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95

        76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례지역에서 공룡알과 공룡뼈가 보고된 백악기 토금층의 퇴적시기와 공룡의 활동시기를 밝히기 위하여 그 층의 하부와 상부에 해당하는 화산암류에 대하여 K-Ar법 절대연대측정 연구를 수행했다. 토금층의 하부에 분포하는 금정리역암층에 포함된 화산암역을 대상으로 6개의 시료에 대하여 K-Ar 전암연대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 백악기의 앞티안(118.3±2.3Ma), 알비안(103.6±2.0, 102.5±2.0, 99.9±1.9Ma)에 속한다. 토금층을 덮는 안산암과 반상안산암에 대하여 동일 조건으로 절대연대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후기 백악기의 캄파니안(83.9±1.6, 74.2±1.5Ma)에 속한다. 야외증거와 절대연대측정 결과를 근거로 토금층의 퇴적시기와 공룡의 활동시기는 84-100 Ma 사이이다. 이 결과는 공룡알을 포함하는 보성 선소층의 퇴적시기(81 Ma)와 공룡, 익룡 및 물갈퀴 새발자국을 포함하는 해남 우항리층의 퇴적시기(79-81 Ma), 압해도지역에 분포하는 수각류 공룡알둥지의 형성시기(77-83 Ma)에 비교하면 다소 오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4,000원
        76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PKES(PuKyung -Excel based Simulator) for WWTPs(wastewater treatment plants) by using MS Excel and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 PKES is a user-friendly simulator for the design and optimization of the whole plant including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cesses for the wastewater and sludge treatment. PKES calculates the performance under steady or dynamic state and allows changing the mathematical model by the user. Mathematical model implemented in PKES is a improved integration model based on ASM2d and ADM1 for simulation of AS(activated sludge) and AD(anaerobic digestion). Gaseous components of N2, N2O, CO2 and CH4 are added for estimation of GHGs(greenhouse gases) emission.The simulation results for comparison between PKES and Aquasim(EAWAG) showed about the same effluent concentration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using by measured data of BOD, TSS, TN and TP for 2 years of operation, calculated effluent concentrations were similar to measured effluent concentrations. The values of average RMSE(root mean square error) were 1.9, 0.8, 1.6 and 0.2 mg/L for BOD, TSS, TN and TP, respectively. Total GHGs emission of WWTP calculated by PKES was 138.5 ton-CO2/day and GHGs emissions of N2O, CO2 and CH4 were calculated at 21.7, 28.9 and 87.9 ton-CO2/day, respectively. GHGs emission of activated sludge was 32.5 % and that of anaerobic digestion was 67.5 %.
        4,200원
        76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rulence profile of Escherichia coli O157:H7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ewage and livestock stools. Among 23 E. coli O157:H7 bacteriophages, 14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wage and 9 were from animal stools collected from 10 livestock farms in Korea. For each bacteriophage DNA sample, the presence of stx1, stx2, eae, aafII, ial, elt, estI, estII, astA, afa, and cnf was exa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detection rate of eae, stx2, estI, astA, and ial was 100%, 69.6%, 13.0%, 13.0%, 8.7%, respectively. While all E. coli O157:H7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tools carried eae+stx2, stx2+eae, eae+astA, eae, stx2+eae+estI, eae+estI, stx2+eae+ial, and eae+ial were observed in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ewage. As several plasmid-carrying virulence factors (estI, astA, and ial) were found in E. coli O157:H7 bacteriophages obtained from sewage and stools, the microbial safety of bacteriophage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rther study.
        4,000원
        76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In the case of the homogeneity test performed in three panel groups,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was 1.4 ± 0.2, 1.7 ± 0.2, 1.8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7 ± 0.2, 3.7 ± 0.3, 3.7 ± 0.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stability test for 72 h,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 was 1.6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6 ± 0.1. Among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the proportion of error cases was in the order of case II(discontinuance of estimation)(40.0%) > case I(error on estimation procedure by panelist)(33.3%) > case III(miswriting of estimation result)(13.3%) > case IV(miswriting of dilution factor) and V(writing of wrong estimation result)(6.7%). Therefore, it seems likely that additional education related to error cases II and I is required.
        4,000원
        76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기존 Single RF source에서는 환자의 해부학적 차이에 따른 영상신호의 불균형으로 인해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최근 이를 개선하고자 dual RF source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dual RF source 사용 시 필요한 B1 calibration scan의 호흡방법 변화에 따라 영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복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14명을 대상으로 검사장비는 Archieva 3.0T TX(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호흡을 실제 검사와 동일한 expiration, 변형한 방법인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하는 방법으로 B1 calibraion scan을 각각 실시하여 호흡방법의 변화에 따라 B1 calibration scan 후 3D dual echo, e-THRIVE sequence/Axial 영상을 획득하였다. 평가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liver를 9개 구역으로 나누어 SNR과 CNR을 비교 측정하였고, 정성적 평가방법은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homogeneity와 background noise 발생 정도를 3점 척도로 상대평가 하였다. 평가된 값은 Wilcoxon signed rank test(SPSS 18.0K for windows)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는 expiration, Free breathing, inspiration 일 때 3D dual echo의 SNR은 251.05/167.07/183.53, e-THRIVE 161.08/117.22/128.38로 나타났고, CNR은 3D dual echo에서 73.68/56.4/55.69, e-THRIVE 62.61/40.34/35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는 3D dual echo 2.30/1.76/1.94, e-THRIVE 2.56/1.46/1.98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은 expiration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5),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 론 : 실제 검사와 동일한 호흡방법인 expiration으로 B1 calibration scan을 하였을 때 3D dual echo와 e-THRIVE에서 영상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호흡방법으로 실시한 경우에는 SNR과 CNR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영상의 질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MRI 검사 시실제 검사방법과 동일한 호흡방법으로 얻은 B1 calibration scan이 보다 진단학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구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76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초급성기 뇌경색의 진단과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의 과정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확산강조 자기공명 영상은 인체 내 세포의 미시적인 확산운동의 차이를 영상의 대조도 나타내기 위해서 초고속 영상 기법인 EPI sequence를 사용한다. 하지만 인체의 해부학적 자화감수성 차이는 고속영상기법에서 영상의 왜곡과 artifact를 발생시켜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떨어뜨린다. 이에 본 논문은 자체 제작한 phantom을 이용하여 EPI 기법에 기인한 확산강조영상의 영상왜곡과 artifact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알아보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Brain DWI 검사 시 artifact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인 sphenoid sinus와 brain stem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phantom을 제작하였다. Single shot SE EPI sequence를 이용하여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시 phase encoding 방향과 fat shift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 내의 artifact의 발생 양상과 그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SENSE factor 1에서 5까지 변경하고, RFOV를 100%에서 60%까지 10%씩 줄여가면서 artifact의 발생기전과 감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된 장비는 Philips medical system의 Achieva TX 3.0T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8 channel sense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Scan parameter는 FOV 256mm, measurement matrix 128×128, slice thickness 2mm, gap, 0mm 총 74개의 단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 과 : EPI 기법으로 기인한 자화감수성 artifact와 영상왜곡은 영상단면의 phase encoding 방향을 따르고, 하나의 단면 내에서는 낮은 주파수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또한 slice selection gradient에 따라서도 변화하였다. 확산운동의 민감성에 관여하는 확산경사자장의 세기는 artifact의 발생과 크기에 관계하지 않고 영상의 SNR과 관계하였다. 자화감수성 artifact의 감소방안은 sensitivity encoding, RFOV 기법과 같은 수집하는 영상 신호의 숫자를 감소시키는 기법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었지만, 이에 따른 SNR의 저하와 추가적인 artifact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EPI sequence에 기인한 artifact의 감소를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artifact 발생을 고려해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최근 확산강조영상은 뇌 질환에서 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른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생하는 artifact의 발생기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한다면, 보다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76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provide management guidance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parameters,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Korea. For describing growth of this species, a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was adopted. The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for starry flounder were L∞=48.25 cm, K=0.16/yr, and t0=-1.48, respectively and those for olive flounder were L∞=86.46 cm, K=0.26/yr, and t0=-0.29, respectively. Biomass of Platichthys stellatus was estimated by direct biomass estimation method was 2.6 M/T, that was estimated by indirect method was 13.4 M/Tt. Those of Paralichthys olivaceus were estimated as 10.1 M/T, 19.3 M/T, respectively. An yield per recruit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on Platichthys stellatus was about 48.2 g with F=0.646/y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c) 1.35yr, that on Paralichthys olivaceus was about 167.6 g with F=1.121/yr and the age at first capture (tc) 1yr.
        4,300원
        76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sh in the daytime and nighttime using an acoustic survey in Yondam reservoir of Jeollabuk-do, and an acoustical backscattering strength of dominant species, bass (Micropterus salmoides) and a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which are classified as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sh school was distributed in the shallow areas of less than 10 m depth during the period of Aug. and Oct. where it had a strong thermocline, otherwise, it was distributed over 10-times density under stable water temperatures as 13°C in Nov. There was no vertical patchiness difference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unlike the typical marine ecosystem. The dominant species were crucian carp, bluegill, bass. The hydroacoustic method can provid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effective removal ways of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in inland fisheries.
        4,200원
        76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기를 가진 미니다화성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강하 고 향기를 가지는 P. violacea 와 붉은색 화색을 가지는 중륜계 품종인 P. George Vasquize 간 인공교잡을 통해 잡종후대를 육성하였다. 무균파종과 조직배양을 통해 약 280개의 잡종후대를 얻어냈으며 각각의 개체들이 향기의 강도와 종류가 달랐지만 대부분 모든 잡종개체들에서 향 기가 있었다.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그리고 향기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7개체를 1차 선발하였고 2차 개화시기에 꽃배열, 화수, 생육속도 등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향기 가 강하고 화색이 밝은 적색인 미니다화성 한 계통(06- SC-29) 을 선발 육성하였다. SPME-CG/MS를 통한 향 기 분석에서 51개의 성분을 검출하였고 그 중 myrcene, sabinene, ocimene, cineolebergamototene, cardinene 과 linalool 등이 성분함량이 높게 검출되어 이 물질들이 주 요 향기성분 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기발현 관련유전 자를 분리하기 위해 유향성 꽃에서 mRNA를 분리 후 NGS 분석을 시도하여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고 이미 알려 진 향기관련 유전자의 정보를 통해 호접란 향기발현관련 유 전자 정보를 가진 contig와unigene을 찾아내었다. 꽃향기 발 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4개의 효소 linalool synthase(LIS), geranyl diphosphate synthase(GDPS), ocimene synthase(OS), farnesol kinase(FNK)를 coding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여 다른 식물의 향기 유전자와 homology를 비교 하고, 꽃의 발달단계별, 꽃의 화기조직별 향기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발현 정도를 검정하였다. 꽃의 발달 단계별 향기유전자는 유향종에서는 정도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 든 단계에서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무향종에서는 발현되 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 발현되었다. 유향종의 화기조직 별 발현유무검정에서는 4개의 유전자가 꽃잎, 꽃받침, 암 술, 꽃술대에서 모두 고르게 발현되었다.
        4,000원
        770.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773.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색감자 자영을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자영 분말을 전체 분말 기준으로 0, 30, 50,100%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쿠키의 총 페놀 함량,색도, 경도를 측정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쿠키의 총페놀 함량은 쿠키를 굽는 시간과 자영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색도차와 Browningindex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인 밀가루 쿠키와의 색도차는자영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컸으며, 쿠키를 굽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Browning index의 경우 쿠키를굽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logistic 모델이 유색감자 자영의 함량이 증가하였을 때 굽는 시간에 따른 갈변 현상을 나타내는 데 가장 적합함을알 수 있었다. 쿠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6분 동안 구웠을 때 자영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쿠키를 굽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자영분말 첨가군 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쿠키를15분 이상 구웠을 때에는 대조군과 자영 분말 첨가 쿠키의 경도에 차이가 없었다. 관능 검사 결과는 자영 분말을30%와 50% 첨가한 쿠키를 11분간 구웠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며 밀가루 쿠키와 유사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따라서 쿠키에 자영 분말을 첨가하여 11분에서 13분간 구웠을 때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높은 기호도의 밀가루 쿠키와 유사한 식감과 색도를 가지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쿠키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774.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래의 궁극에너지로 인식되고 있는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위해서는 DEMO라 는 최종 실증 단계를 거쳐야만 한다. 특히 중국, EU, 일본 등의 주요 국가는 DEMO 건설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 중에 있다. 한국도 1995년부터 KSTAR 사업을 시작 으로 핵융합 연구개발에 착수한 점을 감안하면,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라는 최종 목표달성 뿐 만 아니라, 주요 국가와 DEMO 경쟁 상황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본격적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EMO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을 파악하기 위하여 준정량적 방 법론을 적용, 해당 분야의 핵심기술을 도출함으로써 우선적으로 연구개발이 필요한 기술을 식별하여 향후 연구개발 추진시 기술별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핵융합 에너지 개발과 관련하여 핵융합의 과학적 원리, 주요국가의 DEMO 개 발 동향 등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핵융합 실증로와 관련된 기술분류 체계를 검토하여 분석할 기술분류 체계를 선정한다. 선정된 기술체계에 준정량적 방법론으로 기술수준(TRL)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을 적용한다. TRL과 AHP의 결과를 종합하여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할 핵융합 실증로의 핵심기술은 실증로용 연소 플라즈마 기 술, 대면재료기술, 구조재기술, 고주파 가열장치 기술, 중성입자빔 장치기술, 안전기술, 연소 플라즈마 진단장치기술, 핵융합로 시뮬레이터기술 등으로 나타났다.
        5,500원
        780.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반적으로 야생동물 복원사업은 야생에서 멸종된 종을 역사적인 서식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생존하도록 정착시키 는 사업으로서 IUCN의 기준으로는 재도입(Re-introduction) 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재도입보다는 복 원이라는 대중적인 용어로 명명하고자 한다. 야생동물 복원 사업은 크게 과학적인 전략과 사회적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인공증식, 서식지 조성 등과 같이 개체 와 서식지 관리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복원 분야라 한다면, 사회적 전략은 지역 사회 구성원이 야생동물에 대한 합리적 수용을 위한 정책, 제도, 예산, 교육 분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후자의 사회적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일본 황새복원 사업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일본 황새복원 사업은 역사적으로 4단계의 시기로 구분 하고 있는데, 1단계(에도시대에서 1930년대)는 현재의 황 새 복원지역인 도요오카시(豊岡市) 마루야마(円山) 강유역 에서 50∼60마리의 황새가 서식하고, 주변 지명이 ‘학논(鶴 田)과 학산(鶴山)’이라 불리웠고,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시 기이다. 2단계(1940년대 ~ 1970년대)는 지역 주민의 보호 활동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산림 벌채(번 식 둥지 감소)와 개체군 감소, 이후 경제개발에 따른 습지 감소와 대규모 농약 사용 등으로 황새가 멸종된 시기이다. 3단계(1985년 ~ 2004년)는 야생에서 멸종된 황새의 인공증 식과 야생 훈련, 황새 서식지 조성 시기였고, 4단계(2005년 ~ 현재)는 인공증식한 개체를 지역에 방사하고, 황새 스스 로 생존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 황새의 생태 계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시 기였다. 2013년 기준으로 황새는 사육개체수가 90개체, 야 생방사는 72개체에 이르며, 2005년 야생방사한 이후로 3세 대의 개체가 번식에 성공하고 있다. 일본 황새복원의 사회적 전략은 2003년에 수립한 ‘황새 야생복귀추진계획’에 잘 나타나 있다. 황새와 공생할 수 있 는 환경이 사람에게도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풍요로운 환경이라는 인식하에 ‘사람과 자연이 공생하는 지역 창조를 목적으로 황새의 야생복귀를 추진한다.’라고 명문화하고 있 다. 또한 황새복원과 지역발전을 광역지자체인 효고현과 기 초지자체인 도요오카시의 조례로 제정하여 경제활성화와 황새복원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일본 황새복원 정책 은 국내외 환경 정책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 다. 일본은 2002년 국제사회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논의에 맞추어 ‘자연과 공생하는 사회’를 ‘신생물다양성국가전략’ 의 목표로 책정하여 국토의 자연보전과 함께 자연재생 추 진, 지역 주민의 참여로 농산어촌의 2차적 자연경관지역인 사토야마(satoyama)의 생태계서비스를 보전하고 지역활성 화를 도모할 수 있는 행동계획 등이 수립되었다. 이러한 일 본의 국가전략의 기저에는 ‘주민 참여’라는 지역 주체의 의 사결정이 중요해졌고, 기존의 자연환경 제도도 변화하게 되 었다. 예를 들어, 도요오카시의 마루야마 강유역권인 타마 분지는 특유의 하천 지형 및 지질 조건으로 황새가 서식할 수 있는 논과 하천, 배후습지가 발달하였는데, 일본의 하천 법도 기존의 이치수정책에서 환경보전과 지역 주민의 의사 결정까지 포함한 내용으로 변화하면서 황새서식지에 적합 한 하천정비, 습지조성, 논어도 사업을 지역 구성원과 함께 추진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환경보전활동·환경교육추진법, 생물다양성기본법, CBD COP10의 아이치목표(Aichi Target) 채택, 생물다양성국가전략, 람사르습지 등록 등 일 련의 일본 자연환경정책은 황새복원 사업의 당위성과 예산 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한편, 일본의 황새복원 사업은 단순한 종복원에 머무르지 않고, 도시와 농촌의 교류사업, 생태관광 등을 축으로 한 환경경제전략, NPO(비영리법인) 황새시민연구소와 지역 의 학생에 의한 생물조사와 환경교육, 지역의 특화산업 촉 진 및 환경기업 유치, 논어도 및 환경창조형 농법의 개도국 지원 사업(JICA: 일본국제협력기구) 까지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가 확인되었고, 지역 이미지 개선과 지역 주민의 자부심 등 유무형의 경제사회적 지 표도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재정 악화 , 야생방사 개체의 고밀도 서식, 지역 주민의 관심 정체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다. 현재까지 일본 황 새복원 사업은 50년간 약 70억엔이 투자되어 지역 사회의 복지나 교육 재정 투자의 기회비용에 대한 비판도 있다. 다 행히 2014년 도요오카시는 효고현립대학원 ‘지역자원관리 연구과’를 개설하여 기존의 지구과학, 생태학에 인문사회과 학의 제분야를 통합한 황새복원과 지역 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와 지역의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일본의 황새복원 사업은 IUCN의 야생생물의 재도입의 기준과 절 차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정책, 제도, 예산, 교육 분야 의 사회적 복원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