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5

        726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 18세에서 30세 사이의 남녀 102 명 (204안)을 대상으로 자각적굴절검사를 실시하 였다. 자각적굴절검사는 운무법 (fogging method)으로 실시하였으며, 자각적굴절검사 에서 일반적 방법인 편안가림검사와 양안개방검사방법의 한 가지인 편안 +3.00D 운 무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 분석하였다. 편안운무상태검사와 편안가림상태검사 결과, 둥가구면굴절력차이는 :t O.50D 이하인 경우가 92.16%, :t0.625D 이상인 경우가 7.84%로 나타났으며, 구면도수차이는 :tO.50D 이하인 경우가 94.12%, :t0.75D 이상 인 경우가 5.88%로 나타났다. 난시도수차이는 :tO.50D 이하인 경우가 98.53%, :t0.75D 이 상인 경우는 1.47% 였으며, 난시축차이는 :t 15。이하인 경우가 87.10%, :t 20。이상인 경우가 12.90%로 나타났다. 난시축차이가 둥가구면굴절력 · 구면도수 · 난시도수의 경 우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부분 -0.25D 난시도수에서 나타났다. 두 검 사의 선호도 비교에서는 비슷하다고 웅답한 경우가 45.1%, 편안가림상태검사가 편하 다고 응답한 경우가 29.41%, 편안운무상태가 편하다고 한 경우가 25.49% 로, 두 검사 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000원
        7264.
        2000.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해콘텐서용 알루미늄박의 직류에칭에서 1M 염산욕에 부식억제제로 1M 황산을 첨가했을 때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에치 피트의 밀도, 에치 터널의 길이와 직경,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황산이온은 부식억제제로서 염소이온보다 시료의 표면에서 에치 피트의 밀도를 증가시키며 에치 터널의 직경은 감소하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표면적이 커지고 또한 정전 용량 값이 증가하였다. 황산이온을 첨가하였을 경우 전류 밀도가 0.9A/cm2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정전 용량 값이 작지만 그 이상에서는 정전용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000원
        7265.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돌고래의 명음과 행동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 12월∼1999년 2월 사이에 제주도 중문관광단지 내 퍼시픽랜드에서 사육중인 병코돌고래의 쇼 학습시 발생한 명음과 조련사의 휘슬음의 파형과 주파수 특성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쇼 시작 전 인사할 때와 준비운동을 할 때의 펄스폭은 각각 3.0ms, 5.0ms, 중심 주파수는 각각 4.54kHz, 5.24kHz, 스펙트럼 라벨은 각각 125.6dB, 127.0dB였다. 노래를 부를 때 중심 주파수는 3.28∼5.78kHz, 스펙트럼 레벨은 137.0∼142.dB였으며, 링돌리기를 할 때, 공놀이를 할 때, 점프를 할 때의 펄스 폭은 각각 7.0ms, 9.0ms, 2.0ms, 중심 주파수는 각각 2.54kHz, 2.78kHz, :1.50kHz, 스펙트럼 레벨은 각각 135.9dB, 135.2dB, 126.BdB였다. 쇼 종료시 인사할 때의 중심주파수는 5.84kHz, 스펙트럼 레벨은 122.5dB였고, 수중에서 유영할 때 명음의 중심주파수는 10.10kHz, 스펙트럼 레벨은 126.8dB였다. 병코돌고래는 각각의 행동시 마다 각각의 다른 펄스폭과 주파수를 사용하였는데 , 평 균 3kHz와 5kHz 2종의 저주파를 교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조련사 휘슬음의 주파수 대역은 스펙트럼 분석에서 제1고조파가2.5∼5.0kHz, 제 2 고조파가 7.8∼8.2kHz였는데, 이는 병코돌고래가 공기중에서는 3kHz 또는 5kHz, 수중에서는 10kHz의 명음을 발생.이용하고 있는 거의 일치하는 현상을 나타내 어 병코돌고래 는 수중과 공기 중에서 조련사의 휘슬음을 이해하고 응답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아울러 조련사의 휘슬음은 쇼 학습시 조련사와 병코돌고래와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7269.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는 어떠한 문제이든지 인간들이 구성하고 있는 모든 조직 및 정책전략에 있어서 크고 작은 의사결정들에 의해서 움직여진다고 할 수 있다.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는 무수히 많지만, 분야별로 분류해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해도 정확한 결과를 예측하고 시행할 수 있는 표준안은 완벽하게 준비되 있다고 말할 수 없다. 단지 완벽에 가까운 의사결정방법론을 제시하고, 의사결정을 할 뿐이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정보기술 관련 벤처 사업의 전략적 대안들을 어떻게 하면 가장 최적으로 추출하고, 분석해서 그 대안들을 위해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한 지원프로세스를 중요 관점으로 해서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4,200원
        7272.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지진활동을 공간 통계학 방법을 이용하여 지진발생의 무작위성에 대한 검정과 집중도의 추정을 수행하였다. 무작위성에 대한 통계적 검정은 검정통계량을 이용한 방법과 경험분포를 이용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의 두 대상자료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두 자료 모두 무작위적이지 않고 군집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비모수 밀도함수 추정방법을 이용한 진앙지 분포의 집중도는 역사지진의 경우 한반도 중부, 충남, 전북, 경북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계기지진의 경우에는 황해도-충남 해안-경북 내륙을 연결하는 "L"자 형태의 집중도를 보인다.
        4,000원
        7273.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과 토성면 일대의 소나무군락을 대상으로 1996년 4월에 발생한 산화에 따른 산림환경변화가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비산화지역(NF) 산화후 비벌채지역(FNC), 산화후 벌채지역(FC) 및 산화후 조림지역(FCP)으로 분류하여 토양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조사지역의 토성은 사질식양토이었고, 토양의 입경조성을 비교하면 비산화지역은 표토의 모래함량이 심토보다 낮았고, 점토함량은 높았지만 산화지역은 모두 표토의 모래함량이 점토에 비해 높았다. 토양공극 분포 중 전공극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공극량과 투수성은 비산화지역 > 산화후 비벌채지역 > 산화후 조림지역 > 산화후 벌채지역 순이었고, 세공극량과 가비중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산화에 따른 산림환경변화로 지피식생이 제거되어 토양침식이 가속화되면서 토양 내 수분함유능력의 지표인 토양공극과 투수성에 큰 영향을 주면서 토양물리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pH는 비산화지역과 산화후 비벌채지역이 산화후 벌채지역과 조림지역보다 표토 및 심토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함량 및 전질소함량 변화는 표토와 심토 모두 비산화지역> 산화후 비벌채지역> 산화후 조림지역> 산화후 벌채지역 순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양이온(K+ , Na+ /, Ca2+, Mg2+)함량 변화는 모두 표토가 심토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비산화지역> 산화후 비벌채지역> 산화후 조림지역> 산화후 벌채지역 순으로, 이는 산화후 표토층의 침식으로 지력이 악화된 결과로 사료된다.
        4,000원
        7274.
        2000.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7276.
        200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200원
        727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terial endotoxin on lipids and cytokines, an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hanges, we carried out this study using experimentally Escherichia coli (E. coli) endotoxin-induced septicemic rabbits. The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endotoxin groups were generally high (p$lt;0.01 or 0.05) at all sampling time points (from 3hr to 24 hr), while phospholipid concentrations in endotoxin groups elevated in dose-dependent fashion at 3hr and 6hr after endotoxin injec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p$lt;0.05).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lipids changes and cytokines (TNF-α and IL-1β) each other (p$lt;0.05), and endotoxic rabbits having higher triglyceride of cholesterol levels shown relatively better conditions compared with others. As a result, the alterations in the lipid compositions caused by endotoxin may imply an active exhibition of the host defense mechanism rather than the disturbances of lipid metabolism.
        4,000원
        7280.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ministration of Agyoju or Mokhyang on the maintenance of pregnancy, delivery and sex ratio in the mice in different gestation periods. Adult female mice were administered orally at three different periods, from ovulation to implantation (Exp.1), from post-implantation to organogenesis (Exp.2), and from fetal growth to parturition (Exp.3). In Experiment 1, number of fetus implanted and mean body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delivery of male offspr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gyoju and Mokhyang administrated groups than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 number of fetuses implanted, live offsprins and their body weight at deliver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gyoju administered group than Mokhyang and control groups. In Experiment 3, the number of live offspring and sex ratio were not different in both treatments and control group. However, mean body weight at deliv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treatment group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1) Agyoju and Mokhyang have beneficial effects in maintenance of pregnacy, and that 2) The action of unknown component(s) in Agyoju may be related to selection of male spermatozoa for fertilization in vivo, and that 3) the administration of Agyju of Mojhyang during mid-and late-pregnance periods were shown the increment of body weight of live offspring without decrease of litter siz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