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와 XRD를 사용하여 Zr/Si 다층박막의 고상반응에 의한 비정질상과 결정상 생성 및 상전이를 확인하고 이를 유효구동력 개념과 유효생성열 개념 및 phase determining factor(PDF)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Zr/Si 다층박막은 비정질호 반응이 잘 일어났으며 이는 유효구동력 개념으로 예측한 바와 일치하였다. Zr/Si 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ZrSi 였으며 유효생성열과 PDF모델로부터 예측된 최초의 결정상은 PDF 모델의 예측 결과와 일치하였다. Zr/Si 다층박막의 원자조성비가 1대 1일경우와 1대 2일 경우의상전이는 ZrSi→ZrSi2로 되었으며 이러한 상전이 과정은 유효생성열 다이아그램으로 해석되었다. ZrSi의 생성기구는 핵생성이 율속임을 규명하였고 ZrSi와 ZrSi2의 생성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는 1.64±0.19eV와 2.28±0.36eV이었다.
Co/Si계에서 고상확산에 의하여 비정질상이 생성되는지의 여부를 유효구동력 개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유효생성열 개념 및 PDF모델로부터 결정상의 생성과 상전이를 예측하였다. 한편, DSC와 XRD를 이용하여 Co/Si다층박막에서의 비정질상의 생성여부와 결정상의 생성 및 상전이를 확인하여 모델로부터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Co/si계에서는 비정질상이 성장하지 않았으며 이는 유효구동력 개념으로부터 예측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Co/Si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CoSi였으며 유효생성열과 PDF모델로부터 예측된 최초의 결정상은 각각 CO2Si와 CoSi였다. 따라서 Co/Si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구조적인 요소를 고려해 PDF모델의 예측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증착당시 Co와 Si의 조성비가 2대 1일경우와 1대 2일 경우의 상전이는 각각 CoSi → Co2Si와 CoSi → Co2Si → CoSi → CoSi2의 초기단계의 생성기구는 각각 핵생성이 율속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71, 2.34, 2.79eV이었다.
In this research,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effect of type and load of organic substrate on phosphorus release. Reactors of three different sizes were operated, being fed on five kinds of organic substrates. The quantitative analyses were made on phosphorus release and substrate utilization under anaerobic condition. The molar ratios of the uptaken organic substrate to the released phosphorus were 0.5 with acetate, 0.6 with glucose, 0.8 with glucose/acetate, and 1.2 with glucose/acids, respectively. The phosphorus release was inhibited at the higher organic load than the normal at stead state. Both acetate and acids/glucose enhanced phosphorus release- as well as uptake-rate, however, the complete phosphorus removal was achieved after the microbial adaptation to the new environment. In case with acetate, operation was hampered by the poor sludge settleability and phosphorus uptake was not enough although the phosphorus release was active. But with milk/starch, the phosphorus release and uptake was well developed even though phosphorus release was not comparatively high. From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organic substrates, such as glucose seemed to be converted fatty acids after fast bio-sorption, followed by concurrent uptake of these acids by excess phosphorus removing bact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RBC process available for the effective removal of organic matters and nitrogen in sewage. The RBC process for the oxidation organic compounds and nitrification was designed to occur at the 1st-stage and next-stage RBC respectively. Then nitrified water was recycled to the denitrifying RBC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1st-stage RBC. Som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oading limitation was represented as $60g{\cdot}COD/gm^2/day$ in experiment of simultaneous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The maxmum COD % removal was 85% at the load $35g{\cdot}COD/m^2/day$. 2. The $NO_3-N$ % removal was approximately 80% at the load $60g{\cdot}COD/m^2/day$ and the maximum $NO_3-N$ remaval rate was $3.9g{\cdot}COD/m^2/day$ and the overall C/N ratio of 11.0 as required to achive 80% of $NO_3-N$% removal. 3.$NO_3-N$ removal rate was rapidly decreased above the load $7g{\cdot}NH_4{^+}-N/m^2/day$ and the maximum $NO_3-N$ removal rate was $3.7g{\cdot}NO_3-N/m^2/day$. 4. Irrespective of the recycle ratio, the COD % removal at the system of 2-stage RBC unit was nearly constant as 89% while the maximum one in the 1st-stage unit was 77% in the case of 50% recycle. 5. The maximum COD % removal in the 3-stage RBC system was 93% while 1st-stage one being 80%, under the $NH_4{^+}-N$ load of $7.4g/m^2{\cdot}d$. Also maximum percentage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was 69% and 41% respectively, under the same $NH_4{^+}-N$ load.
초청정 실리콘 기판위에 동시증착(codeposition)하여 형성된 Ti silicide의 상전이와 표면 및 계면 형상을 조사하였다. UHV(UItra Highvaccum) 챔버에서 200ÅTi와 400Å Si을 400-800˚C로 가열한 실리콘 기판위에 동시증착하였다. XRD, SEM, TEM 으로 상전이와 계면 및 표면을 관찰하였다. 비교적 평편한 형상을 갖는 C49상은 500˚C와 600˚C에서 형성되었으며 응집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700˚C에서 형성된 C54는 표면과 계면의 형상이 거칠어졌다. 기판의 온도가 800˚C로 증가할때 이런 현상은 더욱 뚜렷히 관찰되었다. 400˚C와 500˚C에서 TiSi와 관련된 XRD peak가 관찰되었고, TEM사진에서 기판과 박막계면에 작은 결정들이 존재하는 것이 보이고 있다.
Multitarget bias cosputter deposition(MBCD)에 의해 저온(200˚C)에서 NaCI(100)상에 정합CoSi2를 성장시켰다. X-선회절과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해 증착온도와 기판 bias전압에 따른 각각 silicide의 상전이와 결정성을 관찰하였다. Metal induced crystallization(MIC) 과 self bias 효과에 의해 200˚C에서 기판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결정질 Si이 성장하였다. MIC현상을 이론 및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관찰된 상전이는 Co2Si → CoSi → Cosi2로서 유효생성열법칙에 의해 예측된 상전이와 일치하였다. 기판 bias전압 인가시 발생한 이온충돌에 의한 충돌연쇄혼합(collisional cascade mixing), 성장박막 표면의 in situ cleaning, 핵생성처(nucleation site)이 증가로 인하여 상전이, CoSi(111)우선방위, 결정성은 증착온도에 비해 기판bias전압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200˚C에서 기판 bias전압을 증가시킴에 따라 이온충돌에 의한 결정입성장이 관찰되었으며, 이를 이온충독파괴(ion bombardment dissociation)모델에 의해 해석하였다. 200˚C에서의 기판 bias전압증가에 따른 결정성변화를 정량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Langmuir탐침을 이용하여 EAr, α(Vs)를 계산하였다.
용해와 주조, 압출과 열처리 기술의개선으로 고강도, 고파괴인성의 AI-Li-Cu 합금(2090 AI합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준 산업용 규모(20kg)의 잉고트 제조공정을 확립하기 위해서 (1)선 (2)기계적 성질들에 미치는 열처리 영향 (3) 인장시험, 파괴인성 시험(KIc) 및 피로균열 전파시계를 갖고 있으며 최종 제품의 인장강도는 최대시효 조건에서 534MPa부터 566MPa이었고 연신율은 9%에서 11.9%정도였다. C-T 시편을 이용한 파괴인성 시험 결과 최대시효 조건에서 평면변형 파괴인성 (KIc)값은 39MPa√m였고 미시효 조건에서는 23MPa√m였다. 또한 0.1, 0.3, 0.5의 하중비에서 피로균열 전파시험을 행하였을때 임계응력 확대계수(δKth)는 각각 6.0, 5.3, 4.3 MPa√m이었다.
본 연구(硏究)는 식물(植物)의 발생(發生)과 분화(分化)에 관(關)한 생화학적(生化學的) 분자생물학적(分子生物學的) 구명(究明)을 위해 조직(組織) 발생(發生) 단계(段階)의 특이적인 유전자(遺傳子)의 발현조절 기작과 역할(役割)을 연구(硏究)하기 위한 기초(基礎) 지식을 얻고자 수행(遂行)되었다. 벼를 실험재료(實險材料)로 하여 현미로부터 callus를 유도(誘道)하고 이들 callus에서 여러가지 방법(方法)을 통(通)해 embryogenic callus와 nonembryogenic callus를 분리(分離)해 somatic embryogenesis에 관련된 특수한 단백질(蛋白質)을 찾고자 하였고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의 보고(報告)에 의하면 재분화가 잘되는 callus와 그렇지 않은 callus간에는 여러가지 면에서 차이가 난다고 알려져 있다. 재분화가 잘되는 callus는 표면이 거칠고 흰색에 가까우며 조직(組織)이 단단하다. 반면에 재분화가 되지않는 callus는 표면(表面)에 윤기가 나며 단단하지 않다. 이러한 보고(報告)를 기초(基礎)로 하여 media에 1mg/1의 2,4-D가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서 2주 정도 callus를 유기시키고 유기된 callus는 다시 배양(培養)하였다. 7-8차 계대배양하면서 embryogenic callus와 nonembryogenic callus를 분리(分離)한 다음 이를 시료(試料)로 하여 protein을 추출(抽出)하여 SDS-PAGE 상에서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結果) 두 callus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8차 계대배양한 두 종류(種類)의 callus로 부터 protein을 분리하여 two-dimensional gel 전기영동에 의해 비교하여 본 결과(結果) 몇 개의 단백질(蛋白質)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증착 변수에 따른 실리콘 박막의 표면형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중착압력, 중착온도, 반응기체의 유속에 따라 증착층의 표면형상이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증착압력과 반응기체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유효면적이 최대가 되는 증착온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안정한 핵의 생성률이 최대가 될때 유효표면적이 최대가 된다는 가정으로부터 유도된 식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담치젓국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betaine, 총 creatinine 및 유기산 등의 정미성분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담치젓국의 수분함량은 59.6%였고 조단백질 및 당은 9.4%였다. 각각 18.2%, VBN함량은 89.4mg/100g이었고 아미노질소 함량은 157.3mg/100g이었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건물량기준으로 10,520.5mg/100g 이었고 이중 glycine, arginine,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전체의 55.7%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은 hypoxanthine의 함량이 건물량기준으로 8.77 μmole/g으로써 가장 많았다. 담치젓국의 엑스분질소중에서 유리아미노산질소, 암모니아질소, 핵산관련물질질소, TMAO질소, TMA질소, betaine질소 및 총 creatinine질소가 전체의 71.7%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중 유리아미노산질소가 53.3%를 차지하여 상당히 많았다. 불휘발성유기산은 7종이 동정되었으며 succinic acid가 건물량기준으로 125.5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ic acid(91.9mg/100g) 및 α-keto-glutaric acid(23.2mg/100g)의 순이었으며 oxalic acid, fumal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지방산조성은 폴리엔산이 45.5%, 포화산이 33.0%, 모노엔산이 21.5%였고 주요구성지방산은 16 : 0, 18 : 2, 22 : 6, 18 : 1 및 20 : 5였다. 관능검사 결과 유리아미노산이 맛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유기산 및 핵산관련물질의 순이었다. 담치젓국의 맛에는 유리아미노산과 불휘발성유기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산관련물질과 TMAO, betaine 및 creatinine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e crude lipid contents of dried sea food products varied remarkably from 1.2 to 29.9% for dried fish products, from 2.8 to 12.3% for dried mollusk ones, and from 0.1 to 2.3% for dried seaweed on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fish products, the saturated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for dried anchovies, hair tail, Kstsuobushi, the monoeno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one for dried yellow corvenia, flat head, common carp, sea eel and conger eel. And the polyeno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ne for dried cod. Allaska pollack, flounder, sole fish, ray, smelt and sardine. The major fatty acids of these dried fish products were 16:0, 16:1, 18:0, 18:1, 20:5 and 22:6.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mollusk products were mainly consisted of polyenoic acid, and followed by saturated acid, monoenoic aced. The major fatty acids of these products were similiar to those of dried fish products. And in case of dried seaweed products, saturated acid such as 14:0, 16:0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while polyenoic acid was abundant one in dried laver and sea mustard. The main fatty acids of dried seaweed products were 14:0, 16:0, 18:1, 20:1, 20:4, and 20:5. Judging from the results, dried sea food products were abundant of the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in spite of the drying processing and storage.
우리나라 수산발효기술의 역사적 발전배경과 현존하는 기술들을 조사하고 이제까지 연구된 결과로부터 전통수산발효기술의 과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우리나라 수산발효기술은 크게 나누어 두가지로 구분되는 바 식염만을 사용하는 적염해법(적갈)과 식염으로 절인 생선에 삶은 곡물, 마늘, 고춧가루를 가하는 식해법으로 대별된다. 젓갈은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여 총 46종이 현재 만들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젓갈제조의 특징은 비교적 짧은 기간의 발효과정(2 - 3개월) 후 어체가 그대로 보존된 상태의 발효물을 조미하여 반찬으로 사용하고 일부는 장기간 저장(6개월 이상)하여 충분한 효소적 가수분해가 얼어난 것을 액즙으로 받아 김치의 재료로 쓰이는 젓국을 생산하는 것이다. 젓갈의 맛은 주로단백질의 분해산물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Pediococcus, Bacillus, Halobacterium등의 내염성세균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과정이 오래 경과되어 최적맛에서 벗어날 때는 효모의 증식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식해는 첨가된 곡물의 탄수화물을 이용한 유기산 발효로 pH가 급격히 저하됨으로서 저장성이 보존되는 특수한 수산발효방법이다. 산생성균과 단백질 분해균의 역할이 크게 나타냐며 비교적 짧은 기간(2주)내에 발효가 완성되며 더이상 저장하면 유기산의 지나친 생산으로 맛의 퇴화현상이 일어난다. 이들 수산발효기술은 우리나라 염장발효기술의 전체를 포용하는 것으로 젓갈은 장류발효와 식해는 김치발효와 맥을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생되었던 Kresek에 과한 발생의 균형 및 재현에 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흰빛잎마름병균에 의한 Kresek 현상은 주로 남부방인 전라남도 화순, 무안, 강진, 영암, 곡성, 광산, 경상남도 진양군에서 볼 수 있었다. Kresek 발생지의 병원균의 균형은 I, II, IV, V군에 의한 발생을 나타냈다. 3. Kresek이 가장 심하였던 화순군에서는 21균주중 17균주는 IV군, 2균주는 II군, 2균주는 V군이었으며 광산군의 5균주는 IV군dp 속하는 균주였다. 4. 화순군에서는 II, IV, V군이 혼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5. Kresek 재현에 관한 시험에서는 접종 5일만에 발병을 볼 수 있었으며 뿌리 절단법에서 발병율이 현저히 높았고, 분무접종, 침접종에서도 발병을 볼 수 있었다. 6. 병원균농도가 높을수록 발병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