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2

        68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들잔디(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는 한국잔디류 중 답압성, 내한성, 내서성이 가장 강하며, 관리가 용이하여 정원, 공원, 묘지, 경사면 녹화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최근 잔디의 이용범위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용도의 잔디 품종 개발이 요구되고 있어 개량할 수 있는 형질이 제한되어 있는 전통육종법 대신 분자육종에 의한 신품종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산화스트레스 내성, 노화지연 등의 형질을 제공하는것으로 알려진 애기장대 유래의 ATPG10 (AT-hook protein of Genomine 10)유전자를 Agrobacterium 형질전환방법을 이용하여 도입시켰다. Agrobacterium 배양액을 최종 O.D.600 값이 0.1이 될 때까지 현탁하여 재분화가 잘되는 형태의 캘러스를 24시간 감염, 3일간 공동배양, PPT 항생제가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신초유도 및 선발, 2~3cm 이상 성장한 shoot를 뿌리유도 및 선발과정을 거쳐 11개체의 형질전환 식물을 생산하였다. 확보된 형질전환체는 순화/증식하여 유전자의 도입 및 발현을 확인하고 기능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ATPG10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식물은 생산성 증대, 건조 스트레스 내성, 산화 스트레스 내성, 노화 지연 등의 기능을 가질것으로 기대된다.
        683.
        2015.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31-year-old woman was transferred because of dyspnea that occurred immediately after cesarean section. Initial echocar-diography showed akinesia in apex to mid left ventricular (LV) wall with severe LV systolic dysfunction, which was pre-sumed to be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Because the patient developed cardiogenic shock, we initially planned on inser-tion of an intra-aortic balloon pump. However, due to aggravation of cardiogenic shock and pulmonary edema, we had to resort t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for cardiopulmonary support. In addition, an LV pigtail catheter was applied for decompressing the LV. Finally, she was successfully weaned from ECMO after recovery of LV function.
        684.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s of mindfulness as a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ppraisals and effort/persistence in university dance clas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8 undergraduates (78 males, 350 females) ranging in age from 18 to 27 (M=20.18, SD= 1.62). Data were analyz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IBM SPSS Statistic 21 and AMOS 21.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revealed that challenge appraisal predicted mindfulness, which, in turn, linked to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In contrast, threat appraisal was unrelated to mindfulness, which, in turn, was not predictive of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hallenge appraisal to stressful events and effort/persistence in dance classe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mindfulness in stress are discussed.
        685.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청국장과 블랙푸드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을 식이에 첨가하여 STZ로 유도된 당뇨쥐에게 7주간 급여한 후 지질과산화물 함량,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 상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당뇨로 인하여 혈청과 간조직 내 증가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두 및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 공급군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효소 중에서 당뇨 유도로 혈청 내 catalase 활성은 변화 없었으나 SOD 활성은 감소되었으며, 이때 약콩청국장의 공급으로 SOD 활성이 유도되었다. 항산화 영양소 중에서 혈청 내 retinol 함량은 당뇨 유도로 낮아졌지만 약콩청국장의 공급으로 7.5배 가량의 증가 현상을 보였고,간 조직 내 retinol과 α-tocopherol 함량은 세종류의 청국장의공급으로 높일수 있었다. 당뇨 유도로 낮아진 간 조직 내의 GSH/GSSG와 비장 조직의 anthocyanin 함량은 약콩청국장,그리고 혈청 내 총 항산화능은 블랙푸드 청국장의 공급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당뇨병이 유발되었을 때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인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증가된 반면에,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및 SOD 활성과 항산화 영양소인 retinol, α-tocopherol, GSH/GSSG, TAC 및 anthocyanin 함량이 낮아졌다. 그러나 세종류의 청국장이 당뇨쥐의 산화적 스트레스 반응과 항산화 영양소 상태에 긍정적인 반응효과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청국장 및 블랙푸드의활용 방안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68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림치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숲이 인간의 건강, 정서와 마음 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런 효과는 개 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개인적 특성인 자연연관성, 부정적 감정 그리고 각성 상태가 스트레스 회 복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 여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을 반영하는 심박변이도와 이 변수 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50대 여성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 며 숲길을 걸었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연연관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감정 이 낮을수록, 그리고 각성 수준이 낮을수록 자율신경계의 안정을 나타내는 부교감신경이 보다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 활 동을 할 때, 긍정적 감정으로 자연과 적극적으로 교감한다면 산림 치유 효과가 보다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68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은 피부 광노화의 주요 요인이며,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포 실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 산화적 스트레스, matrix metalloproteinase 1 발현에 미치는 죽여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HaCaT 인간 각질세포를 여러 농도의 죽여추출물 유무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세포의 생존율과 생화학적 과정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죽여추출물은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의 생존율을 증진시켰고, procaspase 3가 활성화 형태로 절단되고, Bax/Bcl-2 비율이 증가하는 세포 자살 과정을 완화시켰다. 죽여추출물은 자외선에 노출된 세포에서 활성산소의 발생과 지질 과산화도 감소시켰다. 또한 죽여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자극된 matrix metalloproteinase 1의 발현과 c-Jun N-terminal kinase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죽여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 1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 주었으며, 이 추출물이 피부 광노화의 일부 현상을 억제하는 화장품 원료로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688.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노인 여가활동 유형에 있어 녹색활동이 미치는 긍정 적인 가능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 흥타 령 축제에 참가한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및 우울 인지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스 트레스지수 측정은 맥파를 이용하여 수치화 한 지수를 활용하였다. 여가유형은 모임, 여행, 운동, 녹색활동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스트 레스 인지수준 분석결과, 운동, 여행, 녹색활동이 모임에 비해 스트 레스를 낮추고 활력을 주는 여가프로그램으로 파악되었다. 우울 인 지수준 분석결과, 녹색활동 집단의 우울지수가 7.0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맥파측정 결과, 스트레스 지수에서 녹색활동 집단이 58.0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주택형태에따른 인지수준에서는 정원활동이 가능한 단독주택 및 아파트 거주집단이 다세대주택 집단보다 비교적 낮은 수치로 스 트레스 및 우울감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가활동 유형과 주택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감,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 해본 결과, 스트레스 인지수준은 모임, 녹색활동, 여행, 운동 순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우울인지 및 맥파측정 결과, 녹색활동이 다른 여가활동에 비해 낮은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노인여가에 있어 녹색활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낮추고 회복하는데 효과적이며 스트레스․우울 저항력에 효과적인 활동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양한 녹 색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68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상교통관제사들의 과도하고 장기화된 스트레스가 그들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업무과중을 일으켜 선박사고 발생 위험률을 높일 수 있다는 데에 주목하고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함과 아울러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을 추출해 보았다. 표준화된 측정도구(KOSS, PWI)로서 관제사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해 보고, 배경적 변수(연령, 근무경력, 해상교통량 등)에 따라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제사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수준의 사회심리 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으며 연령 및 근무경력 별 스트레스 수준은 역U자 형태를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직무환경적 요인들을 규명하였으며, 스트레스 관련 교육 및 근무환경 개선, 새로운 휴식시설 마련 등은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낮게 함을 밝혔다. 그리고 근무환 경, 교대근무 등의 직무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으로서 관제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인적재해 발생의 주요 원인인 직무스트레스에 관하여 고찰하고 해상교통관제 분야의 인적요인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69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녹차의 급여가 스트레스 하에 있는 산란계가 생산한 계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농장에서 계란의 출하와 시장에서 계란이 유통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산란 후 1주 그리고 5주에 계란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이라인 브라운 레그혼 산란계를 3개의 처리구로 나누고, 녹차가 0.0, 0.4 및 1.0% 첨가된 사료를 2주 동안, 그 후 이들 각각의 사료에 kg 당 corticosterone 30 mg의 첨가 또는 무첨가 사료를 1 주 동안 급여하였다. 급여 5~7일에 채란된 계란을 냉장 보관하였고, 그 후 1주 및 5주째에 계란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난중, 난각색, 난각강도, 난황색, 난각두께, 난각무게 난백높이 및 호유니트(Haugh unit)가 측정되었다. 저장 1주째에 녹차는 난중을 증가시켰고(p<0.025) corticosterone은 난중을 감소시켰지만(p<0.0001), 녹차는 이러한 난중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orticosterone에 의해 난각색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p<0.0001), 녹차는 난각강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06). 그러나 난황색, 농후난백고 및 HU는 두 처리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Corticosterone의 처리로 5주간의 저장기간 동안 난중(p<0.01)과 난각색(p<0.001)은 감소되었고 난각강도는 높아졌지만(p<0.035), 녹차가 이러한 영향을 변화시키지는 못했고 녹차 그 자체의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녹차의 급여는 계란의 저장기간이 단기간인 경우 난중의 저하를 지연시키는데 기여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 녹차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691.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ess induced cardiomyopathy is characterized by transient systolic dysfunction of the apical segment of the left ventricle, in the absence of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stress induced cardiomyopathy is similar to that of a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nset of stress induced cardiomyopathy is frequently triggered by intense emotional or physical stress. Hypoglycemia is one type of physical stress that causes stress induced cardiomyopathy. We report on a case of this syndrome associated with hypoglycemia.
        692.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ress and anger in A/B personality type individuals in relations to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Methods: A total of 276 undergraduate students responded to the FTA (Framinham A Type Behavior) tool and the Stress Response indicator (SR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Using physical activity stages of change questions, physical activity level was categorized. In order to find the varying levels of anger and stress across different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wo-way ANOVAs were performed. Results: Personality type A individuals were found to have higher stress levels than personality type B individuals. Physical activity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stress regardless of personality type. In addition, physical activity group had lower levels of anger across both type A and B personality types. A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on somatization. While personality type B individuals showed similar responses on somatization and trait anger across physical activity and non-physical activity groups, non-physical activity individuals with type A with had much higher somatization and trait anxiety compared to physical activity counterparts. Conclusion: Individuals with personality type A could reduce their stress and anger by exercising, resulting in lower risk for coronary artery disease.
        69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lt stress is one of the major abiotic stresses affecting the yield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io-marker, which is early responsive in salt stress in ginseng, using proteomics approach. Ginseng plants were exposed to 5 ds/m salt concentration and samples were harvested at 0, 6, 12 and 18 hours after exposure. Total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ginseng leaves treated with salt stress using Mg/NP-40 buffer and were separated on high resolution 2-DE. Approximately 1003±240 (0 h), 992±166 (6 h), 1051±51 (12 h) and 990±160 (18 h) spots were detected in colloidal CBB stained 2D maps. Among these, 8 spot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were identified by using MALDI-TOF/TOF MS or/and LC-MS/MS. Ethylene response sensor-1 (spot GL 1), nucleotide binding protein (spot GL 2), carbonic anhydrase-1 (spot GL 3), thylakoid lumenal 17.9 kDa protein (spot GL 4) and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spot GL 5, GL 6) were up-regulated at the 12 and 18 hour, while RuBisCO activase B (spot GL 7) and DNA helicase (spot GL 8) were down-regulated. Thus, we suggest that these proteins might participate in the early response to salt stress in ginseng leaves.
        70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안정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전국에 있는 임신 24주에서 38주 사이의 임산부들로 임신 중 합병증이 없고 태아에 이상이 없는 임산부 133명을 대상으로 숲 태교 프로그램을 실시하 였고, 숲 태교 프로그램은 전국에 있는 국립자연휴양림에서 2011 년 4월 9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11회기를 각 회기별 2박3일(8 회), 1박2일(3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 없이 실험군 단일집단의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Ahn(1984)이 개 발한 임산부의 스트레스 척도와 Ryu(2003)가 재구성한 정서안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산부의 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태아 스트레스는 3.04점에서 2.38점으로, 임부 스트레스는 2.95점 에서 2.35점으로, 배우자 스트레스는 2.44점에서 1.92점으로 감소 하였고, 임신 스트레스 전체적으로도 사전 2.87에서 사후 2.26으 로 낮게 나타나,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1). 임산부의 정서안정 하위요인에서 긴장과 불안은 5.32점에서 5.77점으로, 근심과 두려움은 4.77점에 서 5.41점으로, 자신감과 낙관은 4.87점에서 5.36점으로, 만족과 평온함은 4.90점에서 5.38점으로 증가하였고, 정서안정 전체적으 로도 사전 4.98에서 5.50으로 크게 증가하여,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정서안정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1, p< .001). 본 연구 결과 자연친화적 숲 태교 프로그램은 임산부의 스트 레스 감소와 정서안정 증진은 물론 태아의 건강한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