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2

        1142.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르페브르의 공간론을 교육에 적용하고자 한다. 그는 공간을 한 쪽의 관점에서만 조망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 관점에서 공간을 조망했다. 즉 공간은 사회, 문화, 정치, 역사 등 의 복합적인 생산물이며, 또한 이러한 복합적인 공간은 다시 사회, 문화, 정치, 역사 등에 영향 을 준다. 그러므로 그의 공간은 정적인 대상물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 변화되는 유기적 특성 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의 공간은 공간이라는 삶의 장을 다원화된 시각에서 조망하는 효과 가 있다. 그래서 그의 공간론은 현재 도시학, 건축학, 지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공간론은 융합교육이나 구성주의 교육에서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며 삶에 기반한 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그에 의하면 공간은 공간적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간적 실천은 공간을 생산 및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공간을 지각하는 것은 공간의 생산과 그에 따른 삶을 이해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문화 교과와 연계될 수 있다. 공간의 재현은 공간을 발견 및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 공간을 인지하는 것은 공간에 대한 시대별, 지역별, 문화별, 국가별 특징으로 이해하 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리 교과와 연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재현 공간은 개인적으로 체험하고 창 작하는 것을 말한다. 재현 공간은 공간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하고 그에 대한 반성적으로 창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 교과나 미술 교과, 음악 교과와 연계될 수 있다.
        114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엑스선유방촬영술은 다양한 유방질환 중 석회화 병변을 진단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환자의 의 료피폭 저감과 진단에 필요한 최적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성능유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엑스선 유방촬영술에서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양극의 경사각도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조사야 내의 위 치에 따라 엑스선관의 유효초점이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어 공간분해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디지털 엑스선유방촬영장치에서 검출기 위치에 따른 LSF를 측정하여 MTF를 계산함으로써 공간분 해능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와이어 직경에 대한 변화에서 50 ㎛ 직경의 와이어의 경우 가장 높은 공 간주파수 값을 나타냈으며 검출기의 픽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해야 검출기의 공간주파수 에 따른 응답을 바르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야 내의 검출기의 위치에 따라서 공간주파 수는 중심부분의 와이어가 나머지 와이어보다 우수한 MTF 특성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미소하게 나타났 다. 또한 중앙부분에서 반치폭 또는 유효초첨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중앙에서 벗어날수록 반치폭이 증가 하여 공간분해능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14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ng span structures like space-structures have instability phenomenon, jump buckling or bifurcation. And these instability phenomenon responds very sensitivity, depend on the initial condition. In this study, define the 1-degree of freedom space structure and when model has beating load, analysis critical load of model using 3D contour map for load, variable , displacement in the axial. The analysis results, when  is 1.0, is able to see the lowest critical load and the resonance phenomenon.
        114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the past, space structure have been widely used as sports arenas, religious facilities. And the demand and research for retractable structure is increasing recently. Therefore, we classify the retractable mechanism which is divided according to the retractable method of structures and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of retractable structures built around the world.
        114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out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of Korea, migration occurred within a spatial hierarchy, with upward flows from rural areas to urban. The concept of step migration is a typical theory to explain these upward migration flows. Recent migration data and trends, however, indicate that migration-pattern regime shows strongly opposite-direction flows, with many of the major migration flowing downward on this national-spatial hierarchy, away from urban area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most recent structure of migration flows up and dow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We define seven tiers to tabulate origin-destination migration flows from population density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the period 2001-2014, and then analyze the migration patterns between the tiers over time. The results show differentiated patterns of migratio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over time including specific states of migrants’ life cycles.
        1147.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nalyzed diurnal variations in the surface air temperature using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of Daegu in summer, 2013. We compared the time element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diurnal variation of surface air temperature. The warming and cooling rates in rural areas are faster than in urban areas. It is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of surface heat capacity. In addition, local wind circulation also affects the discrepancy of thermal spatiotemporal distribution in Daegu. Namely, the valley and mountain breezes affect diurnal variation of horizont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During daytimes, the air(valley breeze) flows up from urban located at lowlands to higher altitudes of rural areas. The temperature of valley breeze rises gradually as it flows from lowland to upland. Hence the difference of air temperature decreas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t nighttime, the mountains cool more rapidly than do low-lying areas, so the air(mountain breeze) becomes denser and sinks toward the valleys(lowlands). As the result, the air temperature becomes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1148.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의료용 X선을 이용하여 소듐냉각고속로 금속연료봉 내부의 소듐 충전상태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의료용 X선은 디지털방사선(digital radiography, DR)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최상의 공간분해 능을 도출하기 위해 X선관의 초점크기와 디지털영상후처리 방법을 변화시켰다. 이때 텅스텐을 이용한 에 지방법의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사용하여 선예도(0.5 MTF)와 해상도(0.1 MTF) 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소초점에서 영상후처리의 대조도를 강화시킨 조건에서 3.871 lp/mm (0.1 MTF)와 3. 290 lp/mm (0.5 MTF)의 공간분해능을 얻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의료용 X선을 이용하여 소듐냉각고속로 금속연료봉 내부의 소듐 충전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114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우리나라는 행정안전부와 국토해양부의 주도아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각종자전거 정책을 추진하면서 자전 거 이용인구의 증가와 함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자전거도로의 공간적 특수성 및 상황에 따른 설 계기준이 다르고 세부적인 설계기준도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있지 않고 자전거도로의 노면설계에 대한 그래픽 요소나 기준 도 지자체나 구간에 따라 제각각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도로에서의 안전성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공 간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의 한강 이남구간 중 양평지역을 대상지로 하여 기존 적용되고 있는 진행표시 인 화살표와 자전거 픽토그램의 시각정보 요소들의 배치를 우측으로 이동 변경하여 이용자들의 주행 위치를 비교 실험 해 봄으로서 일부 이용자가 진행표시 쪽으로 따라 주행하는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자전거도로에서 의 설계 기준에 반영될 수 있도록 기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에 있다.
        115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적 소비에서 질적 소비로 대중의 소비패턴 변화함에 따라 등장한 기업들의 테마스토아를 비롯한 플래그쉽 스토어의 매장 환경은 기업의 브랜드와 이미지를 체험하는 공간임과 동시에 환상과 여유로움, 그곳에 가야만 하는 특별한 가치를 찾는 공 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매장환경 변화에 따른 공간디자인의 연출을 뉴욕 테마스토어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테마스토어의 테마와 쇼핑의 비일상적 체험을 유도하는 공간연출이 매장을 찾는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과 가치를 부여하 고 구매의욕을 높이는 판매 전략이 되기 때문이다. 사례 대상은 뉴욕의 디즈니스토어를 비롯한 토이저러스, 엠앤엠 월드 등 미국의 거대 기업들의 테마스토어로 정하고 공간 디자인 연출을 비롯한 VMD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테마 설정에 따른 내․외부공간을 비롯하여 어트렉션과 디스플레이 구성 요소에 의한 VP,PP,IP 연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한류’문화산업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이를 구매할 수 있는 한류 테마스토어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 는 가운데 본 연구가 그 가능성 활용의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151.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observed data for BOD, COD and TOC in order to manage non-biodegradable organics in the Geumho River, COD/BOD ratio was analyzed as the occupying predominance proportion.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changes in water quality measurement : increase, equal, decrease) and measurement of BOD and COD were analyzed for trends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05 to 2014 in the Geumho River. The Geumho River is expected to need non-biodegradable organics management because BOD was found to be reduced 61.1% and COD was found to be increased 5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and use, the Geumho-A is a unit watershed area of 921.13 km2, which is the most common area that is occupied by forests. The Geumho-B is a unit watershed area of 436.8 km2, which is the area that is highest occupied by agriculture and grass of 24.84%. The Geumho-C is a unit watershed area of 704.56 km2 accounted for 40.29% of the entire watershed, which is the area that is occupied by urban of 15.12%. Load of non-biodegradable organics, which is not easy biodegradable according to the discharge, appeared to be increased because flow coefficient of COD and TOC at the Geumho-B were estimated larger than 1 value.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s of agricultural land is required because the Geumho-B watershed area occupied by the high proportion of agriculture and field. In this segment it showed to increase the organics that biodegrad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ratio of BOD and TOC was decreased rapidly from GR7 to GR8. Thus, countermeasures will be required for this.
        1152.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지역 내 6대의 우량계를 설치하여 조밀한 강우 관측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소규모 지역에 대한 강우의 공간적 변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량계는 60 m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총 54일간의 강우관측을 수행하였다. 이물질로 인하여 오작동을 일으킨 1대 우량계를 제외한 5대의 우량계를 이용하여 50일간 강수량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우량계에 관측된 50일간 누적강우량 비교결과 최대 약 38.5 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관성 분석결 과 일강우량은 소규모 지역에서 매우 일관성 있는 자료를 보여주고 있으나 1시간 이하 강우량 시계열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 변화도 분석결과, 변동계수가 시강우량의 경우 최대 약 224%, 일강우량의 경우 최대 약 91%로 나타났다. 면적강우량 불확실성 분석결과, 4대의 우량계만을 이용할 경우 대상지역에 대하여 95% 이상의 정확도를 확보하 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신뢰성 있는 홍수예보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점 중심의 강우 관측이 아닌 면적 강우 관측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153.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tinuous-path motion control such as resolved motion rate control requires online solving of the inverse differential kinematics for a robot. However, the solution space of the inverse differential kinematics related to Jacobian J is not well-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solution space of inverse differential kinematics is analyzed through categorization of mapping conditions between joint velocities and end-effector velocity of a robot. If end-effector velocity is within the column space of J, the solution or the minimum norm solution is obtained. If it is not within the column space of J, an approximate solution by least-squares is obtained. Moreover, this paper introduces an improved mapping diagram showing orthogonality and mapping clearly between subspaces, and concrete examples numerically showing the concept of several subspaces. Finally, a solver and graphics user interface (GUI) for inverse differential kinematics are developed using MATLAB, and the solution of inverse differential kinematics using the GUI is demonstrated for a vertically articulated robot.
        1154.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은 6대 온실가스 중 하나로서 이산화탄소의 21배의 온실효과를 갖는다. 매립층에서 발생한 매립가스는 복토층을 통과할 때 Methanotrophs 박테리아에 의해 산화된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10%의 산화율을 기본값으로 제시하고 있다. Chanton et al. (2009)는 40가지 이상의 측정 결과들을 종합하여 IPCC 가이드라인이 산화율을 과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메탄의 산화는 기후, 복토재 등 현장 특이적 영향을 많이 받아 국가고유계수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배제공과 지표면에서 매립가스 성상을 비교하여 산화율을 산정하였다. 매립가스 분석은 다섯 곳의 매립지에서 수행되었다. 비분산적외선(Non-dispersive Infrared, NDIR) 검출기를 이용해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지표면 매립가스 발산은 플럭스 챔버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산화율 산정 시 산화된 메탄은 모두 이산화탄소로 변화되며,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메탄 산화에 따른 것으로 가정하였다. OX의 산정은 측정값의 평균, 중간값, 공간분석 적용 결과 세 가지를 이용해 산정하였다. 평균을 이용해 산화율을 산정했을 때 –67 ~ 93%로 극대값에 의해 굉장히 큰 오류가 나타났다. 중간값을 사용한 경우 산화율은 87 ~ 99%로 나타나 산화율이 과대 산정되었다. 공간보간법을 적용했을 때 산화율은 42 ~ 88%로 나타났다. 공간보간법을 사용했을 때 한 곳을 제외한 세 곳의 매립지의 산화율은 42 ~ 48%의 산화율을 보여 Chanton et al. (2009)가 발표한 36%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여 공간보간법을 적용하여 산화율을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산화율 산정 시 공간보간법을 적용해야하며, IPCC 가이드라인 기본값이 산화율을 과소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5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hermal comfort index according to GVZ of school green space. For the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weather elements by measuring and calculating UTCI, PMV, and WBGT according to GVZ. GVZ was in the order of Type 3 (5.68 m3/m2) > Type 2 (4.71 m3/m2) > Type 1 (3.37 m3/m2). The average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surface temperature, globe temperature among weather characteristics was in the order of Type 1> Type 2 > Type 3. The UTCI in the school green space was in the order of Type 1 (33.95°C) > Type 2 (33.68°C) > Type 3 (32.73°C). At Type 3 that the GVZ is higher than other Types, it is belongs to range of 26~33°C which gets normal heat stress, and other Types belong to range of 33~38°C which gets strong heat stress. The PMV was in the order of Type 1 > Type 2 > Type 3, and the estimated rate of unsatisfaction was appeared as 100%, so it is uncomfortable even in the school green space that it requires measure on heat wave. The WBGT was in the order of Type 1 > Type 2 > Type 3.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heat comfort index shows that, the higher the green ratio and GVZ are, the UTCI has negative relationship, and PMV and WBGT were analyzed as have no relationship according to green characteristics, but this result was considered as measured at green space when the temperature was at its highest so the uncomfortable feeling was also highes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green characteristics and the weather elements shows that GVZ and insolation, temperature has negative relationship,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higher the GVZ is, the solar radiation and the temperature are decreased.
        1156.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recent remodeling construction for old apartment, it is general to extend the parking space for the increased cars for residents. This paper reviews the extension methods of parking space and presents the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for the construction. In this paper, three extension cases of parking space in the remodeling projects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demand for the extension needs to be analyzed for the various cases and the technologies for the best-fitted construction should be suggested based on the demand.
        115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nalytic solution of space truss using homotopy perturbation. A homotopy perturbation was derived by formulating a governing equation for a space truss, and a semi analytical solution was obtained by homotopy perturbation. In conclusion, the analytical solution of the simple nonlinear model using the homotopy perturbation was compared with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115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rapid change of rural communities and increasing desire for social welfare,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is increasing. However, inefficient location of rural public space and facility has caused problems such as economic inefficiency, inconvenient accessibility, environmental pollution, unsustainable energy use, and disturbance of visual landscap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suitability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in three types of rural village: rural downtown village, rural clustered village, and individual village. As a way to measure the suitability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we assessed indicators of suitability in terms of accessibility, usability, biophysical environm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we applied indicators such as distance from residential areas, public transit, market and public facilities. For the evaluation of biophysical environment, we applied indicators such as slope, elevation, aspect, and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We analyzed digital maps representing the indicators listed above using GIS. We also conducted a survey and face-to-face interviews to evaluate us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management which are not possible to understand through map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at suitability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in downtown villages is higher than clustered and individual villages. In particular, suitability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ncome generation facilities in downtown village are higher than those in clustered and individual villages. The suitability of tourism facilities is generally lower than other types of public facility across the three types of villages. Tourism facilities in clustered village have been identified especially unsuitable compared to other types of villages. We expect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s helpful to improve allocation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115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a view to creating beautiful farm villages, this study aims to exploit space syntax and thereby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refurbishing common farming facilities in farm villages by expanding a remodeling plan that has so far been focused on farm houses to cover different villages as well as in spatial scope.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extracted a system of categories for common ownership facilities in farm villages and applicable elements needed for collaboration in the space of joint production by perform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distribution of common farming facilities. Based on such categorization of applicable elements, the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of the four types of farm villages such as suburban area (Hwaseong), inland farming-centered area (Jeungpyeong), coastal & plain area (Goheung), and mid-mountain area (Gangneung), through group discussions by participating researchers and field pilot surveys. Also, space analysis has come up with measurements based on the five criteria of integration, local integration, control, connectivity, and spatial depth. And a plan for type-specific remodelling of common farming facilities has been drawn up through standardization based on the values in integration for different villages and spatial depth for common farming facil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consists in identifying how the location of common farming facilities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illages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d then drawing up guidelines for planning their placement.
        1160.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독교박물관은 기독교적인 의미와 가치를 표현하는 동시에 현대사회의 종교문화를 주도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전시공간이다. 또한 한국기독교의 역사와 문화 그 속에 존재하는 기독교정신인 공동체, 신앙 활동 등 한국의 기독교문화 전반의 모든 요소들을 수집. 보존하여 연구함으로써 이를 전시하는 중요한 문화공간이기도 하다. 기독교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이 모두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인들은 아니다. 이러한 관람객들에게 감동 과 즐거움, 그리고 기독교 전문지식을 함께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시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시형태 또 한 눈으로 보는 전시에만 만족하지 않고,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는 전시연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 특성에 관해 연구하고 분석하여, 기독교박물관의 효율적인 전시 공간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을 파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기독 교박물관의 전시연출계획과 그에 따른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기독교박물관 고유의 기능과 특징을 살릴 수 있는 전시연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의 기독교사 관련 문화재 및 자료를 수집·전시하는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범위를 선정하여 전시공간을 대상으로 전시연출 특성에 관해 연구를 진 행하려고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독교박물관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한 기독교박물관의 개념 과 특성을 정리하고, 한국의 기독교박물관을 대표할 수 있는 여섯 곳의 기독교박물관 전시공간을 방문하여 전 시연출 사례연구를 통해 기독교박물관의 특성을 살린 효과적인 전시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