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 본 연구는 교육적 모델을 중심으로 한 학교 작업치료의 목적과 학교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론 : 학교에서의 작업치료는 장애 학생들이 특수교육을 통해 적합한 성과를 얻기 위해 지원하는 관련서비스이다.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도록 지원해주는 것이고 교실과 학교 상황 내에서 중재가 이뤄질 때 가장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학교 작업치료사는 개별화교육평가프로그램의 팀으로 참여해야 하고 목적 달성을 위해 교사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 작업치료사는 교육적 모델을 충분히 이해한 상태에서 장애 학생을 위한 평가, 중재, 권고 등을 하여야 하고 관련 법에 대해서도 인지하여야 한다.
◉ 결론 : 학교 작업치료의 발전을 위해 작업치료사들이 학교상황에서의 치료 목적과 역할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교 내에 작업치료사들이 근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지원서비스에 대한 중간점검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on the pedagogical conven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especially that of Western Architecture. Recent institutional change in architectural school in Korea has caused overall restructuring of academic program. In spite of extension in the field of history there was no progress of method and way of thinking. There is no change in the point of view to see the western architecture and its history as a unique and specialized phenomenon in the civilization of mankind. Because of no recognition about for what, for whom, and how to, and because of orientalism, the cultural position of western architectural history and its narrative was not asked. With the help of post-colonialism, de-constructivism and critical historiography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fundamental premise of western architectural history as a myth and show its prejudice as not being justifiable. The background of the discourse there has been a representation effect with regard to knowledge as a power. we need to escape from this kind of cognitional frame With the analysis of the its premise and narrative we can find it is a historical construct that was made in the age of imperialism. In fact it has a lot of false information and problematic point of view. The Identity and originality of western architecture and its history has no logical reason or foundation if we think that it depends on the difference and comparison with other civilization. For example the explanation of its historical origin western architecture has big difference with Islamic architecture in spite of the resemblance each other. This paper try to show several reasons that discourse of western architectural history can not be survived any longer. So we need to reconstruct new pedagogy with deconstruction for the students of non western, or Korean students. Because it has important effect to see and think about architecture and its history.
◉ 목적 : 본 사례에서는 학교작업치료지원이 정신지체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정신지체를 진단 받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도구는 KDTVP-2(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Sensory Profile(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사의 학기말 평가 내용을 인용하였다. 감각통합이론을 적용하여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기간은 1학기 2010년 03월 23일∼07월 13일까지 주 2회 40분간 총17주 치료를 실하였고, 2학기 2010년 09월 31일∼12월 17일까지 주 2회 40분간 총17주 치료를 실하였다.
◉ 결과 : K-DTVP-2(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평가결과 눈-손협응, 공간위치, 따라그리기, 도형-배경, 공간관계, 시각통합, 시각-운동속도 영역에서 향상된 기능의 점수가 나타났다. Sensory Profile(감각프로파일) 평가결과 전영역에서 유지 및 기능향상이 나타났다. 학기말평가결과 자신의 느낌이나 경험, 욕구 등을 친구나 교사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글자를 필순에 맞춰 정확하게 쓸 수 있다.
◉ 결론 : 학교작업치료지원이 정신지체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등교육정보화는 국가 교육의 혁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개발도상국 역시 고등교육의 정보화를 꾀하고 있다. 그 중 태국도한국과의 국제협력을 통해 고등교육정보화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태국고등교육정보화에 요구와 현황을 파악하여 컨설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본 연구는 태국 고등교육정보화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분석하여 태국 고등교육정보화의 현황과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PEC e-러닝 연수의 태국 연수생들이 작성한 PBL형식의 개인 보고서 및 공동연구 보고서를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내용분석은 교육환경의 정보화, 교육정보화 컨텐츠, 교수-학습의 정보화, 행정적 지원을 범주로 하였다. 문제점과 해결책의 13⨯13 형태의 분석틀을 통해 부호화를 실시하였다. 부호화한 자료를 다중응답교차분석을 통해 통계처리한 후 얻은 자료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 사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대하고 있지만, 기존의 개발도상국에 실시된 교육정보화사업은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기존 체제이론을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Systemic Change Model의 개발 방향을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체제이론을 이끌어 온 대표적인 학자인Banathy와 Reigeluth 연구를 바탕으로 체제적 설계모형의 공통적인 관점과 원리를살펴보고,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의 고려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체제이론에서 개선 및 추가해야 할사항을 도출하고 Systemic Change Model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도출된 Systemic Change Model의 10가지 기본 방향은 기본적으로 해당국의 교육시스템을 총체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체제적인 관점으로 접근했다는 점, 개발도상국 교육정보화사업 시행의 고려 사항을 정리하고 향후 개발될 모형의 가이드라인을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중학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1219명의 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지구계와 관련된 23개의 개념(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과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결과를 살펴보면 약 67%의 학생들이 지구계에 대한 용어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지구계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대기권과 수권을 가장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빙권에 대해서는 지구계의 구성요소로서 낮은 이해 수준을 보였다. 23개 지구계 관련개념(내용)에서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ESU#4, 5, 6에 관련된 주요 개념에서 남학생들이 이해 수준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년별로는 23개 중에 10개의 개념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과정의 실행과 학교 현장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해 지구온난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 정도를 파악하였다. 현직 교사와 전문가들에게 타당성을 검증 받은 지구온난화 교육프로그램을 학생 27명에게 투입하였으며 시스템 사고 수준이 낮은 학생 3명과 수준이 높은 학생 3명, 총 6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활동 전 후로 단어 간 관계분석, 인과지도 그리기, 그림 그리기를 적용하여 시스템 사고 수준 변화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스템 사고 수준이 낮은 그룹은 활동 후 지구온난화에 대한 시스템 사고 정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으나 오개념이 유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시스템 사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개념들은 활동 후 더 뚜렷해지고 체계적인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지구시스템과 연결된 지식이나 지구 환경 개념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시스템 사고를 함양시키고 과학교육과정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료들이 잘 보급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basic educational data on the proper eating habits of children who use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by polling the fourth,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Male children had more meals and ate them faster than those of female children, and they also tended to watch more TV and read books. Moreover, children of families headed by fathers ate until they were full, whereas children of households headed by mothers ate less. More female than male children skipped breakfast, and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had their meals alone was high among children reared by their grandfathers. Most of the children ate only what they liked. Moreover, male children ate only particular fruits and vegetables, whereas female children ate only beans and miscellaneous cereals. Most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they had eating problems, such as eating only what they liked and eating meals on irregular schedules. Such eating habits were affected mainly by family members such as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emale children scored higher than male children in terms of nutrition and hygiene knowledge. Approximately 40~50.3% of all subjects became interested in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Most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is necessary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They also recognized their own eating problems and wanted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to be taught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Accordingly, regula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eal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considered a children`s particular home background to improve eating habits in the children.
There could be a number of reasons to revise curriculum in a nation but the common element that
the standards consider may be ‘students’. In other words, curriculums are revised to make it good for
all the students. Teachers are the ones who make direct i
Nowadays, our industries and occupation are increased under the economy development of government. So, this paper introduce to compare with coefficient's of correlation on the time series of the education and the qualification in our country. For this reason, the decision making to qualifications' foresight which will be change to the education category-prospective on the time series. The qualification has claasified 5 degrees-master craftsman, professional engineer, engineer, technician(or industrial engineer), craftsman - and 516 qualification items. Education has classified to 4 degrees(7 degrees) - elementary, middle, high, high scholastic level school(college, university, graduation). This paper has matched to educational classification and qualification classification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We defined the same level betwee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after analysed correlation under the time series, so the craftsman equals high school graduation people, technician equals college graduation people, engineer quals university graduation people, now we could not analyse master and professional levels. This paper will suggest to the qualification's future policy direction and improve the education policy dir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specialty of pre-service teachers by observing their ways of i mproving lessons and forming experienti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school practicum. The followi ng research subjects were raised to inquire into the me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접근의 가능성을 찾기 위한 본 연구는 심층심리학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인간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성의 변화는 정신분석학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정신의학적 관점에서의 아들러의 교육에 관한 견해와 정신분석의 변천에 따른 마르쿠제의 견해는 발도르프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병리모델에서 성장모델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정신건강의 방향이 정신질환으로부터 벗어나 삶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인문학으로 전환되었다. 현대사회에서 정신분석학은 문학이나 예술 등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심층심리학의 변화 과정에 의해 창안된 발도르프 교육의 현대적 의미의 가능성과 교육의 효과성을 통해 정신건강교육학으로 재탄생 할 수 있는 교육적 배경은 충분하다고 본다. 특히 인간 본성에서 핵심은 의지인데 이 의지를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근원으로 보며, 사후에도 정신적 영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진정한 존재는 바로 인간을 통해서 새로운 힘이 끊임없이 형성된다는 점을 이해하고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교육이 올바른 정신건강교육의 발판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발달과정에서 인간의 내부에 성향으로만 존재하는 정신적인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것이 결국 인간은 도덕적으로 인격화한다고 가정할 수 있는 이유이고 인간 본성의 형성이 영적, 정신적 관점에서 그리고 신체적인 것의 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온전한 조망을 얻은 후에야 외적인 신체성의 파악과 이해로 건너갈 수 있으며, 정신 ․신체 ․영혼은 인식 가능한 존재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성격발달이 균등하게 발전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고 Arnold Mindell의 과정지향 개념을 통해 인간의 문제와 번뇌,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정신질환 등을 지금 자각할 때 자기통찰적이고 자기치유적이며 동시에 예술교육적인 의미의 발도르프 교육은 그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대인의 정신건강 위기 대응으로서의 발도르프 교육은 영적 ․정신적 세계에 대한 인간의 신체적 본질의 관계이며, 대인관계 및 사회성을 통해 온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정신건강교육은 의지발달에 관한 교육이며 문화관습을 통한 새로운 예술 교육이라 할 수 있다. “교육학은 예술이다”라고 하듯이 의지를 통해 지성을 깨우는 교육은 예술적인 것에서 지성적인 것으로 이해함으로써만 가능하다.
미래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이 요구되는 시대다. 미래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다. 미래는 소통과 상생이 배어있는 시대다. 이를 통틀어서 미래는 배움의 시대다. 다가오는 미래는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교는 스스로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서 다시금 반추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실행해 온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과연 미래 사회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원론적인 질문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 필요한 시간이다. 미래 학교교육의 성패는 인간 본성으로서의 배움을 여하히 드러내고 복원해내고 증진시켜 나가느냐에 달려있다. 학생들 각자가 지닌 잠재력과 배움력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 미래의 학교교육에서 성취해 나가야 할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다양성을 배양하고, 나아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내용을 접하고 익히고 만들어 낼 수 있는 배움 정신을 회복하는 일이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이며, 이를 바탕으로 열린교육, 대안교육, 배움의 교육이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복지사 자격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주장에서 멈추지 않고, 관련 법령의 개정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수요를 조절하고, 나아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계기로 삼고자 하고 있다.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의 이수해야 할 의무교과목 수를 늘리고,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강화를 통해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하며, 사회복지사 1급· 2급 자격증을 국가시험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단일사회복지사자격제도’ 등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의 움직임은 찬성하고, 적극적으로 동참할 일이지만, 앞으로 닥쳐올 대학입시자원의 감소, 사회복지사 2급 자격제도의 시험제 전환, 보육교사 2급자격증관련 이수 의무 교과목 수의 증가, 정부의 대학구조조정 교육정책 등은 2년제 전문대학에게는 큰 위기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열고 전진할 수 있는 기회임에도 틀림없다. 따라서 2년제 전문대학은 이 같은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이며, 자발적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전문대학의 장점인 단기성, 현장(업무)중심성, 전문성, 평생교육친화성 등을 살려, 다양한 사회복지분야의 복지업무특성을 파악하여 분야별, 업무별, 대상별로 전문화하고, 사회복지현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며, 현장중심의 맞춤교육의 실현에 중심을 두어 교육과정을 개선해 나간다면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분명히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현재 각 방송사에 근무하는 방송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방송작가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방송작가의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방송작가 및 방송사 PD 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작가들의 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독려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총 474명의 방송작가들을 대상으 로 웹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내용은 방송작가 입문 전 그리고 입문 후 받은 교육 프로그램, 방송작가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프로 그램, 방송작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방송작가 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한 방 안 등이었다. 조사결과, 설문에 응답한 방송작가들 중 약 70%가 작가 입문 전에 ‘프로그램 기 획 및 구성법’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프로그램 분 석 및 비평’, ‘표준어 및 맞춤법 등 문장 교육’, ‘방송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교 육 등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송작가들이 필요로 하는 재교육 프로그 램으로는 ‘표준어, 맞춤법 등 문장교육’, ‘기획, 구성법, 드라마 작법’, ‘방송의 윤리 적 문제에 대한 소양교육’ 등이 포함되었다. 방송작가와 PD들과의 심층인터뷰 결 과 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장려하기 위해 방송작가 협회 가입 자격요건에 교육이수 포함, 작가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한편, 방송작가와 PD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작가 재교육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현실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a bid to settle an appropriat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implications about professional training of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cases of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