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58

        666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를 위해 침지식 수처리 공정 적용을 위한 평판형 MF막인 ENVIS(R)을 이용한 MBR SYSTEM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주)퓨어엔비텍에서 만든 장치를 이용하여 공장의 오수시설(10;m3/일)과 폐수처리장(30;m3/일) 현장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공장 오수처리에 있어 제거율은 각각 SS 99.7%, BOD 97.6%, COD 96.8%였으며, 폐수처리에 있어 제거율은 각각 SS 99.6%, BOD 95.6%, COD 80.3%였다
        4,000원
        666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스텔화 막반응공정에 의한 2,2,2-trifluoroethyl metacrylate (TFEMA)의 생산을 위한 선행연구로, 가교된 poly(vinyl alcohol)막을 이용하여 TFEA (2,2,2-trifluoroethanol)/water과 MA (methacrylic acid)/water 혼합용액을 대상으로 투과증발특성을 연구하였다. 산 저항성을 가진 가교된 PVA막은 PVA와 EGDE를 같이 녹인 수용액을 Teflon plate 위에 캐스팅한 후 140℃에서 열 가교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FT-IR과 팽윤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TFEA/water 혼합용액에 대한 투과증발실험은 가교제인 EGDE농도와 운전온도를 변화시켜가면서 실시하였으며, MA/water 혼합용액에 대한 투과증발실험은 최적화된 PVA막을 가지고 실시하였다. 투과증발실험결과로부터 제조된 막은 TFEA와 MA의 에스테르화 반응온도인 80℃ 이상에서 96%의 TFEA 및 MA 수용액에 대해 각각 100, 900 이상의 매우 높은 물에 대한 선택도와 0.1, 0.3;kg/m2h의 투과도를 얻을 수 있었다.
        4,000원
        6665.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ew Zealand White 수토끼에서 춘기발동 기간 동안에 혈청내 IGF-I(insulin-like growth factor-I)과 GH(growth hormone) 수준의 변화, 정자 형성에 따른 정소내 세포 구성 변화 및 이들 측정치들 간에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주령과 관련된 정소내 세포의 DNA 함량 변화 조사를 위하여 10~28주령 수토끼 정소 조직의 fine-needle biopsy를 flow cytometry(FCM)로 분석하였다. 생체중은 12~20주령 때 크게 증가되었고(P<0.05), 28주령 체중은 3.4kg이었다. 혈청 IGF-I 수준(451.3ng/mL)은 20주령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그 후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혈청 GH 수준은 183.3pg/mL으로 다른 주령 때보다 현저히 높았으며(P<0.05), 상승시기가 IGF-I보다는 다소 빨랐다. 정소 조직세포 중 1C-세포의 상대적 비율은 18주령 때 48.2%로 16주령보다 크게 상승되었고(P<0.05), 주령 증가와 더불어 68%로 증가되었다. 2C-세포 비율은 18주령 때 26.8%로 16주령의 54.3%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4C-세포 비율은 18주령 때 9.9%를 제외하고 2~6%를 유지하였다. 이상 결과에서 토끼는 춘기 발동 개시가 약 18주령에 일어나고 이 기간 중 IGF-I과 GH 수준의 변화가 나이 또는 체성장과 관계가 있었으며 그 영향이 정자 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ne-needle biopsy와 연계된 FCM은 춘기 발동 개시와 관련된 정자의 형성 과정을 평가하는데 매우 정확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6666.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heuristic algorithm for the heterogeneous single container loading problem is proposed in this paper. This algorithm fills empty spaces with the homogeneous load-blocks of identically oriented boxes and splits residual space into three sub spaces st
        4,000원
        666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용 유채의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질소 시비수준과 화본과 사료작물과의 혼파를 통하여 품질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장시험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목포시험장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고 혼파된 화본과 사료작물은 호밀, 귀리, 보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이었으며 질소시비 수준은 100, 150 및 200kg/ha이었다. 남부지방 봄 이용시 혼파로 인한 건물 함량 증가는 로 큰 효과는
        4,000원
        667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목이버섯은 white jelly fungus 혹은 silver-ear로 불려지며, 세계적으로 4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 주요 식용버섯 중의 하나이다. 흰목이버섯은 비타민, 단백질, 광물질의 함량이 높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며, 시장가격이 높고 식용가치 가 우수하여 중국에서는 극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리고 폐질환, 고혈압, 감기, 미용등에 효과가 좋으며 고대중국사람들 에게는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목이버섯 자실체의 식품학적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효과 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흰목이버섯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흰목이버섯 자실체는 수분을 약 85.87% 함유 하고 있으며, 조회분 1.1%, 조지방 0.25%, 조섬유 0.19%, 조단백 1.29%, 탄수화물 1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흰목이버 섯 자실체에는Glu, Asp, Tyr, Lys, Ser 등의 11종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Glu가 15.68%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흰목이버섯자실체 주요 성분의 항산화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ether, ethyl acetate, chloroform, 80% ethanol, water의 순으로 흰목이버섯 주요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때 추출의 수율(w/w)은 용매별로 각각 0.34%, 0.9%. 0.96%, 4.73%, 4.74%로 나타났다. 이 용매들로 추출된 성분의 항산화력을 DPPH 라디칼소거능 시험으로 조사시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용매로 추출한 성분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지 않았다.한편,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대장암세포인 DLD-1 세포주와 몇몇 함세포주에 대하여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lymphocyte mytogenic activity측정법을 통하여 면역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67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 병재배에서 온도처리에 따른 품종간의 차이와 생리적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온도에 따른 시험을 수행한 결 과, 느타리버섯의 품종에 따라 온도처리별 발이 및 수량성에서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원형3호는 16.5℃이상에서는 발이하지 않았으나 13℃에서 발이 후 온도별 처리에서는 모든 처리에서 생장하였다. 고온성인 삼복느타리버섯은 10℃에서는 발이후 생장을 못하고 고사하였으며, 13℃에서 발이후 온도처리에서는 10, 25℃ 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는 수량을 얻지 못하였다. 자실체 색깔은 높은 온도에서는 백색에 가깝게 변하며, 저온의 경우 회색계열의 품종은 흑색에 가까운 색으로 갈색계열의 버섯은 진한 갈색으로 변하였다. 발이적 특성은 저온에서는 발이가 균일하고 양호하였으나 온도가 높아지면서 발이가 불균일하고 배지표면에서 부분적 발이현상이 있어 수량성과 품질에서도 저조하였다. 13℃에 생장한 흑색의 버섯을 23℃이동하고, 다시 13℃생장하는 경우 백색과 흑회색으로 변화하며, 자실체의 색은 온도 에 의해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67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자실체 형성에 있어서 일광의 영향은 빛의 파장이 골고루 함유된 자연광이 가장 좋았다. CO2농도는 0.2% 이상에서 자실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여 2% 이상에서는 자실체 형성이 되지 못한다. 온도의 영향은 26℃±2에서 15℃ 전후에서 자실체 형성을 촉진한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원목 길이가 120㎝이고 직경이 6㎝일 때 구멍수가 27개가 되며 10㎝일 때 45개, 20㎝일 때 90개가 된다. 수확한 자실체를 72시간 동안 햇볕에 건조할 때 자실체 색깔이 생체와 비슷한 색택을 유지하여 가장 좋았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재배중 발생하는 병충해는 T. viridae외 6가지 곰팡이와 1종의 세균 Psedomonas sp., 원목 주위에 흰개미, 버섯파리, 딱정벌레류가 발견되었다.
        3,000원
        667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 와 P. baumii 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 와 P. baumii 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 와 P. baumii 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 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4,000원
        667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site layout in Beopjusa which was built on Maitreya faith in the Shill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reconstruction of Beopjusa means a start in Dhamalsama(法相宗) and then it was supposed to be Buddhist temple which was formed by intersecting axis of centering around a wooden pagoda(捌相殿) with a main Buddhist hall and a lecture hall. 2) After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eopjusa was changed to building layout of intersecting with Yongwabojeon(龍華寶殿) and Daeungbojeon(大雄寶殿) because of harmony with Avatamsaka(華嚴宗) and Dhamalsama centering around Avatamsaka. 3) The buildings of Zen Buddhism was built in the early Chosun dynasty owing to a prevalence of Zen Buddhism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since 17th century, Buddhist halls were each built in their a faith system according to interpenetrated Buddhism(通佛敎). 4) The courtyard type of mountainous district was made on interpenetrated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site layout of Beopjusa is being maintained by centripetal spatial organization through the wooden pagoda as object.
        4,300원
        667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김, 변색김 그리고 폐기용 김의 수분함량은 12.1%, 14.2% 그리고 12.3%,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35.7%, 31.7% 그리고 35.2%, 단백질 함량은 32.1%, 33.4% 그리고 32.5%, 지방 함량은 4.2%, 5.4% 그리고 4.3%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15.9%, 15.1% 그리고 15.7%를 나타냈다. 비타민 C의 경우 시판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 그리고 폐기용 김은 34.4 mg%를 나타내, 비타민 C 함량은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이 변색 김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의 경우는 시판 김이 15.6%, 변색 김이 13.4% 그리고 폐기용 김이 15.7%를 나타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의 총당이 거의 동일한 함량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시판 김과 변색 김 그리고 폐기용 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총당 함량은 시판 김 porphyran이 54.5%, 변색김 porphyran은 45.7%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56.2%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지만 변색 김에서는 그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으로 표현하였는데 시판 김 porphyran은 17.6%, 변색 김은 13.9% 그리고 폐기용 김은 17.3%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은 각각 12.3%, 12.4% 그리고 12.1%로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김 제품으로부터 추출된 3,6-anhydrogalactose은 시판 김 porphyran이 13.8%, 변색김 porphyran이 9.1%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13.9%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에서 추출한 porphyran의 3,6-anhydrogalactose는 거의 같은 수준으로 들어 있으며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화학 조성과 함량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680.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get more accurate GPS position with the changes of the inner configuration setting of GPS receiver, the authors carried out measurements of the position at known it with one antenna and two GPS receivers manufactured by same company. We have investigated the accuracies of posi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skangle and receiving mode of output data in inner configuration of GPS receiv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umbers of satellites visibility and maskangles, and values of HDOP and maskangles. When the maskangles in inner configuration were set below 20 degree, the accuracies of positions were high. But if they were became bigger than 25 degree, standard deviations ot position errors and HDOPS of positions were became bigger. Numbers of satellites visibility(y) and maskangles(x) have relations with a formula, y = -0.1662x+9.9225, and values of HDOP(y) and maskangles(x) have relations with a formula, y = 0.6035 e0.0517x. The results of position accuracies observed by two GPS receivers to the known position at same time were that average errors of position fixs by GPS receiver configured with NMEA0183 mode were 6.7m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1.5m, and them by GPS receiver configured with binary mode were 5.0m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1.1m respective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