 정하중을 부과하는 방법을 제안하다. 주자유도는 구조물의 거동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손상 탐지나 시스템 검증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자유도이다. 수치예제를 통해 선정된 자유도에 등가 정하중을 분포시킨 후 동하중하의 시간 응답과 비교하여 그 신뢰성을 확인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ready-to-eat street-foods usage in a college-town in northern part of seoul. For the empirical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customers who had eaten street-foods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16 to 30, May 2006.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respondents had irregular eating habits. More than 60% of them responded they usually skipped breakfast and the reason was no time. It was shown that they have had Frequent snacks and unbalanced diet. The results of survey are as follows ; 1. The major time for street-foods usage: p.m 3-5 (28.77%). 2. The frequency of street-foods usage: 1-2 times/week (43.85%). 3. The street-foods usage days of the week: weekday (52.79%). 4. The mean cost for the onetime purchase of street-foods usage: 1000-3000won (71.79%). 5. The monthly cost for the purchase of street-foods usage: below 50000won (81.84%). 6. The reason for street-foods usage: mainly convenience (60.61%). 7. The reason for minding street-foods : mainly insanitary (40.50)%. 8. Factors considered when choosing street-foods: tastes of the foods (65.08%). Also, it was shown that over 50% of respondents have considered the street-foods as the worth of meal replacement, and taken effective factor on eating habits for influx of new culture. It was indicated that problems of street-foods usage was the unbalanced nutrition for 81.8% of respondent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reet-foods were sanitary controls for products for 63.4% of respondents.
본 연구는 염소 액상 정액의 활용에 적합한 희석액을 검토하여, 국내 염소 인공수정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두 마리의 흑염소 수컷으로부터 전기 자극법으로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BTS로 희석하여 5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제거하고, BTS, Modena, Triladyl로 희석하여 냉장고나 온장고에서 8일간 보관되었다. BTS와 Modena로 희석된 정자의 운동성은 하루 만에 소멸되었으며, BTS로
이 연구는 한우의 사육이 집단화, 대형화 되어가고 사육 규모 및 형태가 달라지고 있는 환경에서 번식우 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와 사육 형태별, 산차별 번식 장애우의 발생 양상을 알아보고, 번식 장애의 발생 유형 및 그 비율을 확인하며, 한우 사육 농가에서 번식우의 영양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신체충실지수에 따른 번식 장애우의 발생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한우 번식우 사육을 위한 적정 사육 환경을 규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1. 한우 번식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