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17

        1021.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thospermum erythrorhyzon has been used as a red fooddy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o treat wounds, skin diseases and burns. Platelet acti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rombosis and haemostasis. Here, we studied the inhibition of platelet activation and its active compound from the root of Lithospermum erythrorhyzon. Its ethyl acetate extract inhibited the aggregation of washed rabbit platelets induced by collagen or thrombin. Five naphthoquinone pigments, shikonin, acetylshikonin, isobutylshikonin, α-methyl-n-butylshikonin and (β,β-dimethylacrylshikonin were isolated by means of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omparison of their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a. The potency of their inhibition was in the following order : β,β-dimethylacrylshikonin≥α-methyl-n-butylshikonin$gt;isobutylshikonin$gt;acetylshikonin$gt;shikonin. It is suggested that the size of the aliphatic hydroxy group of shikonin is important for the enhancement of potency.
        4,000원
        102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플라톡신 생성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진공동결 건조한 대사산물로부터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대두로부터 아플라톡신 생육을 저해하는 길항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균은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는 아플라톡신 생성균에 대한 길항물질을 생산하였으며 MeOH추출, 실리카겔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아플라톡신 생성균인 Asp. flavus와 Asp. parasiticus의 생육은 길항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길항물질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었으며 이는 아플라톡신 오염방지를 위하여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일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102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fTZ(4,4',4"-trifluoro-triazine) was used as a hole blocking material for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s(ELDs) in this study. In general, the holes are outnumbered the electrons in hole transport and emitting layers because the hole transport is more efficient in most organic ELDs. The hole blocking layer are expected to control the excess holes to increase the recombination of holes and electrons and to decrease current density. The former study using the 2,4,6-triphenyl-1,3,5-triazine(TTA) as hole blocking layer showed that the TTA did not form stable films with vapor deposition technique. The tfTZ can generate stable evaporated films, moreover the fluorine group can lower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HOMO) level, which produces the energy barrier for the holes. The tfTZ has high electron affinities according to the data by the Cyclic-Voltammety(CV) method, which is developed for the measurement of HOMO and low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LUMO) level of organic thin films. The lowered HOMO level is made the tfTZ to be applied for a hole blocking layer in ELDs. We fabricated multilayer ELDs with a structure of ITO/hole blocking layer(HBL)/hole transporting layer(HTL)/emitting layer/electrode. The hole blocking properties of this devices is confirmed from the lowered current density values compared with that without hole blocking layer.
        4,000원
        1025.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oe vera 껍질에서 항우식 및 항염증제재를 개발하기 위해 항우식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ethylacetate층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해 두 가지 활성물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두 가지 물질은 UV spectrum과 FT-IR, ^1H-NMR 및 Mass spectrum 분석을 통해 aloe-emodin과 barbaloin으로 동정하였다.
        4,000원
        1026.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동계와 하계 동안 부유물질의 변동 및 이동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염분과 조류, 부유물질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무안만에서 부유물질 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여 동계에 낮고 수직적으로 균질한 반면, 하계에 높고 수직적으로 성층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계에는 영산강하구언의 갑문조작에 따라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남쪽을 따라 흐르던 연안류가 약화되면서 북측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유물질의 잔여이동은 서측 만입구에서는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창조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면서 계절에 무관하게 만 내로 유입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남측 만입구에서는 낙조우세와 서측 만입구에서 조석의 비대칭 현상에 의해 만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을 보인다. 부유물질의 잔여이동량은 서측 만입구에서 0.0078kg/m · sec, 남측 만입구에서 -0.0955kg/m · sec로 무안만이 전반적으로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침식현상은 만 내의 조간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027.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떫은감과 그 연시의 페놀성 화합물의 변화를 조사하고 변색관련 물질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시의 페놀성 화합물은 주로 클로로겐산과 카테킨류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떫은감으로부터 연시를 제조할 경우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하나 총페놀성 화합물에서 차지하는 카테킨류의 비율은 감소되지 않았다. 손상과 연시의 페놀성 화합물은 거의 고분자량 획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페놀성 물질은 고온이 상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추출되었다. 페놀성 물질 중 카테콜, 클로로겐산, (+)카테킨의 각 표준품을 물, 80% 메탄올로 0.3% 용액을 제조한 후 변색방지제인 비타민 C, 구연산, L-cystein을 첨가하여 변색방지 효과를 검토한 결과 갈변이 심한 (+)카테킨의 변색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4,000원
        102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chniques for manipulation of spermatozoa and oocytes have been widely used for in vitro production(IVP) of Hanwo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ophylline and heparin on frozen-thawed Hanwoo sperm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IVP technique.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forzen bull semen treated with either theophylline or heparin for examining the effect of each substance on fertiliz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More (P<0.05) oocytes formed pronucleus and develop to the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after inseminated with sperm treated with heparin than after inseminated with sperm treated with theophylline. The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was higher after heparin treatment than after theophylline treatment,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ffspring delivery between two groups. In conculsion, theophylline and heparin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IVP system for Hanwoo.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ubstance, theophylline may be useful i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system, which requires vigorous sperm motility. While, heparin supporting sperm viability in vitro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in vitro-fertilization system.
        4,000원
        102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ophylline, pentoxifylline and heparin on frozen-thawed Hanwoo sperm for enhancing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Frozen-thawed semen collected from one bull was treated in TALP(tyrode-albuminlactate-pyruvate) containing varous concentrations of theophylline and pentoxifylline. After incubated at 5% CO2 in air atmosphere for 6 hours, the motility of sperm after the treatments was characterized by CASA(computer aided semen analysis) system. When monitored notility(MOT) and curvilinear velocity(VCL), theophylline and pentoxifylline exerted their optimal 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30 mM and 3 mM, respectively. No difference of sperm motility was observed when the sperm was treated with both substances compared with a single treatment of each substance. Comparison was then made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theophylline and / or pentoxiophylline on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ignificant treatment effects of each substance, high MOT and VCL values were detected in sperm treated with theophylline. In the case of sperm viability examined by an eosin-nigrosin staining, however, a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after the combined treatment of theophylline+pentoxyphilline than after the treatment with heparin alone or no treatment(P<0.05). In conclusion, theophylline, pentoxiphylline or heparin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motional characteristics and viability of frozen thawed Hanwoo sem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ubstances, theophyline may be useful i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system, which requires vigorous sperm motility. While, heparin supporting sperm viability in vitro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in vitro-fertilization system.
        4,000원
        103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synthesis of new antifungal agents, We have synthesized four new ketoconazol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cis-[2-(2,4-dichlorophenyl)-2-(1H-imidazol-1-yl)-1,3-dioxolan-4-yl]methane sulfonate with isolated fig compounds. These compounds were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lbicans ATCC 10231. C, utilis. S, cerevisiae ATCC 9763. A and niger ATCC 9029. Among them, sample No.(13) showed potent inhibition activity. Generally, other samples showed biological activity in vitro test. The above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new antifungal agents.
        4,000원
        103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a lactic starter to produce antimicrobial substance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a variety of foodborne spoilage bacteria in fermented foods,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against foodborne spoilage strains, and its sensitivity on the treatment of proteolytic enzymes. L. amylovorus IMC-1, which was isolated from a traditional cheese in Inner Mongolia, produced a maximum amount of antibacterial substance in the skim milk medium after 72 h incubation at 37℃, and further incubation resulted in the same activity. The substance obtained from gel filtration inhibited all strains used such as Bacillus subtilis IFO 3025, Staphylococcus aureus IAM 1011, Listeria monocytogenes VTU 206, Escherichia coli RB, and Pseudomonas fragi IFO 3458 at the concentration of 20 units/ml. This substance was found to show bactericidal action against B. subtilis, E. coli, and Ps. fragi, and bacteriostatic activity against both Staph. aureus and L. monocytogenes. The bactericidal action was due to cellular lysis. The substance is not organic acid, hydrogen peroxide and proteinaceous compound.
        4,000원
        1033.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추를 포함한 4종의 식물의 수용 및 에탄올 추출액이 상추종자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은행, 상추, 돼지풀, 달맞이꽃의 수용 추출물은 상추종자의 발아 및 생장율을 현저하게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 억제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추출용매별로는 에탄올 추출액이 수용추출액보다 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공시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추출물의 농도 10%가 상추의 발아와 생장을 가장 크게 억제시켰고 희석되어질수록 그 효과는 낮아졌다.
        4,000원
        1035.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previous reports, the authors isolated the algicidal marine bacterium, Alteromonas sp. SR-14 and demonstrated its growth inhibition of diatom, Chaetoceros calcitrans (C. calcitrans).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effects of cell free culture filtrate of Alteromonas sp. SR-14 on the growth of C. calcitra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 The culture filtrate of Alteromonas sp. SR-14 grown in peptone broth showed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C. calcitrans. The reasonable culture conditions of the bacterium for producing of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s were 15-20℃ in temperature, 7.0-9.0 in pH and 23-30‰ in salinity, respectively. The alga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culture filtrate was increased from stationary phase in growth curve of Alteromonas sp. SR-14. The molecular weights of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s produced by Alteromonas sp. SR-14 were ranged about from 3 KDa to 12 KDa. Among the substances, less than 10 KDa fraction were stable by heating at 100℃ for 10 minutes, while more than 10 KDa fraction were heat labil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 produced by the bacterium was not a single compound.
        4,000원
        103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거의 모든 호수는 인공호이며 그 상당수가 부 영양 상태이고 영양염류가 주로 유역의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고 있어 기계적 오염원 관리가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는 수생관속식물을 이용한 영양물질 제거를 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팔당호 자연습지의 수생관속식물에 의한 질소와 인의 연간 총흡수량은 연간 외부 총유 입부하량의 1% 내외에 불과하나, 강우가 적은 4~6월의 시기 중 생육지에서 인의 유입대비 흡수비는 약 27%에 달하며, 탈질이나 인의 용출억제 효과를 고려할 때 수질에 미치는 수생관속식물의 역할은 매우 크다. 팔당호에서 재배된 부레옥잠의 생체량 기준 비증식속도는 0.034 ~0.086 /d, 배가시간은 8~19일, 증식의 온도계수는 1.06, 질소흡수율은 0.56~1.67 gNm-2d-1, 인흡수율은 0.10~0.33 gPm-2d-1였으며 대규모 재배지에서의 수질은 현저히 개선되었다. 부레옥잠의 지하부 건물량(U)에 대한 지상부 건물량(A)의 비(U/A)는 수중의 영양물질 농도와 함께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시 식물체의 인 함량과 수중의 인농도는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면 질소는 유의성이 없었는데, 이는 하수의 질소/인 농도비가 높아 질소가 식물성장의 제한요인이 되지 못함을 시사한다. 하수원수에 대한 체류시간 2.2일의 인공늪지 처리시 BOD5 제거효율은 61~68%로 식물종류별로 차이가 적었으나 인제거효율은 부레옥잠조 63%, 기타 정수식물 (애기부들, 미나리, 꽃창포) 처리조는 35% 이하였다. 하수원수와 2차하수처리수에 대한 부레옥잠 인공늪지시스템의 인제거율은 각각 0.22, 0.16 gPm-2d-1이었으며, 기타 정수식물 처리조는 각각 0.06~0.12 gPm-2d-1, 0.03~ 0.06 gPm-2d-1의 범위였다. 유출수의 질소/인 비는 수로 시스템에 비해 늪지시스템에서 낮았는데 늪지 저토에서의 탈질과 인 용출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2차 하수처리 수에 대한 질소 제거율(R)과 식물체흡수율(U)의 백분비 (U/R)는 부레옥잠조 31~58%, 미나리조 5~11%, 기타 처리조는 5% 이하였으며, 인에 대한 U/R비는 부레옥잠조 47~54%, 미나리조 11~45%, 기타 처리조는 10% 이하였다. 부수식물 시스템에서는 흡수제거가 크나 정수식 물 시스템에서는 침전과 흡착 및 탈질이 주요 제거기작임을 알 수 있다.
        4,500원
        103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오염 및 부영양화 제어를 위한 생태공학적 오염 하천 정화기술의 하나로서 사상성 부착조류(Filamentous periphyton, FP)의 적용성 및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FP의 증식도는 매질의 종류, 설치방법, 공극, 유속, 수온 및 수중 영양염의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높은 FP의 증식도를 보이는 조건은 유속 10 cm/s 내외, 수류방향에 수직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4 mm 망목의 그믈망 매질이었으며 같은 물리적 조건에서는 유입수의 인농도에 따라 증식도가 커졌다. 유입수 인산염 인농도가 0.025~0.075 mgP/L, 유속이 5~15 cm/s의 조건에서 Pilot 인공수로(40 cm폭×25 cm깊이×20m길이)내 FP의 순생산성은 74~125 mgChl-am-2d-1, 비증식속도는 0.42 ~0.46/d, 인제거율은 19~103 mgPm-2hr-1, 조체당 비제 거율은 62~196 mgPgChl-a-1hr-1였으며 유입수의 인농도와 유속의 증가시 인제거율은 함께 증가하였다. FP가 정상적으로 착상된 상태에서 유입수의 농도대비 인제거 효율은 약 45% 내외였다. 과영양 하천인 경안천의 현장수로내 부착조류량은 최고 1,168 mgChl-a/m2에 달하였으며 접종 후 2주간 부착물의 증가속도는 20gDWm-2d-1, FP의 순생산성은 83mgChl-am-2d-1, FP의 비증식속도는 0.36/d였다. 접종한지 1주일 이후의 평균 용존산소 증가율은 7.7 gO2m-2 hr-1였으며 물질제거율은 BOD5가 4.4 gO2m-2hr-1, 총질소는 1.7 gNm-2hr-1, 총인과 인산염인은 각각 278, 85 mgPm-2hr-1였다. 부착물의 건조중량 당 비제거율은 총 인이 1,252 μgPgDW-1hr-1, 인산염인이 376 μgPgDW-1hr-1 였다. 인제거율은 FP의 양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으며 FP 시스템에서의 인의 제거는 인산염인의 흡수, 유기성 인의 침전과 흡착 및 분해, 재흡수의 복합과정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였다. FP 성장시 인이 조류생장에 대한 제 한요인으로 작용하여 유출수의 질소/인 비는 유입수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는 FP 시스템이 영양물질의 제거 뿐만 아니라 그 조성비를 변화시키므로써 수환경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FP 시스템은 수생관속식물에 비해 20~40배의 영양염류 제거율을 가지므로 하천수의 직접정화에 매우 효율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FP는 증식속도가 빠르므로 매질의 폐쇄를 억제하기 위한 노화 식물체의 관리, 효율증대를 위한 매질의 선별과 설치 방법, 시스템내 미소생태계의 변화 등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유기물과 영양염이 모두 고농도 인 오염하천의 경우 유기물 제거를 위한 생물막과 영양 염 제거를 위한 FP 시스템을 연결한 복합시스템도 고안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03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청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변화양상과 취기물질 생산종을 밝히기 위해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월별로 2개 정점(추동, 회남교)을 선정하여 이 화학적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대표적 취기물질인 geosmin과 2-methylisoborneol (MIB) 의 분포를 purge & trap concentrator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에 나타난 식물 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는 수온, pH 및 총질소/총인 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된 식물플랑크톤 중에서 cyanobacteria가 평균 54% (세포수 기준)의 우점을 나타낸 추동수역(정점 1)에서는 geosmin이 7 월, 8월 하순에 세포건량기준으로 각기 1.1 ng/mg, 18.1 ng/mg이 검출되었고, 63% 이상의 우점을 보인 회남교수 역(정점 2)에서는 geosmin이 7월, 8월 하순에 각각 0.7 ng/mg 및 69.8 ng/mg, MIB가 7월 하순에 0.6 ng/mg 검 출되었다. 따라서 geosmin과 MIB는 조사기간중 cyanobacteria가 우점하게 되는 7월, 8월에 주로 Anabaena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39.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숙기 사과의 페놀계 물질 변화를 살펴보고자 부사품종 사과의 methanol 추출물을 Sep-Pak으로 전처리하여 HPLC로 측정한 결과 4종의 phenolic acid와 (+)-catechin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한 chlorogenic acid와 (±)-catechin을 비롯한 페놀계 물질들의 함량은 성숙과정 중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변화의 폭은 매우 완만하였다. 즉 발육과정 중 페놀계 물질이 감소하다가 어느 시기부터는 일정한 함량치를 나타냈다. 또한 총페놀함량은 Folin-Dennis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성숙초기에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후 함량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4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원성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방선균 LAM 98-80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sp. LAM 98-80으로 동정·명명하였다. 이 균을 이용하여 병원선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의 최적 생성 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1.5%의 soluble starch, 질소원으로는 1.0%의 yeast extract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무기염으로 Mn^2+을 0.04%을 첨가로 항생물질의 생성량을 80%나 증가시켰다. 배지의 초기 pH는 7.0, 최적 온도는 30℃ 그리고 배양일수는 5일만에 최고의 생육 및 생성을 나타내었다. 시험균으로 사용한 cephalosporins 내성 병원성 Pseudomonas는 cepha계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을 띠었으며 β-lactam계인 ampicillin, amoxicillin에 대해서는 민감하였다. 그리고 조정제한 항생물질의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70℃에서 1시간동안 안정하였고 pH 3에서 9까지 넓은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각 종균에 대한 항생작용은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진균인 효모와 곰팡이에는 효과가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