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nalyzes the main factors affecting user selection of a small-sum electronic payment system using survey data of 396 users. Several findings emerge. First, users consider three pillars and eight factors in adopting a new system : system feature
살모넬라증은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의 하나로서 세포내 기생하며 질병을 유발하며 장염과 식중독 등을 유발하여 공중보건학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SCWE) 이용하여 숙주세포에 대한 안전성, S. typhimurium 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대식세포 내 균 증 식억제 기능을 규명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SCWE 1, 10 및 100 μg/ml 농도로 첨가한 배지에서 RAW 264.7 체포와 24 시간 반응 후 평가해본 결과 세포독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S. typhimurium 균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항균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SCWE 처리에 의해 대식세포의 형태적 변화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살모넬라균의 탐식능력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 억제 능 력이 비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SCWE 처리 한 대식세포에 살모넬라균 감염을 수행하였을 때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NO) 산생능력이 비 처리 군에 비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살모넬라균에 의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SCWE의 숙 주세포에 대한 안전성,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대식세포 내 균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CWE를 이용한 세포내 기생세균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에서 시각적 요소인 영상과 자막이 정부의 4대 강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이슈관여도에 따라 그러한 시각적 요소가 ‘주변단서(peripheral cues)’로써 수용자의 태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점화효과 이론과 정교화가능성 모델 이론을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2009년 MBC 뉴스데스크를 통해 방송된 뉴스 중에서 정치, 경제, 환경 분야의 뉴스, 총 40개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4개의 클립을 구성하고, 오디오 클립, 무자막 비디오 클립, 자막 비디오 클립 등 3가지 형태로 모두 12개의 클립을 제작하여, 335명의 대학생들을 노출빈도와 노출형태에 따라 6개 집단으로 구성하여 비디오 클립들을 시청하게 하였다. 사전 설문조사, 4주간의 실험, 사후 설문조사의 순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성별, 미디어 소비량, 관여도 등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결과,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영상과 자막이 4대강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점화효과(visual priming)’가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관여도와 시각적 요소의 상호작용효과 관련 가설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지는 못했지만, 영상은 이슈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 집단에게 주변단서로, 그리고 자막은 이슈 관여도가 높은 수용자 집단에게 중심단서로 사고의 정교화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that how to synthesis waterborne urethane-epoxy hybrid resin for leather garment coatings. First of all, We had analyzed datas by FT-IR, SEM and TGA for the machanical properties. By instruments analysis measurement we confirmed that synthesis of urethane and epoxy. In this experiment we knew that polyurethane and urethane-epoxy hybrid resin have 4~5 grades of solvent resistance. Tensile strength measured in the urethane-epoxy resin(epoxy 12%, 2.033kgf/mm2) had the most strong strength than polyurethane(1.833 kgf/mm2) emulsion samples. Also urethane-epoxy hybrid resin had better result than polyurethane in acid resistance and abrasion test. As hight proportion of epoxy in hybid resin, we obtained low elongation and low flexibility. In this resul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 showed that how effect in leather coating by ratio of epoxy emulsion.
The blending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polystyrene emulsion polymerization were studied. The blending of Triton X-100 and SDS affects to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styrene monomer and water phases, and finally, the properties of the polystyrene latex particles. As the blending ratio of SDS/Triton X-100 increases, the interfacial tension and CMC of the blended surfactants were decreased and results in a reducing the size of the latex p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interfacial tension was reduced when the surfactant were blended. By increasing the SDS content, the interfacial tension was reduced, and, at a certain condition, the interfacial tension was reached to an extremely low value to form micro-emulsion and the nano-sized latex particles (80~110 nm).
The benefits of information technology cannot be obtained unless potential users utilize it for their work. This led to a lot of research works on computer system acceptance. But most of the works address the early stage of system introduction, leaving th
To search the potent pig pheromonal odorants through receptor-based approach methods, molecular dockings between 680 Flavornets as substrate molecule and pig odorants binding proteins OBP (1HQP) and PBP (1GM6) as receptor, and QSPR (quantitativ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analyses from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Flavornets and their docking scores (DS) were performed and discussed quantitatively. From the basis on the findings, the optimal value (MSA)opt.=407.595 Å2 of MSA (molecular surface area; Å), and RB (number of rotational bond) had the Flavornets will be able to increase 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earyl alcohol from DS and H-bond type between substrate and receptor would be shows the character as potent pig pheromonal odorant.
본 연구는 기존 기술수용모형에서 제시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특성과 성향이 새로운 기술수용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과 함께 개인의 성격적 차원에서 외향적 성격, 내향적 성격, 개혁성향을 개인의 특성적 차원에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을 IPTV나 디지털 전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 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내향적 성격, 자아존중감이 IPTV 수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PTV 수용태도는 IPTV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전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외향적 성격, 내향적 성격 그리고 개혁성향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수용태도 역시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that how to synthesis waterborne urethane-acrylic hybrid resin for leather coatings. First of all, We had analyzed data by FT-IR, SEM and TGA for the machanical properties. By TGA analysis polymers showe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and by FT-IR measurement we confirmed that synthesis of urethane and acrylic. In the experiment, solvent resistance, polyurethane and acrylic grades 4-5 showed both a high. Tensile strength measured in the waterborne polyurethane 〉 Acrylic emulsion showed strength in the order. Films were obtained by coating the water born resin on leveled surfaces and allowing them to dry at room temperature for 72hrs. After demolding, the films were kept in a desiccator to avoid moisture contant at 25℃ for 45hrs before the measurements. In this result, the mechanical propers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resin showed that how effect to resin in leather coating between polyurethane content and acrylic content. Therefore, acrylic emulsion had most high solvent resistance glade and waterborne polyurethane had good result in abrasion test and tensile strength.
이 연구는 소년원생의 인식 조사연구를 통해 소년보호기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 하고자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소년원생들은 소년원에 대한 인식이 입소당시에는 좋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년원도 교정시설이기 때문에 느끼는 ‘구속된 생활’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밝혀졌다. 소년원생들은 전체적으로 소년원 입소 후 이전보다 인격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나아졌다고 스스로를 평가 하고 있었고, 특히 부모님에 대한 죄송스러움이 크게 나타나 과거에 대한 후회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소년보호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에서는 직업관련 교육을 학과교육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소년보 호기관의 교육과정이 실제적으로 크고 작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 중 ‘인성교육’, ‘직업능력 개발훈련’, ‘성공적인 사회복귀 지원’등의 프로그램을 매우 좋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소년원생 의 입소별 구체적인 분류와 이를 통한 체계적인 교육, 선호교육에 대한 개발과 효과적인 적용 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research,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fibrillation of lyocell fibers, which are spun from a solution of cellulose in N-methyl morpholine-N-oxide(NMMO), through consecutive chemical treatments. Undried solution-spun cellulosic fiber was firstly treated with 10 to 30 wt% of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s, such as ethylene glycol poly(3-chloro-2-hydroxypropyl) ether, and then dipped into alkaline solution to introduce epoxy functions. Finally steam condition was applied to occur a chemical crosslinking in order to reduce the fibrillation on the surface of fibers. Fibrillation was also reduced significantly by adding extra Na2SO4 in NaOH solution. In addition, Antifibrilllated lyocell fibers show the slightly higher dyeability(4 %) to Cibacron Blue without serious reduc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존감 척도(SES), 자기애성 성격장애 척도(NPDS),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CERQ), 공격성 질문지(AQ-K),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가 실시되었으며, 총 304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먼저, 자존감 유형에 따라 공격성과 분노표현 양상,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ANOVA와 Tukey 사후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감, 적대감, 신체적 공격행동이 가장 낮았으며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에서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이 가장 높았다.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과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경향이 동일하게 높았지만,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통제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는 부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존감과 분노표현 양상 간의 관계 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대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부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Bauhaus educational method gave the strong influences on Modern Japanese art and design education. In the 1920s and 1930s, Japan allied with Germany and Italy politically and tried to receive German system to be modernized. The reception of the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ic theory was one of those activities at that time. Japanese intellectual class went to the Bauhaus and studied there; Ishimoto Kikuchi, Nakata Sadanosuke, Mijutani Takehiko, Yamawaki Iwao and Yamawaki Michiko(Yamawaki Iwao's wife). Especially, Yamawaki Iwao studied about the architecture at the Bauhaus, but his interest moved toward the photography and the photomontage based on Moholy-Nagy's theory. He studied at the photography workshop of the Bauhaus presented by Peterhans irregularly. Even though Yamawaki Iwao was an architect, he wanted to be admitted as an expert for the photomontage that he particularly studied at the Bauahus as a Bauhaus member. He had presented many articles about the photomontage at the photography magazines in Japan in order to introduce it to Japan since he returned in 1933. Thus, Yamawaki Iwao is the important person when we look back the Modern Japanese design and art history. In Japan, the art and design systems are managed by the Bauhaus educational system until now, and it has become a kind of cultural legacy in Modern Japan; The university of Tama and The university of Tsukuba are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systems which are based on the Bauhaus legacy. However, Yamawaki Iwao had been concealed as a photographer in Japanese design and photography history until the retrospective discuss named by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at the photography magazine, Deja-vu in 1995 and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titled as ‘Bauhaus syashin(bauahustofografie)’ in 1997. This study rethinks of Yamawaki Iwao's historical position while looking at the term as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used in Japan. It is very important to bear in mind Moholy-Nagy's wide variety of approaches to photography at the Bauhaus, but it is impossible to name it ‘Bauhaus style’. ‘Bauhaus style’ is the international style in architecture, but that was never a Bauhaus style in photography. Eugene J. Prakapas indicated that the vague term of ‘Bauhaus Photographies’ in his article in 1985 as well.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mistake of the term of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in Modern Japanese history, while looking at Yamawaki Iwao's photomontage faintly entering on the historical stage again to discuss the reception of the photomontage from him. In particular, Some of Yamawaki Iwao's photomontage presented as the wall photography in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at was related to the propaganda of Japanese government. It had not been known well in the modern Japanese art and design history because it was related to a declar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by Japan. However, the historical position of his photomontage is very important for Japanese history when we rethink of the reception of the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ic theory to build up the Japanese modern history. In the result, this study wants to discuss that the mistake of the term of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in Japan i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for the the historical position for Yamawaki Iwao's photomontage in the reception of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y in Japan.
본고는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지역의 송국리문화는 금강유역에서 호남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에 송국리문화가 수용되고 전개되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수용)는 A형의 송국리형주거지가 주로 축조된다. 토기는 재지계의 직립구연토기와 삼양동식 토기가 확인되며 외래계의 점토대토기와 흑색마연장경호 등이 동반 출토된다. 반면 석기는 편인석부, 일단병식석검, 편평삼각형석촉 등이 출토되고 있다. 1단계는 B.C.4~2세기경에 해당한다. 2단계(확산)는 주거지의 규모가 다소 축소되며 A형이 지속적으로 축조되지만 B형과 C형 등 다양한 형태가 출현하게 된다. 토기는 직립구연토기가 소멸하고 삼양동식토기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대부분 외도동식토기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이외에도 高杯型土器, 盤型土器, 토기뚜껑 등 새로운 기종이 출현한다. 석기는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철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단계는 B.C.1~A.D.2세기경에 해당한다. 3단계(전환)는 송국리형주거지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외도동식주거지로 전환되면서 소멸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는 이전 단계의 기종이 대부분 소멸하고 외도동식토기로 단일화되고 있으며 일부 마한계 토기가 동반 출토되고 있다. 석기는 2단계와 마찬가지로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철제품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3단계는 A.D.3~4세기경에 해당한다.
본 고에서는 개정행형법(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의 개정의의에 대하여 음미하였다. 개정행형법의 의의로는 수용자의 법적지위를 분명히 함과 동시에 수형자처우의 목표로써 교정교화 및 사회복귀를 도모한다는 것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 있다. 하지만 개정법률과 관련하여 가장 아쉬운 점은 수형자의 자각적 개선의지와 관련된 구체적인 규정이 명문화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행형처우에 있어서 수형자에게 교정교화 및 사회복귀를 위한 각종의 지도와 훈련 등이 실시된다고 하여도 그것이 오로지 국가에 의한 일방적ㆍ타율적 인 규제로써 이루어져 수형자가 이것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따르는 것에 그친다면 수형자의 교정교화 및 사회복귀라는 교정의 목적은 처음부터 달성할 수 없는 목표가 된다. 행형처우란 본래 수형자 스스로가 사회복귀의 필요성을 자각하여 이에 관한 강한 의욕을 갖고 자발적ㆍ주체적인 노력을 하는 것에 의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유형의 집행에 의한 사회방위는 수형자의 개선과 사회복귀에 의해 성립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다하는 것에 행형의 가장 중요한 의의가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그 실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수형자 개개인에게 이러한 의욕을 환기시키고 자발적인 노력을 촉진시키는 것이 요청되며, 이것은 수형자에게 자유형의 집행에 있어서 원활한 사회복귀를 하여야 한다는 일정 정도의 의무를 갖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여성들에 대하여 미디어가 어떻게 재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들을 수용자들은 어떤 의미로 해독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사회에서 가장 대중적 소구력을 지닌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 공영방송 KBS가 제작한 <러브 인 아시아>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용자 연구를 위해 2009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방영된 프로그램 12편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포맷과 내용들을 살펴보고, 실험연구를 통해 수용자들의 반응과 함께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 프로그램은 국제결혼여성을 초창기 방영분보다 ‘능력 있는 이주여성’, ‘가정에서 꼭 필요한 존재로서의 여성’으로 재현함으로써 인종주의적 타자성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이주여성의 현재의 삶과 과거 고향에서 삶의 체험현장의 재현을 통해 이산인의 문제를 제기하여 공론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산의 아픔에 대해 운명적 사랑으로 극복하는 낭만적인 멜로드라마식 이야기로 전개하는 방식은 이산의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시키는데 장애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산인에 대한 올바른 ‘정체성’의 재현을 위해 오락적 요소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진정성과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수용자들은 이 프로그램의 진실성, 기획의도에 대한 적절성, 이산인에 대한 친근감을 비교적 긍정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산인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그동안 자신들의 편견에 대한 반성과 인식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선의적 시각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이산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이해하고 포옹하는 소통의 장으로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재인할 수 있었다.
沈遠悅은 실험적이고 경험중심적인 소재와 사유를 다양한 문학 장르에 구사했 던 19세기 중엽의 문인이다. 그의 『鶴陰散稿』에 담겨있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작품들을 개인적인 성향에서 발로한 것으로, 또는 교유관계, 시대상과 관련지어 살펴보기도 했지만,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심원열의 문학비평론이 公安派의 그것과 상당 부분 유사함에 주목하여, 조선후기 한문학이 중국 공안파의 영향으로 일정하게 변모되는 흐름 속에서 심원열의 산문을 살펴보 았다. 公安派의 핵심인물인 袁宏道는 “옛날은 옛날일 뿐이고, 지금은 지금일 뿐이다. 옛 사람의 언어의 묵은 자취를 답습해 뒤집어쓰고는 예스럽다 하는 것은, 엄동설 한에 여름의 베옷을 입는 것과 같은 격이다”고 하면서 옛것에서 진리를 추구하는 일체의 상고주의적 사고를 비판하며 시간 상대론을 제출하였다. 심원열 또한, “하필 古談이리오? 近事가 있을 따름이오”라고 하며 진부한 옛날이야기는 현실을 살아가는데 적절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지금 여기’에서의 이야 기를 하고자한다. 원굉도가 옛것을 맞지 않는 옷에 비유해서 벗어던지고, 현재의 주체에 꼭 맞는 것을 추구한 사유방식과 일치하는 것이다. 특히, 심원열에게 있어 이러한 상대주의적 사고는 구체적 경험 중시와 선험적 진리의 부정, 경전과 성인 의 절대성에 대한 회의로 폭넓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예증하는 많은 글도 있다. 이는 결국, 심원열이 격변하는 19세기 당대를 살아가면서 생동감 넘치는 현실 을 겸허한 자세로 받아들이려는 고뇌에서 산생된 인식으로, 경전이든 한문고전이 든지 추구한 바가 현실과 유리되어 화석화되어서는 안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 사하는 바가 크다.
Since it was developed by Joseph Aspdin, cement has been a common construction materials up to the present time.However, there are trace constituents in cement clinker. One of the trace constituents included in cement clinker, chromium,has become prominent and highly noticed lately as a social issue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is country because it affects thehuman body negativel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hexavalent chromiumin cement clinker by using industrial by-products. For that reason, raw materials were prepared to add different SiO2 , Al2O3,and Fe2O3 sources. After the raw materials such as the limestone, the sand and the clay, iron ore was pulverized and mixed,and the raw meal was burnt at about 1450oC in a furnace with an oxidizing atmosphere. The part in the raw materials of theclinker was substituted with slag, sludge, etc. and this was used to manufacturing cement clinker. To investigate the water-soluble hexavalent chromium content in clinker, raw meal was prepared by changing the modulus, the type, and the contentof clinker materials and tested concentrations of hexavalent chromium in the clinkers. To determine Cr+6 formation of theclinker, tests were done with raw meals adding chromium by using different industrial by-products. Consequently because thechromium was to be included in the raw materials of the clinker, production of Portland cement clinker was included with thechromium. Also, the chromium was converted into hexavalent chromium in the burn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