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ight dynamic simulation programs are useful to estimate dynamic performances of an aircraft and to develop flight control laws. Usually, simul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by the causal programming method which required a distinct relationship between inputs and outputs. Recently, a new approach, acausal programming,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many fields to deal with the disadvantages of causal simulation programs. The authors have developed a flight dynamic simulation program by using Modelica which is an acausal programming language. The developed program has been tested by several simulations for attitude and velocity hold control. It has been shown that servo systems for control surfaces can be designed by this program. The level of detail of models can be easily increased by using the library of Modelica. The simulation program can be used to develop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rotor craft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paraglider with the enhanced function and safety of flight by performing the simulation and test of flight with two slots at each wing tip of canopy. When the distributions of velocity and shear stress at wall around the canopy were compared, the canopy with slo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less velocity and shear stress at wall significantly than the canopy without slots by confirming the safety of the paraglider. Series of simulation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optimal shape of slots by applying various sizes and positions of the slots, resulting nine cases with the better outcome on which flight tests were based. The flight test results in this study confirmed that canopy with slots showed the improved flight function by increasing the maximum velocity, decreasing the minimum velocity, delaying the stall timing significantly and consequent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araglider. Based on the simulation and flight tests, three cases with the best outcome have been selected for merchandising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살포비행의 주된 요운동과 순항비행에 대하여 시뮬레이션과 비행실험을 통해 얻은 적정 제어이득을 적용하여, 농용헬리콥터의 수동과 제어비행에서 순항비행 및 요의 행동을 비교하였다. 수동의 경우는 조종간의 입력 즉, 서보의 입력은 그대로 서보의 출력으로 전달되어 헬리콥터의 비행자세와 반응으로 나타나므로 조종자에 있어 높이와 자세를 유지하는데 높은 숙련도와 노력이 필요하였다. 반면 상용제어기의 적용은 기본적인 자세 및 요의 제어를 제공 받으므로 조종자가 살포작업에 편이성을 제공받을 수 있었다. 수동비행에서 요각의 행태는 편류비행의 결과를 보였으나, 제어에서는 목표진행 방위각에서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수동 순항비행에서는 롤 및 피치각의 자세가 숙련된 조종자에 의해 ±6.9°(±0.11 rad) 정도의 롤 및 피치각의 큰 변동폭을 경험하였다. 반면 자세제어 비행에서는 ±2.8°(±0.05 rad) 정도의 안정된 변동폭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상용제어기를 적용함으로써 요운동으로 방향을 유지하고 순항비행에서 살포높이와 속도를 조절하는데 조종자의 편이성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을 통해 비행또래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비행또래는 그 의미가 다수인 하나의 사건이다. 하나의 사물이 여러 의미를 가진다는 복수주의적 생각 속에서 보면 비행또래가 가지는 의미는 복합적이다. 비행또래라는 의미가 언어 안에 존속하지만 문제제기의 장에서 사물과 더불어 발생하기 때문이다.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은 사회복지실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않았지만 클라이언트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Vacuum kinetic spray(VKS) is a relatively advanced process for fabricating thin/thick and dense ceramic coatings via submicron-sized particle impact at room temperature. However, unfortunately, the particle velocity, which is an important value for investigating the deposition mechanism, has not been clarified yet. Thus, in this research, VKS average particle velocities were derived by numerical analysis method(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nnected with an experimental approach(SCM: slit cell method). When the process gas or powder particles are accelerated by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by gas pressure in kinetic spraying, a tensile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in the VKS system accelerates the process gas. As a result, the gas is able to reach supersonic speed even though only 0.6MPa gas pressure is used in VKS. In addition, small size powders can be accelerated up to supersonic velocity by means of the drag-force of the low pressure process gas flow. Furthermore, in this process, the increase of gas flow makes the drag-force stronger and gas distribution more homogenized in the pipe, by which the total particle average velocity becomes high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x. and min. particle velocity decreases. Consequently, the control of particle size and gas flow rate are important factors in making the velocity of particles high enough for successful deposition in the VKS system.
수면비행선박의 지위가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결론지은 이후, 국내외적으로는 몇몇 규칙과 권고 사항들이 개정 및 승인되었다. 하지만 정작 수면비행선박의 종류 및 운항특성을 고려한 항법에 관해서는 규정이 미비하고, 수면비행선박간 항법에 관련해서는 규정이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행 법령상에 다른 선박들과 수면비행선박간의 책임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서로 시계에 항법상의 수면비행선박 관련 규정을 모든 시계로의 항법상으로 이동할 것과 수면비행선박간 안전통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타입 'B'와 'C'의 수면비행선박이 타입 'A'의 수면비행선박을 피항해야 한다는 규정이 신설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국내 비행장은 민간전용 비행장 7개와 공군전용 비행장 6개, 민과 군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8개 등 약 20개의 주요 비행장(소규모 비행장은 제외)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군과 한국공항공사에서는 정기적으로 포장평가를 실시하여 포장의 잔존수명 및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허용하중을 결정하는 포장분류등급(PCN)을 결정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한 비행장 포장유지관리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비행장 콘크리트포장시 탄성계수는 코아채취 후 실내실험을 통한 정적탄성계수를 적용함이 가장 정확한 포장물성치를 적용하는 방법이지만 코아채취 및 실내실험(공항별 약300여개소)으로 포장의 손상 및 시간적,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현재 세계적인 추세인 비파괴조사장비(HWD를 이용하여 처짐량을 측정한 후 역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적탄성계수를 추정하고 결과값을 포장평가 분석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적탄성계수 추정방법은 신속하게 시행될 수 있으나 완전한 선형적인 탄성으로 거동하지 않아 정 적탄성계수와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결국 포장잔존수명 및 항공기허용하중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7개 비행장 73개소 슬래브중앙에서 HWD 조사시험을 실시하고 동일 지점에서 코아를 채취하여 동적탄성계수를 역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정적탄성계수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행장 콘크리트포장 동적탄성계수 추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역산프로그램들의 결과 값을 비교분석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보정계수 산출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최근에 미국 FAA에서 개발된 BAKFAA,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WESDEF, 공군에서 주로사용하고 있는 ELMOD, Westergard 식 중에서 BAKFAA프로그램과 Westergard 식이 WESDEF과 ELMOD에 비해 정적탄성계수에 근접하게 탄성계수가 추정되었으며 WESDEF과 ELMOD 결과값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상대적으로 높게 추정되었다. 상관관계분석 결과도 BAKFAA프로그램 과 Westergard 식이 WESDEF과 ELMOD에 비해 높게 분석되었다.
농용무인 헬리콥터는 벼농사는 물론 전작, 과수 등 소규모 필지의 정밀방제에 이용되고 있으며 농작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의목적은 농용헬리콥터의 비상시퀀스에서 정지비행 중 측풍에 의해서 비상착륙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는 편류제어 모듈과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있다편류제어의 목적은 비상착륙과 연동되어있는데, 비상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호버링을 하면서 비상대처 알고리즘이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관성 제어 는등속운동에서기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측풍에 의하여 비상지점으로부터 편류를 하게 되어 착륙 목표지점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GPS 모듈을 기초로 개발한 편류제어모듈을 시험하였다.알고리즘 및 실효성을 고려하여 5 m 직경 내에 위치를벗어나지 않는지에 대한 기준을 적용하였다. 초기에는 2~4m/s의 측풍 교란에 대하여 과민하게 반응하였지만 이후5 m직경 내에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자세 및 요의 방향을 유지 하였다. 목도의 관찰에서는 전후좌우 흔들림을인지하기 어려운 정도이지만, 데이터에서 보인 편위는GPS 수신기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같은 편류제어는 비상착륙이나 호버링을 유지하려 할 때의도하지 않는 편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목적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 간에 상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 D광역시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19세 이하로 현재 법적 절차를 거쳐 비행이 인정되어 교호시설에 있거나, 보호 관찰 중인 비행청소년 114명과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청소년 124명으로 총 238명이었다. 결과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17세∼13세의 비행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감각회피(p<.05)와 감각민감성(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17세∼13세의 낮은등록(p<.05)에서 강력, 성폭력, 절도사범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고, 감각민감성(p<.05)에서 성폭력, 절도, 강력사범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 19세∼18세에서는 감각민감성(r=-.47, p<.05), 감각회피(r=-.45, p<.05)의 점수가 낮을수록 약물남용의 점수가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17세∼13세에서는 낮은등록의 점수가 낮을수록 지위비행(r=-.33, p<.05), 폭력행동(r=-.33, p<.05)의 점수가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 일반청소년과 비교할 때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은 낮았고, 특히 17세∼13세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이 낮았으며, 감각처리능력이 낮은 청소년에게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문제행동이 보이는 청소년에게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청소년/성인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조기에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고, 이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치료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들의 비행촉발요인을 실증적 조사 자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상반기에 전북지역 J시의 2개 경찰서와 충남지역 D광역시의 1개 경찰서에서 범죄심리사들에 의해 조사와 심리검사를 포함한 면담을 받은 비행청소년 102명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들을 성별, 비행명별, 재범위험성별로 분류하고, 이들의 비행촉발요인을 가족구조, 가족기능, 학교생활, 가출경험, 비행전력 및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의 하위 문항별로 체크된 선택지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비행에서 어떤 요인들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시사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각 요인을 대표하는 하위특징으로 부모이혼, 별거 혹은 가출, 가정불화와 가족간 심리적 학대, 불량한 교우관계, 분노조절 곤란과 인생목표 부재 등이 중요 요인으로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청소년 비행을 예방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이러한 요인들의 취약성을 보완 해 줄 대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Changes in insect communities are one of the best indicators of environmental chang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Flight Interception Trap (FIT) method to check the changes of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ilphids at Mt. Sokrisan National Park from April to October in 2003 to 2007. A total of9,704 individuals of six silphid species were examined by FIT. Among them, Nicrophorus quadripunctatu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with 8,763 (90.3%) individuals. There were only 971 (9.7%) individuals of the other five species. The seasonal abundance of silphids peaked in July and August. The annual abundance has decreased gradually since 2004. Therefore, the changing patterns of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ilphids checked by long-term monitoring could be used as environmental indicators which indirectly show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Mt. Sokrisan National Park.
사회가 발전해 가면서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소년비행 내지 소년범죄일 것이다. 소년범죄의 문제는 갈수록 흉악해지고 저연령화 등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어 각국에서 이에 대한 적절한 형사제재 수단을 강구하기 위한 그 방법을 찾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서 접근하여 범죄백서 등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소년비행의 추이를 분석하여 보고 개선되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소년비행의 실태와 더불어 보호 관찰제도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통하여 협의의 개념을 넘어서서 사회봉사명령이나 수강명령 제도를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최근에 소년법상의 개정내용을 포함하여 현행 형사절차에서 비행소년에 대한 보호관찰제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년비행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보호관찰제도에 대한 방향성 내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을 반영한 수면비행선박이 개발되어 최근 내항여객선으로 취항할 것을 예정하고 있으므로 이들 선박이 안전성은 물론 경제성까지 함께 담보할 수 있도록 안전운항관리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와 더불어 해양에 대한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이용에 기여하고자 함
이 연구는 청소년 패널자료를 통한 3,125명의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비행 현황을 살펴보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에 ‘봉사학습’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이유는 ‘성적반영’ 때문이라고 대부분 응답하였고, 성별 봉사활동내용은 비슷하지만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자선구호활동에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성별 비행 경험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행의 정도가 심하고 많은 비행을 경험하고 있었는데, 주목할 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술마시기, 무단결석, 원조교제 등의 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별과 자원봉사활동 영역과 청소년 비행항목별 경험의 관계를 살펴본 이유는 비행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어떤 활동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살펴보면서 청소년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관리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원인을 생각해보고자 조사하였다. 청소년의 자원봉사참여 여부와 참여횟수, 참여시간, 참여이유 현황을 통해서 비행과의 관계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였기에 변인의 설정 등에서 보다 자유롭게 연구할 수 없는 제한성이 있었고, 결정적으로 시간과 능력의 제약 등으로 청소년에게 있어서 자원봉사활동과 비행이 어떻게 관계되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에 매개역할을 하게 될 지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