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81.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veral aspects of food-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even hundr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were randomly selecte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t was consisted of weight concern, nutritional knowledge, meal frequency, preference of snacks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eating behavi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es: 1. The 66.5% of males and 87.9% of females were concerned about weight control. While 42% of male respondents wanted weight gain and 43% weight loss, most of female respondents wanted to lose weight. 2. The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of mal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 of females (p<0.01). 3. The meal frequency was 3.4 times a day for male students and 3.6 for female students. But males showed higher frequency rates in three regular meals and females showed higher rates in snacking.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considered that supper was the most important meal of the day and skipped breakfast frequently. 4. Fruits, beverage and milk were favorite snacking items for college student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election of food items by snacking time. Carbonated drinks and coffee were frequently selected by morning male and female snackers. Noodles and cookies were preferred by males and cookies were preferred by females as afternoon snack. Fruits were most often preferred by both males and females in the evening. 5. Physical tiredness and/or psychological factors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amount of food intake. After increase of food intake, male students felt more comfortable than female students who were afraid of their weight gain.
        4,000원
        83.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etary pattern and health status related to food habit and degree of fatigue of evening college students. A sample of 476 evening college students in Chonbuk area were surveyed by questionaire examining their food habit, nutrient intakes, degree of fatigue and cornell Medical Index(CMI). In this study,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respectively, the first group is not having jobs and the second is having job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Evaluation status of food habit score indicated that the subjects were included in Fair and Poor group generally. Food habit score of fe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core of male. For female students, food habit score of job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core of non-job group(p〈0.05). 2. Average intakes of calorie and protein were 1869.1 kcal and 68.3 g in male and 1612.4 kcal and 58.3 g in female. Other nutrients, such as vitamin B1(1.1 mg), vitamin B2(1.2 mg) and ascorbic acid(41.0 mg) in male, iron(13.5 mg), vitamin B2(1.1 mg) and ascorbic acid(46.5 mg) in female were lower than the korean RDA. 3. The means of degree of physical, mental, neurosensory and CMI scores were 3.1, 1.9, 1.5 and 4.7 in male and 4.0, 2.4, 2.4 and 7.1 in female, respectively. For female students, though significancy was found between job group and non-job group in physical, neurosensory fatigue and CMI score(p〈0.05, 0.01),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score for male students. 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ree types of fatigue and CMI, whereas score of food habit was negative correlation for degree of physical, mental fatigue and CMI. The intakes of protein and vitamin B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ental, neurosensory fatigue and CMI.
        4,000원
        84.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s status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Pusan.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ries and the subjects were 244 men and 229 women students of 7 universities in P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54.1% of men and 43.5% of women were having breakfast regularly, while 43.9% of men and 30.1% of women were having dinner regularly. 2. Mean score of the eating behavior was 3.29 in men and 3.21 in women, and of the concern on food and nutrition was 8.46 in men and 9.98 in women. 3. Eating behavior had significantly high relationship with concern on food and nutrition but had a little relation with valuation on food and nutrition. 4. Variation in valuation and concern on food and nutrition or in eating behavior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smoking and drinking. A considerable cor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drinking was found.
        4,300원
        85.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들의 노력의 결과,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가 최근 16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한국에 유학 온 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의 어려움과 그 과정 속에서의 스스로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산 소재 A 대학교의 아시아 유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진행되었다. 모든 전사된 내러티 브는 개인의 결정적인 경험(critical experiences)과 심리적 변화를 경험한 결정적 순간(critical moments)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 진학 동기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의 동경, 가족 및 주변인의 추천, 스스로 발전을 위한 준비 등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한국 문화 적응 초기 경험하는 어려움은, 한국어로 인한 소통의 문제, 정서적 외로움, 새로운 환 경에의 적응 문제 등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적응기에 접어들면서 친구관계, 학업 스트레스는 감소되는 반면, 미래와 취업에 대한 고민의 증가, 그에 대한 학교와 한국에의 도움을 기대 등의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진정한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실현하기 위한 한국 정부와 대학 관계자들의 방안 마련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구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습득을 돕고, 한국 학생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만들며, 취업 기회를 늘려 진정한 다문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한국인들의 마음가짐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8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온 외국인유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의 공통점과 특징을 도출해내어 유형화 하는데 있다.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은 유학 동기, 문화 감수성, 간문화적 역량, 적응의 관점에서 도출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Q표본은 외국인유학생들 심층면담, 기사, 관련 문헌을 통해서 최종 33개의 진술문을 완성하였다. P샘플은 24명의 외국인유학생들로 구성되었고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들의 인식유형은 6가지로 나타났다. 유형1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나 적극적인 한국 문화에 적응하면서 미래에 한국에 정착하고 싶어하는 ‘적극적 적응형’, 유형2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으로 유학 와서 적극적으로 친구를 사귀는 일을 최우선으로 두는 ‘문화 적응형’ 이다. 유형3은 공부에 대한 욕구는 많으나 한국어 능력 부족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힘들어하는 ‘학습 부적응 인식형’이었으며, 유형4는 한국에서 취업하고 정착하고자 하나 인간관계에는 미숙한 ‘한국정착 목적형’으로 조사되었다. 유형5는 학교생활, 인간관계, 학업 모두에 적응을 힘들어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총체적 불만족형’이며, 유형6은 인간관계가 대학 생활의 목적인데 한국의 대학 문화에는 적응을 힘들어하는 친밀관계를 추구하는 ‘대학문화 부적응형‘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새롭게 제기된 이론적 가설은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8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라돈은 자연방사성원소로 호흡을 통해 인체에 피폭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8월 28일까지 3개월 동안 A대학의 8개 건축물에 대해 실내 라돈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연간 유효선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A대학의 건축물 Hall G 와 Hall F의 라돈농도는 각각 81 Bq/㎥, 14 Bq/㎥ 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 건축물의 평균 실내 라돈농도는 41.63 Bq/㎥로 나타났다. 대학 내 학습공간과 생활공간에 대한 연간 유효선량 환산치의 평균은 0.40 mSv/y이며 최대 연간 유효선량은 0.78 mSv/y, 최소 연간 유효선량은 0.13 mSv/y로 나타났다. 학교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머무르는 공간이므로 건축물에 대한 적절한 환기와 관리를 통해 실내라돈 농도를 낮추는 것이 라돈에 대한 자연방사선 피폭을 낮추는 방법이다.
        8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화 추세에 발맞춰 국내에도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현황이며 특히 이들 유학생들이 실생활의 대다 수 시간을 보내는 대학생활원에서의 생활 및 적응에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 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제 대학생활원에서의 생활방식을 유학생들의 직접적인 목소리를 통해 들어보고, 이들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원의 시스템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 게 적응하며, 어떤 부분에서 한계점을 느끼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 은 경제적인 효율성과 지리적 위치와 생활의 편의를 대학생활원의 장점으로 손꼽았고 엄격한 규율 과 의사소통의 문제, 대학생활원생들을 위한 서비스의 미흡 문제, 급식관련 문제, 그리고 문화적 차 이를 그 한계점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문화권의 학 생들이 거주하는 생활원으로서의 대학생활원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먼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지 적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대학생활원의 경비원 이외에도 외국인 유학생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 학생활원 안내 직원의 상주가 시급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현존하는 대학생활원내의 외국인 조 교제도를 보다 실용적인 방향으로 활용해야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개선점들을 통해 현지 대학생활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삶의 질 상승은 물론, 향후 유학생의 급속한 증가 와 함께 더 크게 야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8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성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Chun, Moos, and Cronkite(2006)가 제시한 스트레스-대처 맥락적 모형을 근거로 문화성향이 문화적응스트레 스,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검증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소재 일 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유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2013 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는 개인주의성 향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집단주의성향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았으나 자 기효능감을 완전매개로 한 간접효과와 자기효능감이 적극적대처를 불완전매개로 한 간접효과 및 적 극적대처를 완전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고,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중재방안이 될 수 있음도 확인되었다.
        9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교수들의 교육자로서의 삶과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함으로써 외국인 교수가 한국 대학에서 접하는 현실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명의 외국인 교수를 선정,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목소리가 반영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교수들은 자신들의 한국 대학 생활 경험과 관련하여 크게 세 가지의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무엇보다도 자신이 속한 대학의 진정한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를 원하고 있었지만 현실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배제와 동료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속한 대학의 행정 시스템에 있어서 원칙과 리더십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이들의 부재가 한국 대학 시스템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배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셋째, 자신들이 대학에서 목격하는 남녀차별의 관습 같은 차별적인 요소들에 대해서도 연구 참여자들은 강한 비판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런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는 자각과 함께, 자신들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은 영어를 가르치는 것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그런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교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외국인 교수의 관점에서 그들의 목소리로 그들의 대학 생활 경험을 이해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연구의 방향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9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부족에 따른 대학원 생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8명의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함에 따라 대학원 생활 경험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그들의 목소리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이야기의 배경 안에서 현장 텍스트를 분석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의 특징을 살려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것은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의 어려움, 한국어와 영어 혼용은 또 하나의 걸림돌, 한국어능력시험은 시험을 위한 시험, 언어연수 과정은 한국어 능력을 키우기 위한 징검다리와 같이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앞으로 한국에서 유학하게 될 외국인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대학원생 관리와 지원에도 유용할 것이며 이후의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9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승선 생활에 미숙련된 일반승객이 해상재난 발생 시 여객선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피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선박 항해 환경에 따른 승선 중 보행속도를 실측실험을 통해 취득하고 이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81명의 남녀 대학신입생이 참가한 승선 실험에서, 평면복도 직선부에서의 평균보행속도는 항해시가 정박시보다 27.2%, 평면복도 코너부에서는 23.2%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항해중 선박 동요에 따른 속도 저하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항해상태에서 실측된 상향계단과 하향계단에서의 평균보행속도는 각각 0.71m/s, 0.75m/s으로 측정되었다. 군집충돌 이동실험에서는 인근 보행자와의 보행 간섭으로 인해 후미로 갈수록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선두의 이동속도가 군집 전체의 이동속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93.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교의 원예 비전공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양과목인 생활원예 수강자를 대상으로 화훼식물에 대한 인지도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변에서 흔히 화훼식물로 이용하고 있는 초본화훼류 52가지와 관엽식물 20가지, 화목류 18가지, 야생화 10가지를 포함한 총 100가지 식물을 LCD 프로젝터로 보여주고 각 식물에 대한 일반 정보를 구두로 전달한 뒤 식물명을 응답자가 기록하였다. 조사된 초본화훼류 52종 중에서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13.2% 만을 식별하여 식물명을 기록하였다. 대부분이 도입식물인 관엽식물의 경우에는 실내 생활 속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2.8%라는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주로 자생하는 식물류인 화목류와 야생화의 경우 화목류의 인지도는 38.6%로 매우 높았으나, 야생화는 11.5%로 낮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성별에 있어서 여성 응답자의 인지도는 18.0%로 남성 응답자의 13.2%보다 높았다. 비도시지역 출신의 응답자는 도시나 대도시 출신 응답자보다 인지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응답자의 화훼식물에 대한 전체 평균 인지도는 15.5%로 매우 낮아, 교양과목으로서 생활원예는 무엇보다도 화훼식물명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94.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one of the important study for improving education quality to investigate School climate, Campus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of success / failure attribution in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internal-external attribution of Maritime college stud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llege climate and attribution of success and failure about college life and cadet's academic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490 cadets of freshman, sophomore and junior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The data was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d simple factorial ANOV A, 2, and t-test by using SPSSWIN Ver. 7.5 programm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Social relationship orient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s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climate,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collegian was lower. 2. The most collegian recognized on the attribution of failure about the college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collegian. But most collegian recognized on the attribution of sucess about collegian's relationship. 3. The perception of college climate and attribution of success / failure was not influenced on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adaptability.
        96.
        199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ature and progressional change in consciousness of KMU students about the shipboard-life which appeared though regimental dormitory life.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 in the perceptual differences not only on sea faring as a job but also on preliminary shipboard-life among each grades. The data analyzing perceptual differences on seafaring and preliminary shipboard -life of KMU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450 students selected from 3 different kinds of populations -(1) senior students, (2) sophomore students, (3) freshmen-by the use of questionnaire method. The pearson's test for goodness offit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