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9

        64.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in pigs has been used as a very important tool to produce transgenic for the pharmaceutical protein, xenotransplantation, and disease model and basic research of cloned animals. However,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SCNT embryos is very low in pigs and miniature pigs. The type of donor cell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se cloned pigs. Here,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efficiency of SCNT embryos to blastocysts and full term development using fetal fibroblasts (FF) an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to identify a suitable cell type as donor cell. We isolated each MSCs and FF from the femoral region and fetus. Cultured donor cell was injected into matured embryos for cloning. After that, we transferred cloned embryos into surrogate mothers. In term of in vitro development, the SCNT embryos that used MSCs had significantly higher in cleavage rates than those of FF (81.5% vs. 72%) (p<0.05), but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s and apoptotic cell ratio was similar (15.1%, 6.18% vs. 20.8%, 9.32%). After embryo transferred to surrogates, nine and nineteen clone piglets were obtained from the MSCs and FF group, respectively,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and birth rate (50%, 40% vs. 52.3%, 45.4%) (p>0.05).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pus hemorrhagicum numbers of ovary, according to pregnancy, abortion, and delivery of surrogate mothers between MSCs and FF groups. Therefore, the MSCs and FF are useful donor cells for production of clone piglets through SCNT, and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of transgenic clone pigs in the future.
        4,000원
        65.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퍼메트린이 Heliothis virescens의 중추신경세포의 나트륨채널에 어떻게 작용하는 가를 전기생리학적으 로 관찰하였다. 퍼메트린은 나트륨채널의 꼬리전류(INa-tail)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비정상적인 나트륨 전류증가가 나방류의 신경계에 과도한 흥분을 일으겨 살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살충작용은 전갈독과 함께 사용했을때 약 8배의 증가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전 갈독이 살충제의 독성을 강화하는 분자생리학적 기전연구가 계속되면 해충방제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6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ca roots (Lepidium meyenii) are an important medicinal herb that have long been used by the Andes-indigenous peoples and South Americans. In Korea, recently, 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health food material because of nutritional valu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maca (red and golden varieties; R&G) as immunostimulating materials. In the macrophage stimulating assay using RAW 264.7 cells at 125~500 μg/mL of non-cytotoxicity doses, G-HW showed the most potent production of TNF-α, IL-6 and nitric oxide compared to red maca or the other extracts. The gener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extracts comprised more than 90% neutral sugars with small amounts of uronic acid and protein. Meanwhile, component sugar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uronic acids of cold- and hot-water extract. Additionally, the further fractionation of G-HW into crude polysaccharide (G-CP) greatly enhanced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and G-CP contained macromolecules over 144 kDa, comprised mainly of glucose and galacturonic acid (51.0 and 34.9%). In conclusion, crude polysaccharide from maca showed industrial applicability as immunostimulating material, and especially golden maca showed higher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than red maca.
        4,000원
        67.
        2022.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ncreatic acinar cell carcinoma (ACC) is a rare neoplasm accounting less than 1% of malignant pancreatic tumors. A 47-year-old male patient visited the emergency room with epigastric pain.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 4.7-cm heterogeneously enhanced solid and cystic mass with internal necrosis located in the head of the pancreas. Radiological diagnosis was borderline malignancy such as neuroendocrine tumor or solid pseudopapillary neoplasm. Two months later, the necrotic mass in the pancreas head had grown up to 11 cm, compressing the duodenum, superior mesenteric vein, and proximal transverse colon. Pylorus 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with segmental resection of transverse colon was performe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tumor was pancreatic ACC. The patient reco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 and was doing well without recurrence for 12 months after surgery.
        4,000원
        68.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화가 진행될수록 활성산소종으로 인하여 피부 보습은 떨어지고 피부 장벽은 붕괴되어 피부 가 손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동막 해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갯끈풀(Spartina anglica; SAE)과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CSE)을 70% 에탄올(EtOH)로 추출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기능 강화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 추출물들에 대한 피부 각질형성세포(HaCaT cell) 에서 세포독성을 WST-8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을 보이는 농도를 선별하 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SAE와 CSE는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피부 보습과 관련된 인자들인 filaggrin (FGL), aquaporin 3 (AQP3), hyaluronan synthase 2 (HAS2)과 피부 장벽 기능과 연관 있는 transglutaminase 1 (TGM1) 과 involucrin (INV)의 유전자 수준에서의 발현 변화를 측정한 결과, SAE에 의해 AQP3, HAS2, TGM1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CSE는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E에 의한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다.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이 SAE에 의하여 상향 조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갯끈풀 추출물이 피부 보습 및 피 부 장벽 기능 강화를 위한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6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십자화과 채소인 갓(Brassica juncea) 추출물 을 이용하여 지표성분인 sinigrin의 함량을 분석하고, 내분비계 교란물질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 (BPA)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갓 추출물과 sinigrin 처 리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지방 생성 전사인자(PPARγ, C/EBPα, aP2)의 단백질 발현 감소 효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갓 추출물 중 sinigrin의 함량은 21.27±0.2 mg/g 인 것으로 나타났다. BPA로 유도된 3T3-L1 전구지방세포에 서 XTT assay 결과 sinigrin 180 μM 및 갓 추출물 300 μg/ 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세포 내 지방 축적량과 ROS 생성량을 비교하였을 때 갓과 sinigrin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 적량 및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갓 추출물 및 sinigrin을 처리하였을 때 지 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 PPARγ, C/EBPα 및 aP2 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갓은 환 경호르몬 비스페놀 A로 유도된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ROS 저감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sinigrin을 함유한 갓은 BPA로 인한 지질 대사 장애를 예방하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며, 추가로 임상 연구 및 작용기전 입증을 위한 in vivo 모델에서의 후속 연구가 진 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Photobiomodulation 요법은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술로, 당뇨망막증, 연령관련황반변성, 망막색소변성증을 포함한 퇴행성 망막질환에 대한 비침습적 치료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최근 광원으로 LED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망막에서 LED 기반의 Photobiomodulation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670 nm LED 광원을 사용한 Photobiomodulation의 망막신경퇴화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670 nm LED패널, 반도체 냉각장치, 빛세기 제어기로 구성된 LED 기반의 빛 조사장치를 제작하였다. 망막신경퇴화 유도를 위해 NaIO3를 마우스에 복강주사하였다. 마우스 동공을 확대시킨 후 60 mW/cm2 출력에서 2분 동안 조사하였다. 망막의 광수용세포 손상은 바깥핵층의 두께, 광수용세포 사멸, 광수용단백질인 Rhodopsion, Opsin의 발현,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 뮐러세포의 반응성 신경교증 활성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 NaIO3에 의해 손상된 망막에 670 nm LED 빛의 조사는 망막 바깥핵층의 두께 증가, 광수용세포의 사멸 억제, 뮐러세포의 반응성 신경교증 억제, 광수용단백질의 발현 증가를 야기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670 nm LED를 이용한 PBM은 망막 광수용세포의 퇴화를 손상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퇴행성 망막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략을 제공한다.
        4,000원
        7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and immunoenhancing effect of macrophage activation by crude polysaccharides (CPP) extracted from citrus peels. CPP did not affect the cytotoxicity of RAW264.7 cells, but showed dose-dependent effects on cell viability. Also, CPP showed high production of chemokine (nitric oxide (NO)) and cytokines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CPP increased IL-6, TNF-α,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expression dose-dependently. CPP also strongly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the ERK, p38, and IκBα pathways in RAW 264.7 cells. In anti-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s) experiments, the effect of CPP on NO production was strongly suppressed by neutralizing toll-like receptor (TLR)2, TLR4, and Dectin1 antibodies, whereas IL-6 and TNF-α production by CPP was mainly suppressed by mannose receptor (M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PP treatment-induced NO production was regulated by the ERK, p38, and NF-κB pathways through TLR2, TLR4, and Dectin1 receptors, whereas IL-6 and TNF-α production was primarily regulated by the ERK, p38, and NF-κB pathways through MR receptors.
        4,000원
        73.
        2021.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즙산은 지방의 소화를 돕고 담즙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담즙산에 대한 수용체가 존재하며 그 종류도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담즙산 수용체는 담즙산 생리에 관여하는 것 외에도 에너지 대사, 염증 조절 등의 반응에 있어 인체 내에서 광범위하게 작용한다. GPBAR1과 S1PR2는 담즙산 수용체 중에서도 대표적인 G 단백질 결합수용체로서 담관세포에 많이 존재하며 세포의 증식 및 담즙 분비 등에 관여한다. 아울러 담관암의 진행과도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어 향후 담관암 치료에 중요한 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74.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빈도로 사용되고 있는 가공보조제 효소제 7종에 대한 최대 사용량 기반 세포독성을 연구하였다. 기원이나 원산지 및 제조형태가 다른 효소제가 시판되고 있는 경우 모두 시험대상에 포함하였고, 효소제의 경우 가공과정에 사용 후 최종제품에서 잔존하지 않거나 불활성화되기 때문에 native 및 inactivated 두 형태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세포처리 최고 농도는 품목 제조보고서를 기반으로 다빈도 첨가 식품품목 및 그 최대 사용량과 국민영양통계 일일섭취량을 기반으로 설정하였 다. 그 결과, native 및 inactivated 효소제 모두 세포성장 및 세포막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ative 효소제의 경우 종국 3종 모두에서 ROS 유발이 확인되었으나, inactivated 종국에서 ROS의 유의적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부 native 형태의 종국 및 프로테아제에서 β-hexosaminidase 용출에 의한 탈 과립화가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모든 inactivated 효소 제에서 탈 과립화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제의 기원에 따라서 native 형태의 경우 ROS 유발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및 탈 과립화와 같은 알레르기 원성 세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실제 가공제품에 잔존 하는 불활성화된 효소제에 의한 세포독성 영향은 낮음을 제시한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안전성 정보 가 미흡한 가공보조제 효소제에 대한 구체적인 독성자료 및 향후 in vivo 독성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75.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물치(Channa argus) 추출물의 신경세포 분화와 산화 스트레스에서의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녹차와 효소를 이용한 다양한 추출 방법(상온 추출물, RE; 녹차 상온 추출물, GRE; 효소 상온 추출물, ERE; 녹차 효소 상온 추출물, GERE)을 사용하여 제조 된 추출물의 아미노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신경성장인자 (NGF) 유도 신경세포 분화 및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유도된 PC12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RE 및 GRE보다 효소 추출물인 ERE 및 GERE에서 훨씬 더 높았다. 효소 가수 분해물 (ERE 및 GERE)에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RE 및 GRE보다 높았다. 또한, RE와 ERE는 PC12 세포에서 neuronal growth factor (NGF) 매개 신경 돌기 성장뿐만 아 니라 growth associated protein (GAP)-43 및 synapsin-1의 발현을 현저하게 향상 시켰다. 과산화수소(H2O2)에 의해 손 상된 PC12 세포에 4가지 유형의 Channa argus 추출물을 첨가한 후 PC12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PC12 세포 의 생존율은 RE, GRE, GERE에서 각각 77.5±1.9%, 84.0±0.8%, 81.1±0.9%이였다. 이러한 세포 생존율은 H2O2 만을 처리 한 음성 대조군(70.0±2.0%)에 비해 더 높았다. H2O2 처리에 의해 유도 된 세포 독성도 RE, GRE 및 GERE 처리에 대한 반응으로 상당히 완화되었다. 종합하면, Channa argus 추출물은 산화 스트레스와 신경 손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성 물질로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n-keratinizing squamous cell carcinoma (NKSCC) is a rare malignancy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a unique anastomosing ribbon-like growth pattern with absent of limited maturation and keratinization. NKSCC accounts for 10-27% of sinonas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some of the NKSCCs are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igh risk-HPV infection. Advanced lesion can involve the oral cavity with oral symptoms of palatal bulging, surface ulceration mimicking salivary gland tumors. Herein, we report a case of NKSCC of a 46-year old male, which clinically presented as a bulging mass on the mid palate and mimicked a palatal salivary gland tumor. We reviewed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considerations required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sinonasal carcinoma involving the oral cavity.
        4,000원
        7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전성이 강화된 화장품용 방부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장균 β-gal을 이용하여 OD 로부터 합성된 OD-gal의 성능을 기존의 OD와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mass spectrometry 분석을 통하여 OD-gal의 sodium adduct ion (m/z=331.1731)과 protonated ion (m/z=309.1926)으로 OD-gal 합성을 확인하였다. 새롭게 합성된 OD-gal과 OD의 항균력 비교를 위하여 E. coli, S. aureus, C. albicans, A. niger에 대한 MIC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OD-gal과 OD의 MIC 값 사이에 그렇게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OD-gal과 OD의 세포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HaCaT 세포에 OD 또는 OD-gal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EZ-Cytox assay를 이용하여 정량 하였다. 1.5% OD의 경우에는 24 시간에서 세포생존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64%, 48 시간에서는 42%로 나타났고, 1.5% OD-gal을 처리한 세포의 세포생존율은 24 시간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지만, 48 시간에서는 85%로 나타났다. 결국 OD-gal은 OD와 비교해서 약 40% 이상의 세포독성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D에 한 분자의 galactose를 결합시킴으로 인하여 항균력은 어느 정도 유지하 면서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이 감소된 OD-gal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안전한 화장품용 방부제 소재로서 OD-gal의 실용화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4,000원
        7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tigerous cyst is considered one of the representative cystic lesions,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15%-30% of the odontogenic cysts. Although its recurrence rate is low, a small proportion of dentigerous cysts converted into ameloblastomas,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mucoepidermoid carcinomas. Here we present an uncommon case characterized by histopathological transformation from a dentigerous cyst to an ameloblastoma, and further investigat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its conversion.
        4,000원
        79.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lorhexidine is a cationic bisbiguanide with broad antibacterial activity, and diverse activity encompassing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yeasts, dermatophytes, and some lipophilic viruses. Chlorhexidine alters the permeability of the bacterial membrane. They also neutralize periodontal pathogens such as Streptococcus aureu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Porphyromonas gingivalis were cultured to isolate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outer membranes (OPG). Also, OPG were used to prepare large unilamellar liposomes with total lipids (OPGTL) extracted and prepared with the phospholipids mixture (PL). The effect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cell membrane kinetic changes was investigated using fluorescence polarization of n-(9-anthroyloxy) stearic acid with different rotational mobility depending on the probe substitution position (n) in the membrane phospholipid aliphatic chain. Chlorhexidine digluconate increased the hydrocarbon rotational mobility interior of the OPG, OPGTL and PL, but native and model membranes interfacial mobility were decreased. The sensitivity to increasing chlorhexidine digluconate effect on rotational mobility was proportional to the depth of probe position in descending order of 16-AP, 12-AS, 6-AS and 9-AS. Chlorhexidine digluconate disordering or ordering the effects on the membrane lipids may cause its bacteriostatic and bacteriocidal action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