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기투석과 용매추출을 융합한 희유금속 회수 공정에서 분리막과 음이온교환막의 개질을 통해 유기상 과 수상에 대한 분리막의 낮은 젖음성 및 AEM을 통한 수소이온 투과로 인한 금속이온의 회수 효율 감소를 개선하였다. 구체 적으로, 분리막 표면 중 한면은 polydopamine (PDA) 통한 친수성 개질, 다른 면은 SiO2 또는 graphene oxide를 통한 친유성 개질을 함으로써 분리막의 젖음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음이온교환막의 표면을 polyethyleneimine, PDA, poly(vinylidene fluoride) 등을 이용, 개질해 수분 흡수(Water uptake) 감소 및 기공구조 변화를 통해 수소이온 수송을 억제해 수소이온 투과를 억 제할 수 있다. 개질된 막 표면 형상과 화학적 특성 및 조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법을 통해 확인되었 고, 이를 구리 이온 회수 시스템에 적용해 향상된 추출 및 탈거 효율과 수소이온 수송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The endothelium, a continuous monolayer of cells that surrounds blood vessels, has a variety of physiological roles. Chronic exposur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ctivates the endothelial signaling cascade, resulting in vascular dysfunction such as vasospasm, thrombosis, and abnormal vascular proliferation. Aging is also a significant factor in vascular dysfunction, mainly develop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endothelium. The molecules involved in endothelial dysfunction are typically angiopoietin-1 (Ang-1), Tie2, and tight junction proteins. Ang-1, an oligomeric-secreted glycoprotein, is required for the correct organization and maturation of newly-formed vessels. Ang-1 binding to tyrosine kinase receptors Tie-2 leads to the phosphorylation and activation of multiple signaling pathways related to vascular permeability. Endothelial junctions are another vital target of Tie-2 activation. Nutrition and food are closely connected with vascular dysfunction and permeability. The caloric restriction prevents age-related declines in endothelial function. Dietary patterns that prioritize moderat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hole grains, low-fat dairy products, and lean meats improve endothelial function in the elderly. Natural products such as Centella asiatica, Pueraria montana, and Piper retrofractum have also been shown to help inhibit endothelial dysfunction. This review provides an update on aging-related vascular dysfunction and the role of food and nutrition.
A total of 51 vegetables and fruits, commonly consumed agriculture produc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ir α-carotene, β- carotene, and β-cryptoxanthin contents as provitamin A. The beta-carotene content (μg/100 g) was high in a few green leaf vegetables such as coriander (5,924.07), gegeol radish leaf (5.855.72), and curried mallow (5,138.01), while α-carotene and β-cryptoxanthin contents were not detected. The β-carotene in 8 kinds of 20 general vegetables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214.06~1,437.67 μg/100 g, while α-carotene was detected at 460.17 μg/100 g in only old pumpkin. The β-cryptoxanthin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106.55~315.49 μg/100 g in Japanese elm, watermelon, white cucumber, and lettuce. However, carotenoids were not detected in 10 kinds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oriental melon, potato, etc. In fruits, the beta-carotene contents ranged from 165.72~3,997.39 μg/100 g, showing maximum value in apple mango and minimum value in persimmon. The β-cryptoxanthin was detected at 232.22 μg/100 g in only passion fruit, while the α-carotene was detected at 77.25 μg/100 g in only darae. Thu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of carotenoids of agriculture products consumed or cultivated in Korea, and it was found that green leaf vegetables comprise high beta-carotene overall.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with different amounts of corn and sorghum.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pH, total acidity, ethanol content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pH of fermented wines ranged from 3.83 to 4.64 and the total acidity of samples ranged from 0.30~0.63% on the 12th day of fermentation period. After 12 day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of sorghum and corn fermented wines ranged between 11.6~15.5%. The a value(Redness) of fermented wines was the highest at 8.13 in B treatment and the a value decreased as the rate of corn addition increas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had the highest values(162.64 and 18.44 mg/100 mL, respectively) in the E treatment which is the fermented wines of 25% Sorghum and 75% Corn. The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samples were 71.06~74.57% and 15.46~36.20%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in fermented wines with sorghum and corn than in control.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useful scientific information th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ines containing sorghum and corn and forms a basis in the food and wine industry.
The medicines for treating osteoporosis currently in use have minor to severe side effects, and can be financially burdensome. Thus, there is a need for prevention and alternative supplement tha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can be easily consumed daily as an alternative dietary therapy. In this study, bone marrow density of the spine and femur of osteoporosis patients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consuming complex composed of calcium and magnesium,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bone mineral content. November 2017-November 2021, patients with T-score of less than -2.5 or -1.0 < T-score < -2.5 with history of fractures or recent fractures were enrolled. The data of 60 patients who orally administered Ionized Cal/MagTM Complex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it was significantly confirm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score was up-regulated by 0.5. Additionally, the cumulative dose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BMD in the 2nd Lumbar and Femur neck. It is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will be achieved if use of the supplement is continued.
본 연구에서는 한중 FTA로 인하여 우리나라 대중 농산물 수입액이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 지를 품목별 미시자료와 다기간 이중차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FAO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의 품목별 대중 농산물 수입액과 연도별 양허 자료를 이용하여 2015년 이후 한중 FTA로 인한 품목별 양허가 우리나라 대중 농산물 수입액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양허효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양허로 인하여 양허대상 품목이 약 680~693만 불의 수입 증가 효과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리고 연도별 양허효과가 상이하다고 가정하면 2016년, 2017년 및 2019년은 양허대상 품목의 수입증가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8년은 통계적 유의성이 낮았다.
목적 : 본 연구는 라쉬 분석을 통해 장애 아동 부모의 한국판 의미있는 활동 참여 척도(Korea-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K-EMAS)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활동에 대한 주관적 가치와 의미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84명을 대상으로 K-EMAS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후, 라쉬 분석을 통하여 대상자 와 항목의 적합도, 평정척도, 항목 난이도, 분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84명의 대상자 중 설문이 끝까지 이루어지지 않거나 표기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한 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서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난 9명의 결과를 제외하였으며, 이후 71부의 결과를 통해 항목 적합도의 분 석을 실시하여 12개 항목이 적합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목 난이도 분석에서는 ‘창의성’ 항목이 가장 높은 난이도 로, ‘자신 돌보기’가 가장 낮은 난이도 항목으로 나타났다. 평정척도 분석 결과 5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 상자 분리지수 4.98, 분리 신뢰도 0.96, 항목 분리 지수 2.02, 분리 신뢰도 0.80 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활동 참여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문항 난이도를 조절하여 수정된 평가도구로 전국지역의 다양한 연령, 진단군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해양사고를 선박용도별로 살펴보면 어선이 67.1%(10,211척)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선에 의한 해 양사고는 2016년 1,646건에서 2020년 2,100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발생한 378건의 전복사고 중 어선의 전복사고가 252건으로 66.7%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선 제66풍성호의 전복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해 복원성 및 해수 유입경로 등의 자료 수집과 풍성호에 설치된 방수구, 추가 갑판 및 바람막이 등이 복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 후 전복사고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복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풍성호에 설치된 추가 갑판, 바람막 이, 방수구가 초기 횡경사를 일으키고, 복원성을 악화시키며 어선구조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풍성호의 선형 특성 등으로 인해 복원성을 약화 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고 당시의 복원성을 추정하기 위해 어로작업 시점의 복원성과 해상 상태 변화에 따 른 해수 유입량 및 이에 따른 동요 상황, 그리고 선체 요인에 의한 복원성 변화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어로작업의 시점에서는 최소 GoM을 모두 만족하였으나 최대파고 4m에서 복원이 불가하였으며, 선체 경사에 따른 해수 유입, 동요의 영향에 의해 최대파고 4m 상 태에서 최소 GoM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풍성호의 복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추가 갑판과 바람막이 설 치를 제외한다면 최소 GoM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외로 첨단 ICT 융합기술이 농업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 하면서, 시설원예 설비들이 고도화되고, 스마트팜 구축 기술 및 인력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농촌의 경 우, 농업생산 연령의 고령화, 국내 농촌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팜 확대 및 적용에 어려움이 많 은 실정이다. 따라서 공간 및 시간에 구속을 받지 않는 간편한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시뮬 레이션 기술을 활용한다면 농업 교육용 시뮬레이션 툴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이용한 시뮬 레이션은 다양한 지역과 기상 조건 하에서 대상 온실의 열과 물질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활용하여 외부 기상 데 이터를 통해 온실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가상의 환경 제어시스템을 통해 환경 제어 시 필요한 에너지값들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용자가 직접 맞춤형 환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것이며, 실제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제어 요소들을 반 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다. 농업용 교육 시뮬레이션 툴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물 생육 모델링 기 술 및 전산유체역학 기술과 융합하면 더욱 타당한 결과를 보 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