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라고 알려진 치료법은 정상 측의 보상운동을 방지하고 뇌 신경가소성이론을 전제로 하며 손상 측의 강도 높은 사용을 통해 대뇌피질의 다양한 변화를 유도하는 재활치료 방법이다.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해 그 효과를 증명하고 있으며, 또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fMRI),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SPECT), 경두개자기자극술(TMS), 자기뇌파검사(EEG) 등의 기능적 신경영상 기술이 발달 하면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신빙성을 더해왔다. 그러나 CIMT의 임상에서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최소한의 적용시간과 적 절한 활동 프로그램의 선정에 있어 더 나은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의 향상 외에 자존감, 자신감, 자기만족도 등 심리적 영역과 대상자 선정 조건의 변화, 최소한의 적용시간과 방법에 대한 연구 등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를 통해 신경학적 근거가 바탕이 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작업치료영역의 연관성을 더욱 밀접 하게 접근시켜 보다 넓은 학문적 확장을 만들어 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iscuss the obtained findings gathered from ultrasound screenings of the liver. After running diagnostic tests health, screens were then conduc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gained results. This data was then charted and used to strengthen our theorized hypothesis.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3 a recorded 2906 people over the age of 20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s in various areas throughout Daejeon. Of those 2906 participants 1789 underwent screenings for abdominal ultrasonography; these participants as well as their ultrasound results were used as the bases of our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our baseline and the comparison of our results, we gathered case-controlled studies from various reputable sources. Both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ested to measure the following liver enzymes (AST, ALT, r-GTP, ALP, and etc.). Kidney functions were measured as well enzymes such as BUN, Creatinine, and Uric Acids levels were analyzed and recorded to see if any relationships existed between the levels documented in the liver and those in the kidneys. It was shown that the two primary causes of fat build up with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connected to obesity BMI(OR=4.14) and waist circumference(OR=3.88).
목적: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학)과 및 작업치료 임상가를 대상으로 임상실습 체계를 조사하여 학생들이 적정한 질적 수준의 직무 중심 임상실습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임상실습을 표준화하고, 이를 통해 임상실습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까지 2013년 전국의 작업치료(학)과와 작업치료 임상실습 기관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체계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2013년도에 시행된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자료를 기초로 임상실습에 필요한 준비 기술과 초임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준비 기술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결과:본 임상실습 체계조사에 38개 대학이 참여하였다. 평균 임상실습 시간은 3년제 517.2시간, 4년제 983.5시간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의뢰 기관수는 재활병원, 대학병원 순으로 많았으며, 성인지체장애 대상 기관이 전체 실습지의 66.8%를 차지하였다. 임상실습에 필요한 준비 기술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4.5점 이상(5점 만점) 높게 나타난 항목은 교수 응답의 경우 평가 14개 항목, 중재 2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교육자는 평가 3개 항목, 중재 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평가 18개 항목, 중재 1개 항목이었다. 초임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준비 기술의 중요도 조사 결과 4.5점 이상 높게 나타난 항목은 교수 응답의 경우 평가 23개, 중재 30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교육자는 평가 14개, 중재 2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평가 20개 항목, 중재 8개 항목이었다.결론:임상실습의 시행에 있어서 학제간 실습 시간의 차이가 크며, 성인지체장애의 실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영역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술에 대한 인식이 작업치료학 교수와 임상실습 교육자 간에 차이가 크므로 양쪽의 의견을 적절히 반영한 임상실습지침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작업치료 영역에 따라 중요 기술이 차이가 나므로 각 분야에 대한 임상지침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 mucocele is a pseudocyst containing spilt mucin from extravasation of the oral minor salivary gland. For this study, 115 cases of mucoceles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gender, age, lesion’s site, size, color, histopathologic features, and recur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Nearly 80% cases occurred in young people under the age of 30 (29.7% in the third decade with the highest prevalence). The lower lip (75.7%) was the most common site, followed by ventral surface of the tongue, mouth floor, and buccal mucosa. The lesions measured from 2 to 20 mm in diameter and appeared in various colors. Histopathologically, mucoceles showed pseudocystic cavities containing mucin surrounded by granulation tissues with foam cells. Among the 115cases, 14 showed recurrence on the adjacent sites. Those cases treated with and without removal of the feeding glands on excision of mucoceles showed recurrence rates of 9.2% and 18.0%,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mucoceles be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of the feeding salivary glands. There were no clinicopathological result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facts regarding the mucoceles of Korean patients
오늘날 유전자 조작 기술이 과거 사회부적격자 제거와 유대인의 대학살 이라는 나쁜 함의를 갖고 있는 독일 나치 우생학을 새롭게 불러낼 것이라 는 우려가 크다. 유전학과 우생학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사실이 다. 하지만 과거의 우생학과 새로운 우생학 사이에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른바 ‘인간 유전체 계획’을 기점으로 신/구유전학 이 나뉘고, 이에 따라 우생학적 함의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즉 과거의 우생학이 국가권력에 의한 인간의 ‘종적’ 개선과 사회부적격자의 제거를 목표로 했다면, 새로운 우생학은 새로운 유전학이 개인의 유전형질을 변 경시켜 인간의 자질과 능력이 향상된 우생 인간의 탄생을 목표로 한다. 이 점에서 과거의 우생학과 오늘날 우생학은 분명히 다르다. 그렇다 하더라 도 새로운 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우리는 새로운 유전학의 우생학적 성격을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규정하고(2장), 이러한 자유주의 우생학을 철학적으로 정당화시켜 주는 근거가 ‘자율’과 ‘추정동의’에 있음을 논증했다(3장). 특히 자율은 자유주 의자에게 도덕적 ‘선’을 구성하는 근본 원리이다. 하지만 우생학적 선택이 자율의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유의미한 인생설계’의 개념 해명이 선행 되어야 하지만, 자녀의 인생설계에 대한 부모의 선택이 자녀들에게는 오 히려 ‘강제’이다. 여기서 자녀교육론이 부모의 (우생학적) 재량권을 허용 하는 논거일 수 없다(4장). 이에 이 글은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법적 ‧ 정치적 대응을 촉구한다(5장).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with 64 students. The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consisted of intrapartum and postpartum care. Results: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scores in maternity nursing car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ost-test (t=-5.92, p <.001, t=-7.35, p <.001) and enhance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Conclusion: The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was useful in improv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um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We recommend for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to increase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목적: 최근의 신기술로 개발된 우수한 재질의 매일 교체용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임상적 증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33명을 대상으로 신기술로 개발된 매일 교체용 콘택트렌 즈(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인 바이오트루(Bauch+Lomb), 아큐브 모이스트(AUVUE), 프로클리어(Cooper Vison)를 선정하여 각각의 콘택트렌즈를 양안에 하루 8시간 이상, 5일 이 상, 2주씩 착용하도록 하여 총 6 주간 동안 이중맹검법으로 착용하도록 한 후 콘택트렌즈의 피팅 상태, 눈물 상태, 각결막 및 윤부의 염색 또는 충혈과 같은 타각 증상과 자각적 증상을 검사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프로그램(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으로 One-way ANOVA, t-test,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유의 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결과: 피팅 상태 평가에서는 3 종류 콘택트렌즈에서 모두 정상적인 피팅 상태를 보였지만 바 이오트루의 중심잡기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p=0.000)와 아큐브 모이스트는 래그와 푸쉬업검사 에서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p<0.01, p=0.000). 자각적 만족도, CLDEQ-8, 자각증 상의 빈도 및 정도 평가에서는 3 종류의 콘택트렌즈에서 피곤함의 빈도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눈물 평가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눈물막파괴시간은 3 종류의 콘택트렌즈에 서 모두 정상 수준보다 짧았고 바이오트루 착용 후 비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NIBUT)과 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TBUT)은 아큐브모이스트에 비해 유의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00, p=0.008). 염색 및 충혈 평가에서는 바이오트루를 착용한 경우 결막염색이 많이 관찰되었고 (p=0.000), 내측, 외측 및 하측의 윤부충혈과 구결막충혈 및 검결막 충혈은 3 종류의 콘택트렌 즈에서 모두 주의가 필요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하이드로겔 재질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눈물막 파괴시간은 정상수준보다 짧으며 콘택트렌즈 착용 후 염색 및 충혈의 증상이 주의를 요하는 수준으로 발생되었기 때문에 이러 한 증상의 원인 분석과 증상 완화를 위한 관리방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량 을 조사하고 혈당관리 지표 및 염증지표의 혈중 농도와의 상 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당뇨병의 관리 및 치료에 영향을 미치 는 식이섭취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 령은 55.8±12.4세였고, 평균 BMI는 남자는 위험체중, 여자는 Ⅰ단계 비만의 범주에 속했다. 혈액 검사 결과, C-peptide, 공 복혈당, HbA1c, CRP 그리고 중성지방, LDL-C은 정상 수치보 다 높았고, 나머지 지표는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열량 섭취량은 1,930.0±252.6 kcal였고, 남자 는 2,043.0±232.5 kcal, 여자는 1,790.4±203.7 kcal 수준을 나타 냈다. 평균 탄수화물 섭취량은 287 g으로 다소 낮았는데, 이 는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당뇨병 환자들로서 탄수화물 섭취 를 자제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단백질 섭취량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섭취량보다 높게 나타났고, 지방 섭취량은 일반 성인 지방 섭취량과 유사하였다. 평균 에너지 섭취분율 (%)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62.3:16.8:20.9 수준이었다. 남자 는 59.7:16.7:23.6, 여자는 65.8:17:17.2로 나타나, 여자의 경우 대한당뇨병학회 권장안보다 탄수화물 섭취비율이 높았다. 미 량 영양소 중 엽산은 섭취량이 약간 부족했고, 나트륨은 국민 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성인의 평균 섭취량보다 높았다. 임상지표와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혈 중 HbA1c 농도는 PUFA, n-3 PUFA, β-carotene, 비타민 E의 섭취 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CRP 농도는 식이 탄수화 물, 단백질, 비타민 C 및 식이섬유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식이요법은 당뇨병 관리의 핵심 요인으로서 당뇨병의 진 행 및 치료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당뇨병 환자들의 식사섭취를 살펴보면 그들이 한국인 영양 섭취기준과 대한당뇨병학회의 치료지침을 엄격히 따르고 있 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의 관리를 위해 우선 이 들 기준에 부합하는 식사 섭취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고, 염증 지표를 낮추는 것으로 추측되 는 PUFA, n-3 PUFA 등의 지방산과 β-carotene, 비타민 E, 비 타민 C 등의 항산화 영양소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합병증 발생의 예방과 지연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식 사 섭취를 조사했는데, 이 방법은 평소의 식사섭취량을 반영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식이섭취빈도 조사법을 활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rubric which developed for investigation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ement competency on hypoglycemia simulation practice.
Methods: The study was a methodological study with 59 nursing students from Y University participating. Fifty video files were used to analyze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competency. Rubric was consisted with 11 questions having 4 phases (beginning, developing, accomplished, and exemplary) and composed with 4 sub-categories (noticing, interpreting, responding and evaluation/reflecting).
Results: The value of inter-rater reliability was r=.92 (p<.001) and Kendall tau b=.79 (p<.001). The value of intra-rater reliability was r=.92 (p<.001) and r=.99 (p<.001). Cronbach's α was .93 a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by factor analysis, 3 factors were extracted and it explained 80.9% of the variance in clinical judgment competency. The value of competency of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was 2.47 (±.42).
Conclusion: The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rubric can be used for assessing clinical judgment competency on simulation practice. Also, it can be applied for evaluation a clinical judgment as a nursing program outcome of nursing student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learning using a web-based e-book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9 third-year nursing students (34 in the experimental and 35 in the control group) from a C-university in G-city, Korea, who were engaged in one-week clinical practicum in a gastroenterology ward. The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20.0.
Results: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t=-3.61, p<.001), knowledge achievement(t=-2.92, p<.001),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8.78, p<.001) in the training course using Mosby's nursing skills.
Conclusion: These results identified that clinical practice learning using Mosby’s Nursing Skills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an e-Learning needs to be continu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Also, it is needed to research more for better ways to implement e-Learning on students’ practicu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test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orty-fou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s and problem solving process scales, clinical competency scal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ried-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critical thinking(t=5.958, p<.001), problem solving process(t=3.331, p=.002) and nursing clinical(t=2.226 p=.031).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contribut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of clinical based learning modules and determine the effect of simulation method, learning times, team size on learrning.
목적 : 인간작업모델에 기초하여 개발된 직업 관련 평가 중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가능한 근로자역할인식면담도구(Worker Role Interview; WRI)와 작업수행 평가도구(Assessment of Work Performance; AWP)를 소개하고 향후 직업재활 분야에서 인간작업모델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자는 지체장애인으로 경도의 정신지체 증상이 있으며 왼쪽 손에 약간의 경직성 증상과 손가락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만 42세 남성 1명이다. 대상자의 심리사회적·환경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WRI를 사용했으며 전반적 업무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AWP를 사용하였다.
결과 : AWP와 WRI 평가 결과 대상자는 일을 하는데 있어 신체적 측면에서는 무리 없이 업무 수행이 가능했지만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다른 직업으로의 이직 의도가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에게 초기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할때 신체적 측면과 함께 심리사회적·환경적 변수의 측정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측정된 여러 변수들은 내담자의 잠재력을 결정한다.
Recently, oteomyelitis from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which is an acute or chronic inflammatory process in medullary spaces or cortical surfaces of bone is uncommon in Korea. And the clinicopatholgic study of osteomyelitis in Korea has been rarely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linicopatholgic analysis of osteomyelitis patients and to apply its results for treatment. Retrospective analysis of 103 cases of osteomyelitis patients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t DKUDH from 1991 to 2000. There was a male predominance with a 2.3:1 ratio. The mean age of onset of disease was almost the same in cases of acute and chronic osteomyelitis: 29.4 years(range 1-81 years). Swelling, pain, pus discharge, and sequestration were main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is disease entity. Acute chronic osteomyelitis of the jaws is caused mostly by a bacterial focus(odontogenic disease, periapical lesion, pericoronitis, periodontal disease, postextraction wounds, and infected fractures). It suggested that acute and chronic osteomyelitis could be basically the same disease separated by the arbitrary time limit of 1 month after onset of the disease by a true bacterial infection. And these results could play an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myelitis of the jaws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들의 편마비측 상지길이 단축의 정도를 평가하고, 길이 단축과 근경직도 및 운동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0명의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남아 13명, 여아 17명, 평균연령 6세 4개월)와 17명의 대조군(남아 9명, 여아 8명, 평균연령 6세 2개월)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지의 상완골,척골, 요골, 두 번째와 다섯 번째 중수골의 길이를 단순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길이 측정을 하였고, 건측(대조군에서는 우성측) 대비 편마비측(대조군에서는 비우성측)의 단축의 정도는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근경직도는 Modified Ashworth Scale (MAS)를 이용하였고, 상지의 운동기능은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QU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조군에 비하여 환자군에서는 편마비측 상지길이의 백분율이 의미있게 단축되어 있었다(p<.05). 이러한 상지길이의 단축 정도와 근경직도의 증가 및 운동기능의 저하는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다(p<.05).
결론 :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에서 보이는 편마비측 상지길이의 단축은 근경직 및 운동기능과 의미있게 연관되어 있다. 추후 이러한 환아들에게서 근경직도의 완화 및 운동기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재활치료 후 변화되는 상지길이의 단축 정도를 연구한다면 재활치료의 효과를 좀더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치료의 방법과 정도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ral squamous papilloma (OSP) is a common benign lesion of the oral mucosa that is induced by the human papillomaviru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P, we selected 135 patients diagnos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OSPs occurring in Koreans had a slight female predilection, with the male to female ratio being 1:1.6. The age ranged from 4 to 80 years old (average age: 47 years). The most frequent location was the soft palate (43.7%), followed by the tongue and gingiva. 11.1% of all patients presented with pain. There have been no reported cases of recurrence. On microscopic examination, two‐thirds of the lesions were parakeratinized, with almost all cases (99%) containing the koilocytes.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OSP in Korean and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한반도 낙엽활엽수림에서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는 그 수효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임상 교란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멧돼지의 임상을 파헤치는 교란이 토양생태계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환경부 장기생태연구지소인 점봉산 지역에서 미생물량 C와 토양 효소의 활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멧돼지에 의해 생성된 교란지형은 표층토양과 하층토양이 섞인 흙더미와 파인 구덩이의 노출된 바닥 2종류로 구분하였고, 인근의 교란을 받지 않은 지역을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유기물 함량이 높은 표층의 토양과 하층의 토양이 섞이면서 대조구에서 20.22%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고, 흙더미와 구덩이의 바닥은 각각 16.91%, 15.52%를 나타내었다. 용적밀도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미생물량 C와 토양 CO2의 발생은 교란을 받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으며 이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cellu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생물량 C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유기물의 함량이 토양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질산환원효소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용적밀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토양 공극이 적은 다소 혐기적 조건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멧돼지의 파헤치는 교란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토양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