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ype(100) 실리콘 기판과 TiN(50nm)/Si 기판에 dimethylethylamine alane(DMEAA)을 반응소스로 하여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증착온도와 유량, 반송가스 종류에 따른 방향성, 증착속도, 미세구조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기판온도, 반송가스 종류 및 유량에 따라 100-650mn/min으로 다양하게 조절되었다. DMEAA의 증착 활성화에너지는 TiN 기판에서는 약 0.leV이었고 Si와 SiO2 기판에서는 각각 약 0.23eV, 0.24eV이었다. 알루미늄 박막의 방향성은 증착속도의 감소에 따라 (200)에서 (111)방향으로 변하였다. 증착된 알루미늄 박막의 불순물 함량은 산소의 경우 0.2at%, 탄소의 경우 1.8at.%이었다. DMEAA 소스에 의한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반송가스가 Ar 일 때 보다 H2 가스를 사용하면 증착속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반송가스에 의해 SiO2표면의 흡착 H 농도가 증가하고 흡착 H가 소스 가스와 반응하여 핵생성 site 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알루미늄 박막의 비저항은 표면 미세조직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값은 약 3-7μΩcm이었다.
Sprague-dawley 흰쥐를 고지방식이로 6주간 식이하면서 영지열수추출액을 경구투여하여 혈장, 간장 및 부고환조직에서 지방성분, 지단백질의 분포, 변 중의 담즙산과 중성스테롤들의 배출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고지방식이와 영지(GL군)열수추출액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유리지방산의 농도는 고지방식이로만 사육한 대조군(CON군)에 비해 낮았다. 한편 인지질과 HDL-cholesterol의 농도는 다소 높았다. 또한 간장과 부고환의 지방성분들을 조사한 경우에도 위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LDL)과 very low density lipoprotein(VLDL)은 고지방식이가 급여되는 동안 정상군 보다 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영지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LDL과 VLDL은 감소하였으나 HDL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분변을 통한 답즙산과 중성스테롤의 배설량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지 투여군이 지방축적 및 고지혈증의 완만한 개선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추좀나방의 deltamethrin에 대한 약제 저항성 기작을 알기 위하여 에스테라제의 활성과 조성을 분석하였다. 0.1의 deltamethrin으로 매 세대 선발하였을 때 선발세대의 진행에 따라 배추좀나방 4령충의 약제감수성은 줄었고 에스테라제 활성을 증가했다. Deltamethrin으로 선발된 또는 선발되지 않은 서로 다른 배추좀나방 집단들의 약제감수성과 에스테라제 활성간에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들 요인들간에 상관계수는 0.9918(P=0.0082)로 정상관을 보였다. 전기영동(6% gel)의 결과 17개의 에스테라제 밴드가 분리되었다. Deltamethrin에 대해 선발된 집단들은 비선발 집단에 비해 적은 숫자의 에스테라제 밴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4개 밴드(E3, E4, E11, E12)는 deltamethrin 선발집단에서만 나타난 밴드였다.
길경에 대한 면역조절 기능과 항알레르기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서 우선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다당류 분획물을 추출 회수해서 몇가지 관련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 감수성이 우수한 BALB/C 마우스를 통해서 적혈구 응집과 용혈반응, 항체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PFC와 RFC 실험, 마크로파아지와 임파구 세포들의 탐식능 실험을 수행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응집소가와 용혈소가는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 P-RWE는 4배와 8배, PREE는 PRPE는 2배와 4배의 증강된 결과를 보였으며,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2. 용혈반과 로젯트형성세포에 있어서는 다당류 분획물이 각각 약160%와 196%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PRWE와 PREE는 억제되거나 아무런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3. 탐식능의 결과에서 PREE와 PRPE는 복강침출세포, 비장세포, 말초임파구의 식세포에 대해서 약 150%에서 250% 까지의 유의성 있는 식균작용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RWE는 이들 식세포에 다소 억제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길경이 biological response modifier적 작용 즉 면역증강과 억제작용을 유도하는 성분이 함께 함유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 보에 게제될 항알레르기 작용 결과와 전보에서 게제된 길경의 성부분석과^10) 지방대사 연구 결과^11)를 종합해 볼 때 길경은 영양소 만의 기능 뿐만 아니라 식세포와 B세포 등의 생체방어 기구를 활성화 하고 항알레르기원의 역할이 기대되는 면역생리 기능성 자원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전통식혜는 엿기름과 쌀만으로 만들며, 주성분은 말토오스이다. 그러나 시판식혜는 주성분이 설탕이므로 전통식혜가 아니다. 시판식혜는 엿기름과 쌀만으로 만든 것이 없다. 그것은 엿기름이 잡균에 오염되고, 엿기름 β-아밀라아제 활성이 낮고, 기술적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이들 위생적,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여 전통식혜를 생산하려면 엿기름의 오염미생물을 규제하고, 효소 활성을 규격화해야 한다. 그리고 과학적, 효율적 관리체계를 도입해야 한다. 식혜제조에 β-아밀라아제와 이소아밀라아제(풀루라나아제)를 가하면 100% 말토오스로 당화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향상되고, 불량 엿기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평판형 모듈 설계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feed 흐름 조건에 따른 feed 온도 및 유속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확립하였고 모델 모사를 통해 흐름 조건들이 온도 분포에 끼치는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모델내의 유체의 Re 크기가 커지면 채널 두께방향으로의 유속 구배가 커질 뿐 아니라 투과물 증발을 위한 에너지원인 feed 흐름 속도가 커져 물질 및 열흐름이 증가하여 투과물 증발로 인한 feed 온도 강하가 증어든다. 반면에 채널 간격이 작아지면 feed 흐름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급격한 온도 강하를 야기시킨다. Re 크기에 따른 feed 온도 변화는 실험결과와 일치함이 관찰되었다.
전통식혜는 엿기름과 쌀만으로 만들며,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1740년 이래 많은 기록이 있다. 식혜에 설탕을 가한 기록은 근래인 1924년에 나타나므로 설탕을 가한 것은 전통식혜라 할 수 없다. 전통식혜는 재료인 고두밥과 쌀을 평균 30% 정도 사용하며, 주성분은 말토오스이다. 그러나 시판 식혜는 고두밥을 3% 밖에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10% 가하고 있으므로 성분상으로도 전통식혜라 할 수 없다. 기존의 설탕타는 식혜는 설탕을 재료의 1/3밖에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판식혜는 기존의 설탕첨가 식혜와도 전혀 다른다.
자화수의 조리용수로써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을 관찰하였다. 1. 자화수의 pH의 변화는 수도수, 생수 공히 자화수가 약간 알칼리성을 띄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도수에서는 pH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생수에서는 증가하였다. 2. 건조식품을 불림에 있어 자화수의 경우 수도수를 사용한 경우보다 수화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화수에 침수한 버섯의 경우 초기부터 수분 흡수율이 약간 높았으며 90분 이후부터는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콩은 하루밤 방치후 자화수에 침수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흡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3. 표면장력의 변화는 자화수의 표면장력이 수도수에 비해 작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염장식품을 수침한 경우 자화수에서 특히 초기침수 5분 이내에 염장물로부터의 염분 유출량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키토산용액을 다공성폴리술폰 한외여과막에 코팅을 하여 투과증발용 키토산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키토산 복합막을 디알데히드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가교하여 물-에탄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분리 실험을 행하였다. 화학적가교를 위하여 사용한 알데히드는 글리옥살, 테레프탈알데히드, 글루탈알데히드였으며, 이중 글루탈알데히드가 가장 우수한 가교효과를 나타내었다. 글루알데히드로 표면가교한 키토산 복합막에 대해서 조작온도와 가교조건에 따른 투과증발 성능을 관찰하였다. ATR-FTIR을 이용하여 글루탈알데히드로 표면가교한 키토산 못합막의 가교메카니즘의 고찰과 주사각도를 변화시키면서 표면으로부터의 가교정도 및 열처리에 의한 free 알데히드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글루탈알데히드로 표면가교를 하는 경우 가교제의 사슬이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교시간의 증가에 따라서 선택도는 점차로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최적치를 나타내고, 투과유량은 감소하였다.
동치미 국물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냉면국물 모델 시스템에서 동치미 국물에 의한 대장균군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무즙에 접종하여 동치미 국물을 제조한 후 세 형의 냉면국물 모델 시스템 즉, 동치미 국물형, 쇠고기 육수형 및 이들 둘의 혼합형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어서 냉면국물에서 분리된 8주의 대장균군, Klebsiella planticola B02, K. terrigena C08, K. pneumoniae D01, K. ozaenae D04, Enterobacter sp. A02, Enterobacter sp. C07, Citrobacter sp. B07 및 Escherichia sp. D03을 세 형의 냉면국물에 각각 접종하고 30℃에서 보관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대장균군 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쇠고기 국물형 육수에서는 모든 균주의 대장균군이 신속하게 증식하였으나 동치미 국물형과 혼합형에서는 어느 균주도 증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대장균군 균주는 혼합형에서보다 동치미 국물형에서 훨씬 신속히 사멸하였고, 균주별로는 Citrobacter sp. B07, Klebsiella planticola B02, Klebsiella terrigena C08 및 Klebsiella ozaenae D04가 나머지 균주들보다 더 신속히 사멸하였다. 냉면 국물로 동치미 국물만을 사용하거나 동치미 국물과 쇠고기 육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동치미 냉면이나 평양식 냉면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은 냉면의 대장균군 증식을 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Brevibactericum속 균주로 부터 N.T.G. 처리하여 1차로 140개의 변이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로 부터 2차 확인후 50균주를 선택 생성량을 보았다. 그 중 가장 생성량이 많은 균주 APT-104(phe-) 균주를 다시 N.T.G. 처리하여 PFP 내성 균주 13균주를 분리하여 그 중 가장 생성량 높은 균주를 다시 N.T.G. 처리하여 PFP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내성이 강한 균주를 5균주 선택 하였다. 이상 선택한 균주의 L-tyrosine 생성량을 비교 검토한 결과 PFP-106 균주에서 가장 높은 생성을 보였다. (50mg/l) 따라서 이 균주의 배지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탄소원에서의 영향은 Sucrose 나 glucose 첨가시 76mg/l, 50mg/l 로서 효과적이었으며 그 농도는 10% 농도가 가장 효과적 이었다. 질소원에서는 (NH_4)_2SO_4첨가시가 50mg/l 로 높았고 다른 질소원은 오히려 낮은 생성을 보였다. 그 농도는 3%가 적당하였다. 아미노산의 영향은 glutamic acid와 L-tryptophane 생성에서 각각 106mg/l, 108mg/l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L-phenylalanine 의 농도는 100mg/l 첨가시 L-tyrosine 생성량이 50mg/l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The authors carried out a field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underwater sound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in the coast of Cheju Island. The effects of the acoustic emission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were observed using a manufectured underwater speaker in the setnet, and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and the source level was 126dB, was emitted on and off at 5 minutes intervals in the set net during the night of ,July 29 and ,July 31. So we had recorded behavior of fish schools by the telesounder with two channel and shape of the setnet by underwater video camera and analyzed them. When the flood and ebb currents were around the setnet, the nets rised to the surface of water and it happened occasionaly at the stand of tide. Therefore, it was in the state that fish schools feel constraint to enter into the setnet, and was required a new design of the setnet stand up to strong tidal current. As the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was emitted for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the catch ammounts of fish, the young horce mackereWI'rachllrlls japonicus), was increased 4~6 times than not emitted.
Full scal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o compare some important factors tested in the model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hanging aspect of mouth performance of the full scale net was almost coincid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The vertical opening(H) and the opening area(S)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locity(V) as H=48.78. e0.38V(unit: m, k't) S= 1,443 .e-0.25V(unit: m2V, k't) 2. The changing aspect of working depth of the full scale net was almost coincid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The depth(D)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locity(V) and the warp length(L) as D=92.49.V1.37(unit: m, k't, L= 150m) D= 12.07+0.32. L (unit: m, V=2k't) [)= - 7.90+0.22 . L (unit: m, V=3k't) 3. Some problems were found to operate A - type full scale net by common bottom pair trawlers. The proble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tangling of wing and square head ropes while net casting.(2) Man power needed and time spent for net hauling by common bottom trawlers increased considerably.( 3) Tearing of nettings caused by over -load of tension and entangling of net pendant while net haul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e trawlers are favorable to be equipped with variable pitch propeller and llet drum. While the net is favorable to be constructed with trifurcated net pendant in stead of quadrifurcated net pendant used at present.
Towing tension of the model nets were determined by the load cell(O~20kg, 20DBBP) in front of W〈lrp with the combinations of towing velocity, warp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paired boats. Towing tension of the full scale net was determined by the load cell( 0 ~ 6ton) in front of warp with the towing velocity.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nging aspect of towing tensions of the model nets A and B varied by the same tendency in the range of O.356-2.019kg and O.352~2.117kg, respectively, depend on the operational factors. Among the factors, the towing velocity was the most influential. The tensions(T)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locity(V) as TmA = 1.57 . V1.86 (unit: kg, mlsec) TmB= 1.58 . V1.90 2. The towing tension of the full scale net was almost coincid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The towing tension(T)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Jocity(V) as T=479V1.75(unit: kg, 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