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8

        901.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체 트롬보포이에틴(hTPO)은 megakaryopoiesis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트롬보포이에틴을 유선조직에서 직접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소 베타 카제인 프로모터, 인체 트롬보포이에틴 cDNA 및 네오유전자로 구성된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소 귀조직 세포로부터 유도된 섬유아세포에 lipoffctamine을 이용하여 발현벡터(pBT-L n대)의 삽입을 유도하였다. G4l8 저항성을 지닌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2주 이상 배양을 실시하였다. 형질전환 콜로니는 PCR에 의해 동정하였으며, 이들 콜로니를 핵치환 전까지 계속적으로 증식을 유도하였다.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재구성된 난자는 전기적인 융합과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한 활성화를 실시하였으며, 체외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35개의 콜로니를 PCR에 의해 분석한 결과, 이 중 29(82.9%)개가 형질전환된 콜로니였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의 난할율 및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65.1%와 23.8%로 나타났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로부터 발달한 29개의 배반포 중 27개가 형질전환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형질전환 소 수정란을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있다.
        4,000원
        902.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Th1 cell 증식효과 및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단백다당체 시료는 영지버섯, 아가리쿠스, 표고버섯, 운지버섯, 그리고 상황버섯을 100℃에서 3시간 열수 수출하는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Th1 cell의 세포 증식을 조사한 결과, 10mg/ml 농도에서 모든 시료가 40%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종류의 암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mg/ml 농도에서 P388D1와 L1210에서 아가리쿠스는 2.4% 와 39.7%, 표고버섯은 48.4%와 52.5% 의 생존율을 보였다. Sarcoma 180 으로 복수암을 유발시킨 마우스에게 아가리쿠스와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를 섭취시킬 경우 생존율이 27 ~ 40%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0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ucocorticoid는 비유기 동물의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PRL-R) 발현을 증가시키며, 전반적인 유선세포의 유합성 작용을 활성시킴으로 유합성 능력을 증진시킨다. 유선세포 PRL-R 발현량 증가는 유생산량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실험은 비유중기의 재래산양의 유합성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0.05. 0.1과 0.2 g hydrocortisone을 5ml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정맥투여하고 유선세포 PRL-R와 -유
        4,000원
        90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안과에서 점안마취제로 Alcaine싼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었다. 점안 마취제는 안압 측정, 이물 제거, 전방각경 검사, 봉합, 결막 과 각막 수술 둥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점안 마취제를 눈에 정 안했을 때 각막 상피 에 미 치 는 영 향올 알아보고자 Alcaine@ 0.5%(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 Benzalkonium Chloride 0.01%)을 사량의 눈에 직접 점안하여 챔안 후 각막 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옳 Rose Bengal로 염색하여 Slit lamp로 조사 하였다. 또한 결막세포 (done 1- 5c -4)를 배양하여 점안 마취제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 얄아보고자 Alcaine@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각각 0.125-0.5% 농도로 15분 처 리 하여 12시 간과 24 시 간 후에 회 복효과를 조사하기 위 해 MTT assay와 LDH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증식 저해 정도첼 측정하였다.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matoxylin-eosin 염색 후 광화현미정으로 관찰하고, 세포자연사 (Apoptosis) 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실시하였다. Alcaine@을 눈에 점안하면 15분 후에 각막 상피가 괴사되고, 결막의 손상올 관찰 할 수 있었으며, MTT assay 결과, 세포독성판 Alcaine@처리군(0.125, 0.25, 0.5%) 에 서는 세포증식 저해가 70% 률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 0.1 25% 는 대조군과 유사하고, 0.25%에서는 많5% , 0.5% 에서는 65%로 농도 의존쩍으 화 세포 증식저해를 나타냈다. LDH 유출량은: Alcaine@ 0.25% 처리군에서는 1.8배, 0.5%에서는 4.1 배의 유출량이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처리한 군에 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포자연사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설사한 결과 AIcaine@ 0.125% 처리군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 처리군에서는 세 포자연사 (Apoptosis) 에 의해, 고농도 Alcaineæ; 처리군(0.25, 0.5%) 에서는 세포괴사 (Necrosis)를 유도한 것으로 나타나 점안 마취제의 사용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4,300원
        905.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체세포 및 체세포 핵이식란의 염색체 이상에 체세포의 계대의 영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우 성축의 귀 조직으로 얻어진 세포를 공여세포를 체외성숙 후 제핵된 난자에 핵이식을 실시하였으며, 1.9kv/cm, 20/2times의 전기자극으로 융합후 5/ml의 ionomycin에서 4min, 1.9mM 6-DMAP에서 4h동안 배양함으로써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핵이식란은 CRlaa에서 4일간 배양 후 8 -cell단계에서 중기상의 유도를 위하여 상기 배양액 1ml당 0.05 colcemid에서 6-8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6%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1% sodium citrate용액에 20분간 저장처리 후, methanol 5 : aceticacid 1 : distilled water 4로 1차, methanol 3: aceticacid 1 로 조성된 2차, methanol 4 : acetic acid 3 : distilled water 1의 3차고정액으로 1분간 재 침지시켰다. 고정 처리가 완료된 slide는 4% Giemsa용액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 하에서 핵형 양상을 검경하였다. 체세포의 5계대에서는 684개의 spreads를 검경한 결과 염색체 수는 72%가 정상으로 60개이었고, 24%가 60개 이하였으며 4%가 60개 이상을 보였다. 10계대도 5계대와 비슷하여 71%가 정상, 26%가 60개 이하, 3%가 60개 이상이었고, 15계대에서는 55%가 정상이었고, 30%가 60개이하, 15%가 60개 이상을 보였다. 10계대 까지는 mixoploid의 비율의 변화가 없었으나 15계대에서 현저하게 늘어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체외수정란과 핵이식란의 비교에서는 체외수정란은 250개의 spreads를 검경한 결과 염색체 수는 95.6%가 정상으로 60개이었고, 2.0%가 60개 이하, 2.4%가 60개 이상이었으나, 핵이식란은 204개를 검경하여 88%가 정상이었고, 4.9%가 60개이하, 7.1%가 60개 이상을 보임으로써, 핵이식란이 체외수정란에 비하여 염색체 이상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계대에 따라 체세포의 염색체이상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체세포 핵이식에 따른 염색체 이상이 생길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은 농림부 연구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906.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형질전환 가축을 생산하기 위하여 최근 체세포 복제 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체세포를 이용한 형질전환 동물의 생산에는 체세포내에 유전자의 도입 효율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포내 유전자의 transfection 효율을 높이고자 한우의 체세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조건에서 유전자 도입을 실시하였다. 세포내 유전자 도입 방법은 electroporation (EP)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한 세포는 소의 귀세포(KbESF), 태아섬유아세포 (KbFF), 그리고 대조구로서 CHO cell을 이용하여 GFP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EP는 0.4 cm cuvette을 사용하였고, voltage는 0.25 kV, 그리고 field strength 는 0.625 kV/cm 조건으로 실시하였으며, pulse times은 각각 1, 2, 또는 3회를 사용하였다. KbFF와 KbESF에서는 각각 pulse times을 증가시킬수록 유전자도입 세포수가 증가하였으나 (KbFF: 81, 634, 1,065 cells/ cells, KbESF: 1,011, 5,567, 15,408 cells/ cells), CHO cell에서는 pulse times을 증가시킬 수록 오히려 유전자도입 세포수가 감소하였다 (CHO: 1,591, 687, 297 cells/ cells). 그리고 2주 동안 neo selection을 실시 한 결과 KbFF, KbESF, CHO에서 각각 93, 35, 184 colony가 선발되었으며, 이 중 65.6%, 8.6%, 4.3% 가 GFP 형광 발현 colony로 나타났다. 한편 CHO cell에서 transfection cell수가 감소된 것은 EP의 자극으로 인해 손상된 세포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eo selection에서 선발된 colony중 GFP가 발현되지 않거나 일부만 발현되는 colony들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것은 세포내 유전자가 transfection되지 않은 세포도 neo selection에서 선발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체세포를 이용한 형질전환동물 생산을 위해서는 세포내 유전자 도입과 선발 과정에서 나타난 colony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screen을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90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의 주요 성분인 allicin 투여 후 유도되는 사람 말초혈액의 단핵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allicin 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allicin이 chemokines, cytokine 면역관련 유전자 및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의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allicin은 Thl type의 획득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염증세포에 있어서 allicin은 억제효과 및 자극 효과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이는 allicin이 휴지기 세포에서 먼저 증가시킨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이후에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positive와 negative 효과를 발휘하는 새로운 기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Allicin에 대한 광범위하고 새로운 관심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보여주는 많은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좀 더 특정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고안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4,000원
        912.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cloned cows those secrete human lactoferricin into milk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NT). To estimate detrimental effects of gene transfection on transgenic cloned embryo production, development rates of NT embryos were compared between transfected and non-transfected cumulus and ear fibroblast cells. An expression plasmid for human lactofericin (pbeta-LFC) was constructed by inserting a bovine beta-casein promoter, a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marker gene, and human lactoferricin target gene into a pcDNA3 plasmid. Two bovine somatic cell lines (cumulus cell and ear fibroblast) were established and transfected with the expression plasmid using a liposomal transfection reagent, Fugene6 as a carrier. Cumulus cell and ear fibroblast were transfected at the passage of 2 to 4, trypsinized and GFP-expressing cells were randomly selected and used for somatic cell NT. Developmental competences (rates of fusion,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in bovine transgenic somatic cell NT embryos reconstructed with non-transfectecd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transfected cells in cumulus cell and ear fibroblast (P<0.05). This study indicated that transfection of done. cell has detrimental effect on embryo development in bovine transgenic NT.
        4,000원
        913.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Prourokinase (proUK) offers potential as a novel agent with improved fibrin specificity and, as such, may offer advantages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urokinase that is associated with clinical benefits in patients with acute peripheral arterial occlusion. For production of transgenic cow as human proUK bioreacotor, we conducted this study to establish efficient production system for bovine transgenic embryo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NT) using human prourokinase gene transfected donor cell. An expression plasmid for human prourokinase was constructed by inserting a bovine beta-casein promoter, a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marker gene, and human prourokinase target gene into a pcDNA3 plasmid. Cumulus cells were used as donor cell and transfected with the expression plasmid using the Fugene 6 as a carri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NT, development rates were compared between non-transfected and transfected cell in experiment 1, and in experiment 2, development rat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level of GFP expression in donor cells. In experiment 1, development rates of non-transgenic NT embryo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ransgenic NT embryos (43.3 vs. 28.4%). In experiment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sion rates (85.4 vs. 78.9%) and cleavage rates (78.7 vs. 84.4%) between low and high expressed cells. However, development rates to blastocyst were higher in low expressed cells (17.0 vs. 33.3%), and GFP expression rates in blastocyst were higher in high expressed cells (75.0 vs. 43.3%), significantly.
        4,000원
        91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nitrosoethylurea(NEU)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의 함량 변화와 알데히드 대사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활성변화를 쥐 간세포에서 측정하였다. 알데히드 대사효소로는 alcohol dehydrogenase와 aldehyde dehydrogenase가 사용되었고 항산화효소로는 glutathione transfer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reductase와 catalase가 사용되었다. 쥐 간세포에 다양한
        4,000원
        916.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 배아로부터 saponin을 분리·정제하여 유리기 억제효과 및 동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유리기 억제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면 대두 배아 saponin을 0.5 및 1.0% 씩 첨가한 그여 식에서 4주 동안 사육한 후 간장을 절취하여 간장 획분의 활성산소 및 항산화 관련 효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 획분의 hydroxy radical (·OH)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급여식에 사포닌을 첨가한 급여군에서 ·OH기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microsome 획분에서도 0.5 및 1.0% 투여군에서 H_2O_2 생성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간장의 cytosol획분에서 O_2· 의 생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배아 사포닌의 세포독성을 P338 (mouse lyoupoid neoplasm) 과 L1210 (mouse leukemia)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 농도에 따른 대두 배아 추출물이 P338과 L1210에 대한 성장 효과 실험에서도 200㎍/mL에서 높은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000원
        918.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강추출물(Alpinia officinarum, 70% ethanol extract)과 함유 주성분인 galangin은 프리라디칼소거작용과 지질과산화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_2O_2 또는 KO_2유도 세포독성에 대해서도 억제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DNA single strand breakage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보호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마우스 소핵시험에 의하여 adriamycin과 같은 superoxide유발물질에 의한 염색체 수준에서의 손상에 대해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양강추출물은 galangin을 유효성분으로하여 산소프리라디칼들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기전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노화, 암예방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이 높은 추출물로서 향후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