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the distilled water (DW) and ethanol extracts of the Prunus persica flower and calyx were studied. In the oxygen radical absorption capacity (ORAC) assay for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er extract was stronger than the calyx extract, and that the ethanol extract was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DW extract. To define the whitening effe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volving tyrosinase inhibitory assay and measurement of the melanin content of B16F10. As a result of the use of tyrosinase, the DW extract of calyx showed 53% inhibition as the highest activity. The melanin content inhibitory rates were defined as 57% for the ethanol flower extract and 63% of the ethanol calyx extract, based on a 10 μg/mL concent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mixture with the whitening effect in the extract of P. persica and another compounds should be researched for development as a cosmetic ingredient.
        22.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flavone glycosides (luteolin 7-O-glucoside, luteolin 7-O-glucuronide, linarin) in addition to luteolin simultaneously in aerial part of Youngia japonica (Composita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MeOH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the three parts, CHCl3 fraction, EtOAc fraction and BuOH fraction,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he four flavones in the three fractions. The content of luteolin 7-O-glucuronide (10.07 mg/g) was highest in the MeOH extract among those of the flavones. These four compounds were observed to be less than 1.0 mg/g in CHCl3- and EtOAc fractions but relatively high in BuOH fraction.
        2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소리쟁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소리쟁이 추출물의 농도는 2.15 mg/mL으로 α-tocopherol의 IC50(0.43 mg/m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항산화능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측정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47 및 2.33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α-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각각 21.5 및 78.9%이었으며, catechin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소리쟁이 추출물 20 및 100 μg/mL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62.5 및 156.4 μ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각각 0.28 및 1.88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α-tocopherol에 비해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을 억제시켰다. 소리쟁이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8 및 3.85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8.5 및 63.5%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소리쟁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5.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mposition analysis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4 kinds of Korean wild sannamuls[Cacalia firma Komar. (CFK), Aster scaber Thunb. (AST),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LFT), Synurus palmatopinnatifidus (Makino) Kitam., SDN)] were investigated. The Korean edible mountainous vegetable was named a sannamul or chwinamul in Korea, generally. Most of them,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ach vegetable was reported, individually without comparative research. This study was compar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dietary fiber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of sannamuls. In the chemical analysis of sannamuls, CFK was shown higher value in ash (5.4±0.18%), crude fat (2.5 ±0.14%), carbohydrate (8.1±0.21%), potassium (475.45±0.34mg) and magnesium (64.70±0.48mg) than others. Each mineral of the 3 other samples was a similar value but phosphorus in LFT was contained 62.91±0.43%. The composition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samples were listed CFK LFT SDN AST and the RC50 Value on DPPH radicals, LFK CFT AST SDN. These results have susggest that CFK and LFT may be useful for a funtional material to food development.
        26.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척리 즉 물이끼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물이끼의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한 항암활성과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를 수행 하였다. 3종의 암세포주(A549, HeLa, SK-OV-3)에 대하여 세포독성연구를 수행해 본 결과 폐암세포주인 A549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난치성 질환인 암을 치료하려는 목적 의약품 보다는 Chemopreventive agent로서의 예방 의학적 기능성 소재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사료 되어지기에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를 실시하여 7종의 화합물(Comp.1 : Coumarin, Comp.2 : Caffeic acid, Comp.3 : Quercetin, Comp.4 : Astragalin, Comp.5 : Luteolin, Comp.6 : Chlorogenic acid, Comp.7 : Rutin) 를 분리하여 구조동정 하였다.
        27.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으로 사용되는 산채의 일종인 어수리의 지상부로부터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분리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hyperoside와 astragalin이 분리되었다.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던 hyperoside는 이 식물재료 중 함량도 높아 어수리 잎은 peroxynitrite 과잉생산시 유발될 수 있는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의 예방과 치료에 유익한 식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8.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이끼의 MeOH 추출물을 CHCl3, EtOAc 및 BuOH로 용매 분획하여 CHCl3 분획으로부터 5,7,3',4'-tetra hydroxy flavone 분리하였고 EtOAc 분획에서 3,3',4',5,7-pentahydroxy-2-phenylchromen-4-one과 kaemperol-3-O-β-D-glucopy-ranoside를 분리하였다. BuOH분획으로부터는 quercetin-3-O-rutinoside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솔이끼에서 이 물질들은 처음 분리 되어 보고되는 것이다.
        29.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곤달비 메탄올 추출물은 100mg/kg 및 200mg/kg의 경구투여로 STZ로 유도된 당뇨병의 제반 증상을 완화하였다. 즉, STZ의 투여는 흰쥐의 체중, 수분 섭취, 식이섭취를 증가시켰으며, 혈당량, 혈청 triglyceride 량, 동맥경화 위험지수를 증가시켰으나, 곤달비 추출물의 투여는 이러한 당뇨병에 관련된 증상을 개선하였다. 이와 더불어, 위의 당뇨병 모델 쥐에서 당내성 실험에서도 곤달비 추출물이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혈당의 세포내 이행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곤달비 추출물은 당뇨병 및 그에 따르는 고지혈증에 유효하였으므로 당뇨병 질환의 완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산채 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곤달비의 활성 물질의 입증과 그 이용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30.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매실농축액이 김치의 발효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농축액을 0, 0.1, 0.3 및 0.5% 첨가하여 만든 김치를 4℃에서 한 달 동안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매실농축액 무첨가구의 pH는 발효 2일째 크게 낮아졌고, 매실 첨가구들은 일시적 증가 현상을 보였다. 그 후 모든 첨가구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18일 부터 pH값은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산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실농축액 무첨가구에 비해 첨가구의 총산 함량은 전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0~12일동안 매실농축액 첨가구에서 약 70%정도 감소하였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6일에 최고수준에 도달한 뒤 서서히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 및 총 비타민 C 함량은 매실농축액 무 첨가구보다 첨가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실농축액에 함유된 환원당 및 비타민 C 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가하여 최대균수를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실농축액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은 매실농축액이 pH의 저하를 지연시키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발육 숙성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3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lant Rubus species (Rosaceae) mainly contains 19α-hydroxyurane-type triterpenoids (19α-HUT) as bioactive components. Available functional food includes blackberry (the fruit of thornless Rubus sp.), red raspberry (R. idaeus) and black raspberry (R. occidentalis). However, the fruit of R. coreanus, which is used in Korea as a functional food, substitutes black raspberry. Rubi Fructus,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oriental medicinal drug, designates only unripe fruit of R. coreanus but not its ripe fruit which indicates that it needs high content of 19α-HUT as a crude drug. Throughout our experiment, we found that ripe fruits contain very little amount of 19α-HUT when compared to unripe fruits. In addition, various and rich 19α-HUT has been reported from Rubus species. The most common structure of 19α-HUT of Rubus species, euscaphic acid or tormentic acid with 3α-OH or 3β-OH, respectively, can be glycosylated or oxidized to produce a number of 19α-HUTs as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derivatives and even esterified to form dimeric triterpenoids. In this review, the bioactivity and biosynthetic pathway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19α-HUTs found in Rubus species are discussed.
        34.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즙 투여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장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prague-Dawely계의 횐쥐를 I(정상군)과 II(대조군:고지방식이급여군), 그리고 미나리즙의 처리수준에 따라 III(고지방식이급여군+미나리즙(1.0 ml) 과 IV(고지방식이급여군+미나리즙(1.5 ml)의 4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종료일의 체중은 고지방식이 급여로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대조군과 미나리즙군 간에는 미나리즙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식이섭취량 및 효율은 각 처리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Total-cholesterol도 미나리즙 투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DL-cholesterol은 미나리즙(1.0 ml)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PT는 처리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GOT활성은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Lipid peroxide는 고지방식이 급여군에서 증가하였으나(p>0.05), 미나리즙의 투여는 lipid peroxide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35.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마늘을 산지별로, 그리고 부위별로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하고, 휘발성 유황화합물과 사포닌의 함량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그 이용목적에 따라 산지별로, 부위별로 각각 품질평가는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아미노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식물의 지하부를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를 이용하는 것 보다 훨씬 좋을 것으로 평가되었고 산지별로는 울릉도산의 지하부가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지별로 유리아미노산이나 총아미노산의 양이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산 중에서도 arginine, glutamine 및 asparagine 등은 다른 아미노산종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양을 함유함을 밝혔다. 그리고, 유황화합물의 경우에는 내륙종인 오대산산이나 지리산산의 것이 해양적 지리조건의 울릉도산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양을 함유하였음을 밝혔다. 내륙종은 지상부에 이들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였으나 울릉도산은 지하부가 더 많이 이들을 함유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포닌 성분의 경우에는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훨씬 많은 양을 함유하였고 그 순서는 울릉도산, 지리산산, 오대산산이었다. 오대산산은 다른 두 산지의 것보다 현저히 적은 양을 함유하였다. 산마늘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의 양은 사포닌의 함량을 잘 방영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이 분획에 저자 등이 구명한 allivicin 등 flavonol 배당체 등의 함유량의 차이에 일부 기인할 것으로 추측된다.
        36.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강에 함유된 약리성분인 γ-oryzanol 함량을 검정하여 용도 다양화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시험을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oxhlet 추출장치에서 얻은 미강유에서 유리 sterol과 ferulic acid ester가 분리되었다. 유리 sterol은 GC-MS에 의하여 campesterol, β-sitosterol 및 stigmasterol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erulic acid ester는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검화분해물을 분리용 TLC로 분리하여 triterpene과 sterol을 얻었다. sterol은 GC-MS 측정으로 유리 sterol과 같은 조성임을 알았으며 triterpene은 cycloartanol, cycloartenol, 24-methylenecycloartanol 및 미지의 triterpene로 구성되었다. 미강유나 pitch 중 ferulic acid ester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γ-oryzanol의 함량을 평가한다면 큰 오차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38.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화과 식물인 산씀바귀(Lactuca raddeana)를 식물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연구한 바 primaylong chain alcohol인 1-hexacosanol과 1-tetracosa not을, triterpene acetate로 β-amyrin acetate, α-amyrin acetate, lupeol acetate, pseudotaraxasterol acetate, taraxasterol acetate 및 germanicol acetate등을, fatty acyl triterpene은 이들의 구성 triter pone alcohol이 triterpone acetate의 경우와 같았으며 acyl moiety는 myristate, palmitate, stearate및 arachidate로 각각 나타났다.
        39.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린잎을 식용으로 하고 전초를 차전엽산자고라 하여 강장약 및 진해제로 사용되는 얼레지(Ery-thronium japonicum)의 잎의 성분 연구에 착수하여 phtalate ester인 di -0-n-decylphthalate,fla-vonol인 kaempferol 및 quercetin, 그리고 그들의glucoside인 astragalin및 isoquercitrin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