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94

        120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꽃도라지의 고온기 육묘시 유묘의 저온처리기간에 따른 정식 후 생장과 개화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엽이 4매 전개된 유묘를 10℃의 인큐베이터에 각각 2, 3, 4, 5주 동안 저장하였다. 비교를 위해 저온저장하지 않은 식물체와 각각의 기간동안 저온처리된 식물체는 최저 야온 12~13℃, 자연일장 조건의 유리온실에 정식하여 관리하였다 아즈마설과 아즈마훈 품종의 경우 경경과 엽수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초장 절간장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4주동안의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4주 동안의 저온처리는 꽃의 무게와 직경의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개화소요일수도 무처리구와 2주 처리구에 비해 20일이 단축되었다. 아즈마조 품종의 지상부생육은 4주 동안의 저온처리구에서 증가되었으며 꽃의 품질도 향상할 수 있었다. 개화소요일수는 4주 동안의 저온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31일 2주 처리구보다는 36일이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 결과 꽃도라지 아즈마설, 아즈마혼, 아즈마조 품종의 고온기 육묘시 유묘의 최적 저장 조건은 10℃에서 4주간이었다
        4,000원
        1202.
        199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F magnetron sputter로 알루미나 기판 위에 증착한 NTC 써미스터용 Mn-Ni계 산화물 박막의 기판온도 변화와 열처리에 따른 미세구조, 결정상, 비저항, B정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세구조는 178˚C이하에서 증착한 막의 경우 fibrous microcrystalline이었고, 320˚C와 400˚C에서는 columnar grain 구조로 바뀌었다. 또한, 900˚C에서 열처리한 박막의 경우 equiaxed grain 형태의 미세구조를 나타내었다. 박막의 결정상은 대부분 입방 스피넬(cubic spinel)상과 Mn2O3 상이 공존하였고, 400˚C에서 증착한 경우 700˚C이상에서 열처리하면 입방 스피넬의 단상으로 바뀌었다. 기판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과 B정수도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600˚C~700˚C로 열처리할 경우 이 값들이 대체로 낮고 안정된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박막 시편들은 모두 NTC 써미스터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1203.
        1998.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염가수분해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0.1μm크기의 soot를 실리콘 기판위에 형성하여 1325˚C에서 2시간 동안 고밀화과정후 투명한 후막을 얻을 수 있었다. 고밀화 열처리는 탈수과정, 재배열 과정, 그리고 고밀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고밀화 공정후의 두께 수축률은 초기 soot의 96%정도였으며, 급속한 두께의 감소는 950˚C부터 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고밀화가 시작되는 온도는 1250˚C임을 알 수 있었다. soot의 TGA와 DTA를 이용한 열분석 결과 탈수과정에 의하여 9/wt%의 질량감소와 1250˚C이상에서 인(P)의 증발에 의한 2wt%의 질량감소를 관찰하였다. DTA곡선에서는 500˚C, 570˚C. 1258˚C에서 흡열반응 피크를 나타내는데, 이는 B2O3, P2O5 등의 도펀트들의 melting과 실리카 입자사이의 기공이 소멸되면서 입자간의 열전도도의 증가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20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압열충격 사고로 소형 냉각재 상실사고를 가정하여 냉각재의 온도와 압력의 이력으로 부터 용기 벽의 온도분포를 구하고, 이로 부터 열응력과 압응력을 해석적으로 구하였다. 또 균열 선단에서의 응력강도계수와 파괴인성치를 ASME코드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고, 이들을 시간에 따라 비교하여 균열의 진전여부를 평가하였다. 원자로 용기 벽에 존재하는 여러 형태의 균열이 견딜 수 있는 최대 기준무연성천이온도를 결정하였으며 평가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000원
        1207.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lucidates of the effect of less water stres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 on the emergence of forage grasses. Water condition was controlled to 30% and 60% by water content by wet soil. The mean temperature is conducted by (out s
        4,000원
        1208.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양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자동화 장치의 개발을 목표로 지중가온의 온도변화 특성을 실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월 13일의 1일 하우스 내기온이 주야간에 24℃의 차이가 있으며, 무가온시 지온변화는 지중 10 m 부근에서 6℃, 지중 20 cm 부근에서는 3℃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20시경에 내기온과 지온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중 20 cm 부근의 온도변화는 내기온이 가장 낮은 오전 7시부터 약 3시간이 경과된 오전 10시에 최저가 되었다 3) 가온수의 온도를 40℃, 50℃, 60℃로 변화하였을 때 지중 10 cm의 최저은도는 약 20℃ 지중 20 cm의 최저온도는 약 23℃로 나타나 가온온도가 40℃ 이상일 경우 가온온도에 따른 지중 10~20 cm사이의 온도차는 매우 작았다. 4) 지중 15~20 cm의 지온이 20℃가 되기 위해서는 가온수의 온도를 4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여야한다. 5) 가온수의 온도가 40℃, 50℃, 60℃이고 파이프 매설 깊이가 12 m일 경우 유입구와 유출구의 1일 평균온도차는 40℃일 경우 3.5℃ 50℃일 경우 4.4℃, 60℃일 경우 5.4℃정도로 이 구간에서 온도변화식은 T = 0.09591T+2.5451(R2= 0.9966)로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하였다. 6) 가온수 온도가 40℃의 경우 지중 15~20 cm, 50℃의 경우는 지중 13~19 cm, 60℃의 경우는 12~17 cm 부근이 경계영역으로 판단되었다. 7) 재배기간중 하우스 내기온을 11℃ 이상으로 유지하고, 가온수의 온도를 28℃로 순환 결과 지중 15 cm 이하에서 최저지온를 2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저온수공급에 의한 온도상승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8) 가온수의 온도를 28℃로 하여 지중가온 한 결과 지중 15~20 cm사이에 온도변화는 무가온구에 비하여 공히 4℃~7℃가 상승되었다.
        4,000원
        1209.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mpact energy in 93W heavy alloy with a Ni/Fe ratio of 9/1 has been carried out as a function of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traditional alloy system in which the Ni/Fe ratio is 7/3 or 8/2.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from 1150 to 125, the impact energy of the alloy with the Ni/Fe ratio of 9/1 is remarkably increased from 42 to 72 J,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alloy, up to 118 and then saturated. Fracture mode was also changed from brittle W/W boundary failure to W cleavage. The temperature showing the dramatic shrinkage by dilatometric anaysis of the heavy alloy with Ni/Fe ratio of 9/1 was found to be 1483 , which is higher than that (146) of the heavy alloy with Ni/Fe ratio of 7/3. Auger Electron Spectroscopy showed that the segregation of impurities, such as S, P, and C in W/W grain boundary was considerably de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from 1150 to l18.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impurity segregation in W/W grain boundary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decrease of impact properties, and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should be appropriately chosen, as considering the Ni/Fe ratio of the alloy, in order to get good impact properties.
        4,000원
        1210.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기름의 탈취온도가 trans 지방산 생성량 및 그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G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적으로 저온탈취인 240∼250℃에서는 극미량의 trans 지방산만이 검출되었으나, 고온탈취인 255∼270℃ 구간에서는 0.30, 0.57, 0.64 및 0.81%를 나타내었다. 이성화 현상은 이중결합수가 증가할수록 두드러졌으며, tt 및 ttt형은 거의 검출되지 않는데 비하여 ct, tc, cct 및 tcc형이 다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함께 이성체형성의 극소화는 저온탈취에 의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1211.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 보았다. 탈취온도가 상승할수록 투입되는 탈납유 대비 탈취유의 냉각시험 결과는 현저히 하락하였으며, 260℃ 이상에서는 그 정도가 극심하여 이는 포화도 증가 및 SU_2, S_2U, S_3형 triglycerides 함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발연점은 탈취온도 240℃에서 가장 높은 242℃를 나타내었고, 탈취온도 245∼270℃의 범위에서는 235∼238℃로 하락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료유의 산값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 조성 등과 함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서도 고온탈취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4,000원
        121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핵분열로 인한 고온, 고압의 냉각수를 유지하는 원자로 용기는 원자로의 냉각 또는 가열시 압력에 의한 응력과 함께 열응력이 가해지고 원자로 벽의 온도변화에 따라 파괴인성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임의의 결함이 존재할 경우 건전성 확보가 쉽지 않다. 따라서 가상결함이 성장하지 않도록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면서 냉각 및 가열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 운전 중 냉각 및 가열시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한 압력/온도 한계곡선을 구하는 절차에 필요한 이론을 조사하였고 이의 도출을 위한 해석과정을 전산화하였다. 국내원전 중 가장 오래된 고리 1호기에 대한 압력/온도 한계곡선을 다양한 냉각 및 가열률에 따라 설정하였고 이들 결과를 검토하였다.
        4,000원
        121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쇠고기의 사태, 갈비 및 등심부위를 8℃에 저장하면서 육질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전단력가, 근원섬유의 소편화, actomyosin의 추출성 및 ATP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태 및 등심부위의 전단력가는 저장 6일째 현저하게 낮아졌고, 갈비부위는 저장기간 동안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저장초기 부위별 전단력가는 갈비, 등심 및 사대부위의 순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갈비 및 등심부위는 비슷하였다. 근원 섬유 소편화도의 경우 사태부위는 저장 6일째 현저한 증가를 보였지만 갈비와 등심부위는 저장기간동안 계속 증가하였다. 근원섬유의 소편화율도 소편화도와 비슷한 양상이었으며, 갈비와 등심부위는 사태부위와 다른 변화를 보였다. Actomyosin의 추출성은 저장초기 갈비, 등심 및 사태부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일째 모든 부위가 증가하다가 등심부위는 저장 6일째 감소하였다. Actomyosin의 Ng^2+-ATPase 활성의 경우, 사태부위는 저장 3일째 증가하다가 6일째 저장 0일의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갈비 및 등심부위는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지만 0일째는 등심부위가 갈비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태부위의 Ca^2+-ATPase 활성도 저장 3일째 증가하다가 6일째 감소하였으며, 갈비부위는 저장중 변화가 없었고, 등심부위는 저장기간동안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4,000원
        121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 , 및 에서 각각 약 96%, 88%, 및 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 , 및 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 , 및 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 , 및 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 , 및 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4,000원
        121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상추의 품질 평가 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청치마 상추를 공시하여 수경재배하고 재배적 조건에 따른 상추의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비액온도가 25℃로 항온인 경우 일정할 경우 주상 생체중이 59.7g으로 수양은 가장 높았으나 외관품질점수는 5.2로 가장 낮았고 온도가 15℃에서는 수량이 가장 났았으나 외관평유점수은 8.2로 가장 좋았다. 한편 수경액의 온도가 주야간 다를 경우 본 실험에서는 주야간이 각각 20/20℃일 경우와 25/20℃인 경우가 제일 높았고 그보다 고온이거나 저온일 경우 액양이 낮았는데 잎상추의 외관 품질은 주/야 20/15℃(평균 17.5℃)일 경우 제일 우수했고, 잎은 온도가 높을수록 진타익형으로 도장하였고, 외관품질이 현저히 떨어졌다. 하파재배시 60% 차광인 경우 생육이 10% 감소하였고 80% 차광에서는 25% 정도 수량이 감소하였으며 차광정도가 커질수록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고 초장, 근장은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21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the deposition of pentafluoropyridine(PFP) or pentafluorotoluene(PFT) plasma films onto porous Celgard and nonporous poly(dimethylsiloxane) [PDMS] films. Gas permeation measurements for the composite membranes were mad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5˚C to 75 ˚C and the solubilities in plasma polymers were measured using a Cahn Microbalanc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s of plasma polymers obeyed the Arrhenius relationship fairly wall. Activation energies for permeation in the plasma films increased with the size of penetrant molecules. The activation energy of plasma polymer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ommonly used perfluoropolymers. This difference was proved to be attributable to the much lower heat of solutions of the plasma polymers compared to perfluoropolymers. The diffusion activation energies were comparable with each other.
        4,000원
        1220.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violet spectrophotometric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the rate constants for 1,3-dipolar cycloaddition of 4-substituted-3-phenyloxadiazole derivatives with dipolarophiles such as phenyl acetylene, propiolic acid methyl ester and dimethylacetylene dicarboxylate. From there, the rate constants for 1,3-dipolar cycloaddition were determined at 80, 100 and 120℃, and the reaction rate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these rate constants, the values of the thermodynamic activation parameters were obtained. Some thermodynamic activation parameters such as Eα, δH*, δS* and δG* from Arrhenius equation were also calculated for the electrophilic 1,3-dipolar cycloaddition of 3-phenyloxadiazole derivatives with dipolarophiles. In order to the proposal the mechanism and reactivity of 1,3-dipolar cycloaddition reaction, the effect of substituents having various kinds of electron withdrawing or releasing groups were examinated. Considering the effect of substituents, an electron withdrawing group attached at the 4-carbon position in 3-phenyloxadiazole derivatives decreases the reaction rate because of the lack of electron density in 3-phenyloxadiazole rin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