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이 원격근무를 도입하고자 할 때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분석해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COVID-19로 인해 확산된 원격근무는 생산성의 보전 및 일-가정 양립 등의 효용을 가져와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서도 뉴노멀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타진되었다. 그러나 원격근무는 전염병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주입적으로 실행되었을 뿐 그에 맞는 운영 방침이 정해지지 않아 기업들 의 효율적인 도입이 어려웠다. 기존부터 원격근무에 관련된 연구는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 은 원격근무의 이론적인 방향성을 언급하거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점을 시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원격근무를 도입하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기업을 위해 정량적 기법을 활용하거나 구체적인 제도 수립을 위한 요인 제시에 있어서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격근무 도입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인을 도출하여 기업들의 원격근무 도입에 실용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영학계 교수 및 인사관리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연구 는 정립되지 않은 분야에서 방향성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사회 연구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델 파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따라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 결과 최종적으로 조직문화, 업무환경, 인적자원, 성과관리의 네 가지 영역에 걸친 16가지의 핵심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원격근무와 관련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원격근무 도입 시 인사 관리자들이 실질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요인들을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ltivation technique previously conducted cultivation research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alfalfa and to present further research.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270 alfalfa cultivation experimental data from 1983 to 2008, indicating the cultivation region, field type, variety, sowing, cutting frequency, fertilization, and dry matter yield (DMY). The average DMY of alfalfa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12,536 kg/ha, which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cultivated region. Most of the field type was cultivated in upland. In order to increase alfalfa production, it is necessary to use reclaimed and unused land, and research on the soil amendment matter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is needed. Alfalfa varieties cultivated an amount of 53, but collected data no studies considered fall dormancy, the criteria for selecting alfalfa varieties, so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he fertilizer did not consider each component at various levels, and research is needed as the demand for fertilizer. In particular, research on potassium is needed considering the increase in alfalfa production. The alfalfa cutting frequency differed in the estimated pasture production period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DMY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cutting frequency. This suggests that the alfalfa DMY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cutting frequency in the Republic of Korea, so research is needed to present the appropriate cutting frequency.
본 연구는 국내 차나무 품종을 대상으로 연평균 기온이 낮은 봉화군에 식재하여, 봉화지역 차나무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봉화군 시험지 토양 조사 결과, 시험지별 토양의 pH, EC, 치환성양이온, 유효인산은 적정수준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대체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 다. 봉화군 시험지 기온 조사 결과, 최저 기온은 소천면이 -14.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춘양면 -12.6℃, 명호면 -12.6℃, -10.2℃ 순으로 모든 시험지는 -10℃ 이하의 낮은 온도로 조사되었다. 차나무 재배 생육평가 결과, 명호면 시험지에서 생육 정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소천면, 온실, 춘양면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재배품종 보향과 대조품종 다산은 시험지 생장량과 광합성량이 다른 수종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 다. 봉화지역과 하동지역에 식재된 참녹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catechin과 caffeine 함량을 조사한 결과, Catechin 함량은 EGC와 EC, EGCG 함량은 하동이 높게 조사되었고, 반면 ECG는 봉화지역의 참녹이 월등히 높았다. 총 catechin 함량은 봉화 5.23%, 하동 5.2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Caffeine 함량은 봉화 0.05%, 하동 0.38%로 하동지역의 참녹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봉화군 차나무 재배 생육평가 결과 명호면, 소천면이 차나무 재배에 유리할 것이며, 봉화지역 차나무 재배 시 재배품종 보향과 대조품종 다산은 재배 적응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livery truck is traveled around the delivery area for a long time. Truck drivers cause traffic accidents because of long hours of driving, fatigue, and speeding, etc. In this study, we will test the factors for preventing accidents of drivers. We would like to find factors that affect accidents and improve that can prevent accidents. A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accidents occur when traffic increases and profits increase among driver age, career, and profit factors. In addition, if the volume of traffic increases during the season, the number of accidents increases furthe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ruck accidents, a stable cargo quantity must be allocated to truck and cargo must be delivered.
도시 내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 현상과 함께 다양한 환경문제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시의 회복력 향상을 위해서 자연기반해법이 대두되며, 이는 식물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환경 스 트레스에 회복력이 강한 식물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식물 소재 중 지피식물 47종을 대상으로 침수 내성을 평가하여 식재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 식물을 3일 및 7일 간 지제부까지 완전히 침수시킨 후 관행의 방법으로 관리하여 생육 변화를 4주간 관찰하였다. 식물의 외관 변화와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S/R율(Shoot / Root ratio)차이에 따라 내침수성을 5개 집단으로 구분 하였다. Group A는 ‘곰취’등 28종의 식물로 외관 변화가 없으며, 침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Group B, C, D 및 E의 17종은 침수에 의한 외관 변화나 S/R율의 차이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특히 ‘구절초’등 4종은 외관의 변화가 뚜렷하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S/R율이 4배 수준이며(Group C), ‘눈개승마’는 지상 부가 완전히 고사하였다(Group E). 따라서 침수에 대응한 식재 계획에서는 Group A의 식물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system for rational procedure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quickly distribute and develop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the permitting period should be shortened through special laws, the government actively intervenes to support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privat-public councils to ensure residents' acceptance. In this way, it can be competitive in the future energy market. Above all, a special law (proposal) related to offshore wind power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passed as soon as possible. Final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at manage public waters should provide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system improvemen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se permits, and the project’s main body should minimize damage to the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Through these subject-specific roles,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will be able to reduce carbon emissions and help establish a sustainable energy production system.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abletop disaster simulation of nursing students’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ultiple time-series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7) underwent a lecture an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ntrol group (n=27) underwent only lecture a review on disaster nurs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ANOVA and Bonferni test. Results: Disaster prepared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by time (F=47.25, p<.001).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by time (F=19.38, p<.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isaster nursing tabletop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ncreas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in nursing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 내 자연교육기능과 관련된 계획 지표들을 도출하고 해당 지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분석함으로써 도시공원 계획 및 설계 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해 보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분석 결과 도시공원의 자연교육 기능과 관련된 계획지표 16개를 도출하였고 다시 이용자 행동 지표, 동선지표, 식생지표, 지형지표, 공간지표 등의 상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연교육 필요도에 대하 여 응답자의 79.24%가 필요하다 답하였다. 도시공원의 자연교육기능 계획지표에 대한 계층분석 결과 상위 계획지표는 동선지표, 지형지표, 이용자행위 지표, 식생지표, 공간지표 순으로 중요하다는 결과 가 나타났다. 하위 계획지표는 친환경성, 지형 자연성, 표현욕구 충족, 지적욕구 충족, 협동 공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내표지판 형식, 식생 풍부도가 가장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현재 도시공원에서의 자연교 육에 대한 연구는 자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본 논문은 실제 사례 지를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도시공원 내 자연교육기능 향상을 위한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과는 달리 실제 공원을 이용하는 일반인들에 대한 설문분석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수행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educational needs, develop a pediatric nursing clinical practicum program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A survey of total 272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ere used to explore the need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 interprofessional pediatric nursing practicum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three sessions: orientation and ice break (1 h), holo-patient assessment (1 h), and 5 twins team-based learning (2 h). Effectiveness was evaluated among nine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Wilcoxon rank-sum paired t-test. Results: The scores of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medical students. And th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Z=-2.81, p=.005).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4.33 out of 5 points. Conclusion: Th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This program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nd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nursing education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명리는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변경할 수 없는 예정된 미래가 존재한다는 定命論을 전제로 타고난 命의 貴賤과 운의 吉凶을 추론한다. 그래서 동일한 사주는 같은 삶의 궤적을 그려야 하지만, 임상을 통해 동일사주들의 삶을 비 교해 보면 유사한 삶보다는 다른 삶을 더 많이 발견하게 된다. 동일사주가 다르게 산다는 것은 명리 이론에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시사한 다. 이는 명리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운명론을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어 명리의 존재를 위협하는 약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명리학자라면 이 문제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해야 하지만, 현재 학계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공적으로 논의가 되지 않고 있어서 자세한 연구를 찾기 어렵다. 그러므로 동일사주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운명의 차이를 만드는 중요한 변 수를 조사하고, 운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찾는 데 연구를 집중 하였다. 그 결과, 자유의지는 사주 내에서 최선의 선택을 찾아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사람들은 낮 시간에는 주로 직업의 오행 기운 에, 밤 시간에는 배우자의 오행 기운에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자유의지, 직업, 배우자의 선택이 운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주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들 주요 변수는 각자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운명 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사주에 다양한 삶이 존재한다는 것은 운명을 완전히 결정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명리 상담의 목표가 예정된 운명을 단순히 강 조하는 것보다는, 동일사주에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발견하고 최선 의 선택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상담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이 사주내에서 최선의 선택을 찾아 노력한다면, 선천적 운명을 개 척하여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최종 결론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ltural heritage curriculum for climate change and present educational directions for cultural heritage and climate change impact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role and necessit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r climate change were first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climate change and cultural heritage. Next,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educational cas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cultural heritage was conducted based on educational manuals, curriculum, and heritage competency system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Finally, we propose a plan to develop a curriculum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cultural heritage for graduat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 four components of developing a curriculum. In future studies, we intend to propose guidelines for designing educational manuals and specific curricula for each educational target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of cultural heritage presented in this study.
돼지의 체세포 핵이식(Somatic cell nuclear transfer,SCNT)은 인간에게 약리적 효과가 있는 단백질, 이종 간 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에 사용되는 장기, 질병 연 구 목적의 모델 동물을 제공한다. 특히 형질전환 돼지를 활용한 심장 이식이 세계 최초로 성공한 후 형질전환 돼 지 생산의 안정화는 다음 연구를 위한 중요한 점으로 대 두되고 있으나, 미니돼지의 체세포 핵이식 배아의 생산 효율은 아직 낮은 실정이다. 형질전환의 성공은 양질의 SCNT 배아 생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SCNT 배 아의 생산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요인 중에는 공여 세포 의 형태가 있으며, 성공적인 공여 세포의 생산을 위해서 는 종축에 따른 세포의 특성을 파악하여야 하고, 혈액형 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OO 타입의 선 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계대 배양을 통 하여 공여 세포로 사용되는 미니돼지의 태아섬유아세포의 계대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미니돼지의 혈 액형을 PCR 기반으로 분석하여 분류하고 OO 타입의 선 별을 통하여 이종 간 이식에 용이하게 공여 세포의 조건 을 확립하였다. 이후 sgRNA(single guide RNA)를 사용하 여 CRISPR-Cpf1로 GGTA1(α-1,3 galactosyl-transferase) 유전자를 knock-out 한 미니돼지의 생산으로, 급성면역반 응을 유발하는 Gal(1,3)Gal epitope이 제거된 미니돼지의 세포 주를 구축 및 체세포 핵이식을 통해 GGTA1 knock-out 미니돼지를 생산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이후 체세포 핵이식 및 이종 간 장기이식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인 운전교육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운전교육통합서식지를 개발하고자 실시 하였다.
방법 : 실행연구 모형에 따라 계획, 실행, 관찰, 반성 과정을 통해 서식지를 개발하였다. 장애인 운전교육 을 담당하는 연구 참여자(운전재활지도사)들과의 면담, 교육관찰 및 보유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 며, 질적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운전재활지도사들과 운전재활 분야 전문가들의 의 견을 반영하여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과정별로 분리되어 있는 서식지를 통합하여 운전 교육통합서식지로 개선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서식지를 개선하는 과정을 실행연구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는 운전교육 기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higher education in Indonesia’s marine and fisheries sector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evaluating policies and current problem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in marine and fisheries sector. To achieve the goal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marine and fisheries sector, Indonesian government needs to secure non-salary expenditures to strengthen support for areas directly related to the effects of education, such as improving educational facilities, expanding scholarships, and so on. Education institution need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systematic practice-based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local fishermen community and fisheries indust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upply of manpower throughout the fisheries industry. Fisheries industry needs to stop relying on the government or education institutions to secure excellent human resources and actively participate and cooperate in the education field so that excellent human resources can flow into the industry. Based on this strategy,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Indonesia’s marine and fisheries sector should focus on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had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promote safety and health (OSH) management system for severe accident prevention. OSH management system is primarily designed based on risk assessments; however, companies in industries have been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hazard identification and selecting proper measures for risk assessments and accident prevention. This study intended to introduce an accident analysis method based on epidemiological model in finding hazard and preventive measures. The accident analysis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was proposed by the U.S. Department of Energy.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ccident analysis method, this study applied it to two accident cases occurred in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application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improving OSH management system and preventing severe accidents.
Purpo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um and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um for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Sixty-seven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assign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n = 31) and control (n = 36). We developed and applied a 60-hour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um that spans a 3-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traditional clinical practicum. The outcome measure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um satisfac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oftware.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 = .017) and clinical competence (p < .001) compared to those of the baseline. Regarding practicum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p = .003). Conclusion: The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um wa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d critical thinking,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um satisfaction in senior nursing students. To effectively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acquire clinical competence, which are essential for prospective nurses, nursing students should be exposed more to simulation practicum that reflect environments similar to actual clinical settings for various patients with complex health problems.
This paper is proposing a novel machine scheduling model for the unrelated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without setup times to minimize the total completion time, also known as “makespan”. This problem is a NP-complete problem, and to date, most approaches for real-life situations are based on the operator’s experience or simple heuristics. The new model based on the Memetic Algorithm, which was proposed by P. Moscato in 1989, is a hybrid algorithm that includes genetic algorithm and local search optimization. The new model is tested on randomly generated datasets, and is compared to optimal solution, and four scheduling models; three rule-based heuristic algorithms, and a genetic algorithm based scheduling model from literature;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new model performed better than scheduling models from literature.
본 연구는 모형선박의 횡방향 무게분포를 변화시키면서 횡요주기 및 관성모멘트에 의한 GM을 추정하고 경사시험으로 계측되 는 GM 값과 비교한다. 그 과정에서 각 수치를 분석하여 관계성을 파악한다. 실험 및 비교에 사용된 선박의 종류는 3종류로 7톤급, 20톤급 어선과 KVLCC의 모형선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스윙프레임 테스트와 자유 횡요 감쇠테스트를 수행하여 관성모멘트와 횡요주기를 계측하 고, 경사시험으로 GM을 계측하였다. 관성모멘트와 횡요주기로 추정된 GM과 경사시험으로 구해진 GM은 선박의 무게 분포 변화에도 동 일한 경향을 보였지만, 경사시험에서 구해진 GM이 더 작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GM 추정 시에 관성모멘트나 횡요주기 외에도 추가적인 보정 계수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추후 무게중심을 변화시켜 추정 GM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할 계획이다.
In this study, a survey focusing on the status of clothing interest, inconveniences resulting from clothing, preferred design items, etc. was conducted on 364 elderly women to suggest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appropriate indoor wear design for at home elderly women aged 60 years or older.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respondents’ interest in clothing was high, and more respondents in their 70s or older had difficulty in the action of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clothes, color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design as respondent’s age increased, and size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especially among those in their 80s. The preferred top styles were T-shirts and blouses among those in their 60s and 70s, and T-shirts and shirts among those in their 80s. The preferred sleeve lengths were “below the elbow” and “above the wrist” in all age groups. The preferred sleeve hem type was “tightening” in all age groups. The most preferred bottom styles were “straight-leg pants” and “elastic waistband.” This study suggests the design items of indoor wear, including top, bottom, and overgarment for warmth, appropriate for elderly women at hom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lothing industry for elderly women.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consumers using super app function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demographic differences, and analyze shopping orientations by consumer type. This data can be used by fashion and beauty companies for product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ies. To categorize super app consumer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26.0 software using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K-mean cluster, and distributed analyses, one-way-ANOVAs, and Scheffe verification.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correlate super app consumer types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e-way-ANOVAs and Scheffe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hopping preferences between super app consumer groups. As a result of our analyses, super app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ration type, the low-use type, the multifunction type, and the habit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ypes in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shopping impact factors. Five super app user shopping orientations were identified: brand pursuit, pleasure pursuit, trend pursuit, risk perception, and economic orientation.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orientation between super app consumer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multifunction type consumers. This group used the super app most frequently and effectively. They also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s for all five of the shopping orientations.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 types in this study will allow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to utilize super apps for more targeted product design and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