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삼의 대표적 재배지인 금산군에서 GAP인삼 생산을 희망하는 10농가를 선발하여, GAP인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그리고 미생물 등의 위해요소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경작되고 있는 인삼을 비롯하여 인삼밭의 토양, 수질 등 3종류로 하였다. 토양에서의 농약잔류를 검사한 결과, 인삼농가 및 일반농가 토양에서 자주 사용되는 Carbendazim등 81개의 농약을 선발하여 분석하였으나, 인삼에 등록된 농약별 최대잔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모두 적합판정의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재배 토양에 중금속의 오염우려가 되는 비소 등8종류의 조사 하였으나 기준치 보다 적게나와 전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관개수 및 농약희석 살포 등으로 사용되는 수질을 조사한 결과도 조사된 10농가가 모두 안전하였다. 참여농가 밭에서 직접 채취한 인삼에서 24종의 농약을 분석한 결과도 적합 판정으로 나타났다. 조사농가 수삼에 존재하는 위해성 미생물 검사에서 Pantoea spp등 2종의 Gram 음성균과 1종의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sciuri)이 동정되었으며, 일반세균 수는 1.5×103 cfu/ml 로 다른 농산물보다 적은 수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번 조사한 금산 지역에서는 GAP 인산재배 생산에 적합한 토양, 수질을 보였으며, 기존 생산한 인삼에서도 GAP 농산물 생산 기준에 적합하였다.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ransgenic herbicide-resistant rice lines were evaluated under field condition. Differences in agronomic traits and rice quality were observed between transgenic plants and the corresponding untransformed controls. Transgenic Ilpumbyeo lines flowered earlier than untransformed controls, whereas transgenic Nagdongbyeo flowered at the same time as untransformed control. With regard to the yield and rice quality, most of the transgenic lines showed lower yield than control except some selected transgenic lines. Selected Nagdongbyeo transgenic line also showed good eating quality comparable to the control although most selected Ilpumbyeo transgenic lines showed slightly lower eating quality and increased white center/belly in the rice grain. In order to find the main factor leading to somaclonal variation among transgenic lines, Tos17, a rice retrotransposon activated by prolonged tissue culture period was investigated. Although the transgenic lines carried only one or two of transformed bar gene, the copy number of Tos17 increased in most transgenic lines compared with control. The activation of Tos17 was not detected in selected promising transgenic lines such as ND115-15-1-B and IP23-3-3, suggesting that the increased copy number of Tos17 may have negatively affecte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ransgenic rice.
1. 맥문동 괴근크기별 전체 괴근수는 각 처리별로 약간 차이를 보이나 주당 50개에서 58개 사이로 형성 되었고, 그 중 2cm이상 가장 많이 형성된 처리는 3.5소 +두엄 +유박 +계분 +초목회 처리구였다. 2. 괴근 심도 조사를 보면 0~20cm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한 처리구는 3요소 +두엄이며, 21 · 30cm 이상에 가장 많이 분포한 구는 3요소 +두엄 +유박 +계분 +초목회 처리구 였다. 3. 건근수량은 3요소 +두엄 +유박 + 계분 +초목회 처리구에서 414kg/10a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요소 +두엄 +유박 + 계분 +초목회 처리구 이며, 3요소 +두엄의 관행 보다 34%, 25%의 수량을 높일 수 있었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배아줄기세포의 자가재생산 및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분자적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질합성경로(Mevalonate pathway)에 작용하는 HMG-CoA 환원효소(Hydroxy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의 억제제인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저하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콜레스테롤 이외에 단백질 isoprenylation의 기질로 작용하는 아이소프레노이드(Isopren
식빵을 제조할 때 솔잎의 당 발효액을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면서 솔잎의 기능성을 제빵에 이용하고자 솔잎발효 액을 첨가하여 반죽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빵을 제조 후 실온에 저장하면서 제품의 품질 변화를 보았다. farinogram에 의한 반죽의 물성 평가에서 반죽에 대한 안정성과 혼합 내구성에서 설탕을 함유한 반죽보다 솔잎발효 액을 첨가한 처리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반죽의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pH에서도 솔잎발효액 첨가 구에
쌀보리에서 출수 후 일수에 차이를 두고 풋보리로 수확하여 조제한 미성숙 녹색 보리쌀에 대한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메성 품종인 새쌀보리와 찰성 품종인 흰찰쌀보리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 아미노산, 무기물 및 색도 등을 분석하였다. 출수 후 일수를 달리하여 수확하였을 때 새쌀보리와 흰찰쌀보리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회분, 유리당은 완숙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조섬유와 전분은 증가하였다. 유리당의 조성을 보면 maltose와 maltotriose의 함량이 다른 유리당보다 높았고, 유리 아미노산은 완숙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중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출수 후 일수가 지날수록β-glucan 함량은 증가하였고 색도는 완숙에 가까워질수록 lightness은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성분과 색도로 판단할 때 출수 후 26~27 일에 풋보리 상태의 이삭만 절단하여 끊는 물에 60초 정도 blanching 한 후 건조시켜 보리껍질을 제거한 미성숙 상태의 녹색 보리쌀로 조제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하여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하는 스마트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센서 장치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개발한 스마트 센서의 기본적 성능 평가와 모형 구조물을 이용한 손상 검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은 Part 1로써 스마트 센서의 개발과 성능 평가에 관한 것이고 Part 2에서는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손상 검출 결과를 유선 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스마트 센서는 고 출력의 무선 모뎀과 고 성능 MEMS 센서, AVR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센서의 제어와 운영을 위한 임베디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센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민감도와 분해능 분석 실험과 캔틸레버 보와 가진기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 실험, 실 구조물을 이용한 현장 적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한 스마트 센서의 성능에 대한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measures for the stable environmentfriendly rice’s production, farm income increase and consumption revitalization and so on by analyzing economic effects of the environment-friendly rice’s production complex by certification type, cultivation type and distribution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nvironment-friendly rice’s production complex in Kyunggi, Kangwon, Chungnam and Chunnam provinces. Survey was conducted with sorted by organic and no-pesticide farming. Of the samples 5 types of organic farming and 4 types of no-pesticide farming were surveyed in 17 and 18 complex, respectively. The farmers income of organic and no-pesticide farming per 10a were individually about 29~68% and 50%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farming. Base on the above results, the reasonable measures for the stable environment-friendly rice’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revitalization were to secure partnership among business, universities,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sectors, to organize farmers group and production complex, to establish RPC for environment-friendly rice and to introduce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distribution dealers.
Due to the dramatic industrialization in Korea, rural area has been degraded with incurable problems including community aging, emptying and liabilities overburdens. Rural amenity, the intangible resources that the rural area itself has, is regarded as a breakthrough that can revitalize the rural communities. In fact, the rural area and communities have lots of amenity resources that have been overlooked. Rural area has kept traditions and open green spaces which are highlighted in these days since the life quality has been upgraded and working days in a week was cut off to 5 days. Institute of Rural Resources Development realized the importance of rural amenities and offered the nation wide survey project for rural amenity resources. In this article, the survey project that was implemented by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was narrated in terms of methodologies and procedures. Also the results and the problems were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