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에서 종자크기가 다른 각 계통들간의 종자특성과 종자 크기의 변화에 따른 과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박 유전자원 353 점을 대상으로 종자의 크기를 조사하고 6가지 대표적인 종자크기 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종자크기가 큰 순서부터 giant seed(GS), big seed(BS), medium size(NS), small size(SS), micro seed(MS), tomato seed(TS)라고 명명하였다. 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종장, 종경이 작아졌고,
1997년부터 황색 겹꽃 프리지아 품종 육성을 위한 품종을 수집하여, '98년 2월에 'Golden Crown'을 모본으로 하고 'White Wing'을 부본으로 한 교배조합으로부터 240개의 종자를 획득하였다.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황색겹꽃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에 걸쳐 생육 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병 저항성,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
딸기는 근연교배가 다른 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타 식성 작물이다. 딸기의 대다수 품종 육성방법은 품종간 교잡으로 부터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는 선발육종을 기본으로 하여 왔다. 그러나 계통 육성방법도 우수한 유전자를 집적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었다. 따라서 딸기의 육종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식 또는 근계교배를 통하여 조합능력이 높은 유전자형을 가진 근교계를 만들고자 형질이 우수한 품종을 대상으로 자식을 실시하였다. 이 자식계통 중 초세,
시설절화용 장미 "그랜드킹"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육성한 신품종이다. 다수성인 적홍색 대륜계의 'Bixa'을 모본으로 병해충에 강한 대륜계인 'Redsandra'를 부본으로 2000년도에 인공교배 하였다. 2000~2001에 걸쳐 가시가 적은 계통을 GR004-1 등 15 계통을 양성 우수한 형질을 가진 GR004-1번 계통을 최종선발 하였다. 2006년 농작물 직무 육성 품종선정위원회에서 "Grandking" 을 명명하였고 화색은 Red-Gr
2002년도에 오렌지색의 스프레이 'Macarena' 품종을 모본으로 다화성인 황색의 스프레이 'Lion Sunshin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3~2004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517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5~2007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선발된 '원교 D1-501' 을 "모닝스타" 로 명명하였다. "모닝스타"의 화색은 오렌지색으로 RHS 칼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lacing antibiotics by organic acid mixture on growth performances and blood metabolites in growing pigs. Twenty-five crossbred pigs (Large White×Landrace) at the age of 79 days were fed five different diets by supplementing organic acid mixture and chlortetracycline. The experimental diets were consisted of diets without antibiotics supple¬mentation (control), diets added 100㎎/㎏ of chlortetracycline to control diet (T1), diets added 100㎎/㎏ of chlortetracycline and 0.1 % of Acidomix®(comprising formic acid 25%, sorbic acid 10%, fumaric acid 10%) to control diet (T2), diets added 0.1% of Acidomix® to control diet (T3), and diets added 0.3% of Acidomix® to control diet (T4). The changes in feed conversion ratio, average daily gain and blood metabolites were investigated. Twenty-five pigs were allotted to five treatments with five replications of each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complete randomized design for 6 weeks. Average daily gain was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4 and control diets. All treatments including diets added Acidomix® and chlortetracycline were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diets. The feed intak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and did not give change in feed intake by the addition of Acidomix®. No differences on feed conversion ratio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but T4 and T3 treatments showed lower value than other treatments. The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treatments, but their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representing that effects on blood profile by organic acid or antibiotics supplementation were not foun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dding chlortetracycline or organic acid mixtures to diets showed tendency to improv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growing pigs. These results showed that antibiotics could be replaced by organic acid mixture in growing pig diets, leading to stimulated growth and improved feed conversion ratio.
팔레놉시스 "Yellow Dream"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1995년에 적색설판이 있는 황색계열의 Phal. '031'을 모본으로, 꽃이 작고 밝은 황색 소형품종의 "Golden Emperor"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0~2004년에 2회의 특성검정과 계통평가회를 거쳐 "Yellow Dream"이라 명명하였다. "Yellow Dream"은 노랑색 꽃잎에 오렌지색 계
Noel'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분지력이 왕성하고 밝은 적색인 'Gutbier V-10 Amy Red'를 모본으로,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Ichiban'을 부본으로 2004년에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6'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국내에서 육성된 벼 품종 중에서 1998년부터 2005년까지 국립종자관리소를 통하여 보급된 67개 벼 품종을 가지고 벼 11개 염색체로부터 선발한 20개 SSR 마커들로 분석한 결과 총 대립인자수는 149개였으며 대립인자 수의 범위는 4~14개이었고 평균 대립인자 수는 7.5개였다. 대립인자들의 분자량의 변이는 RM335에서 51bp로 가장 컸고 RM253이 4 bp로서 가장 작았다. 분석에 사용한 20개 SSR 마커의 PIC값은 0.45(RM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