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1

        521.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nese perceptions of quality attributes on customer’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coffee shops in Beijing, China.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00 customers who had visited a coffee shop at least once during the last yea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23.0 and AMOS v21.0. In this study, the majority of customers visited a coffee shop once or twice a week with friends. Respondents preferred tall-sized warm coffee in the store. The coffee shop quality attributes of were derived from five exploratory factors identified upon analysis of 30 observational variables. It was important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quality attributes of coffee shops in this area because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nalysis showed that “Doing great, keep it well” part was a desirable area because it had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Finally, path analysis reveal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employee attitude and affected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4,900원
        52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물 증여행위란 증여자와 수령자의 특수한 행동양태로, 선물 증여상황에서 발생되는 양자 간의 정서와 만족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선물 증여행위는 최근 모바일의 보급과 성장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도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기프티콘 (Gifticon)으로 불리 우는 모바일 선물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증여자 측면의 이용행태와 동기에만 집중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더 나아가 (1) 기프티콘 증여상황에서의 역할에 따른 정서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2) 역할과 상호간 친밀도가 선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령자의 경우에는 증여자보다 흥분, 짜릿함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더욱 높게 느끼고, 친밀도에 상관없이 높은 선물 만족도를 느꼈으나 증여자의 경우, 친밀도에 따라서 선물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점점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선물 증여행위에 대한 심리적 고찰과 동시에 역할 및 친밀도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새로운 선물 시장에 실무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4,000원
        52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서직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와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일-가정 갈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요구와 결과변인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에 대한 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현직 비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비서직 여성노동자 13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여성노동자가 지각하는 높은 직무요구는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고,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은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생활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 효과는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5,800원
        52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levels in maternity and nursing brassier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02 women from their 20s to 40s who had breastfeeding experienc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participant demographics, purchase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s. The majority(98.0%) of the participants had had experience using maternity/nursing brassieres. More than 90% of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need for maternity/nursing brassieres distinct from regular ones. Shopping online was the most common means of purchasing them. The most and second-most owned fastener types were the detachable shoulder belt type and inside-cup type, respectively. The most selected reason for purchasing or wearing a maternity/nursing brassiere was the convenience of donning and doffing the brassiere during breastfeeding. Participants had lower satisfaction levels with how well maternity/nursing brassieres support and center the breasts, and with the variety of designs available on the market. Respondents indicated that fasteners for breastfeeding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comfort and convenience for breastfeeding. Wearing comfort was repor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urchasing selection, both during the pregnancy and breastfeeding periods. No-wire, back closure, full-cup, U-shape wing, and skin color were the most preferred design styles.
        4,600원
        52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levels in maternity and nursing brassier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02 women from their 20s to 40s who had breastfeeding experienc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participant demographics, purchase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s. The majority(98.0%) of the participants had had experience using maternity/nursing brassieres. More than 90% of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need for maternity/nursing brassieres distinct from regular ones. Shopping online was the most common means of purchasing them. The most and second-most owned fastener types were the detachable shoulder belt type and inside-cup type, respectively. The most selected reason for purchasing or wearing a maternity/nursing brassiere was the convenience of donning and doffing the brassiere during breastfeeding. Participants had lower satisfaction levels with how well maternity/nursing brassieres support and center the breasts, and with the variety of designs available on the market. Respondents indicated that fasteners for breastfeeding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comfort and convenience for breastfeeding. Wearing comfort was repor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urchasing selection, both during the pregnancy and breastfeeding periods. No-wire, back closure, full-cup, U-shape wing, and skin color were the most preferred design styles.
        4,600원
        52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We surveyed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concerns about food ingredients and dietary life, perceptions of free school food service and satisfaction the quality and management of the school food service. Furthermore, this survey with the previous. Compared to year, frequency of education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and concerns about food ingredients and dietary life. Perception on free school food service increased 1.2%,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 food servic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2015. ore individuals educated the foods’ countyof- origin and a higher concern the food materials and dietary life, subsequently higher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and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cern and concentration on software of school food service such as education and guide are important.
        4,000원
        52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ourism experience factor is an essential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tourism industry and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future tourism behavior. Tourism experience elements can be composed of areas of education, entertainment, aesthetics and deviance (Pine and Gilmore, 1998).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ourist experience factors on tourist loyalty and it is meaningful to see if the experiential economic theory of Pine and Gilmore (1999) is applicab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ourists using experiential tourism fac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creational experient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mory. Memor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visitor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focuses on the tourism experience factor which is the core of experiential economic theory. Practical significance is that a lot of experiential contents should be found in order to better match the tourist experience factor to the requirements of visitors to the tourist sit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generate revenue and improve its competitiveness.
        4,200원
        528.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 crucial factor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at it affects their dedication and participation. Whil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has been sparsely explored. Thus, this study investiaged both general an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m. A total of 117 secondary English teachers in Seoul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measures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seven factors: relationship with people, job duties, work environment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nsations, administration systems, and recognit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showed a mod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general and subjet-related jobs. Yet,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general job satisfaction. They were particularly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y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they receive as a teacher as well as an English teacher. In contras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compensations and workloads in general,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eaching English. Finally, their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gender, school type, position, and marriag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to enhance secondary English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made.
        5,800원
        52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industrial society develops, the management of the production line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ere are also diversifying Management methods by industry. In additi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have also been developed. As a result, It has been created standards for each job and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standards for industrial production management tasks. Customer satisfaction is an ever-growing concern of management throughout the world. In addition, Colleges are focusing on vocational education. Because of the opening of the education market, They are competing in various ways. And, To survive in this competition. They are making great efforts to improve the lecture satisfaction. If education is regarded as an industry, it can be classified as a representative service industry. Because it is formed as a perfect competition between colleges. And then in this paper, This will focus on the mechanical production Manager duties of industrial engineering department related NCS. This study also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curriculum using the KANO analysis.
        4,000원
        530.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최근 원데이 소프트콘택렌즈 착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부작용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데이 콘택트렌즈를 하루를 초과해서 착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고 실험의 취지를 이해하고 동의한 교정시력 1.0 이상의 남녀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데이 소프트콘택트렌즈는 시중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A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콘택트렌즈 피팅을 위한 전안부검사, 각막곡률검사, 굴절검사 후 피팅평가를 실시하여 1일, 2일, 3일 간의 자각적 만족도(건조감, 이물감, 흐림, 눈부심, 두통, 가려움증, 충혈 등)를 실시하였다. 또한 참가자의 눈 보호를 위해 3일간의 착 용기간 중에 전안부 검사를 통해 이상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착용을 중단하였다. 결과: 원데이 일회용 콘택트렌즈 착용 1일차(12시간)는 대부분 무난하고 양호한 착용감을 보였으나, 2일차(24시간)에는 1일차 보다는 좀 더 불편한 착용감을 보였고, 3일차(36시간)에는 착용감이 급격히 떨어져 착용을 중단하는 참가자가 많았다. 1일차(12시간)~2일차(24 시간)는 자각적으로나 타각적으로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3일차 이후부터 자각증상에서 뻑뻑함과 건조감 부분에서 급속히 증상이 악화되었다. 결론: 원데이 일회용 콘택트렌즈의 착용감의 변화는 2일차부터 발생하며 렌즈의 표면침착물로 인해 3일차부터 착용자의 자각적 만족도가 급격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데이 일회용 콘택트렌즈는 착용기간을 준수하여야 할 것이다.
        531.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현재 우리나라는 콘택트렌즈착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단순시력교정 용뿐만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컬러콘택트렌즈의 착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시장에 많은 컬러렌즈나 써클렌즈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컬러콘택트렌즈를 가격대 별로 선정하여 시력 및 착용감, 부작용 비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컬러렌즈를 가격대별(저가, 중가, 고가)로 렌즈를 선정하여 대상자들에게 착용시켰다. 실험자 참가자는 가격대별로 A렌즈(저가), B렌즈(중가), C렌즈(고가)로 분류하여 렌즈의 가격과 이름은 알려주지 않고 실험을 시행 하였다. 각각의 렌즈는 하루 8시간 착용 후 또는 착용 중에 착용감, 충혈, 이물감, 건조감, 부작용 등을 설문 조사 및 비교 하였다. 결과: A렌즈는 착용 직후 그리고 착용 4시간 후, 8시간 후 착용감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훌라현상과 건조함을 호소했다. B렌즈는 착용 직후 그리고 착용 4시간 후, 8시간 후 눈시림현상과 A렌즈와 같은 건조함을 많이 호소했다. 그에 비해 C렌즈는 착용 직후에 약간의 훌라현상이 있었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특별한 불편감 없이 실험자들이 매우 만족 했다. 시력 개선효과에서는 A렌즈와 B렌즈는 착용직후 시력개선효과에 만족했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교정효과가 낮아졌다. 그러나 C렌즈는 실험자들 대부분 착용 직후와 착용시간 이 경과해도 시력교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A렌즈와 B렌즈는 훌라현상, 건조감, 시력저하 등 만족도가 낮고, C렌즈에서는 착용 감과 시력개선효과에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저가의 컬러콘택트렌즈가 소비자의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53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압화와 꽃장식의 친근한 활동과 다양한 방법의 그룹 활동을 통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 실시장소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소재의 G 요양병원 내의 강당이었다. 실시 기간은 2015년 9월 4일 부터 10월 30일까지 매주 월요일, 금요일 주 2회 총 15회 실행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시간은 10시 30분 부터 11시 20분까지 회당 50분간 진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노인 생활만족도의 원예치료 사전 ‧ 사후 비교 결과, 하위 항목 중 현재생활만족도, 미래생활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실험군의 경우, 노인생활만족도의 긍정이 3.5에서 5.1로 향상되었고(p>0.003) 부정은 7.8에서 3.3 으로 감소하여 생활만족도가 고도로 유의하게 개선(p>0.000***)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대인관계 평과 결과, 집단 내 대인관계 면에서 긍정이 3.2에서 4.2로 유의차를 보였고 그 외는 모두 유의차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대인관계척도 평가 결과, 의사 소통의 경우 긍정이 3.8에서 6.2로 증가하 여 유의한 차이(p>0.020)를 나타내었다. 부정은 4.6에서 2.8로 감소하여 0.038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 대인관계에서 긍정은 2.4에서 3.8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정은 4.8에 서 1.8로 많이 낮아져 대인관계에 유의하게 개선(p>0.001)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압 화와 꽃장식의 협동 프로그램은 요양병원 입소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와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 로 판단되었다.
        4,000원
        53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using video debriefing on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o teams of 138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feedback after the simulation was run, and then the team was debriefed through the video recorded video in the debriefing room,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oral debrief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5 to December 10, 2015,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t-test. Results: The scores of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ho received the video debriefing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who received the oral debriefing training (control group).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debriefing using video in the simul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bility to perform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so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also helps strengthen nursing capacity.
        4,000원
        53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안경원의 브랜드 자산, 외부환경, 내부환경이 고객만족, 신뢰 및 재방 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안경원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 였고, 불성실히 응답한 9부를 제외한 41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신뢰성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브랜드 자산이 외부환경과 내부환경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자산, 내부환경 등 외 생변수가 매개변수인 고객만족을 통해 신뢰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다시 고객만족과 신뢰를 통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환경은 고객만족과 신뢰 모두에서 유 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브랜드 자산과 내부환경의 경우에서는 재방문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객만족과 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안경원은 기타 서비스직종과 달리 내부환경 중에서도 안경사특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특수 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자산이 내·외부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내부환경 즉, 상품, 가격 그리고 안경사 특성이 고객만족으로 이어져 신뢰를 거쳐 재방문에 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 자산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내부 환경 및 고객과의 신뢰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하고 이에 대한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