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2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정식 후 식물체 생육 및 과실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묘 크기의 기준은 크라운 직경의 크기로 하여 3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A등급 묘는 9.0 mm이상, B등급 묘 8.0∼8.9 mm, C등급 묘 8.0 mm이하로 하였다. 정식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클수록 정식 후 뿌리 활착 및 식물체 생육이 좋았고, 개화기도 빨랐다. 정화방 첫 꽃 개화기는 A등급 묘가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10일, 평균 개화기는 2∼3일 정도 빨랐다. A등급 묘의 1주당 4월까지 누적수량은 481 g, B등급 445 g, C등급 422 g 으로서, 크라운 직경이 가장 큰 A등급 묘는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각각 8.1%, 13.9% 증수되었고, 2월까지의 초기수량은 A등급 묘가 B, C등급 묘에 비해 각각 23.3%, 39.1% 많았다.
        4,000원
        2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화기의 민사재판은 그 이전과 달리 행정과 사법의 분리, 민사와 형사의 분리, 사법기관인 재판소의 등장 등이 그 특색이다. 민사 재판제도의 실제 운용은 재판소구성법의 등장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실제 운용면에서 형식적인 면과 실질적인 면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형식적으로 원심재판소 및 상급심 재판소의 실제 운용, 문서주의, 관할제도의 정비, 궐석재판의 등장, 법원의 인적 물적 구성의 전문화가 특징이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기판력의 확보와 강제집행력의 확보가 이루어졌다. 민사판결문을 통해 법사회사적, 생활사적 특징 및 민사재판에 필요한 법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개화기 당시의 민사재판의 준거법은 大明律》 및 《大典會通》 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개화기의 민사재판은 전근대시대에서 근대로 이행하던 시기로 전통법제와 현대의 법제의 ‘징검다리’역할을 하고 있었다.
        27.
        2020.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역사에서 갑오경장을 전후한 시기에는 외부로부터 새로운 사조가 밀려들면서 모든 분야에서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한글은 국문으로서의 대우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에 한글의 우수성은 대내외적으로 인정을 받았고 활용적 가치는 날로 증가하였으나, 실제로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통일된 안을 이루기 어려웠다. 이 글에서는 당시 국문 표기가 혼돈스러운 상황에서 한글의 실제 표기 양상을 보여 주는 문헌인 「國語綴字捷徑」(1908)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이 자료는 기독교 선교사로 활동하던 Gale의 「한영자뎐」(1897)의 표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당시의 한글 표기 양상을 모국어 화자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한글 정서법의 역사적 흐름을 기술하는 작업 의 일환으로, 이 책을 통해 개화기 당시의 실제적인 한글 표기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28.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ot twist on fruitfulness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 Proper pruning and training are essential to produce a good yield of high-quality fruit and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vegetative growth and fruiting. The most common problem in spur-pruned ‘Campbell Early’ cultivar is that vigorous buds has low fruitfulness and thereby the shoot become more vigorous the following spring because of lower crop load. Therefore, shoot twists in very vigorous ‘Campbell Early’ canes (above 10.0 ㎜) were performed on the third nodes and the 7 th nodes of each shoot at 7 days before bloom and full bloom, respectively. Sprouting date, blooming d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while, harvesting date was delayed approximately 3 days. However, number of berries per cluster, cluster weight and fruitful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hoot twist treatment on the third nodes than the control that was topping alone. Combination treatments of shoot twist and topping had an additive effect on increasing cluster weight resulting in higher increase of yield by 12.1 ㎏ per vi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hoot twist on very vigorous canes of ‘Campbell Early’ grapevine for well fruitfulness seemed to be very effective.
        2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3 to 2015 in the mid-northern inland, Cheolweon, Korea, to investigate changes in flowering date,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and yield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an early-maturing rice variety, ‘Joun’. Thirty-day-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t four different dates at 15-day interval from May 5 to June 19. Flowering dates were July 16, July 21, July 31, and August 14 when transplanting was performed on May 5, May 20, June 4, and June 19, respectively. Late transplanting resulted in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before flowering but late-transplanted rice required fewer days and lower cumulative temperature to reach flowering from transplanting.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after flowering decreased, whereas daily sunshine hours for the same period increased, with a temperature of 24.8°C and sunshine for 5.8 hours being recorded at the transplanting on May 5, and with a temperature of 21.0°C and sunshine for 7.7 hours at the transplanting on June 19. With late transplanting, panicles per square meter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spikelets per panicle showed an increasing tre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ximum head rice yield was attained from the transplanting on May 18, for which the flowering date was July 21, an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from that flowering date was 24.6°C. A decrease in head rice yield by 5% and 10% of the maximum was observed for rice transplanted on June 6 and June 15, which resulted in flowering dates of August 2 and August 11, respectively, and the daily mean temperatures for 40 days from flowering were 23.2 and 21.7°C, respectively. Therefore, in mid-northern inland, it is recommended to transplant ‘Joun’ on May 18 to induce flowering on July 21, when grain filling is subjected to a daily mean temperature of 24.6°C during active filling stage.
        30.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farmers who grow Chinese matrimony vine (Lycium chinense Miller) in rain-shelter greenhouses incr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ltivar with early-flowering. In addition, the new varieties should be continuously selected in order to adapt to climate change and to respond to future demands. The new line, CB07423-104,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Cheongmyeong (IT232706) and CB04341-286 in 2007 to breed a cultivar with early flowering and high yielding. Its preliminary yield tests were performed from 2009 to 2010 and the selected line was named Cheongyang 17. Its regional yield trial was carried out in Cheongyang, Yesan and Jindo from 2011 to 2013 and Cheongyang 17 was registered as the new variety, ‘Cheonghong’ (Certificate on grant of plant variety rights: Grant number No.5642, Protection period 06/07/2015 ~ 05/07/2035) in 2013. The major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lant shape was spreading type. Leaf had ellipsoidal small sizes and 3~5 leaves on a node. The fruit was oblong and yellowish red. The flowering time was June 17 and faster about 11 days than the check ‘Cheongmyeong’. The branching was generated less than the check variety. This cultivar has a lot of flowers bloom per a node and many fruits per a plant. The resistances to anthracnose and eriophyidae mite were a little better than that of the check variety. The content of betaine of dried-fruit and brix degree of fresh frui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heck. The dried-fruit yield was 16 percent higher than the check at regional yield trials conducted at Cheongyang, Yesan and Jindo. Applications are customarily available in both medicinal and edible. This variety has self-incompatibility. So, the companion variety, Cheongmyeong, was required as pollinizer and recommended to plant 1 : 1.
        3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크랜튼은 기숙제 학교인 이화 학당과 보구여관이라는 여성 전용 병원 그리고 공옥여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여자매일학교를 세우고 여성교회와 부인성경학교를 세워 여성을 교육하고 여성지도력을 개발했다. 이것은 여 성교육 활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개화기의 한국 여성들에게 ‘여성의 공간’ 의 창출이었고, ‘여성 주의’ 의식의 개발이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가 설립 한 이 나라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이었던 이화 학당은 스크랜튼이 뿌린 ‘여성주의’ 의식이 싹을 틔우고 태동하는 중요한 묘판이 되었다. 이화학당 이라는 기독교적 여성 고등 교육 시설 안에서 개화기 한국 여성들은 사물 을 규정하고 명명하며 자신과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여성주의 의식’에 각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자기의식을 현실화하여 당당한 사 회적 전문인으로서 혹은 민족 독립 운동가라는 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해 가 게 되었다. 이화라는 공간 안에서 여성들은 무지로부터 해방되었고 가정이 라는 공간에서 해방되었고, 아내, 딸, 어머니라는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해 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여성을 자신의 삶과 역사의 주체로 세우고 사회적 존재로 확장해 가는 의식해방을 이루었던 것이다. 개화기 이화학당에서 태동된 ‘여성주의’ 의식이 가부장제적 성적 위계질서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개화기의 ‘여성주 의’ 의식은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이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저변을 이룬 우리 나라 ‘초기 여성주의’로서의 의의가 크다. 그러한 의미에서 스크랜튼은 이 나라 여성 교육의 개척자임과 동시에 ‘여 성주의’ 의식의 개척자이자 여성 운동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항 이후 우리나라는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사상과 문물, 제도 등을 받아들이며 사회·문화적으로 큰 변 화를 겪어왔다. 개화기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일본에 의해 시행된 의제개혁과 단발령은 조선 전국을 혼란 에 빠트렸고, 백성들의 반발과 저항이 거세졌음에도 불구하고 상투가 없어져 단발이 된 백성들은 갓 대신에 서양식의 모자를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외래문물의 유입으로 양복의 부속품인 벨트와 셔츠, 시계 등 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근대적인 인쇄기술에 힘입어 모자에 대한 한국의 소비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하였 다. 근대적 문물을 가시화하여 익숙하지 않은 신문물에 대한 설명으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었다. 따라서 문자와 그림의 결합으로 현대의 광고디자인의 맥락에서 읽 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물질문화의 변화 속에서 디자인된 물체(대상)가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인 요인들 을 반영하여 한 시대의 문화를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3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에 내병성이면서 장타원형인 청명(IT232706)과 다수성인 CB04341-286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였고, CB07423-104 개체를 선발하여 2011년 “청양 1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청양, 예산, 진도 등 3지역에서 2011~2013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후 개화기가 빠르면서, 키가 작고, 내병충성, 지표성분 고함유,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우수성을 인정받아 2014년도 “청홍(靑紅, Cheonghong)으로 명명하였다. 구기자 신품종 “청홍”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잎은 피침형으로 녹색이고 대비품종인「청명」에 비하여 가늘다. 개화기는 대비품종에 비하여 약 11일 빨랐고, 수형은 개장형으로 키가 작고 적심에 의한 분지발생이 적은 편이다. 열매는 황적색이면서 장타원형이고 100과중이 약 19g로서 중간크기이다. 병해충 저항성은 무방제 상태인 노지포장에서 자연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는데, 탄저병 이병과율과 혹응애 발생률은 대비품종인 「청명」과 비슷하여 저항성이 강하였다. 주요 지표성분으로 베타인 함량 0.85%, 당도 15.4°Brix로서 대비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건과수량은 대비품종에 비하여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22%, 지역적응시험에서 16% 증수되었다. 주요 용도는 약용과 식용으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였다. 신품종 「청홍」의 수분수는 열매크기가 비슷하고 두 품종의 혼식시 결실률이 높은「청명」품종이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건조 후 외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적기에 수확하고, 건조온도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
        3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유채(Brassica napus L.)는 논 이모작(벼·유채) 재배가 가능한 동계 유지작물이다. 유채는 종자 기름 함량이 45%로 많고, 올레인산(C18:1) 함량도 65% 정도로 높아 바이오디젤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유채 6품종(‘선망’, ‘탐미’, ‘탐라’, ‘내한’, ‘영산’, ‘한라’)에 대해 개화 초기(early flowering stage)에 침수처리(3, 6, 9, 12일)를 통해 개화기 토양 침수에 의한 습해반응과 이에 따른 수량구성요소와 종실수량 변화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침수 3일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비교해 유채 6품종의 생육에 차이가 없으나, 침수 4~9일 처리구에서는 꽃봉우리 정단부 꺾임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내한’과 ‘영산’ 유채는 침수 9일 처리구에서 꽃봉우리 정단 부 꺾임현상이 나타나 침수처리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유채는 개화기에 토양 침수가 4일 이상 지속되 면 꽃봉우리 정단부 꺾임, 안토시아닌 과다형성, 도복, 개화기 연장 및 등숙 지연 등 생식생장기 생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유채는 개화기에 침수 스트레스가 6일 이상 지속되면 주당협수, 협당립수, 결실율 및 천립중 현저하 게 감소하였고, 각각의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최종적으로 종실수량 감소로 이어졌다. 무처리구 대비 침 수 6일 처리구에 대한 품종별 종실수량을 보면 ‘선망’(54%), ‘탐미’(35%), ‘탐라’(33%), ‘내한’(78%), ‘영산’(70%) 및 ‘한라’(32%)로 나타났다. 하지만 침수처리에 따른 종자의 지방산 조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6 시험품 종 중에서는 ‘영산’ 유채가 개화기 내습성이 강한 품종으로 나타났다.
        35.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배 개화기에 염소계 살균제인 NaDCC(sodium dichloroisocyanurate)의 사용에 따른 배검은별무늬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건전한 배나무에 배검은별무늬병원균인 Venturia nashicola의 분생포자를 접종하고 NaDCC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무처리에서 51.6% 발생한 반면에 NaDCC 처리시 750mg/L에서는 23.8%, 1,000mg/L에서는 26.2%로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원황 등 6개 품종을 대상으로 만개기에 NaDCC를 살포하여도 배꽃의 화분발아에는 피해가 없었다. 신고 배 포장에서 개화초기와 만개기로 구분하여 NaDCC를 살포한 결과 개화초기에 NaDCC를 단독 살포 처리시 98% 이상의 높은 수정율을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인 살포시기로 판단되었다. 또한 신고 배 재배포장에서 NaDCC를 배검은별무늬병 방제 적기에 4회를 살포한 결과 NaDCC 750mg/L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발병과율은 0%이었다.
        3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원 디자인 시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다년초 선정을 위한 목록을 만들고자 국내 화훼종묘회사와 생산농원 그리고 상업적 정원, 식물원, 수목원 홈페이지 160여 개를 검색하여, 보유 또는 생산하는 다년초의 사진, 학명, 일반명, 화색, 초장, 개화기의 6개 항목을 게시한 ㈜대한종묘조경, 우리꽃, 한택식물원을 대상으로 게시된 다년초를 정리하였다. 전체 다년초에서 생육 특성이 다른 구근류, 암석원식물, 그래스류, 고사리류, 수생식물을 분리하여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년초라 하여 전체 다년초를 6개 식물군으로 나누었다. 6개 생육 특성별 식물을 각각 파랑(blue), 녹색(green), 주황(orange), 분홍(pink), 보라(purple), 빨강(red), 은색(silver), 흰색(white), 노랑(yellow)의 9가지 화색으로 나누고 같은 화색 내에서 초장을 고(120cm 이상), 중(60-120cm), 저(60cm 이하)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식물을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치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개화 월을 표시하는 정원용 다년초의 목록을 만들었다. 조사한 자료에서 중부지방에서 정원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다년초는 1,091종류이며 다년초 839종류, 구근류 58종류, 암석원식물 46종류, 그래스류 70종류, 고사리류 46종류, 수생식물 32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전체 다년초는 화색별로 파랑 7.2%, 녹색 7.5%, 주황 2.8%, 분홍 17.0%, 보라 15.9%, 빨강 4.2%, 은색 0.5%, 흰색 24.7%, 노랑 20.0%로 나눌 수 있었는데 흰색과 노랑, 분홍, 보라의 화색을 가진 종류가 가장 많고 엽색이 포함된 은색과 초록을 제외하면 정원의 화려함을 더해주는 주황과 빨강, 파랑의 화색이 부족하였다. 전체 다년초의 6.0%만이 120cm 이상의 높은 초장이었고, 60-120cm 사이의 중간 초장은 24.9%, 60cm 이하의 초장은 69.1%였다.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전체 다년초의 0.0, 0.2, 1.1, 5.9, 11,5, 22.8, 22.3, 20.7, 10.1, 5.1, 0.3, 0.1%가 개화했는데 5, 6, 7, 8월에 77.3%가 개화하였다.
        3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백헌 정재규(1843-1911)는 한말의 혼란 조짐을 드러내기 시작하던 1843 년 경남 합천군 쌍백면 육리 묵동에서 태어나, 개화기의 급변하는 시대 상황 속 에서 일생 실추된 전통유학의 도를 회복하고 확립하는 삶으로 일관하였다. 그는 22세 때 전라도 장성의 노사 기정진(1798-1879)에게 수학하였고, 쇠잔 했다고는 하나 여전히 남명학의 영향력이 건재하던 강우지역에 노사학을 확립 한 핵심 인물이었다. 정재규는 19세기 중반 이후 강우지역에서 일었던 학맥의 융합 분위기에도 아랑 곳 않고, 기정진을 집지한 이후부터 일관되게 노사학에 매진하였다. 인근 타 학맥의 학자들과의 친밀한 교유, 치열한 논쟁 등을 통해 그들의 학설을 접하고 수용하면서도, 강우지역에서 일어나는 여타의 강회나 인 근 명승으로의 유람 등을 통해 학문적 결속력을 심화시킨 것 등은 모두 노사학 의 전파와 확산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일생 강우지역에서 스승의 학맥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데 전력을 다한 인물이었다. 이렇듯 일생 전통유학의 도를 扶持하고 이를 통해 난세를 극복하고자 했던 노 백헌의 정신은 사후 그 문인들의 학문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계승되었다. 정 재규의 이러한 삶과 학문 활동이 개화기라는 새로운 시대에 대한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대처방식이었다 할지라도, 이는 당시 종래의 전통유학을 고수해 오던 노백헌이 택한 최선의 선택이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4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종시 최종 수확물의 형질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의 개발은 육종의 연한과 육종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을 제공한다. 콩 개화기 관련 유전자 분자마커 개발은 유전자 프로모터 염기서 열의 다형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아라비돕시스의 개화기 관련 유전자 염기서열을 찾아 medicago truncatula DB에서 blast search 통해 유의성이 인정되는 후보 유전자군의 프로모터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해 프라이머 를 작성, PCR을 통해 확인하는 실험이다. 실험으로 사용할 콩 품종은 국내 품종 20종과 이미 maturity group이 알려진 외국 품종 7종을 이용했다. 아라비돕시스 개화기 관련 유전자를 이용해 발굴한 프로모터 중 6개 유전 자 프로모터에서 다형성이 관찰되었고, NTSYS를 이용해 phylogenetic tree를 작성한 결과 성숙특성이 특이하 게 다른 큰올, 신팔달 또는 Comet (maturity group 0), Blackhawk (maturity group 1), 등과 만리, 대원, Clark (maturity group 4), Hill (maturity group 5) 등은 서로 다른 집단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프로모 터에서 발견되는 품종간 프로모터 염기서열의 차이와 콩의 성숙기간에는 매우 의미있는 관계가 있음을 증명 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